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103B1 - 죽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죽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103B1
KR101512103B1 KR20140138562A KR20140138562A KR101512103B1 KR 101512103 B1 KR101512103 B1 KR 101512103B1 KR 20140138562 A KR20140138562 A KR 20140138562A KR 20140138562 A KR20140138562 A KR 20140138562A KR 101512103 B1 KR101512103 B1 KR 10151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water
bamboo
liqui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희
Original Assignee
최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희 filed Critical 최영희
Priority to KR2014013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23L27/45Salt substitutes completely devoid of sodium chlor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죽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죽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은, 천일염을 가열하는 소성로; 소성로에서 가열된 천일염에 대나무 액기스를 분사하는 액기스 공급부; 분사부에서 대나무 액기스가 첨가된 천일염을 분쇄하는 분쇄부; 분쇄된 천일염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서 숙성된 천일염을 녹이는 용융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죽염 제조장치{BAMBOO SALT MANUFACTURE DEVICE}
본 발명은 죽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죽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죽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죽염은 대나무와 소금을 불을 이용하여 합성한 것으로서 이는 세포의 생신작용(生新作用)을 하는 대나무와 살균으로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을 소성로에서 고열로 반복 처리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약효를 최대한 증진시킨 가공소금의 일종이다.
이에, 죽염은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생체활성화에 꼭 필요한 소금의 약성을 배가시키고 소금 속에 들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한 가공 소금으로서 소금이 쓰이는 모든 식품뿐만 아니라 치약, 비누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대단히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소금의 단점을 없애고 장점을 강화시키기 위해 우리 조상들은 민간요법으로 소금을 대나무에 구워 사용하였는데 특히, 풍치에 효과를 많이 보았으며, 소화가 안 될 때에도 사용하였다. 이러한 약성을 강화시키고자 소금을 대나무에 넣고 황토로 밀봉하여 소나무 불로 소성시키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대나무의 죽력 성분과 황토와 소나무 불이 만나 발생하는 원적외선 등을 함유한 죽염을 생산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죽염은 대나무통 속에 소금을 다져 넣고 아홉 번을 구워 만드는데, 소금을 채워 넣은 대통들을 연소 가마 속에 차곡차곡 쌓은 뒤 소나무 장작으로 불을 지펴 대통들을 800℃ 이하로 가열하여 구우면, 대통은 재가 되고 소금은 녹으면서 굳어 하얀 기둥으로 변한다.
이 소금기둥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어 다시 새 대통 속에 다져놓고 처음 했던 방법대로 다시 대통들을 800℃이하로 가열, 즉 이렇게 대통을 여덟 번을 굽는데 한 번씩 구울 때마다 소금은 흰 빛깔에서 회색 빛깔로 짙어지며 대나무의 죽력성분을 함유하는 소성된 죽염을 얻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 9번째에는 소성된 죽염을 1200℃ 이상의 고열로 가열하여 액상으로 용융시킴으로써, 소성된 죽염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죽염은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9번을 굽는 과정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에 따라 죽염의 제품이 비싸 수요자가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1992-0007561호 (1992년05월27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1995-0008362호 (1995년04월17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1995-0008358호 (1995년04월17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1995-0000045호 (1995년01월03일 공개)
본 발명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소성로를 이용하고, 소성로에서 배출된 소성염에 대나무 액기스를 첨가함으로써, 죽염을 만드는 제조 시간이 단축되고, 고품질의 죽염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죽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은, 천일염을 가열하는 소성로; 소성로에서 가열된 천일염에 대나무 액기스를 분사하는 액기스 공급부; 분사부에서 대나무 액기스가 첨가된 천일염을 분쇄하는 분쇄부; 분쇄된 천일염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서 숙성된 천일염을 녹이는 용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소성로는,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받침대 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된 외통; 외통 내주면에 설치 고정되는 내화 벽돌; 및 내화 벽돌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설치 고정되고,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로 형성되는 내통;을 포함할 수 있다.
