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222B1 -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222B1
KR100537222B1 KR10-2003-0086367A KR20030086367A KR100537222B1 KR 100537222 B1 KR100537222 B1 KR 100537222B1 KR 20030086367 A KR20030086367 A KR 20030086367A KR 100537222 B1 KR100537222 B1 KR 10053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desiccant
mesh filter
air conditioner
desiccan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538A (ko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호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일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일정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38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2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fixation of the receiver to the hea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부직포만으로 된 자루형 건조제용기는 밀봉캡과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량 진동 등에 심하게 흔들리면서 일 부위가 터지는 경향이 있고, 프라스틱사출형 건조제용기는 밀봉캡과 일체로 설치되기는 하지만 용기몸체의 구멍을 통해 미세한 건조제 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어 심각한 에어컨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봉캡(120)과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건조제 용기를 구성할 때 일측 끝단에 메쉬필터(110)와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214)가 돌출되어 있는 가소성 프라스틱 재질의 스틱(210)과; 양단 개구부 중 일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틱(210)에 끼운 다음 내부에 건조제를 채워 넣음과 아울러 양단 개구부가 상기 스틱(210)에 초음파 또는 고주파 또는 진동 또는 열선으로 상호 융착되어 일체형으로 밀봉 고정되는 부직포 자루(220);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건조제의 미세한 분말가루는 부직포 자루에 의해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없고, 건조제가 봉입되는 부직포 자루는 스틱에 부착되어 흔들리지 않으므로 에어컨 고장률을 줄이고 저가격 및 고품질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Desiccant receptacle of receiver drier tank for ca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응축기와 일체로 브레이징되는 리시버탱크 내부에 건조제 용기를 설치할 때 그 건조제의 미세한 분말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에어컨의 고장률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냉방장치인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를 일시 저장하면서 팽창밸브로 순환시키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수액기 탱크), 순환되는 냉매로 차량 실내의 공기온도를 낮추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는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입구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통과시켜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냉매를 액화시킨 다음 일측에 설치된 수액기 탱크로 액화된 냉매를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수액기 탱크)는 응축기에서 유입된 액화 냉매를 일시 저장하면서 부직포에 봉입된 건조제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냉매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 제거한 다음 완전 액화된 냉매만 응축기의 튜브를 통해 과냉각시켜 팽창밸브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수액기 탱크)로부터 완전 액화된 냉매를 받는 팽창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순환시켜 차량의 실내 공기온도를 낮추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1 은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가 응축기의 헤더파이프에 일체로 브레이징 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응축기(30)의 각 냉매 튜브를 연결하는 양쪽 헤더파이프(31)(34)중 일측 헤더파이프(31)에는 냉매입구(32)와 냉매출구(33)가 구획 형성되어 있고, 타측 헤더파이프(34)에는 냉매 출/입구용 연결관(35)(36)에 의해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가 브레이징되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는 통상 원통형 관체로 만들어지며, 그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의 일측 개방부에는 냉매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메쉬필터(21)의 탈착 및 교환을 위해 나사결합식 또는 나선부 없이 강제 삽입되는 밀봉캡(20)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밀봉판(22)을 일체로 용접하여 내부의 기밀성이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의 내부에는 에어컨 냉매 및 압축기 오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냉방성능 향상 및 동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부품으로 내부에 건조제가 담겨져 봉입 포장된 건조제용기를 설치하는데, 종래에 사용되어온 건조제 용기는 주로 부직포 자루형 건조제용기(40) 또는 프라스틱 사출형 건조제용기(50)로 구분된다.
이 중 부직포(Non-woven) 를 이용하여 자루형으로 만들어진 부직포 자루형 건조제용기(40)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끝단이 개방되도록 만들어진 자루 형태의 부직포(Non-woven) 용기로서 그 개방부를 통해 건조제를 채워 넣은 후 개방된 끝단을 융착하여 밀봉시킨 것이다.
이러한 부직포 자루형 건조제용기(40)는 도 2b 와 같이 밀봉캡(20)과 분리된 상태에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차량 진동 및 에어컨 냉매 유동에 따라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 내부에서 상당히 흔들리게 되며, 이로 인해 부직포로된 건조제용기(40) 일 부위에 구멍이 뚫리거나 찢어지는 등 파손되면 건조제 유출로 인한 품질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프라스틱사출형 건조제용기(50)는 도 3 에서와 같이 밀봉캡(20)과 조립된 상태로 탱크 내부에 설치되므로 이는 상기 부직포 자루형 건조제용기(40)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라스틱사출형 건조제 용기(50)는 내부에 채워진 건조제가 냉매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를 사출 성형할 때 그 몸체 주면에 다수의 구멍(51)(52)을 형성한다.
이는 주행시의 차량 진동 등으로 인해 프라스틱사출형 건조제 용기(50) 내의 건조제들이 서로 마찰되면 건조제에서 미세한 분말형태의 가루가 발생되며, 이러한 건조제 분말가루는 상기 건조제 용기(50)에 형성된 구멍(51)(52)을 통하여 쉽게 외부로 유출된 다음 냉매와 함께 메쉬필터(21)를 향하게 된다.
