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488B1 -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 Google Patents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488B1
KR101336488B1 KR1020080006202A KR20080006202A KR101336488B1 KR 101336488 B1 KR101336488 B1 KR 101336488B1 KR 1020080006202 A KR1020080006202 A KR 1020080006202A KR 20080006202 A KR20080006202 A KR 20080006202A KR 101336488 B1 KR101336488 B1 KR 10133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eceiver dryer
insertion groove
filter
seal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313A (ko
Inventor
민은기
김병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4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단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작동유체의 불순물이 여과되도록 외측에 필터망이 형성된 필터부;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며,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필터부 및 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오링; 및 중앙부와, 중앙부 양쪽에 단차가 각각 형성되어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와,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삽입단이 형성된 오링설치수단을 구비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이 제공된다.
개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에 의하면, 한 쌍의 오링이 설치될 수 있어서 냉매 누출에 보다 안전하며, 밀폐용 캡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와 결합될 때 오링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리시버드라이어, 필터, 오링

Description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Cap with filter for closing receiver/drier}
본 발명은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시버드라이어에 내재된 건조제를 통과한 작동유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하부를 밀폐하기 위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외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냉매와 같은 작동유체를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한 다음 응축기로 보내고, 응축기는 상기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를 액체상태로 상변화시켜 흡열량을 높인 후 팽창밸브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팽창밸브는 이 작동유체를 저온/저압상태로 팽창시켜 증발기로 보내고, 증발기는 상기 저온/저압의 작동유체가 외기와 열교환(외기열을 흡열)을 수행토록 하여 소정 공간을 냉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순환하는 작동유체가 외기열을 흡열하기 위해서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될 때 액체상태로 되어야 하나, 일부가 기체상태로 남아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다음에 액상과 기상이 공존하게 된다.
따라서, 액상과 기상이 공존하는 작동유체가 증발기에서 열교환을 수행할 때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는 외기의 열을 거의 흡열하지 못하므로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리시버드라이어를 설치하게 되는데, 리시버드라이어(receiver/drier)는 응축기에서 미처 액상화되지 않은 기체상태의 작동유체를 분리/제거하거나 순환하는 작동유체 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여 냉방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리시버드라이어(10)는 도 1과 같이 응축기(1)의 일측 헤더탱크(2)에 부착된다.
리시버드라이어(10)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탱크(4) 내부에 기체상태의 작동유체 및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건조제(5)가 내재되고, 건조제(5)를 통과한 작동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탱크(4)의 하부에 밀폐용 캡(10)을 조립/고정하여 탱크(4)의 하부를 밀폐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을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금형분리 개념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밀폐용 캡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용 캡(10)은 몸체부(12)와 필터부(11)가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2)는 탱크의 하단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는 순차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13)과 탱크의 하단 면에 밀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아울러 하단에는 조립을 위한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1)는 몸체부(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단에는 작동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가 형성되고 측벽에는 작동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로가 형성된다. (도면의 화살표 방향 참고)
또한 필터부(11)의 내측에는 필터망(14)이 설치되어 작동유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밀폐용 캡(10)은 필터부(11)와 몸체부(12)의 사이에 오링(13)이 한 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냉매 누출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환경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냉매 누출량에 대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종래의 오링 하나만으로는 냉매 누출 방지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용 캡(10)은 몸체부(12)의 오링(13)이 안착되는 부분에 금형 분리라인(Parting line; 15)이 있어서, 밀폐용 캡(10)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와 나사 결합될 때, 오링과 금형 분리라인 간의 마찰로 인해 오링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3b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오링(13)이 몸체부(12)와 전체적으로 면접촉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금형 분리라인(Parting line; 15) 때문에 그 부근에서는 선접촉할 수 밖에 없어 냉매 누출에도 취약하고 오링 자체의 손상가능성도 높았던 것이다. (도 3b의 A는 이러한 금형 분리라인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냉매 누출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고, 밀폐용 캡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와 결합될 때 오링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은 하단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작동유체의 불순물이 여과되도록 외측에 필터망이 형성된 필터부;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며,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필터부 및 결합부와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오링; 및 중앙부와, 중앙부 양쪽에 단차가 각각 형성되어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와,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삽입단이 형성된 오링설치수단을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결합부는 스냅링을 더 구비하여, 고정홀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링안착부, 삽입홈 및 제2삽입홈은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에 의하면,
첫째, 필터부, 결합부, 오링설치수단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오링이 설치될 수 있고, 냉매 누출 방지에 보다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둘째,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설치수단의 오링안착부에 금형 분리라인(Parting line)이 없도록 제작이 가능하여, 밀폐용 캡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와 결합될 때 오링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100)은 필터부(110), 오링설치수단(120), 결합부(130), 오링(O-ring; 140)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110)는 하단에 제1삽입홈(112)이 형성되고, 작동유체의 불순물이 여과되도록 외측에 필터망(1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30)는 상단에 플랜지(1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삽입홈(133)이 형성되며,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플랜지(131)의 외주면에 나사산(132)이 형성되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오링설치수단(120)은 중앙부(125)와, 중앙부(125) 양쪽에 단차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121, 122)와, 상기 제1삽입홈(112) 및 제2삽입홈(133)에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삽입단(124, 123)이 각각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오링(140) 중 제1오링(141)은 오링안착부(121)에 안착된 후 삽입단(123)은 제2삽입홈(133)과 결합되고, 제2오링(142)은 오링안착부(122)에 안착된 후 또다른 삽입단(124) 역시 제1삽입홈(112)과 결합된다.
이 때, 삽입단(124)과 제1삽입홈(112), 삽입단(123)과 제2삽입홈(133)은 각각 탈착가능하게 삽입/결합됨으로서 어느 하나가 파손 등으로 기능 상실시 해당 부 품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여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삽입단(124)과 제1삽입홈(112), 삽입단(123)과 제2삽입홈(133)은 각각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합후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삽입단(124)과 제1삽입홈(112), 삽입단(123)과 제2삽입홈(133)을 각각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호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탭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열 융착이나 초음파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밀폐용 캡과 달리, 리시버드라이어와 밀폐용 캡 사이에 오링이 두 개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누출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오링설치수단의 금형분리 개념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링설치수단(120)은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설치수단의 오링안착부에 금형 분리라인(Parting line)이 생기지 않고 중앙부(125)에 금형 분리라인(126)이 생기므로, 밀폐용 캡(100)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200)에 형성된 나사산(210)과 결합될 때 오링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즉, 금형 분리라인(126)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링(140)이 오링설치수단의 오링안착부(121, 122)와 전체적으로 면접촉을 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되므로 냉매 누출 방지에 효과적이면서 오링 자체의 손상가능성도 매우 낮아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냅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분해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100)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필터부(110), 오링설치수단(120), 결합부(130), 오링(140)을 구비한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결합부(130)의 플랜지(131)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결합부(130)가 스냅링(Snap ring; 150)을 더 구비하여, 고정홀(220)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200)와 결합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을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금형분리 개념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밀폐용 캡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오링설치수단의 금형분리 개념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냅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분해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밀폐용 캡 110...필터
120...오링설치수단 130...결합부
140...오링 150...스냅링

