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183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183B1
KR100985183B1 KR1020100033880A KR20100033880A KR100985183B1 KR 100985183 B1 KR100985183 B1 KR 100985183B1 KR 1020100033880 A KR1020100033880 A KR 1020100033880A KR 20100033880 A KR20100033880 A KR 20100033880A KR 100985183 B1 KR100985183 B1 KR 10098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 absorbing
sound
soundproof
soundproof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삼정스틸
(주)성우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고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정스틸, (주)성우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고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정스틸
Priority to KR102010003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42Tray typ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패널을 H빔 형태의 지주에 설치할 때 지주의 전방에서 적층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방음패널을 구성하는 흡음판을 전방에서 슬라이딩 조립을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간단히 함과 동시에 흡음판의 파손시 부분 교체작업을 전방에서 가능하게 하며, 방음패널의 전방에 설치되는 흡음판에 형성된 흡음공을 이용하여 장식판을 부착할 수 있게 하고, 이와 함께 방음패널의 후방에 설치되는 차음판에 화분 등을 설치할 수 있는 단면을 제공하여 방음패널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방음벽용 방음패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Soundproofing panel of soundproofing wall with easy maintenance}
본 발명은 소음 차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음벽용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또는 철도 등의 주변에서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와 인접된 건물 등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상기 방음벽은 구성하는 방음패널은 내부에 판 형태의 흡음재가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전면에 흡음판과 후면에 차음판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측면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음벽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우선 시공장소인 소음발생원의 도로 주변을 따라 구축된 기초콘크리트를 통해 H빔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한다. 그런 다음 미리 규격화되어 제작된 방음패널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양측을 H빔의 레일홈에 맞추어 끼우면서 차례로 방음패널을 적층한다.
상기 방음벽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방음벽의 내부에 형성된 흡음재가 부식되거나 분진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흡음재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외부 환경요인과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방음벽의 내부에서 밑으로 처져 흡음성이 떨어지고, 그 사용수명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흡음재를 교체해야된다.
상기와 같은 흡음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H빔에 삽입된 방음패널을 전부 분리시킨 다음 흡음판, 차음판 및 측면프레임을 분리시켜 흡음재를 교체하기 때문에 보수작업에 따른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차량의 방음벽 충돌 사고시에 방음패널의 부분적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파손된 방음패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파손되지 않은 방음패널을 함께 분리시킨 다음 부분적 교체 작업이 이루어져 유지보수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특히 흡음판의 파손시에 부분 교체가 어려워 방음패널 전체를 분리시켜 유지보수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방음패널을 H빔 형태의 지주에 설치할 때 지주의 전방에서 적층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방음패널을 구성하는 흡음판을 전방에서 슬라이딩 조립을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간단히 함과 동시에 흡음판의 파손시 부분 교체작업을 전방에서 가능하게 하여 유지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방음벽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패널의 전방에 설치되는 흡음판에 형성된 흡음공을 이용하여 장식판을 부착할 수 있게 하고, 이와 함께 방음패널의 후방에 설치되는 차음판에 화분 등을 설치할 수 있는 단면을 제공하여 방음패널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방음벽용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차음판과, 상기 차음판의 전방에 설치되고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흡음판과, 상기 차음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차음판과 흡음판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재로 구성된 방음벽용 방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상부판과 하부판 및 중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일정한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하여 방음패널을 적층할 수 있는 철부와 요부가 형성된 상부면과 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의 일측으로 굽힘 연장되어 형성된 전면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흡음판을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넣고 슬라이딩 조립하는 상부슬라이딩레일과 하부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의 타측으로 굽힘 연장되어 형성된 후면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방음패널을 H빔지주의 