KR101514049B1 -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 Google Patents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049B1
KR101514049B1 KR1020140167352A KR20140167352A KR101514049B1 KR 101514049 B1 KR101514049 B1 KR 101514049B1 KR 1020140167352 A KR1020140167352 A KR 1020140167352A KR 20140167352 A KR20140167352 A KR 20140167352A KR 101514049 B1 KR101514049 B1 KR 101514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injection port
ladle
contact por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훈 filed Critical 최정훈
Priority to KR102014016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용 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탕을 주형이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용탕의 배출을 안내하고, 배출되는 용탕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주는 주입구를 구비하되, 이 주입구는 바디에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밀착되어 조립결합되는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은 길이방향으로 반 이상을 차지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전협후광 구조의 유로를 가져 용탕의 배출을 안내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상기 바디의 조립결합시키는 조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바디의 배출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바디와 안착홈을 형성하는 걸림패널과, 상기 주입구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블럭과, 상기 안착블럭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핀과, 상기 안착블럭에 내장되고, 가열시 팽창되는 팽창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디에 용탕이 주입되면 상기 팽창물질의 팽창으로 인출되는 상기 가압핀이 상기 걸림패널의 바닥을 가압하여 상기 주입구가 상승되어 상기 접촉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Laddle for casting equipped with inlet}
본 발명은 주조용 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용탕의 배출을 안내하고, 배출되는 용탕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주는 주입구를 구비하되, 이 주입구는 바디에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밀착되어 조립결합되는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에 관한 것이다.
주조는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고 냉각시켜서 주형 내의 공간에 대응하는 주물품을 제작한다.
주조는 일반적으로 용해로에서 금속을 용융시켜 용탕을 만들고, 용해로의 용탕을 래들에 채운 후에 주형으로 가져가서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고 냉각시켜 주물품을 제작한다.
이처럼 래들은 용해로의 용탕을 주형으로 이동시켜 주입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지만, 주물품의 품질을 좌우하기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탕은 최대한 고온을 유지하면서 주형으로 주입되고, 용탕에 침투된 공기가 적을수록 주물품의 품질이 양호하게 된다. 즉, 래들의 용탕이 주형으로 주입되기까지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고, 주형으로 주입되는 용탕의 유량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수록 주물품의 품질이 우수하게 된다.
주조용 래들은 보통 원통형의 용기를 사용하는데, 원통형의 래들은 상부의 개구부에 용탕의 배출을 안내하는 부위가 별도로 없어서 용탕이 래들의 어느 부위에서 배출될지 작업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기 위해 래들을 기울이면 용탕이 래들의 개구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퍼지면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늘어나 배출되는 용탕을 냉각시키고, 래들의 기울기에 따라 배출되는 용량의 유량 변화가 크게 된다.
정리하면, 원통형의 래들은 용탕을 주형으로 주입시키기 위해 상당한 주의를 요하고, 용탕이 주형으로 주입되기 전에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크고, 즉, 용탕의 온도 보존성이 취약하고, 주형으로 주입되는 용탕의 유량속도 변화가 커서 유량속도 차에 따른 미세와류의 발생으로 용탕에 많은 공기(기포)가 침투되어, 주물품의 품질이 떨어진다.
그래서 등록특허 제10-0715363호 "주조용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은 원통형의 래들 상부의 개구부를 폐쇄시키고, 하부 바닥에 노즐을 설치하여서 용탕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배출되는 용탕의 유량속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715363호 "주조용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은 고가의 노즐을 사용하면서 래들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노즐의 유지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노즐의 유로가 냉각되어 응고되는 용탕에 의해 서서히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고, 노즐의 유로가 막힌 경우 래들까지 함께 폐기처분하는 것은 상당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노즐만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노즐과 래들의 결합 틈새를 밀폐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결합 틈새로 용탕이 침투되면 노즐의 교체가 불가능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용탕이 담긴 래들을 운반하고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래들에는 손잡이봉이 연결되는데, 이 손잡이봉이 래들에 고정되어 있으며 부피가 커지게 되어 보관이 곤란하고, 손잡이봉에 물건이 걸리는 등 작업을 방해하게 된다.
