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556B1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556B1
KR101300556B1 KR1020070007480A KR20070007480A KR101300556B1 KR 101300556 B1 KR101300556 B1 KR 101300556B1 KR 1020070007480 A KR1020070007480 A KR 1020070007480A KR 20070007480 A KR20070007480 A KR 20070007480A KR 101300556 B1 KR101300556 B1 KR 10130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low path
low temperature
gas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803A (ko
Inventor
백영기
박성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5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열교환기와 어큐뮬레이터를 일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와 가스쿨러 및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저온냉매를 도입하는 저온냉매 도입관과; 저온냉매 도입관으로 도입된 저온냉매를 저장하여 기체와 액체로 분리해내는 기액분리용기와; 기액분리용기와의 사이에 저온유로가 형성되도록 기액분리용기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저온유로와 격벽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고온유로를 갖는 열교환튜브와; 기액분리용기에서 분리된 기체 냉매를 저온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열교환튜브의 개방된 상,하측을 밀폐하는 상,하측 엔드커버와; 저온유로를 따라 이송된 저온냉매를 압축기로 토출하는 저온냉매 토출관과; 가스쿨러에서 배출된 고온냉매를 열교환튜브의 고온유로로 도입시키는 고온냉매 도입관과; 고온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저온유로의 저온냉매와 상호 열교환되어 감온된 고온냉매를 증발기로 토출하는 고온냉매 토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HEAT EXCHANGER WITH ACCUMULATO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가 공조시스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압축기 3: 가스쿨러(Gas Cooler)
5: 팽창밸브 6: 증발기
20: 저온냉매 도입관 30: 기액분리용기
32: 분리실 34: 배출관
34c: 오일 홀 40: 열교환튜브
42: 고온유로 44: 원통형 격벽
45: 저온유로 46: 방열핀
50: 상측 엔드커버 52: 중앙유로홈
54: 제 1유로홈 56: 제 2유로홈
60: 하측 엔드커버 62: 중앙유로홈
64: 저온냉매 토출관 70: 고온냉매 도입관
80: 고온냉매 토출관 90: 격판
100: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열교환기와 어큐뮬레이터가 일체화된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연냉매를 사용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이산화탄소 에어컨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산화탄소 에어컨 시스템은, 오존파괴지수가 제로이고 지구온난화지수도 아주 낮은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므로, 오존층의 파괴를 줄일 수 있고, 지 구 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에어컨 시스템이다.
도 1에는 이산화탄소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산화탄소 에어컨 시스템은, 압축기(1)와 가스쿨러(3)와 팽창밸브(5)와 증발기(6)를 구비한다.
압축기(1)는 기화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하고, 가스쿨러(3)는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그리고 팽창밸브(5)는 가스쿨러(3)에서 열교환된 고압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팽창시키며, 증발기(6)는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유입한 후,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에어컨 시스템은, 내부열교환기(7)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8)를 구비한다.
내부열교환기(7)는, 가스쿨러(3)의 출구측 냉매와 증발기(6)의 출구측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것으로, 가스쿨러(3)의 출구측 냉매 온도를 강제적으로 낮추어 준다. 따라서, 증발기(6)의 입구측 엔탈피(Enthalpy)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증발기(6)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엔탈피차이를 증대시키고, 증발기(6)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엔탈피차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증발기(6)의 흡열능력, 즉 냉각능력을 향상시킨다.
