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35B1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35B1
KR100951035B1 KR1020080044243A KR20080044243A KR100951035B1 KR 100951035 B1 KR100951035 B1 KR 100951035B1 KR 1020080044243 A KR1020080044243 A KR 1020080044243A KR 20080044243 A KR20080044243 A KR 20080044243A KR 100951035 B1 KR100951035 B1 KR 10095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lter
improved structure
coupling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448A (ko
Inventor
이석민
Original Assignee
대한냉열공업 (주)
대한공기(주)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냉열공업 (주), 대한공기(주),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대한냉열공업 (주)
Priority to KR102008004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1Reduction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사이클의 응축기와 팽창밸브를 연결하는 헤더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대한 것으로, 특히 단조 성형되는 바디의 선단 측부에 별도로 제작되는 브라켓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구를 형성하고, 상기한 브라켓에는 필터를 결합 형성하여 이를 단일의 바디에 직접 결합하여 완성함에 따라, 단일체로 된 바디 상에 필터를 갖는 브라켓을 직접 체결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비해 감소된 부품수는 물론 후가공 공정이 크게 단축되므로 뛰어난 생산성은 물론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바디와 브라켓의 결합을 위한 브레이징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브레이징 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으로 인한 기업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냉각사이클, 응축기, 팽창밸브, 리시버 드라이어, 바디, 필터, 브라켓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Receiver dryer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냉각 사이클의 응축기와 팽창밸브를 연결하는 헤더파이프 상에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대한 것으로, 특히 단조 성형되는 단일의 바디를 직접 가공하여 필터를 갖는 브라켓을 고정 형성하고, 그 바디의 개방측에는 캡과 오링에 의해 밀폐시킴으로써, 리시버 드라이어의 제조 공정을 크게 줄이면서도 부품수를 감소시켜 뛰어난 생산성을 확보하면서도, 불량요인 및 불량률을 크게 줄여 매우 안정적인 생산품질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 사이클은 압축기(Compressor)와 응축기(Condensor) 및 건조기(Receiver Drier)와 팽창밸브 및 증발기(Evaporator)로 이루어져 있어 냉매가 이들을 순환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예컨데, 자동차의 엔진 동력을 이용하는 압축기에서 냉매가스를 압축시키면 압축된 가스는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와 동일하게 생긴 방열판인 응축기로 보내져 뜨거운 열을 뿜어내고 다시 액체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에 그 냉매는 건조기로 들어가 불순물을 제거한 뒤 팽창밸브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된 증발기로 들어가 냉매가 증발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외부의 열을 빼앗아 차가워진 증발기의 표면에 송풍을 하여 열 교환된 공기를 이용하여 찬바람을 자동차의 실내로 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리시버 드라이어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응축기에서 응축한 액을 일시 저장하면서 증발기 내에서 소요되는 만큼의 냉매만을 팽창밸브로 보내주게 되는 일종의 안전장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냉매의 저장을 필요로 하는 모든 냉동 공조 시스템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리시버 드라이어는 냉각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에 먼지나 금속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면 팽창밸브가 작동하지 않게 되어 응축기의 손상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며, 냉매 중의 수분은 팽창밸브의 오리피스를 동결시켜 불량을 일으키게 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시버 드라이어는 필터와 건조제 및 흡상관을 갖춘 구조로 냉각 사이클 내의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여 순수한 액화 냉매만을 팽창밸브로 보내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는 필수 구성 요소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시버 드라이어는 통상적으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압출 성형된 하부탱크(110)와 단조 성형된 상부탱크(120)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한 하부탱크(110)에는 필터(111)가 결합된 캡(112)이 조립되며, 그 하부탱크(110)의 측부에는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유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유입공(113)과 배출공(114)이 각각 관통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하부탱크(110)를 우선하여 압출 성형한 후, 그와 같은 압출 성형물에 확장가공과 나사선 가공 및 외면홈 가공, 절취부 가공, 모따기 가공 및 천공가공 등을 수행하여 구비하고, 이와 동시에 단조 성형된 상부탱크(120)의 개방측에는 하부탱크(110)가 결합되기 위한 삽입부 확장가공 공정을 각기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후처리공정이 종료된 상태의 하부탱크(110)와 상부탱크 (120)를 구비한 후, 별도의 필터(111)를 캡(112)의 하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캡(112)을 하부탱크(110)의 나사부에 결합하여 조립하고, 이와 같은 상태의 하부탱크(110)의 일단은 상부탱크(120)의 삽입부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이들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를 브레이징하여 접합하는 최종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헤더파이프에 상기한 하부탱크(110)의 유입공(113)과 배출공(114)을 각각 브레이징에 의해 연결하여 장착하게 되면, 응축기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냉매 속의 이물질이나 수분 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부탱크의 