그래서 손잡이봉은 래들 바디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봉을 래들 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암수결합방식이 주로 사용될 것인데, 단순한 암수결합 방식에서는 손잡이봉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래들 바디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손잡이봉이 분리되면 래들 바디가 바닥으로 추락하면서 담겨 있는 용탕이 쏟아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손잡이봉이 암수결합 방식을 래들 바디에 간편하게 결합되되,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손잡이봉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손잡이봉이 착탈 가능한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수단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의 일반적인 원통형 래들과 등록특허 제10-0715363호에 따른 래들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래들에서 주형으로 주입되는 용탕의 온도 보존성이 우수하고, 주형으로 주입되는 용탕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물품의 품질이 뛰어나고, 이를 위해 도입되는 구성요소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이 적고, 생산성이 높아 제품 경쟁력이 탁월한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수작업으로 용탕을 주형에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봉이 래들 바디에 간편하게 탈착 가능하고, 결합된 손잡이봉이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는 상황에서 래들 바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은
길이방향으로 반 이상을 차지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전협후광 구조의 유로를 가져 용탕의 배출을 안내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상기 바디의 조립결합시키는 조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바디의 배출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바디와 안착홈을 형성하는 걸림패널과,
상기 주입구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안착블럭과,
상기 안착블럭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가압핀과,
상기 안착블럭에 내장되고, 가열시 팽창되는 팽창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디에 용탕이 주입되면 상기 팽창물질의 팽창으로 인출되는 상기 가압핀이 상기 걸림패널의 바닥을 가압하여 상기 주입구가 상승되어 상기 접촉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의 상부에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블럭에는 상기 고리부에 삽입되는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은 용탕의 온도 보존성이 우수하고 용탕의 유량속도 변화가 작아서 고품질의 주물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주입구의 바디에의 결합과 해체가 간이신속하여 유지보수와 보관 등의 관리도 편리한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래들에 추가된 주입구를 조립시키는 조립수단을 요부로 하는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
도 3 은 도1의 래들에 추가된 손잡이봉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요부로 하는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에 관한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은 바디(10)와 주입구(20)를 포함하고,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구(20)를 바디(10)에 조립결합시키는 조립수단(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의 상기 바디(10)와 주입구(20) 등은 수치제어가공 기술, 예를 들면, 밀링가공, 머시닝가공, 선반가공, CNC가공 등의 기술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자재량 대비 최적의 내부 부피를 얻을 수 있는 원통형 구조를 갖고, 내부로 채워지는 용탕(즉, 용융된 금속)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주입구(20)가 연결되어서 내부에 저장된 용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는 바디(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반 이상(약 3분의2)을 차지하고, 상단에서는 상기 바디(10)의 좌우 외주연방향으로 1/4~1/3을 차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좌우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주입구(20)는 상기 바디(10)의 배출구(11)에 연결되어서 바디(10)에 담긴 용탕이 외부로(즉, 주형의 주입구(20)) 배출되는 유로(21)를 제공한다.
상기 주입구(20)는 후방의 입구가 상기 배출구(11)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져 배출구(11)에 연결되고, 전방의 출구는 상하좌우 폭이 좁아진 U자형 모양을 갖는다. 즉, 주입구(20)의 유로(21)는 전협후광(前狹後廣) 구조를 가져서 후방의 입구에서는 많은 양의 용탕이 들어오되 전방의 출구에서는 용탕이 퍼지지 않고 뭉쳐 가는 물줄기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여 주형의 주입구(20)에 주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용탕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용탕이 바디(10)에서 주형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즉, 온도 보존성을 높임) 하고, 배출되는 용탕의 유량속도 변화가 적도록 하여 주형으로 주입하는 용턍의 초기유량을 결정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주입구(20)의 하부는 곡선형으로 라운드진 구조를 갖고, 상단의 전후길이(즉, 상부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거리)는 상기 바디(10)의 직경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전방 출구의 상하길이는 후방 입구의 상하길이에서 약1/3(바디(10)의 상하 길이에서는 약 1/4~1/3)을 차지하고, 상단에서 전방 출구의 좌우길이는 후방 입구의 좌우길이에서 약1/3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주입구(20)의 구조는 바디(10)를 조금만 기울여도 바디(10)의 용탕이 주입구(20)의 유로(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공기와의 접촉 면적으로 줄여 배출되는 용탕의 온도 보존성을 높이고, 배출되는 용탕의 유량속도 변화가 작아 용탕에 공기가 침투(즉, 용탕에 기포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주입 초기의 용탕 양을 조절하기 쉽게 된다. 그래서 주물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킨다.