어큐뮬레이터(8)는, 압축기(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증발기(6)에서 회수된 냉매를 액체와 기체로 분리하고, 분리된 기체 냉매만 압축기(1)로 도입시킨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8)는 기체 냉매만 압축기(1)로 도입시키므로, 압축기(1)에 액체 냉매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액체 냉매의 도입으로 인한 압축기(1)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산화탄소 에어컨 시스템은, 구성 부품이 많아서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시스템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종래의 이산화탄소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내부열교환기(7)와,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8)가 각기 분리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시스템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므로,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따라서 차량에 설치시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내부열교환기(7)와 어큐뮬레이터(8)가 일체화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146987호가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내부열교환기(7)와 어큐뮬레이터(8)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구성 부품을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지만,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내부구조가 복잡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많은 부품이 소요되므로, 제작비용도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부열교환기와 어큐뮬레이터가 일체화되어 있고,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 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냉매 상호간에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의 분리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와 가스쿨러 및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저온냉매를 도입하는 저온냉매 도입관과; 상기 저온냉매 도입관으로 도입된 저온냉매를 저장하여 기체와 액체로 분리해내는 기액분리용기와; 상기 기액분리용기와의 사이에 저온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액분리용기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저온유로와 격벽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고온유로를 갖는 열교환튜브와; 상기 기액분리용기에서 분리된 기체 냉매를 상기 저온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열교환튜브의 개방된 상,하측을 밀폐하는 상,하측 엔드커버와; 상기 저온유로를 따라 이송된 저온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토출하는 저온냉매 토출관과; 상기 가스쿨러에서 배출된 고온냉매를 상기 열교환튜브의 고온유로로 도입시키는 고온냉매 도입관과; 상기 고온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저온유로의 저온냉매와 상호 열교환되어 감온된 상기 고온냉매를 상기 증발기로 토출하는 고온냉매 토출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온유로의 고온냉매와 상기 저온유로의 저온냉매 간의 상호 열교환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온유로를 따라 흐르는 고온냉매의 열을 저온유로로 방열하는 방열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온유로로 도입된 고온냉매의 흐름 길이가 증가될 수 있도록 고온유로를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과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는, 저온냉매 도입관(20)과, 기액분리용기(30)를 구비한다.
저온냉매 도입관(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6)의 출구측과 연결되며, 증발기(6)에서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를 도입한다.
기액분리용기(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냉매 도입관(20)과 연통되는 내부의 분리실(32)을 구비한다. 분리실(32)은 저온냉매 도입관(20)으로부터 도입되는 냉매를 저장한다. 따라서, 저장된 냉매가 하측의 액체와 상측의 기체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한편, 기액분리용기(30)에는 분리실(32)의 상측으로 분리된 기체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34)이 설치된다.
배출관(34)은, 분리실(32)의 상측으로 분리된 기체 냉매를 도입하는 입구부(34a)와, 도입된 기체 냉매를 기액분리용기(30)의 상면 둘레로 배출하는 출구부(34b)를 구비한다. 여기서, 입구부(34a)는, 저온냉매 도입관(20)의 출구부(20a)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분리실(32)로 배출된 저온냉매 도입관(20)의 냉매가 입구부(34a)로 직접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배출관(34)은, 분리실(32) 상측의 기체 냉매를 도입한 다음, 기액분리용기(30)의 상면 둘레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배출관(34)은 "∪"자형 형태의 곡관(曲管)을 이루며, 그 하측부분은 액체 냉매에 침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액체 냉매에 침지된 하측부분에는 오일 홀(4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오일 홀(43c)은 액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이 도입될 수 있게 하여 기체 냉매와 함께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는, 기액분리용기(30)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열교환튜브(40)를 구비한다.
열교환튜브(40)는, 내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온유로(42)를 구비한다. 고온유로(42)는 열교환튜브(40)의 내면에 원통형 격벽(44)을 설치함에 따라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고온유로(42)는 열교환튜브(40)의 내면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열교환튜브(40)는, 기액분리용기(30)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기액분리용기(30) 둘레와의 사이에 저온유로(45)를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된 저온유로(45)는 상기 고온유로(42)와 원통형 격벽(4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될 수 있다. 특히, 저온유로(45)와 고온유로(42)가 서로 대응됨으로써, 양자의 유로(42, 45)간에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열교환튜브(40)와 기액분리용기(30)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측 엔드커버(50)와, 하측 엔드커버(60)가 각각 설치된다.