소성로는, 내부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되, 가열장치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 물탱크 내부에 삽입되고, 송진이 저장된 송진탱크; 물탱크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켜 굳어있는 송진이 액체가 되도록 하는 전기히터; 일단이 송진탱크의 내부와 연결 고정되고, 액체로 변화된 송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관; 및 배관 타단에 연결되고, 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송진을 점화시켜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액기스 공급부는, 소성로에서 가열된 천일염을 분쇄부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일단이 이송부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이송부 내부로 대나무 액기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연결관; 및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대나무 액기스가 저장되는 액기스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융로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 지지대 상에 위치하고, 저장부에서 숙성된 천일염이 수용되는 제1 용기; 제1 용기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용기에 수용된 천일염이 용융되도록 열을 가하는 연소실; 및 연소실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용기에서 용융된 죽염이 연소실을 통해 저장되는 제2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은, 송진을 연료로한 다수개의 가열장치가 외주면에 설치되고, 송진을 태운 상태에서 발생하는 송진 향이 제1 용기 내부에 수용된 천일염이 녹으면서 액체로된 죽염에 베이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소성로를 이용하고, 소성로에서 배출된 소성염에 대나무 액기스를 첨가함으로써, 죽염을 만드는 제조 시간이 단축되고, 고품질의 죽염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가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용융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대나무 액기스를 제조하는 액기스 제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지장수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가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용융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대나무 액기스를 제조하는 액기스 제조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의 지장수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죽염 제조장치는 소성로(30), 가열장치(40), 액기스 공급부(50), 분쇄부(60), 숙성저장부(70) 및 용융로(8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소성로에 투입되는 소금에서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사용하고, 천일염은 별도의 천일염 저장부(10)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천일염 저장부(10)에서 소성로(30)로 이동시키기 위해 컨베이어(20)가 이용될 수 있다.
소성로(30)는 천일염을 가열시켜 소성염을 만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성(燒成)은 원료를 가열하여 경화성 물질을 만드는 조작을 말한다. 소성로(30)는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에는 천일염을 투입시키고, 타측에는 천일염이 가열되어 변형된 소성염이 배출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성로(30)는 받침대(31), 외통(32), 내화 벽돌(33) 및 내통(34)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31)는 지면에 고정되고, 소성로(30)의 전체 구성을 지지하면서 소성로(30) 내부에 투입된 천일염이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받침대(31)는 외통(32)과 결합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외통(32)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외통(32)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내화 벽돌(33)이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외통(32)의 길이는 천일염이 최상의 조건에서 가열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간의 길이로 약 20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통(32)은 내주면에 내화 벽돌(33)을 설치 고정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내통(34)은 천일염이 직접 닿는 분분으로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로 형성되고, 내화 벽돌(33)의 내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 고정될 수 있다.
가열장치(40)는 천일염이 배출되는 소성로(30)의 타측에 위치하고, 소성로(30) 내부로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열장치(40)는 송진을 연료로하여 송진을 태우면서 발생하는 송진의 향이 천일염에 베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송진을 연료로 사용하게 되면 연료비가 절감되고, 짧은 시간 내에 소성로(30)의 내부 온도를800˚C 이상 순간적으로 높이도록 할 수 있다. 가열장치(40)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41)와, 물탱크(41)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는 전기히터(43)와, 물탱크(41) 내부에 위치하고 송진이 저장된 송진탱크(42)와, 송진탱크(42)에 연결되고 송진탱크(42)에서 중탕된 송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관(44)과, 배관(44)을 통해 전달받은 송진을 태워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히터(43)로 물을 가열하면 송진탱크(42)에 굳어 있는 송진이 액체상태로 되면서 배관(44)을 통해 버너(45)로 이송시켜 연료로 사용한다. 또한, 물탱크(41)에는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위 조절장치와,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온도 게이지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가열장치(40)는 소성로(30)의 내부로 직접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천일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근접하여 열을 전달함으로써, 기름을 사용하게 되면 소성로(30) 내부에 기름 냄새가 베어 식용으로 사용되는 천일염에 기름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소나무에서 추출된 송진을 사용한다. 그리고, 다른 연료로 가스를 사용하게 되면 순간 높은 열을 낼 수 없으므로 사용할때 불편함이 있다.
