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601B1 -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 Google Patents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601B1
KR100479601B1 KR10-2002-0060736A KR20020060736A KR100479601B1 KR 100479601 B1 KR100479601 B1 KR 100479601B1 KR 20020060736 A KR20020060736 A KR 20020060736A KR 100479601 B1 KR100479601 B1 KR 10047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machine room
cover
sealing cover
inne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339A (ko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6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9Improving heat transf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7Size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back bottom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back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압축기 폐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기계실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내부용적 밀폐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밀폐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와 열교환되는 외부공기의 유입경로를 상기 밀폐커버의 전면 및 하단으로 유입되게 하는 양방향 공기 유입을 통해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외부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의 양방향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종래 전열면적이 제한된 응축기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에 비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기계실 내에 설치되었던 응축기를 분리시켜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에 일체로 형성시킴에 따른 종래 기계실 내의 응축기 스페이스만큼 상기 기계실 스페이스를 축소시킴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 축소에 따른 기계실 제작비 및 재료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냉장고 제품 가격에 비해 보다 넓은 내부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Structure for condenser improvement on heat exchange efficiency}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 폐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기계실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내부용적 밀폐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밀폐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와 열교환되는 외부공기의 유입경로를 상기 밀폐커버의 전면 및 하단으로 유입되게 하는 양방향 공기 유입을 통해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외부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의 양방향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종래 전열면적이 제한된 응축기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에 비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50), 응축기(60), 팽창밸브(미도시), 증발기(미도시)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통해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상기 냉장고의 배면 하단부에 위치된 기계실(70) 내에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로부터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증발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시키는 압축기(50) 및 상기 압축기(5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50)로부터 가압된 냉매를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60)가 설치된 냉장고 기계실(7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기계실(70) 외부에 기계실 커버(80)가 설치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61 은 상기 압축기(50) 및 응축기(60)를 냉각시키는 송풍팬(61)이다.
하지만, 상기 기계실(70)의 경우,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50) 및 응축기(60)가 상기 기계실(70)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계실(70) 자체의 스페이스가 상기 냉장고 하단을 거의 다 차지하게 됨에 따라 상기 기계실(70)의 스페이스 크기만큼 냉장고의 내부공간(용적)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 압축기(50) 및 응축기(60)를 보호하기 위한 기계실 커버(80)의 경우, 상기 압축기(50) 및 응축기(60)와 상기 기계실(70) 외부공기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기계실(70) 외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상기 기계실(70) 내부의 열 즉, 저온 저압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상태로 가압시킬 때 압축기 모터(미도시)의 부하에 의해 압축기(50) 자체의 온도가 상승되면서 발생되는 압축기 폐열 및 상기 응축기(60) 주위로 방열된 냉매의 열 등을 상기 커버(80)의 통공(90)을 통해 보다 빨리 기계실(70) 외부로 방출시키지 못해 상기 기계실(7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2002년 5월 20일자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냉장고 기계실 커버(특허 출원번호 02-27700 호)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에 대한 냉장고 기계실 커버(10)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50) 및 응축기(60)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냉장고의 기계실(70) 외부에 설치되는 기계실 커버(10) 내측에 상기 압축기로부터 가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0)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도 1 과 같이 종래 응축기(60)가 설치된 스페이스만큼 상기 기계실(70)의 스페이스를 축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소되고 남은 일정크기의 스페이스를 냉장고의 내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상기 기계실 커버(10)가 외부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기계실 커버(10)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에서 방열된 냉매 열이 상기 기계실 커버(10)를 거쳐 냉장고 외부로 방출되게 되는 방열판 역할을 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계실 커버(10)의 경우, 상기 기계실 커버(10)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가 상기 압축기(50)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50)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에 의해 상기 기계실 커버(10)의 통공(4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더운공기로 바뀌게 됨에 따라 상기 기계실 커버(10)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와 온도가 