상측 엔드커버(50)는, 열교환튜브(40)의 트인 상측을 밀폐하는 것으로, 내측의 밑면 중앙부에는 중앙유로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유로홈(52)은, 기액분리용기(30)의 배출관(34)과 저온유로(45)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배출관(34)의 출구부(34b)와 저온유로(45)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배출관(34)의 출구부(34b)로부터 배출된 기체 냉매가 저온유로(45)로 도입되고, 도입된 기체 냉매가 저온유로(45)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하측 엔드커버(60)는, 열교환튜브(40)의 트인 하측을 밀폐하는 것으로, 내측의 상면 중앙부에는 중앙유로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유로홈(62)은 저온유로(45)와 연통된다. 따라서, 저온유로(45)를 따라 흐르는 기체 냉매가 모여서 수집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하측 엔드커버(60)는, 중앙유로홈(62)으로 모인 기체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저온냉매 토출관(64)이 설치된다.
저온냉매 토출관(6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와 연결되며, 하측 엔드커버(60)의 중앙유로홈(62)에 수집된 기체 냉매를 압축기(1)로 토출시킨 다. 특히, 기액분리용기(30)에서 분리된 후, 저온유로(45)와 중앙유로홈(62)을 따라 흐르는 기체 냉매를 압축기(1)로 토출시키며, 따라서, 기체만 분리된 고순도의 냉매를 압축기(1)로 도입시킨다.
다시,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는, 상측 엔드커버(50)에 설치되는 고온냉매 도입관(70)과, 고온냉매 토출관(80)을 구비한다.
고온냉매 도입관(70)은, 도 2와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상측 엔드커버(50)에 형성되는 제 1유로홈(54)을 통해 열교환튜브(40)의 고온유로(42)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쿨러(3)의 출구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고온냉매 도입관(70)은, 가스쿨러(3)로부터 배출되는 고온냉매를 도입한 다음, 도입된 고온냉매를 열교환튜브(40)의 고온유로(42)로 유입시킨다. 따라서, 유입된 고온냉매가 고온유로(4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동하는 고온냉매가 내측에 인접한 저온유로(45)의 저온냉매와 상호 열교환 작용할 수 있게 하며, 저온유로(45)의 저온냉매와 상호 열교환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고온냉매가 저온냉매에 열을 빼앗기면서 감온(減溫)될 수 있게 한다.
고온냉매 토출관(80)은, 상측 엔드커버(50)에 형성되는 제 2유로홈(56)을 통해 열교환튜브(40)의 고온유로(42)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6)의 입구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고온냉매 토출관(80)은, 고온유로(42)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기(6)로 도입시킨다. 특히, 저온냉매와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감온된 고온유로(42) 의 냉매를 증발기(6)로 도입시킨다.
따라서, 증발기(6)의 입구측 엔탈피(Enthalpy)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증발기(6)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엔탈피차이를 증대시키고, 증발기(6)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엔탈피차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증발기(6)의 흡열능력, 즉 냉각능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튜브(40)의 내주면으로부터 저온유로(45)로 연장되어 있는 방열핀(46)을 구비한다.
방열핀(46)은, 고온유로(42)를 따라 흐르는 고온냉매의 열을 저온유로(45)로 방열한다. 따라서, 고온유로(42)의 고온냉매와 저온유로(45)의 저온냉매 상호 간의 열교환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2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는, 고온유로(42)를 따라 흐르는 고온냉매의 흐름 길이가 증가될 수 있도록 고온유로(42)를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다.
구획부재는, 고온유로(42)를 "∪"자형 형태로 구획할 수 있도록 고온유로(42)를 구획하는 복수의 격판(9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격판(90)은 고온유로(42)를 "∪"자형 형태로 구획함으로써, 고온유로(I)로 도입된 고온냉매가 "∪"자형 흐름을 이루면서 이동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고온유로(42)에서의 고온냉매 정체시간을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저온유로(45)를 따라 흐르는 저온냉매와의 열교환효율이 최대한 증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온유로(42)와 연통되는 하측 엔드커버(60)의 유로홈(66) 을 더 구비한다.
하측 엔드커버(60)의 유로홈(66)은, 고온유로(42)의 하측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통됨으로써, 고온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특히, 고온유로(42)로 도입된 고온냉매가 열교환튜브(40)의 둘레를 따라 골고루 확산되면서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압축기(1)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가스쿨러(3)로 도입되고, 가스쿨러(3)로 도입된 냉매는 열교환되면서 감온되며, 감온된 고온냉매는 가스쿨러(3)로부터 배출되면서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100)의 고온냉매 도입관(70)으로 도입된다.