액기스 공급부(50)는 소성로(30)에서 가열된 소성염에 대나무와 소나무에서 추출된 액기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대나무에 소금을 넣고 가마에서 굽는 과정을 대신하고, 죽염의 성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액기스 공급부(50) 제1 이송부(51), 액기스 저장부(52), 연결관(53), 액기스 제조부(500) 및 지장수 제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51)는 일측이 소성로(30)의 타측에 위치하여 소성로(30)에서 배출되는 소성염을 분쇄부(6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송부(51)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크류가 설치되어 스크류에 의해 소성염이 이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액기스 저장부(52)는 액기스 제조부(500)에서 제조된 액기스가 저장되고, 저장된 액기스를 제1 이송부(51)로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관(53)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53)은 액기스 저장부(52)와 제1 이송부(51) 사이를 연결하여 분쇄부(60)로 이송되는 소성염에 액기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액기스 제조부(500)는 액기스 저장부(52)와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로 설치하여 구비될 수 있다. 액기스 제조부(500)는 대나무와 소나무에서 액기스를 추출하기 위해 외벽(510), 내벽(520), 철망(530) 및 히터(56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510)은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 벽돌로 형성될 수 있다. 외벽(510)은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부에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내벽(520)은 외벽(510)의 내부를 감싸도록 설치 고정되고, 대나무 또는 소나무에서 추출된 액기스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520)은 외벽을 관통하여 지장수 투입관(540)과, 액기스 배출관(550)과, 히터(560)가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장수 투입관(540)으로 지장수를 유입시키고, 지장수가 유입되면 히터로 지장수를 가열하며, 가열된 지장수는 대나무와 소나무에서 액기스가 추출되도록 한약 달이듯이 한다. 대나무와 소나무를 장시간 달이게 되면 액기스가 추출되고, 그 액기스는 다시 액기스 배출관(5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액기스 배출관(550)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또는, 액기스 저장부(52)에 바로 연결되어 액기스 저장부(52)로 이송될 수 있다.
철망(530)은 내벽(520) 중앙에 위치하고, 톱밥 크기의 대나무와 소나무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내벽(520)에 저장된 물에 의해 대나무와 소나무가 달여지면서 대나무 또는 소나무에서 발생되는 찌꺼기들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이 끝난 후 철망(530)을 들어 올려 대나무와 소나무의 찌꺼기들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지장수 제조부(600)는 대나무와 소나무를 달이는 지장수에는 황토의 성분이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황토는 지하 60~80cm 아래에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황토가 사용될 수 있다. 지장수 제조부(600)는 깨끗한 지장수를 얻기위해 3단계로 이루어진 제1 탱크(610), 제2 탱크(620) 및 제3 탱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탱크(610)는 외부에서 연결된 지하수 또는 직수가 공급되는 직수관(611)과, 직수관(611)에서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직수 분사부(612)가 설치 고정되고, 직수관(611) 하부에는 황토가 담긴 황토자루(613)가 설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직수 분사부(612)에서 분사되는 물이 황토자루(613)에 분사되면서 자루에 담긴 황토와 섞여 자루 외부로 황토 성분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배출된 황토물을 제1 탱크(610)에서 일정시간 두어 황토입자가 바닥으로 가라앉도록 하여 1차 지장수를 만든다.
제2 탱크(620)는 제1 탱크(6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탱크(610)와 파이프로 연결되며, 1차 여과된 지장수의 거친 황토입자가 다시 바닥으로 가라앉을 동안 일정시간동안 저장하여 2차 여과된 지장수를 만든다.
제3 탱크(630)는 제2 탱크(6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탱크와 파이프로 연결되며, 2차 여과된 지장수의 미세한 황토입자가 다시 바닥으로 가라앉을 동안 일정시간 저장하여 3차 여과된 지장수를 만든다. 이렇게 3차 여과된 지장수는 배출 파이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분쇄부(60)는 액기스가 첨가된 소성염이 배출되는 제1 이송부(51)의 타측에 위치하고, 소성염을 분쇄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분쇄부(60)는 내부에 칼날을 구비하여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공지의 구성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쇄부(60)는 분쇄된 소성염을 숙성저장부(70)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2 이송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숙성저장부(70)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쇄부(60)에서 분쇄된 소성염을 저장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소성염은 숙성저장부(70)에 2~3일 동안 숙성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숙성저장부(70)에서 숙성된 소성염을 다시 소성로(30)에 투입시켜 열이 가해지도록 하고, 열이 가해진 소성염에 액기스를 첨가하며, 액기스가 첨가된 소성염을 분쇄하는 이러한 공정이 8번 반복될 수 있다. 이렇게 8번 반복되는 과정에서 소성염에 섞여있는 유해물질들이 제거되고,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필요한 성분들이 증가하여 사용자의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
용융로(80)는 상기의 공정에서 8번 반복 작업으로 만든 소성염을 녹여 죽염으로 만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용융로(80)는 지면에 설치 고정되는 지지대(81)와, 지지대(81) 상에 위치하는 연소실(83)과, 연소실 상이 위치하는 제1 용기(82)와, 지지대(81)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용기(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82)는 소성염을 수용하고, 소성염이 녹으면서 하부에 구비된 제2 용기로 배출되도록 바닥이 메쉬(mesh) 형태의 지지판으로 형성되며, 지지판 상부에는 다수개의 대나무들이 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 상부에 쌓인 대나무는 분쇄된 소성염이 열에 의해 녹기전에 지지판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대나무와 소성염을 같이 녹이는 과정에서 대나무의 성분이 소성염에 섞이도록 한다.
