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33B1 -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033B1
KR101512033B1 KR20140063915A KR20140063915A KR101512033B1 KR 101512033 B1 KR101512033 B1 KR 101512033B1 KR 20140063915 A KR20140063915 A KR 20140063915A KR 20140063915 A KR20140063915 A KR 20140063915A KR 101512033 B1 KR101512033 B1 KR 10151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undproof
support
side fram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호
Original Assignee
청봉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봉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봉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6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0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 E06B3/584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fixed by a tongue-and-groove or mortise-and-tenon conn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06B3/9648Mitr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주택가, 고가 등의 도로상에서 H빔으로 설치된 구조물 사이로 적층되는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로써,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 내부로 설치되는 방음판의 손상 시 프레임 전체를 H빔으로부터 해체하지 않더라도 사각틀 프레임의 전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탈부착프레임을 통해 방음판의 교체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음판과 프레임의 결합은 물론, 프레임의 연속적인 적층 작업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현장에서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소음을 감쇄 또는 차단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H빔에 방음판을 고정하기 위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사각틀을 이루고, 상기 H빔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방음판의 후방 테두리 부분을 따라 사방으로 지지하는 외곽틀프레임과; 상기 방음판이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전방으로 출입하며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음판의 전방 테두리 부분을 따라 사방으로 지지하는 탈부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OF SOUNDPROOF WALL TO CHANGING SOUNDPROOF PANEL EASILY}
본 발명은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주택가, 고가 등의 도로상에서 H빔으로 설치된 구조물 사이로 적층되는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로써,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 내부로 설치되는 방음판의 손상 시 프레임 전체를 H빔으로부터 해체하지 않더라도 사각틀 프레임의 전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탈부착프레임을 통해 방음판의 교체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음판과 프레임의 결합은 물론, 프레임의 연속적인 적층 작업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현장에서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소음이나, 다른 각종 소음 발생으로 인한 소음피해지역 또는 소음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주택 인접지역의 도로나 고속도로, 고가 등 도로상에서 H빔으로 설치된 구조물 사이로 다수개의 방음판을 상하로 적층하거나, 좌우로 연속하여 설치하거나, 상하 적층구조를 좌우로 연속하여 설치하는 등의 시공 방법으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방음판은 재질에 따라 목재, 금속재 방음판으로 나누어지며, 방법에 따라 차음형, 흡음형 방음판으로 나누어지며, 기능에 따라 식생, 일반 방음판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방음벽은 H빔을 주 기둥으로 하여 고정되는데, 대개, H 빔의 전후 돌출된 양측 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종래 방음벽의 경우, 방음판을 H빔에 고정하되, 적층되는 각각의 방음판을 고정하여야하며, 이때, 방음판과 방음판을 와이어를 통해 연결하는 등 그 고정 구조에 있어서 매우 복잡하고, 작업성에 있어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방음판의 수리 내지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방음벽의 중간 부분의 방음판이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교체를 원하는 방음판의 상부에 적층된 방음판 모두를 H빔 사이에서 빼내야 하므로 이러한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난해한 것이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700호(2010.04.19 등록) "탈부착식방음벽프레임구조"에서는 방음벽 프레임으로써 각각의 프레임은 후면프레임과 전면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전면프레임은 후면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된 탈부착식 방음벽프레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에 개시된 탈부착식 방음벽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도로변에 설치된 H빔 등으로 된 지주(200) 사이로 투명부재(130) 등으로 된 방음판을 고정안치한 탈부착식 방음벽프레임(100)을 적층하여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방음벽의 설치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130)로 된 방음판의 테두리를 따라 사면에서 그 방음판을 고정안치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과 끼어맞춤으로써 탈부착 가능한 전면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한 후면프레임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금속재 또는 프라스틱재로 구비되고, 그 내측의 일단에는 투명부재로 된 방음판을 고정안치할 수 있는 투명부재 거치부를 구비하며, 후면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그 강인성을 보강하기 위해 내측의 일측단에 후면프레임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탈부착식 방음벽 프레임 구조"는 투명부재(130)로 된 방음판이 후면프레임 내부에 고정안치된 상태에서 전면프레임을 탈부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프레임을 도장하는 등의 사후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다 하겠으나, 후면프레임에 고정안치된 상태에서 상부로 적층될 수 있는 방음판의 손상 시 상기 방음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면프레임을 H빔 등으로 된 지주(200)로부터 적층된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이 까다롭고, 그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이 크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게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이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특히 현장에서의 방음벽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되고, 방음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연속적인 적층 작업이 용이하며, 조립이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에 