플랜지부에 클램프를 매개로 고정하는 클램프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의 단부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조립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후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와 하부에 설치단턱이 형성되고 이 설치단턱으로부터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립채널에 조립되는 보강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과 보강채널을 통해 중간판이 상부판과 하부판의 후면에 리벳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흡음판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섹션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에 형성된 상부슬라이딩레일과 하부슬라이딩레일을 통해 슬라이딩 조립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은 양측과 상하부에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차음판 양단과 리벳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볼트와 너트 및 상기 볼트에 설치되어 클램프채널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함께 볼트에 설치되어 H빔지주의 플랜지부에 위치되어 너트를 조임에 따라 고정되는 조임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편은 일측 받침부에 굽힘 절곡되고 클램프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의 조임시 조임편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음판은 좌측흡음판과 우측흡음판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중간흡음판으로 구성되어 이들 흡음판의 양단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좌굴하중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음판에 형성된 흡음공을 통해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장식판을 볼트와 너트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판 형성된 클램프채널은 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는 입구단부와, 이 입구단부로부터 상하로 절곡 연장된 슬라이딩채널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판에 형성된 클램프채널에는 착탈 가능한 화분받침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음벽용 방음패널은 H빔지주의 전방에서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음판을 차음판에 설치할 때 별도의 고정부품 없이 전방에서 끼워넣고 슬라이딩으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의 간편성과 함께 이를 차음판에서 탈거할 때도 전방에서 탈거가 가능하여 내부의 흡음재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와 함께 흡음판의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음판에 장식판을 부착과 함께 필요에 따라 차음판의 클램프채널에 화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음패널의 전면과 후면의 장식 및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음패널의 분리사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음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음패널의 측면 구조를 예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음패널을 H빔지주에 설치하는 예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을 H빔지주에 적층하여 설치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을 H빔지주에 적층하여 설치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의 흡음판에 장식판을 설치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음패널의 차음판에 화분받침판을 설치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을 H빔지주에 설치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벽용 방음패널(10)은 크게 차음판(20)과 흡음판(60) 및 측면프레임(80)과 내부에 공지의 흡음재(100)로 구성되며, 조립된 방음패널(10)을 H빔지주(200)에 설치하는 클램프(90)로 구성된다.
상기 차음판(20)은 도 3과 같이 상부판(30)과 하부판(40) 및 중간판(50)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30)과 하부판(40)은 일정한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하여 방음패널(10)을 적층할 수 있는 철부(31)와 요부(41)가 형성된 상부면(32)과 하부면(4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32)과 하부면(42)의 일측으로 굽힘 연장되어 형성된 전면(33)(43)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흡음판(60)을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넣고 슬라이딩 조립하는 상부슬라이딩레일(34)과 하부슬라이딩레일(4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32)과 하부면(42)의 타측으로 굽힘 연장되어 형성된 후면(35)(45)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방음패널(10)을 H빔지주(200)의 플랜지부(201)에 클램프(90)를 매개로 고정하는 클램프채널(36)(46)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35)(45)의 단부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조립채널(37)(47)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50)은 상기 상부판(30)과 하부판(40)의 후면(35)(45)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와 하부에 설치단턱(51)이 형성되고 이 설치단턱(51)으로부터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립채널(37)(47)에 조립되는 보강채널(52)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채널(52)을 통해 중간판(50)이 상부판(30)과 하부판(40)의 후면(35)(45)에 리벳(53)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흡음판(60)은 도 1과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섹션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30)과 하부판(40)에 형성된 상부슬라이딩레일(34)과 하부슬라이딩레일(44)을 통해 슬라이딩 조립된다.
