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966B1 -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966B1
KR101511966B1 KR20080085277A KR20080085277A KR101511966B1 KR 101511966 B1 KR101511966 B1 KR 101511966B1 KR 20080085277 A KR20080085277 A KR 20080085277A KR 20080085277 A KR20080085277 A KR 20080085277A KR 101511966 B1 KR101511966 B1 KR 101511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dryer
filter
dryer tank
tank
l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312A (ko
Inventor
장준일
최준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8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9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1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from heat-exchange fluids,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0/00Closure means, e.g. end caps on header boxes or plugs 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출로 형성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을 형성한 후 절삭하여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단 내주면에 삽입홈을 형성한 후 스냅링을 삽입하여 필터와 하부캡이 고정 지지되도록 한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은, 원통형으로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응축기의 헤더탱크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캡; 이 상호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형성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형성단계(S1); b)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내주면의 레일 중 일부를 절삭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턱 형성단계; c)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하단 내주면에 환형의 삽입홈이 함입 형성되는 삽입홈 형성단계; d)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내부로 필터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의해 필터의 상단이 고정 지지되는 필터 삽입단계(S4); 및 e)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내부로 필터의 하단과 접하여 필터를 고정 지지하도록 하부캡이 삽입된 후 상기 삽입홈에 스냅링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캡이 고정지지되는 하부캡 고정단계(S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압출로 형성한 후 내주면을 절삭가공하여 걸림턱 및 삽입홈을 형성하므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절삭량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캡이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하부캡의 브레이징 접합과정 중에 열전달로 인하여 수지제의 실링부재 또는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리시버드라이어, 필터, 삽입홈, 스냅링, 레일, 걸림턱