상승된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서, 이에 따른 응축기(20)의 열교환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계실 커버(10)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가 상기 압축기(50)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공기가 한 방향 형태로 관통 형성된 상기 기계실 커버(10)의 통공(4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계실 커버(10)의 응축기(20)와 열교환을 이루게 되지만, 상기 응축기(20)의 전열면적이 상기 기계실 커버(10) 크기 정도로 제한되어 있어, 상기 압축기(50) 폐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기계실(70)과 분리된 별도 내부용적의 배면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설치된 커버를 통해 전열면적이 증가 설치된 응축기와 상기 커버의 양방향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에 비해 상기 전열면적이 제한된 응축기(20)와 외부공기가 열교환되는 종래 응축기(20)의 열교환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압축기 폐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기계실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내부용적 밀폐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밀폐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와 열교환되는 외부공기의 유입경로를 상기 밀폐커버의 전면 및 하단으로 유입되게 하는 양방향 공기 유입을 통해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외부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의 양방향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종래 전열면적이 제한된 응축기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에 비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가 일체로 형성된 내부용적 밀폐커버를 상기 기계실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설치 고정시킴에 따른 종래 기계실 내의 응축기 스페이스만큼 상기 기계실 스페이스를 축소시킴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 축소에 따른 기계실 제작비 및 재료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냉장고 제품 가격에 비해 보다 넓은 내부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가 차지하던 기계실 스페이스를 상기 기계실과 분리된 별도의 냉장고 내부용적으로 활용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장고의 별도 내부용적 배면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설치될 수 있는 소정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부용적 밀폐커버의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상기 응축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본 발명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를 내부용적 밀폐커버에 일체로 형성시킨 본 발명의 응축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응축기 구조가 적용 설치된 냉장고 배면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는, 압축기(50) 및 응축기, 송풍팬(61)이 설치된 냉장고 기계실(7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기계실(70) 외부에 통공(90)이 다수 형성된 기계실 커버(80)가 설치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가 차지하던 기계실(70) 스페이스를 상기 기계실(70)과 분리된 별도의 냉장고 내부용적(70a)으로 활용토록 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응축기(20a)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장고의 별도 내부용적(70a) 배면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설치될 수 있는 소정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부용적 밀폐커버(10a)의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상기 응축기(20a)를 일체로 형성시킨 구성이다.상기 별도의 냉장고 내부용적(70a)은 저온이 유지되는 냉장고의 내부공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기계실의 크기가 축소됨으로써 냉장고의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미 설명 부호 30a 는 응축기(20a)와 다른 요소들(압축기 및 팽창밸브)을 연결하는 연결관(30a)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연결관(30a)은 길이 또는 방향 가변이 자유로운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응축기 구조는, 종래 기계실 커버(10)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가 상기 압축기(50)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50)로부터 발생된 폐열로 인해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응축기(20)와 열교환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과 함께, 상기 기계실 커버(10) 크기로 전열면적이 제한되었던 종래 응축기(20) 및 상기 응축기(20)가 일체로 형성된 기계실 커버(10)(도 2 참조) 대신, 상기 기계실(70)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70a)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설치 고정하여 상기 별도의 냉장고 내부용적(70a)을 밀폐할 수 있도록 내부용적 밀폐커버(10a)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10a) 내측에 종래 응축기(20) 전열면적보다 증가된 응축기(20a)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이에 대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내용 중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응축기 구조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50) 폐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유입된 외부공기와 많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계실(70)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70a)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밀폐 고정할 수 있게 ㄱ자 형태로 절곡된 내부용적 밀폐커버(10a)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10a)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20a)를 일체로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10a)의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a)의 경우, 상기 밀폐커버(10a)의 전면측 응축기(20a)와 하단측 응축기(20a)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냉매가 상기 전면측 응축기(20a)에서부터 상기 하단측 응축기(20a)로 연속유동이 가능한 인라인(In-Line)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10a)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커버(10a) 전면 및 하단의 양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10a)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a)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20a)의 관과 관 사이 부근에 다수의 통공(4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70) 외부에 설치되는 냉장고 기계실 커버(80)의 경우, 상기 압축기(50) 및 송풍팬(61)이 설치된 냉장고 