그리고, 고온냉매 도입관(70)으로 도입된 고온냉매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튜브(40)의 고온유로(42)로 도입되고, 도입된 고온냉매는 "∪"자형 고온유로(42)를 따라 흐르면서 내측에 대응되는 저온유로(45)의 저온냉매와 열교환된다. 따라서, 열교환된 고온냉매는 감온된다.
한편, 감온된 냉매는 고온냉매 토출관(80)으로 이동하면서 토출되고, 토출된 고온냉매는 증발기(6)로 도입되면서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되며, 열교환된 냉매는 냉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증발기(6)로 도입된 냉매는, 미리 감온된 상태이므로, 증발기(6)의 출구측 냉매와의 엔탈피차가 증대된다. 따라서, 증발기(6)의 흡열능력, 즉 냉각능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저온을 유지하면서 증발기(6)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된 저온냉매는 도 7에서와 같이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100)의 저온냉매 도입관(20)으로 도입된다.
그리고, 저온냉매 도입관(20)으로 도입된 저온냉매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분리용기(30)의 분리실(32)로 도입되고, 분리실(32)로 도입된 저온냉매는 기체와 액체로 분리된 다음, 기체 냉매만 배출관(34)을 통해 기액분리용기(3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기액분리용기(30)의 외측으로 배출된 저온냉매는, 상측 엔드커버(50)의 중앙유로홈(52)을 통해 저온유로(45)로 도입되고, 도입된 저온냉매는 저온유로(45)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저온유로(45)를 따라 이동하는 저온냉매는, 외측에 대응되는 고온유로(42)의 고온냉매와 간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열교환된다. 따라서, 고온유로(42)의 고온냉매를 감온시킨다.
한편, 고온냉매를 감온시킨 저온냉매는, 하측 엔드커버(60)의 중앙유로홈(62)로 도입되면서 수집되고, 수집된 저온냉매는 저온냉매 토출관(64)을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저온냉매 토출관(64)으로 토출된 저온냉매는 다시 압축기(1)로 도입되면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다. 이때, 압축기(1)로 도입된 저온냉매는, 기액분리용기(30)에서 기체만 분리된 상태이므로, 고순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의 손상 및 파손의 우려를 없애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에 의하면, 내부열교환기와 어큐뮬레이터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구성 부품을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의 설치시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고장의 우려가 없고,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냉매와 저온냉매 상호간에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의 분리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압축기(1)와 가스쿨러(3) 및 팽창밸브(5)와 증발기(6)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6)에서 배출되는 저온냉매를 도입하는 저온냉매 도입관(20)과;
    상기 저온냉매 도입관(20)으로 도입된 저온냉매를 저장하여 기체와 액체로 분리해내는 기액분리용기(30)와;
    상기 기액분리용기(30)와의 사이에 저온유로(45)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액분리용기(30)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저온유로(45)와 격벽(44)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고온유로(42)를 갖는 열교환튜브(40)와;
    상기 기액분리용기(30)에서 분리된 기체 냉매를 상기 저온유로(45)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4)과;
    상기 열교환튜브(40)의 개방된 상,하측을 밀폐하는 상측 엔드커버(50) 및 하측 엔드커버(60)와;
    상기 저온유로(45)를 따라 이송된 저온냉매를 상기 압축기(1)로 토출하는 저온냉매 토출관(64)과;
    상기 가스쿨러(3)에서 배출된 고온냉매를 상기 열교환튜브(40)의 고온유로(42)로 도입시키는 고온냉매 도입관(70)과;
    상기 고온유로(4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저온유로(45)의 저온냉매와 상호 열교환되어 감온(減溫)된 상기 고온냉매를 상기 증발기(6)로 토출하는 고온냉매 토출관(80)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냉매 도입관(70)은, 상기 상측 엔드커버(50)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 엔드커버(50)에는, 상기 고온냉매 도입관(70)으로 도입된 고온냉매를 상기 고온유로(42)에 도입시키기 위한 제 1유로홈(54)이 형성되고,