연소실(83)은 제1 용기(82)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용기(82) 내부로 순간 높은 열을 전달하여 대나무와 소성염을 녹이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연소실(83)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열장치(40)가 설치 고정되는데 특히, 송진을 연료로 이용한 버너가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연소실(83)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제1 용기(82)와 지지대(81)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81)는 연소실(83)과 제1 용기(82)의 하중을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용기(84)는 지지대(81)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용기(82)에서 대나무와 소성염이 녹으면서 떨어지는 죽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천일염 저장부 20; 컨베이어
30; 소성로 31; 받침대
32; 외통 33; 내화 벽돌
34; 내통 40; 가열장치
41; 물탱크 42; 송진탱크
43; 전기히터 44; 배관
45; 버너 50; 액기스 공급부
51; 제1 이송부 52; 액기스 저장부
53; 연결관 60; 분쇄부
61; 제2 이송부 70; 숙성저장부
80; 용융로 81; 지지대
82; 제1 용기 83; 연소실
84; 제2 용기 500; 액기스 제조부
510; 외벽 520; 내벽
530; 철망 540; 지장수 투입관
550; 액기스 배출관 560; 히터
600; 지장수 제조부 610; 제1 탱크
611; 직수관 612; 직수 분사부
613; 황토자루 620; 제2 탱크
630; 제3 탱크

Claims (6)

  1. 천일염을 가열하는 소성로(30);
    상기 소성로(30)에서 가열된 천일염에 액기스를 분사하는 액기스 공급부(50);
    상기 액기스 공급부(50)의 분사부에서 상기 액기스가 첨가된 천일염을 분쇄하는 분쇄부(60);
    상기 분쇄부(60)에서 분쇄된 천일염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숙성 저장부(70);
    상기 숙성 저장부(70)에서 숙성된 천일염을 녹이는 용융로(80);
    상기 액기스를 제조하여 상기 액기스 공급부(50)로 공급하는 액기스 제조부(500); 및
    황토 성분이 포함된 지장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지장수를 상기 액기스 제조부(500)로 공급하는 지장수 제조부(600); 를 포함하되,
    상기 액기스 공급부(50)는 상기 소성로(30)에서 가열된 천일염을 상기 분쇄부(60)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51)와, 일단이 상기 제1 이송부(5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부(51)의 내부로 상기 액기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연결관(53)과, 상기 연결관(53)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액기스가 저장되는 액기스 저장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액기스 제조부(500)는 외벽(510)과, 상기 외벽(510)의 내부를 감싸도록 설치 고정되고 내부에 대나무와 소나무가 수용된 내벽(520)과, 상기 내벽(520)과 상기 외벽(5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장수 제조부(600)로부터 공급되는 지장수를 상기 내벽(520)의 내부에 수용된 대나무와 소나무로 투입하는 지장수 투입관(540)과, 상기 내벽(520)의 내부로 투입되는 지장수를 가열하는 히터(560)와, 상기 히터(5602)에 의해 대나무와 소나무에서에서 추출된 액기스를 상기 액기스 저장부(52)에 이송하는 액기스 배출관(5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장수 제조부(600)는 지하수 또는 직수를 공급하는 직수관(611)이 설치되고 상기 직수관(611)에서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직수 분사부(612)가 설치되며 황토가 담긴 황토자루(613)가 상기 직수 분사부(6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직수 분사부(612)에 의해 분산되는 물에 의해 상기 황토자루(613)에서 배출된 황토물을 저장하여 1차 여과하는 제1 탱크(610)와, 상기 제1 탱크(6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탱크(610)에서 공급되는 황토물을 2차 여과하는 제2 탱크(620)와, 상기 제2 탱크(6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탱크(620)에서 공급되는 황토물을 3차 여과하여 상기 액기스 제조부(500)로 공급하는 제3 탱크(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로(30)는,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31)와, 상기 받침대(31) 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된 외통(32)과, 상기 외통(32)의 내주면에 설치 고정되는 내화 벽돌(33)과, 상기 내화 벽돌(33)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설치 고정되고,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로 형성되는 내통(34)과, 내부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장치(40)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장치는(40)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41)와, 상기 물탱크(41)의 내부에 삽입되고 송진이 저장된 송진탱크(42)와, 상기 물탱크(41)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탱크(41)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켜 굳어있는 송진이 액체가 되도록 하는 전기히터(43)와, 일단이 상기 송진탱크(42)의 내부와 연결 고정되고 액체로 변화된 송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관(44)과, 상기 배관(44)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44)을 통해 공급받은 송진을 점화시켜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너(45)를 포함하고,