기계실(7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기계실(70) 외부에 설치되었던 다수 통공(90)이 형성된 종래 일반적인 기계실 커버(80)를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기 구조의 경우,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10a)의 전면 및 하단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공(40a)들을 통해 상기 밀폐커버(10a)의 양방향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20a)와 외부공기간에 열교환 효율이 종래 기계실 커버(10)의 통공(40)을 통해 일방향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전열면적이 제한된 응축기(20)간의 열교환 효율 보다 크게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도 및 냉장고의 부분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으로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 기계실(70)과 분리된 별도 내부용적(70a)의 배면부와 하단(바닥)부를 동시에 밀폐시킬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부용적 밀폐커버(10a)를 상기 내부용적(70a)의 배면부와 하단(바닥)부를 각각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배면 밀폐커버(110) 및 하단 밀폐커버(120)로 분리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 때 상기와 같이 분리된 내부용적 밀폐커버(10a) 중 상기 내부용적(70a) 하단(바닥)부에 설치되는 하단 밀폐커버(120)의 경우, 슬라이딩 작용을 통해 상기 내부용적(70a) 하단부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하단 밀폐커버(120) 양 끝단에는 상기 내부용적(70a) 하단부와 슬라이딩 결합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홈 형태의 슬라이딩 결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형 내부용적 밀폐커버(10a)인 배면 밀폐커버(110) 및 하단 밀폐커버(120)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배면 밀폐커버(110) 및 하단 밀폐커버(12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a)와 다른 요소들(압축기 및 팽창밸브)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30a)과, 상기 배면 밀폐커버(110)측 응축기(20a)와 상기 하단 밀폐커버(120)측 응축기(20a)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30b)이 길이 또는 방향 가변이 자유로운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를 통해 내부용적 밀폐커버(10a)의 양 방향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20a)가 열교환되면서 순환되는 냉매 사이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송풍팬 구동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의 열교환을 거쳐 냉장고 외부로 방출되는 유동과정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미도시)를 통해 압축기(50)로 유입되어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에서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된 냉매는 내부용적 밀폐커버(10a) 내측 즉, 상기 밀폐커버(10a)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a)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50)로부터 가압된 냉매는 상기 밀폐커버(10a) 전면측 응축기(20a)로 유입되어 상기 응축기(20a) 내부를 유동한 다음, 상기 밀폐커버(10a) 전면측 응축기(20a)와 연결된 상기 밀폐커버(10a) 하단측 응축기(20a)로 유입되어 상기 하단측 응축기(20a) 내부를 유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밀폐커버(10a)의 전면측 응축기(20a) 및 하단측 응축기(20a) 관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과정 중 상기 기계실(70) 내에 설치된 송풍팬(61)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밀폐커버(10a)의 전면 및 하단에 관통 형성된 다수 통공(40a)을 통해 상기 밀폐커버(10a)의 양 방향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밀폐커버(10a)의 전면측 및 하단측 응축기(20a) 관내를 유동중인 냉매와 상호 열교환되면서 방열작용을 통해 냉매는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냉매와 열교환을 이룬 외부공기는 상기 냉매의 방열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더운공기로 바뀌게 되고, 이렇게 온도가 상승된 더운공기는 상기 기계실(70)과 내부용적(70a) 사이로 형성된 공기유로(100)를 통해 구동중인 송풍팬(61)을 거쳐 압축기(50)로 유동되어 냉매 압축시 압축기(50) 모터(미도시)에 걸리는 부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압축기(50) 및 압축기(50) 주위를 냉각시킨 다음, 기계실 커버(80)의 통공(90)을 통해 상기 기계실(70) 외부 즉, 냉장고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커버(10a)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20a)의 응축작용을 통해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된 냉매는 팽창밸브(미도시)로 유동되게 되고,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에 의해 증발되기 쉬운 상태로 감압된 다음, 냉매의 증발과정이 이루어지는 증발기로 유동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증발기로 유입된 냉매는 냉장고 내부 열을 흡열하는 흡열작용을 통해 증발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되어 다시 압축기(50)로 유입되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게 되고, 상기와 같이 냉매의 냉동 사이클 과정을 반복하여 생성된 냉기를 냉장고 내로 토출시키므로서, 상기 냉장고의 내부온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는, 압축기 폐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기계실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내부용적 밀폐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밀폐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와 열교환되는 외부공기의 유입경로를 상기 밀폐커버의 전면 및 하단으로 유입되게 하는 양방향 공기 유입을 통해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외부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의 양방향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종래 전열면적이 제한된 응축기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에 비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가 일체로 형성된 내부용적 밀폐커버를 상기 기계실 일측으로 분리된 별도의 내부용적 배면부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설치 고정시킴에 따른 종래 기계실 내의 응축기 스페이스만큼 상기 기계실 스페이스를 축소시킴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 축소에 따른 기계실 제작비 및 재료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냉장고 제품 가격에 비해 보다 넓은 내부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도 1 은 종래 냉장고의 기계실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냉장고의 부분 측단면도.
도 2 는 응축기가 일체로 형성된 기계실 커버의 사시도 및 냉장고의 부분 측단면도.
도 3 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를 내부용적 밀폐커버에 일체로 형성시킨 본 발명의 응축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응축기 구조가 적용 설치된 냉장고 배면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도 및 냉장고의 부분 측단면도.