    상기 고온냉매 토출관(80)은, 상기 상측 엔드커버(50)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 엔드커버(50)에는, 상기 고온유로(42)의 고온냉매를 상기 고온냉매 토출관(80)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2유로홈(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유로(42)의 고온냉매와 상기 저온유로(45)의 저온냉매 간의 상호 열교환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온유로(42)를 따라 흐르는 고온냉매의 열을 저온유로(45)로 방열하는 방열핀(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유로(42)로 도입된 고온냉매의 흐름 길이가 증가될 수 있도록 고온유로(42)를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엔드커버(60)는, 상기 고온유로(42)와 연통되는 유로홈(66)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유로홈(66)은, 고온유로(42)를 따라 하측으로 이송된 고온냉매를 원주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4)은, 상기 기액분리용기(30)에서 분리된 기체 냉매를 상기 기액분리용기(30)의 상면으로 배출하며,
    상기 상측 엔드커버(50)는, 상기 기액분리용기(30)의 상면으로 배출된 상기 기체 냉매를 둘레의 저온유로(45)로 가이드 하는 중앙유로홈(5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엔드커버(60)는, 상기 저온유로(45)를 따라 이송된 저온냉매를 수 집하기 위한 중앙유로홈(62)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저온냉매 토출관(64)은, 상기 하측 엔드커버(60)의 중앙유로홈(62)에 수집된 저온냉매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엔드커버(6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KR1020070007480A 2007-01-24 2007-01-24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KR10130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480A KR101300556B1 (ko) 2007-01-24 2007-01-24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480A KR101300556B1 (ko) 2007-01-24 2007-01-24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03A KR20080069803A (ko) 2008-07-29
KR101300556B1 true KR101300556B1 (ko) 2013-09-03

Family

ID=3982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480A KR101300556B1 (ko) 2007-01-24 2007-01-24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041B1 (ko) * 2019-06-19 2020-06-11 이철호 글리세린 정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3733A1 (en) * 2000-12-29 2002-07-04 Zhang Chao A. Accumulator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US6612128B2 (en) * 2000-01-28 2003-09-02 Halla Climate Control Canada Inc. Accumulator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JP2006112778A (ja) * 2004-10-15 2006-04-27 Valeo Klimasysteme Gmbh 空調システム用の内部熱交換器を備えるアキュムレ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2128B2 (en) * 2000-01-28 2003-09-02 Halla Climate Control Canada Inc. Accumulator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US20020083733A1 (en) * 2000-12-29 2002-07-04 Zhang Chao A. Accumulator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JP2006112778A (ja) * 2004-10-15 2006-04-27 Valeo Klimasysteme Gmbh 空調システム用の内部熱交換器を備えるアキュム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03A (ko) 200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8021B2 (ja) 熱交換用二重管
US10935288B2 (en) Condenser
CN103727709A (zh) 用于车辆的冷凝器
KR20130130322A (ko) 증발기
KR101188226B1 (ko) 판형 열교환기
WO2016170751A1 (ja) 蓄冷熱交換器
WO2018135385A1 (ja) 内部熱交換器付きアキュムレ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
US20080202157A1 (en) Internal heat exchange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CN103542619A (zh) 热交换器结构
CN102037305B (zh) 热交换器和包括这种交换器的集成空调组件
KR10130055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일체형 내부열교환기
KR20130143343A (ko) 응축기
KR200259605Y1 (ko) 수액기일체형응축기
JP3764904B2 (ja) 冷凍サイクルおよび冷凍サイクルの受液器容積決定方法
KR20170047050A (ko) 응축기
JP2010156538A (ja) 空調回路の内部熱交換器とアキュムレータを備える複合装置
JP2000074528A (ja) サブクールシステムコンデンサ
KR101144262B1 (ko) 응축기
US11885569B2 (en) Heat exchanger
CN113405271A (zh) 一种二氧化碳内部热交换器及二氧化碳热泵循环系统
CN110857823B (zh) 气液分离器、空调系统及气液分离器的制造方法
KR100538746B1 (ko) 수액기
KR101133966B1 (ko) 수냉식 응축기
JP2006153437A (ja) 熱交換器
KR101371525B1 (ko)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