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548Y1 -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548Y1
KR200369548Y1 KR20-2004-0026990U KR20040026990U KR200369548Y1 KR 200369548 Y1 KR200369548 Y1 KR 200369548Y1 KR 20040026990 U KR20040026990 U KR 20040026990U KR 200369548 Y1 KR200369548 Y1 KR 200369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ank body
fastening part
receiver dry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호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일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6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5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탱크본체와 체결부로 구분되어 서로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부위에 클래드분말액을 도포한 후 서로 결합시킨 다음 브레이징 용접을 함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분말액이 균일한 용접층을 이루지 못하게 되면서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력과 밀폐력에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체결작업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로 구분된 상태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체결부(120)의 상측 외주면 모서리에 설치홈(121)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설치홈(121)과 탱크본체(110)의 내주면 모서리(111)가 이루는 공간에 용접링(200)을 설치하여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상기 용접링(200)에 의해 브레이징 용접이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결합작업에 따른 공정을 단축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용접불량을 방지하고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견고하면서 밀폐력이 향상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Structure of receiver drier tank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탱크본체와 체결부로 구분되어 서로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강도와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작업성 및 품질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냉방장치인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를 일시 저장하면서 팽창밸브로 순환시키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수액기 탱크), 순환되는 냉매로 차량 실내의 공기온도를 낮추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는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입구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통과시켜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냉매를 액화시킨 다음 일측에 설치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로 액화된 냉매를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는 응축기에서 유입된 액화냉매를 다시 일시 저장하면서 건조제의 의해 내부로 유입된 냉매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 제거한 다음 완전 액화된 냉매만 응축기의 튜브를 통해 과냉각시켜 팽창밸브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로부터 완전 액화된 냉매를 받는 팽창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순환시켜 차량의 실내 공기온도를 낮추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 은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가 응축기의 헤더파이프에 일체로 브레이징 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응축기(30)의 헤더파이프(20)에는 일체형태로 구성된 냉매 입/출구용 연결관(15)에 의해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가 브레이징되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는 통상 원통형 관체로 만들어지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의 하측 개방부에는 냉매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매쉬필터(14)의 탈착 및 교환을 위해 나사결합식 또는 나선부 없이 강제 삽입되는 밀봉캡(13)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밀봉판(16)을 일체로 용접하여 내부의 기밀성이 유지되게 한다.
한편,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는 탱크본체(11)와 밀봉캡(13)이 설치되는 체결부(12)로 구분되어 각각 별도 제작된 후 서로결합되며, 그 결합수단으로는 클래드분말액(40)을 이용한 브레이징 용접을 이용한다.
즉, 탱크본체(11)의 하단 외측둘레 일부분과 체결부(12)의 상단 내측둘레 일부분에 붓이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클래드분말액(40)을 도포한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친 후 억지끼움방식으로 탱크본체(11)의 하단에 체결부(12)의 상단을 끼워넣고 브레이징 용접을 하여 탱크본체(11)와 체결부(1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탱크본체(11)의 외측둘레와 체결부(12)의 내측둘레에 클래드분말액(40)을 붓이나 스프레이로 도포를 할때 도포되는 클래드분말액(40)의 두께가 일정해야만 탱크본체(11)와 체결부(12)가 브레이징 용접이 될 때 그 용접층이 균일해지면서 탱크본체(11)와 체결부(12)가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붓이나 스프레이로 클래드분말액(40)을 탱크본체(11)와 체결부(12)에 도포할 경우 그 두께를 일정하게 도포시키기가 힘들어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상기와 같은 클래드분말액(40)의 도포과정 외에 건조과정과 억지끼움과정을 거친 후 브레이징 용접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제작성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클래드분말액(40)이 도포된 탱크본체(11)와 체결부(12)를 강제로 끼워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클래드분말액(40)의 일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면 도포되는 클래드분말액(40)의 전체적인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접층 또한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용접불량에 따른 냉매유출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클래드분말액(40)이 아래쪽으로 흘러내린 상태로 브레이징 용접이 되면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된 클래드분말액(40)의 일부분이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의 내외면으로 흘러나와 외관이 불량해지고, 특히 용융된 클래드분말액(40)이 냉매입구(12a)를 가리게 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면서 제품의 성능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탱크본체와 체결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연결부위에 용접링을 설치하고 응축기와 함께 브레이징 용접이 되도록 함에 따라 탱크본체와 체결부가 견고하면서 효과적인 밀폐효과를 