도 6 은 송풍팬 구동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전열면적이 증가된 응축기와의 열교환을 거쳐 냉장고 외부로 방출되는 유동과정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80. 기계실 커버 10a. 내부용적 밀폐커버
20, 20a, 60. 응축기 30, 30a, 30b. 연결 주름관
40, 40a. 90. 통공 50. 압축기
61. 송풍팬 70. 기계실
70a. 내부용적 100. 공기유로
110. 배면 밀폐커버 120. 하단 밀폐커버
122. 슬라이딩 결합부

Claims (7)

  1. 압축기 및 응축기, 송풍팬이 설치된 냉장고 기계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기계실 외부에 통공이 다수 형성된 기계실 커버가 설치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가 차지하던 기계실 공간의 일부는 상기 기계실과 분리되어 내부가 저온으로 유지되는 별도의 냉장고 내부용적으로 활용되고,
    상기 냉장고의 별도 내부용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냉장고의 배면서부터 하단(바닥)부까지 설치될 수 있는 소정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부용적 밀폐커버의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상기 응축기를 일체로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의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는 상기 밀폐커버의 전면측 응축기와 하단측 응축기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냉매가 상기 전면측 응축기에서부터 상기 하단측 응축기로 연속유동이 가능한 인라인(In-Line)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커버 전면 및 하단의 양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 내측 전면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의 관과 관 사이 부근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적 밀폐커버는 상기 내부용적의 배면부와 하단(바닥)부를 각각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호 분리된 배면 밀폐커버 및 하단 밀폐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밀폐커버는 슬라이딩 작용을 통해 상기 내부용적 하단부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밀폐커버 양 끝단에는 상기 내부용적 하단부와 슬라이딩 결합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홈 형태의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내부용적 밀폐커버인 배면 밀폐커버 및 하단 밀폐커버의 분리시, 상기 배면 밀폐커버 및 하단 밀폐커버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응축기와 다른 요소들(압축기 및 팽창밸브)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과, 상기 배면 밀폐커버측 응축기와 상기 하단 밀폐커버측 응축기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이 길이 또는 방향 가변이 자유로운 주름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KR10-2002-0060736A 2002-10-04 2002-10-04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KR100479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736A KR100479601B1 (ko) 2002-10-04 2002-10-04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736A KR100479601B1 (ko) 2002-10-04 2002-10-04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339A KR20040031339A (ko) 2004-04-13
KR100479601B1 true KR100479601B1 (ko) 2005-04-06

Family

ID=3733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736A KR100479601B1 (ko) 2002-10-04 2002-10-04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086B1 (ko) * 2003-06-30 2006-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1638135B1 (ko) 2009-05-12 2016-07-20 팅크웨어(주)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JP6713836B2 (ja) * 2016-05-31 2020-06-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1994333B1 (ko) * 2017-09-25 2019-09-30 (주)마이텍 선박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수위조절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879A (ja) * 1989-12-26 1991-08-27 Matsushita Refrig Co Ltd 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
JPH0771859A (ja) * 1993-09-03 1995-03-1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H07159016A (ja) * 1993-12-09 1995-06-20 Hitachi Ltd 冷蔵庫の圧縮機支持装置
KR19990020195U (ko) * 1997-11-24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방열파이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879A (ja) * 1989-12-26 1991-08-27 Matsushita Refrig Co Ltd 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
JPH0771859A (ja) * 1993-09-03 1995-03-1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H07159016A (ja) * 1993-12-09 1995-06-20 Hitachi Ltd 冷蔵庫の圧縮機支持装置
KR19990020195U (ko) * 1997-11-24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방열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339A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043B2 (en) Dewfall preventing device of refrigerator
JP4184779B2 (ja) 冷蔵庫の機械室カバー
CN100371662C (zh) 冰箱
KR20030004899A (ko) 백커버 겸용 응축기가 구비된 냉장고
KR101345666B1 (ko) 냉장고
KR100479601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KR100549063B1 (ko) 냉장고
KR100493697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0593086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0470476B1 (ko) 냉동시스템
KR0169301B1 (ko) 진공 동결 건조기용 콜드트랩장치
KR100229188B1 (ko) 냉장고
KR200350968Y1 (ko) 냉장고의 응축기
KR100419154B1 (ko) 제상수증발을위한쇼케이스의기계실구조
KR100213174B1 (ko) 보조 열교환기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 에어 콘디셔너 장치
KR200345577Y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100512106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JP6332991B2 (ja) 冷凍空調装置の直接膨張式クーラ用熱交換ユニット
KR0113761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KR100424295B1 (ko) 직냉식 냉장고의 증발기
KR19990034525A (ko) 냉장고의 응축기
KR200233436Y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20230059970A (ko) 냉동싸이클의 수액기 및 수액기의 제조방법
KR100396836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20000014017U (ko) 냉각팬 풍량증대 구조의 냉장고 기계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