상기 측면프레임(80)은 도 4와 같이 양측과 상하부에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81)(83)를 통해 상기 차음판(20) 양단과 리벳(82)으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채널(36)(46)은 도 3과 같이 후면(35)(45)에서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는 입구단부(36a)(46a)와, 이 입구단부(36a)(46a)로부터 상하로 절곡 연장된 슬라이딩채널부(36b)(46b)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90)는 도 5와 같이 볼트(91)와 너트(92) 및 상기 볼트(91)에 설치되어 클램프채널(36)(46)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판(93)과, 상기 지지판(93)과 함께 볼트(91)에 설치되어 H빔지주(200)의 플랜지부(201)에 위치되어 너트(92)를 조임에 따라 고정되는 조임편(94)과, 상기 조임편(94)의 일측 받침부(94a)에 굽힘 절곡되고 클램프채널(36)(46)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92)의 조임시 조임편(94)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94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음벽용 방음패널(10)의 조립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판(30)과 하부판(40) 및 중간판(50)을 리벳(53)으로 연결하여 차음판(20)을 조립한다. 즉, 중간판(5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보강채널(52)에 상부판(30)과 하부판(40)에 형성된 조립채널(37)(47)을 조립한 상태에서 후면(35)(45)과 보강채널(52)을 통해 리벳(53)으로 고정함으로써 중간판(50)에 상부판(30)과 하부판(40)이 설치되어 차음판(20)이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차음판(20)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차음판(20)의 양단에 측면프레임(80)을 각각 위치시켜 측면프레임(80)에 형성된 플랜지부(81)를 통해 리벳(82)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차음판(20)과 측면프레임(80)이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로 흡음재(100)를 설치한다.
다음에 도 6과 같이 흡음판(60)을 차음판(20)에 형성된 상부슬라이딩레일(34)과 하부슬라이딩레일(44)을 통해 조립한다.
즉, 상기 흡음판(60)은 3개 이상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도 1 및 도 6과 같이 먼저 좌측흡음판(60a)의 상부를 상부슬라이딩레일(34)에 먼저 삽입한 후 수직된 자세로 하여 좌측흡음판(60a)의 하부를 하부슬라이딩레일(44)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좌측흡음판(60a)을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일측의 측면프레임(80)의 플랜지부(81) 안쪽까지 밀어 넣는다. 마찬가지로 우측흡음판(60b)도 상부슬라이딩레일(34)과 하부슬라이딩레일(44)에 위치시켜 타측의 측면프레임(80)의 플랜지부(81) 안쪽까지 밀어 넣는다. 다음 도면상에 2장의 섹션으로 된 중간흡음판(60c)은 각각 상부를 상부슬라이딩레일(34)에 먼저 삽입한 후 수직된 자세로 하여 중간흡음판(60c)의 하부를 하부슬라이딩레일(44)에 삽입시켜 조립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서 1실시 예로 예시된 방음패널(10)은 높이가 500mm이고, 길이가 2000mm를 예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음판(60)은 개당 길이가 500mm 정도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음판(60)을 적어도 3개 이상의 섹션으로 한 것은, 좌,우측 흡음판(60a)(60b)을 측면프레임(8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밀어 넣어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중간흡음판(60c)을 끼워넣어 설치하려는 것이다. 또한 섹션으로 흡음판(60)을 구성함으로써 무게를 덜하게 되어 혼자서도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흡음판(60)은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고정부품 없이 차음판(20)의 전방에서 슬라이딩 조립과 함께 착탈 가능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흡음판(60)의 보수유지가 쉽고, 흡음판(60)을 통해 흡음재(100)의 보수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방음패널(10)을 H빔지주(200)에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먼저, 방음패널(10)의 차음판(20) 상하에 형성된 클램프채널(36)(46)에 각각 2개씩 4개의 클램프(90)를 위치시킨다. 즉, 클램프(90)의 지지판(93)을 클램프채널(36)(46)의 슬라이딩채널부(36b)(46b)에서 슬라이딩으로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방음패널(10)을 일정 간격으로 입설된 H빔지주(200) 사이의 전방에 위치시킨 다음 차음판(20)의 배면 양단을 H빔지주(200)의 플랜지부(201)의 표면(201a)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클램프(90)의 조임편(94) 끝단을 상기 플랜지부(201)의 배면(201b)에 위치시켜 너트(92)를 조인다. 이때 너트(92)를 조일때 받침부(94a)에 형성된 회전방지편(94b)이 입구단부(36a)(46a)에 위치되어 조임편(94)이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90)를 이용하여 클램프채널(36)(46)의 4곳에서 조임에 따라 방음패널(10)이 H빔지주(200)의 플랜지부(201) 표면(201a)에 위치된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을 통해 다음의 방음패널(10)을 적층하여 클램프(90)를 이용하여 H빔지주(200)의 플랜지부(201)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방음패널(10)은 철부(31)와 요부(41)에 의해 안착되어 수직상태의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H빔지주(200)의 플랜지부(201) 표면(201a)을 따라 방음패널(10)이 클램프(90)를 통해 적층 설치하고 연속해서 설치함으로써 방음벽이 구축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흡음판(60)은 좌측흡음판(60a)과 우측흡음판(60b)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중간흡음판(60c)으로 