가지면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탱크본체와 체결부로 구분되어 서로 결합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체결부의 상측 외주면 모서리에 설치홈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과 탱크본체의 내주면 모서리가 이루는 공간에 용접링이 설치함에 따라 브레이징 용접의 과정을 통하여 용접링이 용융되면서 상기 탱크본체와 체결부가 견고하면서 효과적인 밀폐력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작업성 또한 더욱 향상되어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응축기에 연결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2a, 2b 는 종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구성하는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전,후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a, 3b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전,후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연결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4a, 4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전,후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4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연결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가 응축기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가 응축기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110 : 탱크본체
111 : 모서리 120 : 체결부
121 : 설치홈 200 : 용접링
300 : 연결관 600 : 응축기
610 : 헤더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a, 3b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전,후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연결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4a, 4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전,후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연결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가 응축기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가 응축기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응축기(600)의 일측 헤더파이프(610)와 연결관(300)으로 연결되며, 서로 결합되는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로 구성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0)의 상측 외주면 모서리에 내측으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설치홈(121)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121)과 탱크본체(110)의 내주면 모서리(111)가 이루는 공간에 용접링(200)이 설치되도록 하여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상기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용접성을 유지하면서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2)는 탱크본체(110)에 위치한 냉매입구이고, (122)는체결부(120)에 위치한 냉매출구이며, (130)은 밀봉캡이고, (310),(320)은 연결관(300)의 상하 연결부이며, (400)은 부직포 자루형 건조제 용기이고, (500)은 프라스틱 사출형 건조제 용기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를 이루는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를 체결함에 있어서,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를 용접링(200)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용접이 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공정의 단축 및 체결작업성의 향상으로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용접면이 견고하면서 균일하게 형성되어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의 밀폐력이 더욱 향상되면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a 와 도 3b 와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예시한 것으로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는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로 분리되어 각각 제작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분리되는 지점은 연결관(300)이 설치되는 냉매입구(112)와 냉매출구(12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는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를 용접링(20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후 응축기(600)와 함께 브레이징용접 과정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어야 함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110)의 냉매입구(112)와 체결부(120)의 냉매출구(122)에 일체형 연결관(30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연결관(300)의 상측 연결부(310)는 냉매입구(112)에 끼워져 코킹되고, 하측 연결부(320)은 냉매출구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관(300)에 의해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가조립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브레이징 용접과정에서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결합수단으로 상기 용접링(200)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용접링(200)은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결합부위에서 이탈되지 말아야 하며,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향상된 브레이징 구조를 가지면서 견고하게 결합될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접링(200)은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에 상응하도록 단면이 원형인 것을 말아서 된 링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그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결합부위에 따라 압출된 중공파이프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된 사각형링이나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대기압 수준의 조건에서 브레이징을 하는 응축기(600)에 적용할 경우 용접링(200)에 산화피박을 제거하는 플럭스를 함께 한 용접링(200)을 사용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결합되면서 그 결합부위에 용접링(200)이 설치될 때 용접링(200)이 그 결합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체결부(120)의 상측 외주면 모서리에 안쪽으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설치홈(121)을 형성함에 따라 이러한 체결부(120)의 상측 외주면으로 탱크본체(110)의 하측 내주면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체결부(120)의 상측 외주면 모서리에 형성된 설치홈(121)과 탱크본체(110) 하측 내주면 모서리(111)가 서로 대향된 상태가 되면서 일정한 공간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공간에 