상기 주입구(20)는 상기 바디(10)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주입구(20)의 구조와 크기에 따른 제약으로 프레스가공 등의 방법으로 바디(10)와 주입구(2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바디(10)와 주입구(20)를 별개로 제작하고, 주입구(20)를 바디(10)에 결합시킨다.
주입구(20)를 바디(10)에 결합시키는 데에는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주입구(20)는 바디(10)에서 상당히 돌출되어 있어서 용접으로 바디(10)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면 보관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운반 중에 주입구(20)에 외력이 가해져 충격으로 손상될 소지가 많다.
그래서 본 발명은 조립수단(30)을 통해 상기 주입구(20)가 상기 바디(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주입구(20)를 상기 바디(10)에 조립결합시키는 상기 조립수단(30)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촉부(31), 걸림패널(32), 안착블럭(33), 가압핀(34), 팽창물질(35), 고리부(36), 걸림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31)는 상기 배출구(11)를 형성하는 바디(10)의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1)는 프레스 가공으로 바디(10)와 일체를 이루고, 하부면으로 상기 주입구(20)의 상부면이 밀착되어 접촉된다.
상기 걸림패널(32)은 상기 접촉부(31)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10)에 결합되고, 단면이 'ㄱ'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바디(10)와 함께 안착홈(33h)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블럭(33)은 상기 주입구(20)의 후단에서 외측방향(하부는 하부방향, 좌우는 좌우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안착홈(33h)에 안착된다. 좌우에 구비되는 안착홈(33h)에는 안착되기 어렵고, 좌우의 안착홈(33h)는 인출된 가압핀(34)이 안착된다.
상기 안착블럭(33)의 상하방향 길이(주입구(20)의 하부에 결합된 안착블럭(33)을 기준으로 함)는 상기 접촉부(31)와 걸림패널(32) 간의 간격 보다 짧고,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안착홈(33h)의 전후방향 폭에 상당한 길이를 갖는다. 그래서 상기 안착블럭(33)은 상기 안착홈(33h)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가압핀(34)은 상기 안착블럭(33)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인출되면 상기 안착홈(33h)을 형성하는 걸림패널(32)의 바닥을 가압하면서 밀어 주입구(20)를 승강시키며 좌우 양측이 내측으로 힘을 받도록 하여 주입구(20)의 상부면(내면)이 상기 접촉부(31)의 하부면(외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인입되면 안착블럭(33) 및 가압핀(34)이 안착홈(33h)에서 분리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팽창물질(35)은 상기 안착블럭(33)의 내부 밀폐된 공간에 내장되고, 온도에 의한 열팽창을 한다. 즉, 온도가 올라가면 부피가 증가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부피가 감소한다. 부피가 팽창 또는 감소함에 따라 밀폐공간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상기 가압핀(34)을 밀어 인출시키거나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팽창물질(35)로는 에탄올, 글리세린, 수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내부로 고온(약 700-800도)의 용탕이 채워지면 용탕의 열을 전달받은 팽창물질(35)이 열팽창하여 가압핀(34)을 밀어 인출시킨다. 안착블럭(33)에서 인출되는 가압핀(34)은 걸림패널(32)의 바닥을 접촉가압하여 주입구(20)를 접촉부(31)로 밀착시킨다. 즉, 하부에 구비되는 안착블럭(33)의 가압핀(34)은 주입구(20)를 승강시키고,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안착블럭(33)의 가압핀(34)은 주입구(20)의 양측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주입구(20)의 내면(상부면 전체가 접촉부(31)의 외면(하부면) 전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처럼 가압핀(34)의 인출로 가압핀(34)의 하단과 이에 연결되는 주입구(20)의 상단이 각각 접촉부(31)와 걸림패널(32)에 접촉가압되는 압력으로 주입구(20)를 접촉부(31)에 연결시키고, 하부에 구비되는 안착블럭(33)은 걸림패널(32)이 감싸 잡아주고, 양측에 구비되는 안착블럭(33)에서 인출된 가압핀(34)은 걸림패널(32)이 잡아주지만, 그 힘이 주입구(20)를 바디(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에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접촉부(31)의 상부 양측에 고리부(36)를 형성하고, 좌우측에 구비되는 상기 안착블럭(33)의 상부에 상기 고리부(36)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37)를 형성하여서, 가압핀(34)의 인출고 주입구(20)가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부(37)가 상기 고리부(36)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여 주입구(20)의 고정결합의 안정성을 높였다. 