Description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Receiverdrier}
본 발명은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출로 형성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을 형성한 후 절삭하여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단 내주면에 삽입홈을 형성한 후 스냅링을 삽입하여 필터와 하부캡이 고정 지지되도록 한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냉방시스템은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냉매를 압축기(Compressor)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한 다음 응축기(Condenser)로 보내고, 응축기는 상기 기체상태의 냉매를 액체상태로 상변화시켜 팽창밸브(Expansion valve)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팽창밸브는 상기 냉매를 저온/저압상태로 팽창시켜 증발기(Evaporator)로 보내고, 증발기는 상기 저온/저압의 냉매가 차량의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토록 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방시킨다.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순환하는 냉매가 외기열을 흡열하기 위해서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될 때 액체상태로 되어야 하나, 일부가 기체상태로 남아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다음에 액상과 기상이 공존하게 된다.
따라서 액상과 기상이 공존하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때 기 체상태의 냉매는 실내공기의 열을 거의 흡열하지 못하므로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리시버 드라이어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기 응축기에서 미쳐 액상화되지 않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분리/제거하거나 순환하는 냉매 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여 냉방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시버드라이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축기(100)의 일측 헤더탱크(102)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구조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4)의 내부에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를 제거하는 흡습제(108)가 내재되고 상기 흡습제(108)를 통과한 작동유체 중에 혼합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116)가 형성된 하부캡(110)을 이용하여 상기 탱크(104)의 하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하부캡(11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114)이 형성되는 몸체부(112)와 작동유체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116)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4)의 개방된 하부에 몸체부(112)의 나사산(114)을 통해 하부캡(110)이 나사결합되고, 몸체부(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118)에 결합되는 실링부재(120)가 몸체부(112)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4)의 내주면에 압착되며 접합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116)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4)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부(104)의 상부플랜지(119)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4) 내부의 걸림턱(106)에 접하며 고정되는 구조로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4)에 걸림턱(106)을 형성하기 위하여 압출로 형성된 파이프를 범핑(bumping)공정을 통하여 내부에 걸림턱(106)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범핑공정은 압출로 형성된 파이프를 금형에 삽입한 후 파이프의 양단에서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의 길이는 짧아지고 파이프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는 공정으로 범핑공정을 위한 추가적인 생산설비로 인하여 생산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범핑 공정 후에 파이프의 하단 내주면에 절삭가공을 통해 나사산을 형성해야 하므로 소재의 낭비가 심해지고, 생산시간이 증가하는 등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하여 임의의 높이까지 절삭하여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단에 함입 형성된 삽입홈에 스냅링을 삽입하여 필터 상단과 하부캡 하단이 고정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부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은, 원통형으로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응축기의 헤더탱크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캡; 이 상호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형성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형성단계(S1); b)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내주면의 레일 중 일부를 절삭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턱 형성단계; c)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하단 내주면에 환형의 삽입홈이 함입 형성되는 삽입홈 형성단계; d)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내부로 필터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의해 필터의 상단이 고정 지지되는 필터 삽입단계(S4); 및 e)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내부로 필터의 하단과 접하여 필터를 고정 지지하도록 하부캡이 삽입된 후 상기 삽입홈에 스냅링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캡 이 고정지지되는 하부캡 고정단계(S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는 내주면에 형성된 레일이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상기 필터의 상단이 접하는 높이까지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일측에 응축기의 헤더탱크와 결합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연통홀 형성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 단계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내부에 흡습재가 삽입된 후 상단이 상부캡에 의해 폐쇄되는 흡습재 삽입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는 내주면에 레일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냅링은 중앙부가 천공되고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개방측 양단에 공구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압출로 형성한 후 내주면을 절삭가공하여 걸림턱 및 삽입홈을 형성하므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절삭량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캡이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하부캡의 브레이징 접합과정 중에 열전달로 인하여 수지제의 실링부재 또는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가 결합된 응축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 결합구조는 도 4 내지 8과 같이, 원통형으로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응축기(10)의 헤더탱크(12)와 연통되는 연통홀(28)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30); 및 상기 필터(30)를 지지하며,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캡(40); 이 상호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22)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를 형성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형성단계(S1); b)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주면의 레일(22) 중 일부를 절삭하여 걸림턱(24)이 형성되는 걸림턱 형성단계(S2); c)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단 내주면에 환형의 삽입홈(26)이 함입 형성되는 삽입홈 형성단계(S3); d)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로 필터(30)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24)에 의해 필터(30)의 상단이 고정 지지되는 필터 삽입단계(S4); 및 e)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 크(20) 내부로 필터(30)의 하단과 접하여 필터(30)를 고정 지지하도록 하부캡(40)이 삽입된 후 상기 삽입홈(40)에 스냅링(50)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캡(40)이 고정지지되는 하부캡 고정단계(S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는 도 5(a)와 같이, 일정길이로 압출형성된 금속 파이프로서 내주면에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22)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된다. 도 5(b)와 같이, 상기 레일(22) 중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30)의 상단이 접하는 높이까지의 레일(22)이 절삭가공에 의하여 삭제되어 걸림턱(24)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24)에 의해 필터(30)의 상부플랜지(32)가 고정지지된다. 상기에서 도 5(c)와 같이,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레일(22)중 상기 필터(30)의 상부플랜지(32)가 접하는 높이의 레일(22)을 제외한 나머지를 절삭하여 걸림턱(24)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 도 5(b)와 같이 상기 필터(30)의 상단이 접하는 높이까지의 레일(22)만 절삭되어 걸림턱(24)이 형성되는 일례를 가지고 설명한다. 상기에서 레일(22)은 두 개 이상 형성되면 필터(30)의 고정이 가능해지나 보다 확실한 필터의 고정을 위하여 세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외측면에는 응축기(10)의 일측 헤더탱크(12)와 연통되는 연통홀(28)이 형성되어 응축기로부터의 냉매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상기 걸림턱(24)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주면 중 하부캡(40)의 하단이 접하는 위치에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삽입홈(26)이 함입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6)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주면에 환 형으로 함입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6)에 삽입되는 스냅링(snap-ring, 5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냅링(50)의 외측단면과 부합되는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24)과 삽입홈(26) 사이의 거리는 필터(30)의 하단과 하부캡(40)이 상단이 상호 접하도록 조립된 조립체의 필터 상단과 하부캡 하단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24)과 스냅링(50)에 의해 필터와 하부캡 조립체가 유동 없이 완전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30)와 하부캡(40)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7과 같이 각각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30)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구성으로 상부플랜지(32)와 중앙부의 거름망(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플랜지(32)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의 걸림턱(24)과 접하는 구성으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에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캡(40)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단에 끼움되어 필터(30)의 하단을 고정지지하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단을 밀폐시켜 냉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하부캡(40)의 외주연에는 수지제의 실링부재(42)가 삽입되어 하부캡(40)과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와의 접촉면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삽입홈(26)에는 스냅링(50)이 끼움된다. 상기 스냅링(50)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구성으로서, 중앙부가 천공된 환형의 고리형상으로 일부가 절단되어 일측이 개방되며, 그 양 끝단에 공구가 끼움되는 공구삽입홀(52)이 형성된다. 상기 스냅링(50)의 외경은 상기 삽입홈(26)의 내경보가 크게 형성되며, 상기 스냅링(50)의 공구삽입홀(52)에 공구가 끼움되어 공구삽입홀(52)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서 스냅링(50)의 외경이 작아져 리시버드라이어(20) 탱크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조립에 대해 도 7 내지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레일(22)이 돌출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2)가 압출 형성된다(S1). 상기에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2)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나 생산성이 가장 높은 압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2) 내주면의 레일(22) 중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필터(30)의 상부플랜지(32)가 접하는 높이까지를 절삭하여 걸림턱(24)을 형성한다(S2).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내주면 중 상기 걸림턱(24)의 하측으로 스냅링(50)이 삽입되는 삽입홈(26)이 함입 형성된다(S3). 이때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외주면에 응축기(10)의 헤더탱크(12)와 연통되는 연통홀(28)을 형성한다(S3-1). 상기와 같이 절삭가공으로 연통홀(18), 걸림턱(24) 및 삽입홈(26)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에 필터(30)와 하부캡(40)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우선 필터(30)의 상부플랜지(32)가 상기 걸림턱(24)와 접하도록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다(S4). 그 다음으로 하부 캡(40)의 상단이 필터(30)의 하단과 접하도록 하부캡(40)을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부를 통해 삽입한다. 하부캡(40)이 상기 필터(30)와 접하며 유동하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스냅링(50)의 공구삽입홀(52)에 공구를 삽입하여 공구삽입홀(5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켜 전체적인 스냅링(50)의 외경을 감소시킨 후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로 삽입하여 삽입홈(26)과 평행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공구를 제거하면 스냅링(50) 자체의 탄성으로 스냅링(50)이 원래의 외경으로 돌아가며 삽입홈(26)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된다(S5). 상기와 같은 필터(30)와 하부캡(40)의 삽입 과정 중에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로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습재(16)가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고,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상단이 상부캡(18)에 의해 밀폐된다(S5-1). 상기 상부캡(18)은 흡습재(16)의 상단과 접하며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므로 브레이징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완성된 리시버드라이어(14)는 응축기(10) 일측의 헤더탱크(12)와 연통홀(28)을 통해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압출로 형성한 후 내주면을 절삭가공하여 걸림턱 및 삽입홈을 형성하므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절삭량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캡이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하부캡의 브레이징 접합과정 중에 열전달로 인하여 수지제의 실링부재 또는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가 형성된 응축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필터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부 결합구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가 결합된 응축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응축기 12: 헤더탱크
14: 리시버드라이어 16: 흡습재
18: 상부캡
20: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22: 레일
24: 걸림턱 26: 삽입홈
28: 연통홀
30: 필터 32: 상부플랜지
34: 거름망
40: 하부캡 42: 실링부재
50: 스냅링 52: 공구삽입홀