따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됨으로써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소음을 감쇄 또는 차단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H빔에 방음판을 고정하기 위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사각틀을 이루고, 상기 H빔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방음판의 후방 테두리 부분을 따라 사방으로 지지하는 외곽틀프레임과; 상기 방음판이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전방으로 출입하며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음판의 전방 테두리 부분을 따라 사방으로 지지하는 탈부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외곽틀프레임이 상기 H빔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H빔의 내측을 따라 길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내측면이 상기 H빔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H빔의 내측에 일정 깊이만큼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H빔에 고정되며 상기 방음판과 상기 탈부착프레임이 상기 다수의 H빔 사이에서 전방으로 출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외곽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사각틀을 이루도록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모서리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은 양측에 "ㄱ"자 형태로 소정 두께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가 끼움 삽입되기 위한 중공형의 삽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상기 방음판의 후방 테두리 부분을 사방으로 지지하도록 각각의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탈부착프레임의 외측면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삽입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움푹한 홈을 형성하는 끼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안착지지부와 상기 끼움부는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 내면과 평행하게 맞닿으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탈부착프레임은,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각각의 끼움부에 끼움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를 관통하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과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요홈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각각이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 내면이 상기 내부지지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요홈부로 삽입 관통되며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 외측면과 맞닿는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한 쌍의 제1 걸림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곽틀프레임은,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의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2 걸림돌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공형의 사각형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공 내부에서 상기 중공형의 삽입부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결합되되,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은,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를 관통하며 돌출된 경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 돌출부의 내면이 상기 내부지지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볼트수용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이 사각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특히 현장에서의 방음벽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되고, 방음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연속적인 적층 작업이 용이하며, 조립이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에 따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됨으로써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방음벽프레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탈부착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를 통해 방음벽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이하에서는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결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의 탈부착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를 통해 방음벽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소음을 감쇄 또는 차단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H빔(1)에 방음판(2)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곽틀프레임(10)과, 탈부착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은 상기 방음판(2)의 사방을 지지하도록 사각틀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은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과, 모서리연결프레임(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은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수직하게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은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의 상부와 하부로 연결되는 구성이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은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은 프레임 구조로써 내부로 중공형의 삽입부(11a,12a,13a,14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은 양측에 "ㄱ"자 형태로 소정 두께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15a,15b)가 형성되는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은 직각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돌출부(15a,15b) 부분이 상기 삽입부(11a,12a,13a,14a)로 끼움 삽입됨으로써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이 사각틀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은 상기 방음판(2)의 후방 테두리 부분을 사방으로 지지하도록 각각의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지지부(11b,12b,13b,14b)가 더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지지부(11b,12b,13b,14b)는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 각각의 내측의 후방측에서 중공형의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안착지지부(11b,12b,13b,14b)의 돌출된 일면이 상기 방음판(2)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후방의 테두리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안착지지부(11b,12b,13b,14b)를 