용량에 따라 팽창밸브로 제공되는 냉매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기와 같이 하부탱크의 압출 성형 및 상부탱크의 단조 성형이 불가피하므로 그에 따른 금형비와 생산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원가의 부담은 물론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극히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하부탱크의 경우 확장공정 및 나사산 공정과 모따기 공정 및 절취공정, 천공공정 등 압출 성형품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후가공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생산시간의 과다는 물론 다단계의 후가공 공정에 의한 제품의 불량요인이 매우 높아지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하부탱크와 상부탱크의 조립 후 이들을 밀봉하기 위한 브레이징 결합시에도 하부탱크의 단부 전체와 상부탱크의 대응 단부 전체가 고르고 일정하게 접합되어야 고도의 수밀성이 유지되므로 그에 따른 정밀하고 안정된 접합성을 요구하게 되어 생산성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단조 성형되는 바디의 선단 측부에 별도로 제작되는 브라켓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구를 형성하고, 상기한 브라켓에는 필터를 결합 형성하여 이를 단일의 바디에 직접 결합하여 완성함에 따라, 단일체로 된 바디에 의한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리시버 드라이 어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의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함에 본 발명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는, 단일체로 된 바디 상에 필터를 갖는 브라켓을 직접 체결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비해 감소된 부품수는 물론 후가공 공정이 크게 단축되므로 뛰어난 생산성은 물론 우수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바디와 브라켓의 결합을 위한 브레이징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브레이징 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으로 인한 기업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리시버 드라이어는 단조 성형된 바디(10)를 구비하여 그 일단이 개방된 개구부(11)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바디(10)의 선단 일측에는 내,외를 관통시키는 삽입부(12)를 형성 하여 이에 냉각사이클 상의 헤더파이프(62)와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30)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고, 상기한 개구부(11)에는 그 바디(10)를 밀폐시키기 위한 캡(20)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디(10)의 개구부(11)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13)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바디(10)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된 확장홈부(14)를 형성하여, 상기한 개구부(11)를 통해 캡(20)을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그 캡(20)의 하단은 상기한 걸림턱부(13)에 의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확장홈부(14) 내에 별도의 스냅링(50)을 끼워넣으면 그 캡(20)은 바디(10)의 개구부(11)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캡(20)의 외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링(21)이 삽입되어 있어 바디(10)와 캡(20)의 기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브라켓(30)은 압출 성형하여 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측으로는 파이프연결부(33)(3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결합보강부(34)(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결합보강부(34)(34') 내측으로는 서로 대향된 슬라이딩홈(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브라켓(30)에는 횡방향으로 관통의 유입구(31)와 배출구(32)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유입구(31)를 통해서는 응축기(60)와 연결된 헤더파이프(62)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고 상기한 배출구(32)를 통해서는 바디(10) 내의 냉매를 헤더파이프(62)를 통해 팽창밸브(61)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파이프연결부(33)(33')는 상기한 바와 같은 헤더파이프(62)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한 결합보강부(34)(34')는 그 브라켓(30)을 바디(10)의 삽입부(12)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이들을 브레이징 결합하는 경우 그 결합보강부(34)(34')가 바디(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들 바디(10)와 브라켓(30)의 결합 및 기밀력이 우수하도록 연장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브라켓(30)의 슬라이딩홈(35)을 이용하여 별도의 필터(4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한 필터(40)에는 외향 돌출된 플랜지부(41)가 형성되어 있어 그 플랜지부(41)를 상기한 브라켓(30)의 슬라이딩홈(35)으로 끼워넣되 그 필터(40)는 브라켓(30)의 유입구(31) 상에 일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30)에 필터(40)가 결합되면 그 브라켓(30)을 상기한 바와 같이 바디(10)의 삽입부(12)에 끼워넣은 후 이들을 서로 브레이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응축기(60)와 팽창밸브(61)를 연결하는 헤더파이프(62) 상에 상기한 브라켓(30)을 이용하여 그 바디(10)를 장착하게 되면, 응축기(60)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는 브라켓(30)의 유입구(31)를 통해 바디(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서, 그 유입구(31)에 위치한 필터(40)에 의해 각종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일반적인 리시버 드라이어와 마찬가지로 그 바디(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건조제에 의해 상기한 냉매 속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바디(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냉매는 그 브라켓(30)의 배출구(32)를 통해 팽창밸브(61)와 연결되는 헤더파이프(62)로 배출하므로 원활하게 냉매의 흐름에 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기와 같이 단일의 개체인 바디(10)에 필터(40)가 결합된 브라켓(30)을 고정 형성함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의 부품 수를 현저히 감소시킴은 물론 기밀 결합을 위한 브레이징 공정이 감소하므로 그에 따른 불량률의 저하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전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사용 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디 11 : 개구부