구성되어 이들 흡음판(60)의 양단에 도 2와 같이 절곡부(61)를 형성하여 좌굴하중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흡음판(60)의 절곡부(61)에 의해 좌굴강성이 확보되어 흡음판(60)의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더 나아가 흡음판(6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고 상기 절곡부(61)에 의해 좌굴강성이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과 같이 상기 흡음판(60)에 형성된 흡음공(62)을 통해 다수의 흡음공(71)이 형성된 장식판(70)을 볼트(72)와 너트로 설치하여 방음패널(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장식판(70)에는 흡음공(71)이 흡음판(60)에 형성된 흡음공(62)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음판(20)의 흡음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흡음판(20)의 표면에 설치된 장식판(70)은 글자 또는 도형, 로고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차음판(20)에 형성된 클램프채널(36)(46)에는 클램프(90)가 설치된 나머지 공간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한 화분받침판(75)을 설치하여 이 화분받침판(75)에 화분(76)을 올려놓아 방음패널(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화분받침판(75)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곡걸림부(75a)를 클램프채널(36)(46)의 입구단부(36a)(46a)를 통해 슬라이딩채널부(36b)(46b)에 위치시킴으로써 화분받침부(75)가 클램프채널(36)(4`6)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방음패널
20 : 차음판
60 : 흡음판
80 : 측면프레임
90 : 클램프
100 : 흡음재
200 : H빔지주

Claims (7)

  1. 차음판과, 상기 차음판의 전방에 설치되고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흡음판과, 상기 차음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차음판과 흡음판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재로 구성된 방음벽용 방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상부판과 하부판 및 중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일정한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하여 방음패널을 적층할 수 있는 철부와 요부가 형성된 상부면과 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의 일측으로 굽힘 연장되어 형성된 전면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흡음판을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넣고 슬라이딩 조립하는 상부슬라이딩레일과 하부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의 타측으로 굽힘 연장되어 형성된 후면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방음패널을 H빔지주의 플랜지부에 클램프를 매개로 고정하는 클램프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의 단부에는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조립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후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와 하부에 설치단턱이 형성되고 이 설치단턱으로부터 안쪽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립채널에 조립되는 보강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과 보강채널을 통해 중간판이 상부판과 하부판의 후면에 리벳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흡음판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섹션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에 형성된 상부슬라이딩레일과 하부슬라이딩레일을 통해 슬라이딩 조립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은 양측에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차음판 양단과 리벳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볼트와 너트 및 상기 볼트에 설치되어 클램프채널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함께 볼트에 설치되어 H빔지주의 플랜지부에 위치되어 너트를 조임에 따라 고정되는 조임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임편은 일측 받침부에 굽힘 절곡되고 클램프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의 조임시 조임편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은 좌측흡음판과 우측흡음판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중간흡음판으로 구성되어 이들 흡음판의 양단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좌굴하중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에 형성된 흡음공을 통해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장식판을 볼트와 너트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 형성된 클램프채널은 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는 입구단부와, 이 입구단부로부터 상하로 절곡 연장된 슬라이딩채널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에 형성된 클램프채널에는 착탈 가능한 화분받침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20100033880A 2010-04-13 2010-04-13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098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80A KR100985183B1 (ko) 2010-04-13 2010-04-13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80A KR100985183B1 (ko) 2010-04-13 2010-04-13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183B1 true KR100985183B1 (ko) 2010-10-05