통해 후방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의 상기 방음판(2)이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상기 외곽틀프레임(10) 즉,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은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의 외측면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11c,12c,13c,14c)가 더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끼움부(11c,12c,13c,14c)는 상기 삽입부(11a,12a,13a,14a)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탈부착프레임(20) 내측의 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한 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안착지지부와 상기 끼움부(11c,12c,13c,14c)는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의 돌출부(15a,15b) 내면과 평행하게 맞닿으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지지면(11c,12c,13c,14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지지면(11c,12c,13c,14c)은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의 돌출부(15a,15b)가 상기 삽입부(11a,12a,13a,14a)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외측면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25b)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은 각각의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11a,12a,13a,14a)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요홈부(11d,12d,13d,14d)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한 쌍의 요홈부(11d,12d,13d,14d)는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 각각이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의 돌출부(15a,15b) 내면이 상기 내부지지면(11c,12c,13c,14c)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25b)가 상기 한 쌍의 요홈부(11d,12d,13d,14d)로 삽입 관통되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이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상기 삽입부(11a,12a,13a,14a) 내부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방음판(2)이 상기 외곽틀프레임(10)으로부터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방음판(2)은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전방으로 출입하며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이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은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사각틀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프레임을 이루도록 상하, 좌우 각각의 프레임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측면을 따라 상기 외곽틀프레임(10) 즉,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 각각의 상기 끼움부(11c,12c,13c,14c)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는 돌출면(2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은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 각각의 상기 끼움부(11c,12c,13c,14c)에 끼움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11c,12c,13c,14c)를 관통하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과 체결되는 체결부재(25c)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부(20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틀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은 상기 안착지지부(11b,12b,13b,14b)와 이웃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안착지지부(11b,12b,13b,14b)와 함께 상기 방음판(2)의 테두리 부분 전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은 상기 방음판(2)의 교체 필요 시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방음판(2)의 교체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외곽틀프레임(10) 및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이 상기 다수의 H빔(1)의 전방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이 상기 H빔(1)의 내측에 일정 깊이만큼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H빔(1)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H빔(1)의 내측을 따라 길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방음판(2)이 측면 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상기 H빔(1) 중 서로 이웃하는 H빔 사이에서 상기 방음판(2)과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이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전방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H빔(10)의 내측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고정부재(5)를 통해 상기 H빔(1)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을 상기 H빔(1)의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는 간격 유지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내측면 즉,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의 내측면이 상기 H빔(1)의 외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출 라인(L)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부재(5)를 통해 상기 H빔(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내측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탈부착프레임(20)이 상기 H빔(1)에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의 전방으로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되고,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을 굳이 해체하지 않더라도 상기 방음판(2)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한 쌍의 요홈부(11d,12d,13d,14d)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 외측면과 맞닿는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한 쌍의 제1 걸림돌기부(31a,31b)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걸림돌기부(31a,31b)는 긴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요홈부(11d,12d,13d,14d)에 대응하여 끼움식으로 간편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과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중공형의 사각형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지지프레임(30)은 그 중공 내부에서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의 돌출부(15a,15b)로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25a)에 