Claims (4)

  1. 하단에 제1삽입홈(112)이 형성되고 작동유체의 불순물이 여과되도록 외측에 필터망(111)이 형성된 필터부(110);
    상단에 플랜지(1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2삽입홈(133)이 형성되며,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200)에 결합되는 결합부(130);
    상기 필터부(110) 및 결합부(130)와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오링(140); 및
    중앙부(125)와, 중앙부 양쪽에 단차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오링(140)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121, 122)와, 상기 제1삽입홈(112) 및 제2삽입홈(133)에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삽입단(123, 124)이 형성된 오링설치수단(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3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32)이 형성되어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200)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0)는, 스냅링(150)을 더 구비하여 고정홀(220)이 형성된 리시버드라이어의 탱크 개구부(2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1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안착부(121, 122), 삽입홈(112) 및 제2삽입홈(133)은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100).
KR1020080006202A 2008-01-21 2008-01-21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KR10133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02A KR101336488B1 (ko) 2008-01-21 2008-01-21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02A KR101336488B1 (ko) 2008-01-21 2008-01-21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13A KR20090080313A (ko) 2009-07-24
KR101336488B1 true KR101336488B1 (ko) 2013-12-03

Family

ID=4129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202A KR101336488B1 (ko) 2008-01-21 2008-01-21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7714B6 (cs) * 2017-12-22 2019-03-06 Ĺ KODA AUTO a.s. Systém pro svařování karoserie automobilu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5577A (zh) * 2010-06-02 2010-10-20 和龙双昊高新技术有限公司 带过滤网的贮液干燥器堵盖
CN201852383U (zh) 2010-11-17 2011-06-01 浙江三花汽车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热交换器及其贮液器
CN103968624B (zh) * 2013-01-31 2017-10-31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贮液器及贮液器制造方法
EP3653954A1 (en) * 2018-11-16 2020-05-20 Valeo Termico, S.A. de C.V. A filter plug assembly
EP3878535A1 (en) * 2020-03-13 2021-09-15 Valeo Autosystemy SP. Z.O.O. A receiver dr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121Y1 (ko) 2005-06-11 2005-08-30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KR20060056174A (ko) * 2004-11-19 2006-05-24 안황재 공조장치용 수액기 캡
KR200430670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구조
KR20090045514A (ko) * 2007-11-02 2009-05-08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드라이어의 하부캡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174A (ko) * 2004-11-19 2006-05-24 안황재 공조장치용 수액기 캡
KR200394121Y1 (ko) 2005-06-11 2005-08-30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KR200430670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구조
KR20090045514A (ko) * 2007-11-02 2009-05-08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드라이어의 하부캡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7714B6 (cs) * 2017-12-22 2019-03-06 Ĺ KODA AUTO a.s. Systém pro svařování karoserie automobil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13A (ko)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951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KR101336488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KR200430632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KR102459106B1 (ko)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KR200432144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JP4592031B2 (ja) レシーバードライヤーの密閉キャップ
KR100825711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30030501A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347061Y1 (ko) 리시버드라이어 여과장치
KR101771152B1 (ko) 응축기
KR20100025185A (ko) 리시버 드라이어 캡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KR101610965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430671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KR20160123117A (ko) 차량용 응축기
KR100479601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KR200445971Y1 (ko) 차량용 냉매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캡
KR101513930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 결합구조 및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KR101586305B1 (ko) 냉수기
KR100994720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0130055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KR1009251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응축기
KR20070119400A (ko) 자동차용 응축기의 리시버드라이어
KR20040008964A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하부캡 설치 구조
KR20040081660A (ko) 리시버 드라이어
KR200192874Y1 (ko) 김치의 발효 및 저장장치의 냉각효율 증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