용접링(200)이 설치됨에 따라 체결부(120)와 탱크본체(110)가 용접링(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링(200)이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체결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용접링(200)이 체결부(120)의 설치홈(121)과 탱크본체(110)의 모서리(111)가 이루는 공간에 설치됨에 따라 브레이징 용접과정을 통해 용접링(200)이 융융되는 과정에서 그 용융액이 체결부(120)와 탱크본체(110)의 체결부위 외부로 빠져나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 새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발생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용접부위를 균일하면서 견고하게 만들어줄 수 있어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a, 4b, 4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외경이 동일한 도 3a, 3b, 3c 와는 달리 탱크본체(110)의 외경보다 체결부(120)의 외경이 더 큰 형태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체결부(120)의 상단 내주면 모서리에 설치홈(121)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121)과 탱크본체(110)의 외주면 모서리(111)가 이루는 공간을 이용하여 용접링(200)을 설치한 후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가 용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이 체결부(120)의 내경이 탱크본체(110)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면 체결부(120)로 체결되는 부품의 조립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를 구성하는 탱크본체와 체결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탱크본체와 체결부의 결합부위를 용접링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결합작업에 따른 공정의 단축 및 작업성의 향상으로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불량을 방지하고, 탱크본체와 체결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냉매입구(112)와 냉매출구(122)가 응축기(600)의 일측 헤더파이프(610)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를 밀봉캡(130)이 결합되는 체결부(120)와 탱크본체(110)로 분리시켜 형성한 후 상기 체결부(120)와 탱크본체(110)를 접합하여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0)의 상측 외주면 모서리에 안쪽으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설치홈(121)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121)과 탱크본체(110)의 내주면 모서리(111)가 이루는 공간에 용접링(200)을 끼운 상태로 응축기(600)와 함께 브레이징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입구(112)는 탱크본체(110)에 형성하고, 상기 냉매출구(122)는 체결부(120)에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은 냉매출구(112)와 냉매입구(122)에 끼워지도록 상하 연결부(310)(3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연결관(300)으로 형성한 후 일측 연결부의 코킹에 의해 탱크본체(110)와 체결부(120)의 가조립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응축기(600)와 함께 브레이징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KR20-2004-0026990U 2004-09-20 2004-09-20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KR200369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90U KR200369548Y1 (ko) 2004-09-20 2004-09-20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90U KR200369548Y1 (ko) 2004-09-20 2004-09-20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548Y1 true KR200369548Y1 (ko) 2004-12-08

Family

ID=4944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990U KR200369548Y1 (ko) 2004-09-20 2004-09-20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5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68B1 (ko) * 2007-11-02 2010-01-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응축기 일체형 리시버드라이어
KR20200020043A (ko) * 2018-08-16 2020-02-26 유강 자동차용 응축기 헤더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68B1 (ko) * 2007-11-02 2010-01-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응축기 일체형 리시버드라이어
KR20200020043A (ko) * 2018-08-16 2020-02-26 유강 자동차용 응축기 헤더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조립체
KR102189062B1 (ko) 2018-08-16 2020-12-09 유강 자동차용 응축기 헤더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71095A (ja) 冷却剤用受け器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US20080148569A1 (en) Receiver tank for a cond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179780A (en) Universal seamless receiver-dehydrator assembly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1033121A (ja) 受液器一体型熱交換器、および受液器
KR200369548Y1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US20090200756A1 (en) Seal structure
JP3491957B2 (ja) 配管接続継手
KR100951035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KR20100025185A (ko) 리시버 드라이어 캡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KR100524879B1 (ko) 응축기 시스템 및 그 가공방법
KR101851659B1 (ko) 차량용 냉매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캡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101513930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 결합구조 및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KR20030076022A (ko) 냉동 공조용 수액기와 그 제조 방법
KR100537225B1 (ko) 에어컨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장착물의 설치구조 및설치방법
JP2002107009A (ja) 受液器のフィルタ保持構造
KR102379146B1 (ko) 냉동사이클 파이프의 벌징구조
KR100397045B1 (ko) 컨덴서 일체형 리시버드라이어 조립방법 및 그리시버드라이어
JPH042383Y2 (ko)
JP2007046798A (ja) 気液分離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37222B1 (ko)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JPH10197105A (ja) リキッドタンクの取付構造
KR101511966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CN113182719A (zh) 一种新型过滤网一体式干燥罐及生产工艺
KR101396471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부 결합구조
KR200205883Y1 (ko) 냉방기의 어큐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