12 : 삽입부 13 : 걸림턱부
14 : 확장홈부
20 : 캡 21 : 오링
30 : 브라켓 31 : 유입구
32 : 배출구 33,33' : 파이프연결부
34,34' : 결합보강부 35 : 슬라이딩홈
40 : 필터 41 : 플랜지부
50 : 스냅링

Claims (5)

  1. 일측의 개구부(11)를 갖는 바디(10)를 구비하고, 그 바디(10)에는 측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삽입부(12)를 형성하며,
    상기한 바디(10)의 개구부(11) 내측에는 캡(20)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한 바디(10)의 삽입부(12)에는 필터(40)가 결합된 브라켓(30)을 삽입하여 고정하되,
    그 브라켓(30)의 중앙부에는 유입구(31)와 배출구(32)가 각각 관통되게 형성하여, 그 유입구(31) 상에 상기한 필터(40)가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30)의 일측에는 대응하여 마주하는 형태의 슬라이딩홈(35)을 형성하고, 상기한 필터(40)에는 플랜지부(41)를 형성하여, 그 필터(40)의 플랜지부(41)를 상기 슬라이딩홈(35)으로 밀어넣어 서로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30)의 일측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파이프연결부(33)(33')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30)의 양측에는 바디(1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한 결합보강부(34)(34')를 돌출 형성하여, 이들 결합보강부(34)(34')에 의해 바디(10)와의 브레이징 결합시 그 기밀성이 향상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5. 제 1항에 있어서,
    바디(10)의 개구부(11)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한 걸림턱부(13)와 확장홈부(14)를 각각 형성하여, 외면에 오링(21)이 삽입된 캡(20)이 그 걸림턱부(13)에 의해 삽입 안치되게 하고, 상기한 확장홈부(14)에는 스냅링(50)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한 캡(20)이 걸림턱부(13)와 스냅링(50)에 의해 위치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KR1020080044243A 2008-05-14 2008-05-1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KR10095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243A KR100951035B1 (ko) 2008-05-14 2008-05-1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243A KR100951035B1 (ko) 2008-05-14 2008-05-1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448A KR20090118448A (ko) 2009-11-18
KR100951035B1 true KR100951035B1 (ko) 2010-04-05

Family

ID=4160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243A KR100951035B1 (ko) 2008-05-14 2008-05-14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52383U (zh) 2010-11-17 2011-06-01 浙江三花汽车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热交换器及其贮液器
CN104236182B (zh) * 2013-06-19 2017-07-2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贮液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972A (ja) 1999-04-12 2000-10-24 Nippon Light Metal Co Ltd 受液器
KR20030092542A (ko) * 2002-05-30 2003-12-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콘용 와식 서브쿨 콘덴서
KR200430670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구조
KR200430671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972A (ja) 1999-04-12 2000-10-24 Nippon Light Metal Co Ltd 受液器
KR20030092542A (ko) * 2002-05-30 2003-12-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콘용 와식 서브쿨 콘덴서
KR200430670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구조
KR200430671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448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143B2 (en) Double pipe containment structure
JP3925158B2 (ja) 冷媒凝縮器
US8959948B2 (en) Receiver dryer
US20080148569A1 (en) Receiver tank for a cond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033121A (ja) 受液器一体型熱交換器、および受液器
EP1860390A2 (en)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ng cycle
KR100951035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JP2000074528A (ja) サブクールシステムコンデンサ
JP3491957B2 (ja) 配管接続継手
KR100538746B1 (ko) 수액기
CN113665316A (zh) 同轴管、汽车空调系统及车辆
KR20100025185A (ko) 리시버 드라이어 캡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KR100371934B1 (ko) 차량용 냉매 리시버 드라이어 어세이용 탱크 성형방법
KR20070081324A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의 구조
KR200199139Y1 (ko) 개폐밸브 장착된 열교환기
KR100524879B1 (ko) 응축기 시스템 및 그 가공방법
KR102189062B1 (ko) 자동차용 응축기 헤더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조립체
KR101513930B1 (ko) 리시버드라이어의 필터 결합구조 및 리시버드라이어의 제조방법
KR200321455Y1 (ko) 수액기
KR10144811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냉매 파이프의 연결구조
JP2009168313A (ja) 熱交換器
KR10052824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1458457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냉매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KR100450122B1 (ko) 에어콘용 서브쿨 콘덴서
KR20030076022A (ko) 냉동 공조용 수액기와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