상기 고립부(36)의 하부측은 내경이 상기 걸림부(37)의 외경 보다 크도록 하여 승강하는 걸림부(37)가 자연스럽게 골립부(36)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체결구(40), 손잡이봉(50) 및 체결수단(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결구(40)는 상기 바디(10)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봉(5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41)이 형성된다. 손잡이봉(50)을 잡고 돌려 바디(10)를 기울어야 하므로 상기 체결구(40)는 각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진 구조의 체결구(40)로 사각 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봉(50)은 상기 체결구(40)의 중공(41)으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손잡이봉(50)의 전방은 상기 체결구(40)의 중공(41)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구조를 갖고, 후방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핸들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60)은 체결구(40)로 삽입된 손잡이봉(50)이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고, 의도적으로 분리시키는 때에는 간편하게 분리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체결수단(60)은 탄성부재(61), 삽입부(63), 끼움홈(65), 안치홈(6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61)는 원형꼬임부(611), 누름부(613), 꺽임부(6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61)는 탄성이 우수한 금속 와이어를 한바퀴 꼬고, 양측 단부를 절곡시켜서, 중앙에 상기 원형꼬임부(611)를 형성하고 양측에 각각 상기 누름부(613)와 꺽임부(615)를 형성한다.
상기 원형꼬임부(611)는 상기 체결구(40)의 내부 중공(41)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613)는 상기 체결구(4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꺽임부(615)는 상기 체결구(40)의 내면에 형성되는 안치홈(67)에 안치되어 걸린다.
상기 탄성부재(61)를 상기 체결구(40)에 내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구(40)의 일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홀(68)이 형성되어서 원형꼬임부(611) 및 꺽임부(615)를 중공(41)으로 집어넣은 상태에서 탄성부재(61)가 이동홀(68)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동홀(68)의 수직된 방향에는 연결홀(69)에 형성되고, 이 연결홀에는 폭을 줄여주는 미세돌기(69a)가 돌출되어서 연결홀로 이동되어온 탄성부재(6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40)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안치홈(67)은 상기 꺽임부(615)가 억지끼움식으로 안치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항아리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안치홈(67)에 안치된 꺽임부(615)는 상기 원형꼬임부(611)가 형성하는 홀이 체결구(40)의 중공(41)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서, 손잡이봉(50)의 삽입부(63)가 무리없이 삽입 관통되도록 한다. 즉, 원형꼬임부(611)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서 원형꼬임부(611)가 형성하는 홀이 체결구(40)의 중공(41) 방향과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63)는 상기 손잡이봉(50)의 전방에 구비되어서 상기 체결구(40)의 중공(41)으로 삽입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61)의 원형꼬임부(611) 내측으로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삽입부(63)의 외경은 상기 원형꼬임부(611)의 내경 보다 길어서 삽입부(63)는 원형꼬임부(611) 내측으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1)는 탄성을 가져서 원형꼬임부(611)의 내경이 쉽게 확장되어 삽입부(63)가 삽입되는데 무리가 없다.
상기 끼움홈(65)은 상기 삽입부(6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서 상기 원형꼬임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체결수단(60)을 통해 손잡이봉(50)이 체결구(40)에 체결되는 과정과 분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손잡이봉(50)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봉(50)의 전방을 체결구(40)의 중공(41)으로 밀어 넣으면, 삽입부(63)가 원형꼬임부(611)를 지나가게 되고, 이때 원형꼬임부의 내경(611)이 삽입부에 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삽입부의 전진을 허용하게 되고, 삽입부(63)가 일정 이상으로 삽입되어 원형꼬임부가 삽입부(63)의 외면에 형성된 끼움홈(65)에 위치하면 탄성복원력으로 원형꼬임부(611)의 내경이 줄어들면서 끼움홈(63)에 안착되어 끼움결합되어서 삽입부(63)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잡아줌으로써 손잡이봉(50)은 체결구(40)에 체결된다.