    상기 용융로(80)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 상에 위치하고 상기 숙성 저장부(70)에서 숙성된 천일염이 수용되는 제1 용기(82)와, 상기 제1 용기(82)와 상기 지지대(8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용기(82)에 수용된 천일염이 용융되도록 열을 가하는 연소실(83)과, 상기 연소실(83)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용기(82)에서 용융된 죽염이 상기 연소실(83)을 통해 저장되는 제2 용기(84)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실(83)은 송진을 연료로한 다수개의 가열장치가 외주면에 설치되고, 송진을 태운 상태에서 발생하는 송진 향이 상기 제1 용기(82) 내부에 수용된 천일염이 녹으면서 액체로된 죽염에 베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40138562A 2014-10-14 2014-10-14 죽염 제조장치 KR101512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8562A KR101512103B1 (ko) 2014-10-14 2014-10-14 죽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8562A KR101512103B1 (ko) 2014-10-14 2014-10-14 죽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103B1 true KR101512103B1 (ko) 2015-04-14

Family

ID=5303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8562A KR101512103B1 (ko) 2014-10-14 2014-10-14 죽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95A1 (ko) * 2015-11-03 2017-05-11 김동우 죽염 제조방법
KR101852170B1 (ko) * 2016-08-29 2018-04-25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국로하스식품 죽염제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45A (ko) * 1993-06-30 1995-01-03 윤일영 죽염제조방법
KR20010094194A (ko) * 2000-04-04 2001-10-31 이상헌 대나무 초액을 이용한 죽염 제조방법 및 그 죽염
KR100805687B1 (ko) * 2006-11-10 2008-02-21 최인환 자죽염 제조장치
KR20110009300A (ko) * 2009-07-22 2011-01-28 윤정은 황토와 대나무성분이 함유된 황토대나무소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45A (ko) * 1993-06-30 1995-01-03 윤일영 죽염제조방법
KR20010094194A (ko) * 2000-04-04 2001-10-31 이상헌 대나무 초액을 이용한 죽염 제조방법 및 그 죽염
KR100805687B1 (ko) * 2006-11-10 2008-02-21 최인환 자죽염 제조장치
KR20110009300A (ko) * 2009-07-22 2011-01-28 윤정은 황토와 대나무성분이 함유된 황토대나무소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95A1 (ko) * 2015-11-03 2017-05-11 김동우 죽염 제조방법
KR101852170B1 (ko) * 2016-08-29 2018-04-25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국로하스식품 죽염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19574B (zh) 熔融盐的制备方法
KR101512103B1 (ko) 죽염 제조장치
CN104258594B (zh) 一种高效萃取植物有效成分的方法
CN202122076U (zh) 用于黄豆酱酿造生产的恒温恒压蒸豆池
CN104788079A (zh) 注浆成型高白度陶器制备方法
CN106247344A (zh) 自控温式环保型农业废弃物焚烧装置
CN104556630A (zh) 微波处理污水淤泥技术
KR100981723B1 (ko) 죽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838371A (zh) 一种多孔环保节能砖的制造方法
CN108636999A (zh) 破碎型土壤修复系统及其修复方法
CN209629447U (zh) 一种新型自开盖陶瓷汽锅
CN210001755U (zh) 一种油泥无害化处理利用的装置
CN205619278U (zh) 一种便于排渣的生活垃圾处理装置
KR102544857B1 (ko)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JP5476520B2 (ja) 竹炭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1129B1 (ko) 자죽염 제조 방법 및 장치
CN204132324U (zh) 一种肉制品蒸煮装置
CN205413203U (zh) 用于陶粒制备的粉煤灰球磨装置
CN103891801B (zh) 旋转悬挂圆台式炉芯的烧饼炉
CN203389363U (zh) 一种具过滤功能的浸泡罐
CN216972021U (zh) 一种生物质活性盐的生产装置
KR20020012455A (ko) 녹차염 제조방법
CN207685274U (zh) 一种基于厨余垃圾沼气发酵装置的收集弯管
CN101474343A (zh) 一种肾宁散中药制剂的制备方法
CN207562396U (zh) 辣素提取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