Family

ID=4313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880A KR100985183B1 (ko) 2010-04-13 2010-04-13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1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980B1 (ko) * 2011-03-11 2011-11-10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지주 전면 부착형 수평 지지바를 이용한 투명 방음벽
KR101464460B1 (ko) 2014-06-19 2014-11-21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방음벽 하중전이방지장치 및 이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패널 교체방법
KR101614717B1 (ko) * 2015-12-04 2016-04-29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하중전이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흡음, 투명형 방음벽
KR101859545B1 (ko) * 2017-09-18 2018-05-18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KR20190032163A (ko) * 2018-02-23 2019-03-27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CN109706857A (zh) * 2019-01-28 2019-05-03 正升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无骨架吸隔声屏体、屏障体无骨架的声屏障及其安装方法
KR101993702B1 (ko) * 2018-05-23 2019-06-28 (주) 세명폴리텍 전면 유지 보수가 가능한 방음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교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228A (ko) * 2001-12-05 200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46228Y1 (ko) 2003-12-26 2004-03-30 이완섭 가설 방음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228A (ko) * 2001-12-05 200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46228Y1 (ko) 2003-12-26 2004-03-30 이완섭 가설 방음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980B1 (ko) * 2011-03-11 2011-11-10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지주 전면 부착형 수평 지지바를 이용한 투명 방음벽
KR101464460B1 (ko) 2014-06-19 2014-11-21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방음벽 하중전이방지장치 및 이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패널 교체방법
KR101614717B1 (ko) * 2015-12-04 2016-04-29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하중전이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흡음, 투명형 방음벽
KR101859545B1 (ko) * 2017-09-18 2018-05-18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KR20190032163A (ko) * 2018-02-23 2019-03-27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KR101979701B1 (ko) * 2018-02-23 2019-05-17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KR101993702B1 (ko) * 2018-05-23 2019-06-28 (주) 세명폴리텍 전면 유지 보수가 가능한 방음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교체방법
CN109706857A (zh) * 2019-01-28 2019-05-03 正升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无骨架吸隔声屏体、屏障体无骨架的声屏障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18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1464460B1 (ko) 방음벽 하중전이방지장치 및 이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패널 교체방법
KR101512033B1 (ko) 방음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EP2492408A1 (en) Joint structure for building frame
KR100861265B1 (ko) 방음벽
KR100759863B1 (ko) 유지 보수형 방음벽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475028B1 (ko) 패널 후방교체형 방음벽
KR101446664B1 (ko) 전체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형 방음패널
KR101364498B1 (ko) 방음판 탈부착이 용이한 방음벽
KR20220014660A (ko) 파손 투명패널과 프레임의 부분 교체가 용이한 유지보수형 방음패널과 방음지주
KR100938573B1 (ko) 가설 교량용 상판 결합 구조
KR100511681B1 (ko)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물
JP4909871B2 (ja) 防音パネルの取付金具及び防音構造
KR20020005348A (ko)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23004A (ko) 방음판 탈부착형 방음벽
KR101143413B1 (ko) 방음패널의 볼트고정체를 구비한 방음벽
KR20130088463A (ko) 현장조립형 방음패널 조립체
CN211522825U (zh) 一种组合式钢便桥
JP612444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200298082Y1 (ko)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
KR20220014659A (ko) 하중전이방지 및 파손패널의 교체가 용이한 방음패널과 방음지주
JP2007031935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KR20190048277A (ko) 방음벽
KR10215254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및 유지보수방법
KR10208455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