다음으로, 손잡이봉(50)을 체결구(40)에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탄성부재(61)의 누름부(613)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원형꼬임부(611)의 내경이 확장되면서 원형꼬임부(611)가 끼움홈(65)에서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봉(50)을 잡아당기면 아무런 방해 없이 손잡이봉(50)은 체결구(40)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배출구
20 : 주입구 21 : 유로
30 : 조립수단 31 : 접촉부
32 : 걸림패널 33 : 안착블럭
34 : 가압핀 35 : 팽창물질
36 : 고리부 37 : 걸림부
40 : 체결구 41 : 중공
50 : 손잡이봉 60 : 체결수단
61 : 탄성부재 63 : 삽입부
65 : 끼움홈 67 : 안치홈

Claims (2)

  1. 길이방향으로 반 이상을 차지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전협후광 구조의 유로를 가져 용탕의 배출을 안내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상기 바디의 조립결합시키는 조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바디의 배출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바디와 안착홈을 형성하는 걸림패널과,
    상기 주입구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안착블럭과,
    상기 안착블럭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가압핀과,
    상기 안착블럭에 내장되고, 가열시 팽창되는 팽창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디에 용탕이 주입되면 상기 팽창물질의 팽창으로 인출되는 상기 가압핀이 상기 걸림패널의 바닥을 가압하여 상기 주입구가 상승되어 상기 접촉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접촉부의 상부에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블럭에는 상기 고리부에 삽입되는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2. 삭제
KR1020140167352A 2014-11-27 2014-11-27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KR101514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352A KR101514049B1 (ko) 2014-11-27 2014-11-27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352A KR101514049B1 (ko) 2014-11-27 2014-11-27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049B1 true KR101514049B1 (ko) 2015-04-22

Family

ID=5305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352A KR101514049B1 (ko) 2014-11-27 2014-11-27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05B1 (ko) * 2018-10-15 2019-12-06 주식회사 포스코 교체형 런너 및 그 교체 방법
KR20200044361A (ko) 2018-10-19 2020-04-29 엄영호 주물 래들용 로봇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004A (ko) * 2011-07-20 2013-01-30 화신주방산업(주) 집중유도배출구 착탈구조를 갖는 주방용 조리기기
JP2013146788A (ja) * 2011-12-22 2013-08-01 Nichias Corp ラド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004A (ko) * 2011-07-20 2013-01-30 화신주방산업(주) 집중유도배출구 착탈구조를 갖는 주방용 조리기기
JP2013146788A (ja) * 2011-12-22 2013-08-01 Nichias Corp ラド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05B1 (ko) * 2018-10-15 2019-12-06 주식회사 포스코 교체형 런너 및 그 교체 방법
KR20200044361A (ko) 2018-10-19 2020-04-29 엄영호 주물 래들용 로봇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757B2 (en) Filter cartridge assembly
KR101586535B1 (ko) 커넥터
KR101514049B1 (ko)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JP2007044535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と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123959A2 (en) Tube connector
CN203404452U (zh) 磁性连接件结构
CN111225781B (zh) 用于模具设备的推料夹爪及含该推料夹爪的成型模具
CN107107085A (zh) 扳机式液体喷出器
CN118215548A (zh) 冒口
JP2009241434A (ja) シリンダー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用いた金型装置
KR101514050B1 (ko) 손잡이봉의 안전한 체결이 가능한 주조용 래들
JP2007117940A (ja) エアゾール罐の噴射装置
JP6462136B2 (ja) パーティングロック装置と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
CN202109128U (zh) 管件的快拆快接结构
JP5120894B2 (ja) 吐出容器用の吐出ポンプ及び当該吐出ポンプのヘッド部側モジュール
CN211616632U (zh) 双头进料自动切换打印装置
KR101659535B1 (ko) 진공 사출금형
JP4808491B2 (ja) 正倒立両用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2008068890A (ja) 噴射ボタン装置
CN113148421A (zh) 一种弹簧外置防溢按压泵
CN203702764U (zh) 一种卡扣连接件
CN212113835U (zh) 一种防脱落的弹出式电池固定结构
JP2006102806A (ja) 金型用移動中子
CN113523194B (zh) 错时浇注结构
CN220739425U (zh) 一种具有自动拉断渣包功能的压铸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