Claims (6)

  1. 원통형으로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응축기(10)의 헤더탱크(12)와 연통되는 연통홀(28)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30); 및
    상기 필터(30)를 지지하며,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캡(40); 이 상호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22)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를 형성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형성단계(S1);
    b)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주면의 레일(22) 중 일부를 절삭하여 걸림턱(24)이 형성되는 걸림턱 형성단계(S2);
    c)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단 내주면에 환형의 삽입홈(26)이 함입 형성되는 삽입홈 형성단계(S3);
    d)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로 필터(30)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24)에 의해 필터(30)의 상단이 고정 지지되는 필터 삽입단계(S4); 및
    e)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로 필터(30)의 하단과 접하여 필터(30)를 고정 지지하도록 하부캡(40)이 삽입된 후 상기 삽입홈(26)에 스냅링(50)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캡(40)이 고정지지되는 하부캡 고정단계(S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는 내주면에 형성된 레일(22)이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상기 필터(30)의 상단이 접하는 높이까지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의 일측에 응축기(10)의 헤더탱크(12)와 결합되는 연통홀(28)이 형성되는 연통홀 형성단계(S2-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 내부에 흡습재(16)가 삽입된 후 상단이 상부캡(18)에 의해 폐쇄되는 흡습재 삽입단계(S5-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20)는 내주면에 레일(22)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50)은 중앙부가 천공되고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개방측 양단에 공구삽입홀(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KR20080085277A 2008-08-29 2008-08-29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KR101511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5277A KR101511966B1 (ko) 2008-08-29 2008-08-29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5277A KR101511966B1 (ko) 2008-08-29 2008-08-29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312A KR20100026312A (ko) 2010-03-10
KR101511966B1 true KR101511966B1 (ko) 2015-04-14

Family

ID=4217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5277A KR101511966B1 (ko) 2008-08-29 2008-08-29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9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701A (ja) * 2000-12-21 2002-07-10 Nikkei Nekko Kk 受液器
KR200394121Y1 (ko) * 2005-06-11 2005-08-30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701A (ja) * 2000-12-21 2002-07-10 Nikkei Nekko Kk 受液器
KR200394121Y1 (ko) * 2005-06-11 2005-08-30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312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806B1 (ko) 이중관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JP2001033121A (ja) 受液器一体型熱交換器、および受液器
CN101672556A (zh) 一种带荧光剂的储液干燥装置
KR101336488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KR101111617B1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101511966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KR101513930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 결합구조 및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JP3959702B2 (ja) 受液器
KR200394121Y1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KR101513724B1 (ko) 리시버 드라이어 캡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KR200432144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KR100692996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의 수액기
KR20080100924A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리시버탱크 제조방법
KR100667692B1 (ko) 냉동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그 제조방법
KR100951035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KR102457834B1 (ko) 리시버 드라이어용 확장 조립형 캡
KR101771152B1 (ko) 응축기
KR101513966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하부캡 결합구조
KR101396471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부 결합구조
KR200369548Y1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KR100450122B1 (ko) 에어콘용 서브쿨 콘덴서
KR200445971Y1 (ko) 차량용 냉매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캡
KR102379146B1 (ko) 냉동사이클 파이프의 벌징구조
KR100532055B1 (ko) 수액기 일체형 열교환기
KR100524879B1 (ko) 응축기 시스템 및 그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