의해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과 결합되는데, 상기와 같은 제1 걸림돌기부(31a,31b)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의 유격을 방지하여 조립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간편한 시공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은, 상기 상부프레임(13) 또는 하부프레임(14)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요홈부(11d,12d,13d,14d)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3) 또는 하부프레임(14) 중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의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2 걸림돌기부(131)가 더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 걸림돌기부(131)는 상기 제1 걸림돌기부(31a,31b)와 같이 조립의 간편함과 견고함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제2 걸림돌기부(131)는 상기 상부프레임(13)에 구비된 한 쌍의 요홈부(13d)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타측에 마주보게 형성된 상기 하부프레임(14)의 한 쌍의 요홈부(14d)에 끼움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외곽틀프레임(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게 적층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상부프레임(13)의 상부로 적층되는 하부프레임(14)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고, 별도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30)은 그 중공 내부에서 중공형의 상기 삽입부(11a,12a,13a,14a)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과 나사 결합되는 상기 고정볼트(25a)를 통해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은 상기 고정볼트(25a)가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의 상기 돌출부(15a,15b)를 관통하며 돌출된 경우 상기 돌출부(15a,15b)의 내면이 상기 내부지지면(11e,12e,13e,14e)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25a)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볼트수용홀(11f,12f)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15)은 상기 방음판(2)을 사방으로 지지하는 상기 외곽틀프레임(10) 즉,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11,12)과,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 각각에 매우 견고하고 용이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특히, 현장에서의 방음벽 프레임의 시공시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자의 노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시공 시간이 대폭 단축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됨으로써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H빔 2 방음판
10 외곽틀프레임 11,12 양측의 측면프레임
13 상부프레임 14 하부프레임
11a,12a,13a,14a 삽입부 11b,12b,13b,14b 안착지지부
11c,12c,13c,14c 끼움부 11d,12d,13d,14d 요홈부
11e,12e,13e,14e 내부지지면 11f,12f 볼트수용홀
20 탈부착프레임 20a 돌출면
20b 체결부 25a 고정볼트
25b 체결부재 30 지지프레임
31a,31b 제1 걸림돌기부 131 제2 걸림돌기부

Claims (8)

  1. 소음을 감쇄 또는 차단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H빔에 방음판을 고정하기 위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사각틀을 이루고, 상기 H빔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방음판의 후방 테두리 부분을 따라 사방으로 지지하는 외곽틀프레임과; 상기 방음판이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전방으로 출입하며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음판의 전방 테두리 부분을 따라 사방으로 지지하는 탈부착프레임과; 상기 외곽틀프레임이 상기 H빔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H빔의 내측을 따라 길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외곽틀프레임의 내측면이 상기 H빔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H빔의 내측에 일정 깊이만큼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H빔에 고정되며 상기 방음판과 상기 탈부착프레임이 상기 다수의 H빔 사이에서 전방으로 출입 가능하고,
    상기 외곽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사각틀을 이루도록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모서리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은 양측에 "ㄱ"자 형태로 소정 두께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가 끼움 삽입되기 위한 중공형의 삽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상기 방음판의 후방 테두리 부분을 사방으로 지지하도록 각각의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탈부착프레임의 외측면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삽입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움푹한 홈을 형성하는 끼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안착지지부와 상기 끼움부는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 내면과 평행하게 맞닿으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프레임은,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각각의 끼움부에 끼움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를 관통하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과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요홈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각각이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 내면이 상기 내부지지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요홈부로 삽입 관통되며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 외측면과 맞닿는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한 쌍의 제1 걸림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곽틀프레임은,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의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2 걸림돌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8. 제4항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공형의 사각형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공 내부에서 상기 중공형의 삽입부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과 결합되되,
    상기 양측의 측면프레임은,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의 돌출부를 관통하며 돌출된 경우 상기 모서리연결프레임 돌출부의 내면이 상기 내부지지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볼트수용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KR20140063915A 2014-05-27 2014-05-27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KR10151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3915A KR101512033B1 (ko) 2014-05-27 2014-05-27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3915A KR101512033B1 (ko) 2014-05-27 2014-05-27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033B1 true KR101512033B1 (ko) 2015-04-14

