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36Y1 -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36Y1
KR200233436Y1 KR2020000031886U KR20000031886U KR200233436Y1 KR 200233436 Y1 KR200233436 Y1 KR 200233436Y1 KR 2020000031886 U KR2020000031886 U KR 2020000031886U KR 20000031886 U KR20000031886 U KR 20000031886U KR 200233436 Y1 KR200233436 Y1 KR 200233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outer tube
air
air conditione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점
Original Assignee
위성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성점 filed Critical 위성점
Priority to KR2020000031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36Y1/ko

Link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는 냉매가스가 흐르며 압축기 및 증발기와 연결되는 포트가 제공되어 있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을 관통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며 공기 또는 물이 흐르는 소직경의 내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측관을 관통하여 흐르는 냉매가스는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과 상기 복수의 내측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찬 외기 온도가 상기 외측관 내부의 냉매가스로 전달되어 냉매를 냉각 및 응축시키게 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Condenser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 내부를 흐르는 저온의 열이 관 외측의 핀을 통하여 냉매가스로 전달되어 냉매가스를 직접 냉각함으로써 그 응축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냉각시키는 것으로,증발기로 이루어진 실내기와 응축기로 이루어진 실외기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실내기는 전면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송풍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각종 구성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한 실내케이스와, 상기 실내 케이스에 수납되어 냉매를 실외기의 응축기로 압송하는 압축기와,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로 압송되어서 냉각되어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켜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그리고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공기 송풍구로 강제 송풍하는 실내 블로워로 구성된다.
그리고, 실외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여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한 실외 케이스와, 상기 실외 케이스에 수납되어서 실내기의 압축기에서 압송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실외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응축기의 관로로 순환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외기 블로워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종래 응축기는 냉매액이 통과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외주로 복수의 핀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고온, 고압의 냉매액이 파이프를 지날 때, 그 열이 상기 핀들로 전달되어 외기로 방출되도록 되므로, 냉각 응축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냉매액의 열을 핀으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응축기의 경우, 그 냉매액의 열을 핀으로 전달하는 외부 방출 방식으로서 그 열 방출 효율이 떨어 질뿐만 아니라, 방열핀이 파이프의 외측으로 복수 배치되어야 하므로 그 배치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외부로부터 외기를 역행시켜 넓은 면적에서 열을 흡수하여 관내부의 냉매로 이동시켜 냉매를 냉각 및 응축시킴으로서 그 효율을 넓힘과 동시에 그 외관도 심플하게 하여 배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내축관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는 상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외측관 3: 내측관
5: 냉매액 집중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는 냉매가스가 흐르며 압축기 및 증발기와 연결되는 포트가 제공되어 있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을 관통하여 복수 배치되며 공기 또는 물이 흐르는 소직경의 내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측관을 관통하여 흐르는 냉매가스는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과 상기 복수의 내측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찬 외기온도가 상기 외측관 내부의 냉매가스로 전달되어 냉매를 냉각 및 응축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관 내부에는 중앙을 가로질러 하방으로 연장하는 응축 냉매액 집중판을 설치하되, 그 하단이 상기 외측관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되는 냉매액을 모으는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내측관은 그 외주에 일체로 돌출된 핀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 효율을 더욱 강화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는
그 내부를 냉매가스가 흐르며 압축기 및 증발기와 연결되는 포트(100, 200)가 형성되어 있는 대직경의 외측관(1)과 상기 외측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그 내측을 통하여 공기 또는 액체가 흐르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소직경 내측관(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은 상기 내측관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로서, 내측관(3)의 외주로는 일체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핀(31)이 형성되어 있는 핀 일체형 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핀 일체형 내측관(3)은 바람직하게 동 또는 주철로 제조되는데 그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관(1) 내부에는 그 중앙을 가로질러 하방으로 연장하는 냉매액 집중판(5)이 배치된다. 상기 냉매액 집중판(5)은 하방으로 연장하되, 그 하단이 상기 외측관(1)의 바닥과 일정간격 이격 되도록 하여, 집중판을 따라 떨어지는 냉매액이 바닥을 통하여 증발기측 포트(20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응축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매가스가 압축기로부터 상기 외측관(1)내부로 고온, 고압상태로 압송되는중에, 상기 외측관(1)은 저온의 외기 또는 액체와 접촉하고 있고, 또한 이 저온의 외기 또는 액체는 상기 핀 일체형 내측관(3)을 통하여 흐르면서, 그 저온열이 상기 내측관을 통하여 냉매가스로 전달되어 상기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가스를 중온, 고압상태로 변환시키면서 응축하게되면, 액상이 상기 냉매액 집중판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의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직접 바닥으로 떨어져 증발기측 포트(200)로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관은 동 또는 주철로 형성한 이유는 공기 또는 저온의 유체가 그 내부를 흐를 때에 상기 일체형 핀의 형성시 약화된 부분으로 인하여 관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에는 고온의 냉매가스 열이 관 내부를 흐르면서 핀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방식이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관 내부를 흐르는 저온의 열이 관 외측의 핀을 통하여 냉매가스로 전달되어 냉매가스를 직접 냉각하는 방식을 가지므로 그 효율이 증가된다.
또한, 복수의 내측관을 통하여 위와 같은 열 전달 방식을 실현하므로, 그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그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된다.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냉매가스가 흐르며 압축기 및 증발기와 연결되는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과; 그리고
    상기 외측관을 관통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며 공기 또는 물이 그 내측으로 흐르는 복수 개의 소직경 내측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는 중앙을 가로질러 하측으로 연장되는 응축 냉매액 집중판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은 그 외주에 일체로 돌출된 복수 개의 열 전달 핀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2020000031886U 2000-11-14 2000-11-14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200233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86U KR200233436Y1 (ko) 2000-11-14 2000-11-14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86U KR200233436Y1 (ko) 2000-11-14 2000-11-14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554A Division KR100396836B1 (ko) 2001-02-20 2001-02-20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436Y1 true KR200233436Y1 (ko) 2001-09-26

Family

ID=7305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886U KR200233436Y1 (ko) 2000-11-14 2000-11-14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613A (en) Low pressure drop heat exchanger
KR20030089819A (ko) 냉장고 기계실 커버
KR200233436Y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102402382B1 (ko) 냉동컴프레셔용 공냉식 가스냉각기
KR100396836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100395620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200219555Y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의 냉각을 위한 블로워구조
KR20050002652A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0619151B1 (ko)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응축기
KR20050002653A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0479601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KR100327739B1 (ko) 에어컨의 냉매관 냉각장치
KR10035711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340420B1 (ko) 건조기 일체형 과냉각 응축기
KR100231155B1 (ko) 에어컨의 실내측 열교환기
KR100229188B1 (ko) 냉장고
KR20040018774A (ko) 냉장고 기계실 구조
KR100290544B1 (ko) 냉방용공기조화기의응축장치
KR200311604Y1 (ko) 평행사변형 냉동코일 장치
KR200148477Y1 (ko) 냉동기용 열교환기의 튜브
KR200151866Y1 (ko) 냉동사이클장치
KR200294748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수냉식 냉각구조
KR200220291Y1 (ko)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KR0130519B1 (ko) 공기조화기의 소형응축기
KR20040042945A (ko) 작동유체의 잠열을 이용하는 전열판을 구비한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