Family

ID=5303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3915A KR101512033B1 (ko) 2014-05-27 2014-05-27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3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41B1 (ko) 2016-09-07 2017-11-27 김재욱 유지보수용 방음패널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KR101998841B1 (ko) * 2018-12-06 2019-07-10 강보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20190095979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우리알텍 투명방음판
KR102123530B1 (ko) 2019-10-24 2020-06-17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흡음형 투명방음판 어셈블리
KR102207776B1 (ko) * 2020-07-09 2021-01-2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 일체형 경량 원형지주가 구비된 방음시설
KR102229298B1 (ko) * 2020-03-19 2021-03-17 황점미 유지관리가 용이한 방음벽
KR102257557B1 (ko) 2020-06-10 2021-05-31 주식회사 유알오테크 방음 프레임
KR20210064612A (ko) * 2019-11-26 2021-06-03 김광일 방음판 탈락 방지 구조를 갖는 방음터널
KR102259677B1 (ko) 2021-01-21 2021-06-04 현빈개발 주식회사 상부 프레임 탈착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 및 이의 시공과 유지보수 방법
KR102422296B1 (ko) * 2021-12-13 2022-07-18 주식회사 에코프랜 유지보수성을 향상한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2517406B1 (ko) 2022-05-24 2023-04-03 (주)창경씨엠씨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2654896B1 (ko) 2023-05-19 2024-04-04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하중전이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의 시공과 보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312A (ja) * 1994-12-20 1996-07-02 Sekisui Jushi Co Ltd 透光性防音板
KR200283331Y1 (ko) 2002-04-19 2002-07-26 문태현 분리형 방음판의 고정 프레임 결합구조
KR200347833Y1 (ko) * 2004-01-05 2004-04-17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클립형 투명 방음판넬
KR200347858Y1 (ko) * 2004-01-09 2004-04-2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밀폐공기층의 광고면을 갖는 투명 방음판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312A (ja) * 1994-12-20 1996-07-02 Sekisui Jushi Co Ltd 透光性防音板
KR200283331Y1 (ko) 2002-04-19 2002-07-26 문태현 분리형 방음판의 고정 프레임 결합구조
KR200347833Y1 (ko) * 2004-01-05 2004-04-17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클립형 투명 방음판넬
KR200347858Y1 (ko) * 2004-01-09 2004-04-2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밀폐공기층의 광고면을 갖는 투명 방음판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41B1 (ko) 2016-09-07 2017-11-27 김재욱 유지보수용 방음패널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95979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우리알텍 투명방음판
KR102087866B1 (ko) * 2018-02-08 2020-03-11 주식회사 유티엘 투명방음판
KR101998841B1 (ko) * 2018-12-06 2019-07-10 강보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2123530B1 (ko) 2019-10-24 2020-06-17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흡음형 투명방음판 어셈블리
KR20210064612A (ko) * 2019-11-26 2021-06-03 김광일 방음판 탈락 방지 구조를 갖는 방음터널
KR102265084B1 (ko) * 2019-11-26 2021-06-15 주식회사 태산 방음판 탈락 방지 구조를 갖는 방음터널
KR102229298B1 (ko) * 2020-03-19 2021-03-17 황점미 유지관리가 용이한 방음벽
KR102257557B1 (ko) 2020-06-10 2021-05-31 주식회사 유알오테크 방음 프레임
KR102207776B1 (ko) * 2020-07-09 2021-01-2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 일체형 경량 원형지주가 구비된 방음시설
KR102259677B1 (ko) 2021-01-21 2021-06-04 현빈개발 주식회사 상부 프레임 탈착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 및 이의 시공과 유지보수 방법
KR102265837B1 (ko) 2021-01-21 2021-06-16 현빈개발 주식회사 상부 프레임 탈착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음과 흡음 복합형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과 유지보수 방법
KR102422296B1 (ko) * 2021-12-13 2022-07-18 주식회사 에코프랜 유지보수성을 향상한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2517406B1 (ko) 2022-05-24 2023-04-03 (주)창경씨엠씨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2654896B1 (ko) 2023-05-19 2024-04-04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하중전이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의 시공과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033B1 (ko)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KR101498198B1 (ko) 조립형 탈부착식 방음벽
KR101475028B1 (ko) 패널 후방교체형 방음벽
KR101609382B1 (ko) 디자인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방음벽 리모델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533932B1 (ko) 투명 방음판
KR100861265B1 (ko) 방음벽
KR102044345B1 (ko) 하중분산형 방음벽 및 이의 방음패널 교체방법
KR102279079B1 (ko) 부분 탈부착이 가능한 유지관리형 투명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64498B1 (ko) 방음판 탈부착이 용이한 방음벽
KR102454057B1 (ko) 파손 투명패널과 프레임의 부분 교체가 용이한 유지보수형 방음벽
KR20170123792A (ko) 방음판
KR20140100820A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098518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KR20160123004A (ko) 방음판 탈부착형 방음벽
KR0127746Y1 (ko) 방음벽용 투명방음판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JP6605811B2 (ja) 遮音壁
JP2009084996A (ja) 防音パネル装置
KR101143413B1 (ko) 방음패널의 볼트고정체를 구비한 방음벽
KR20190048277A (ko) 방음벽
KR101544787B1 (ko) 후방교체형 방음패널 조립체
KR100903206B1 (ko) 전면부가 노출되지 않는 투명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JP2007031935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KR20180109435A (ko) 이음 바가 형성된 커튼 월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