이때 미세한 건조제 입자가 냉매와 함께 메쉬필터(21)마저 통과할 경우 팽창밸브의 오리피스관이 막힘으로 인해 심각한 에어컨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이면서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51)(52)이 성형되도록 프라스틱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비는 고가이므로 설비비 부담이 크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와 일체로 브레이징되는 리시버탱크 내부에 건조제용기를 설치할 때 그 건조제의 미세한 분말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에어컨의 고장률을 줄이고 저가격 및 고품질을 달성할 수 있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의 건조제 용기가 설치된 응축기 시스템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고, 도 5a 는 본 발명의 건조제 용기를 구성하는 스틱과 부직포 자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b 및 5c 는 그 스틱과 부직포 자루로 건조제 용기를 만드는 과정을 보인 횡단면도 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 중 응축기(130)의 일측 헤더파이프(134)와 일체로 브레이징되어 연결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건조제 용기와 메쉬필터(110) 및 밀봉캡(120)을 일체로 하여 설치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메쉬필터(110) 및 밀봉캡(120)과 일체로 설치되는 건조제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쪽에는 융착용 평면부(211a)(211b)가 두곳 이상 형성되고, 일측 끝단 외주면에는 탱크(100) 내벽보다 1mm 이내의 작은 직경으로 된 날개부(212)가 2개 이상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메쉬필터(110)와 체결시키기 위한 결합부(214)가 돌출 형성되는 가소성 프라스틱 재질의 스틱(210)과;
양단(221a)(221b)이 개구된 상태에서 일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틱(210)에 끼워진 다음 내부에 건조제를 채워 넣음과 아울러 양단(221a)(221b)의 개구부가 상기 스틱(210)의 평면부(211a)(211b)에 융착되어 밀봉 고정되는 부직포 자루(2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건조제 용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단계(스틱과 부직포 자루의 성형 준비단계)
가소성 프리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스틱(210)을 준비하는데, 이때 상기 스틱(210)은 도5a 와 같이 하기의 부직포 자루와 융착 가능한 재질이며, 표/이면 양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평면부(211a)(211b) 형상이 양쪽으로 2곳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211a)(211b)는 부직포 자루(220)가 융착되는 부분으로서 부직포 자루(220)와의 융착 강도 및 융착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표/이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틱(210)의 기둥 외주면에는 도5a 및 도6b 와 같이 내구성 및 강도를 좋게 하기 위해 보강살(리브)(213)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틱(210)의 한쪽 끝부분에는 도5a 및 도6b 와 같이 2곳 이상이 탱크(100) 내경에 지지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스틱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날개부(212)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212)는 스틱(210)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개체로 만든 후 스틱(210) 끝단에 결합되게 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틱(210)의 다른쪽 끝단은 도7a 및 도8a 에서와 같이 메쉬필터(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214)로 형성되어 있으며, 메쉬필터(110)는 중앙에 상기 결합부(214)가 끼워져 관통되는 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틱(210)의 결합부(214)를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결합하는 수단은 여러가지가 있다. 즉, 도7a 및 7b 와 같이 나사부(216a)로 형성되어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끼워진 후 너트(215)로 체결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도8a 및 8b 와 같이 나사부 없이 그대로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끼운 후 돌출된 부위 끝단을 헤드형 형상(216b)으로 융착 성형하여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틱(210)의 결합부(214)는 도9a 및 도9b 와 같이 절결부(218)에 의해 구경이 신축되면서 상단에 결합홈(219)이 구비된 스냅부(217)를 두어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상기 스냅부(217)가 끼워져 록킹되는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스틱(210)의 결합부(214)는 위 3가지 타입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외의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10a 및 도10b 에서와 같이 상기 메쉬필터(110)의 하단은 절결부(112)에 의해 구경이 신축되는 스냅부(113)로 형성되고, 밀봉캡(120) 내면에는 상기 메쉬필터(110)의 스냅부(113)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턱(121)이 구비된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록킹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틱(210)에 끼울 수 있도록 양단(221a)(221b)에 개구부가 형성된 부직포 자루(220)를 준비하며, 상기 자루(220)를 이루는 부직포(non-woven)는 양모 원단과 같이 건조제의 미세한 가루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자루(220)는 일정 형상으로 재단된 소재를 장방향으로 접어 맞닿은 한 면을 융착하여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만들어진 자루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 자루(220)와 스틱(210)은 서로 융착 가능하면서 그 융착 강도를 좋게 하기 위해 부직포 자루(220)와 프라스틱 재질의 스틱(210)은 20% 이상 같은 재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융착방법은 초음파, 고주파 또는 진동 또는 열선에 의한 열융착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2단계(스틱과 부직포자루의 결합단계)
도5a 와 같이 스틱(210)을 양단(221a)(221b)이 개방된 부직포 자루(220)에 끼워 관통시킨 후 도5b 와 같이 부직포 자루(220)의 일측 개구부(221a)를 스틱 (210) 한쪽의 평면부(211a) 양면에 대고 융착시킨다. 이때 부직포 자루(220)의 다른 한쪽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그 개방된 부분을 통해 규정량의 건조제를 봉입한다.
건조제 봉입후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 자루(220)의 개방된 타측단(221b)를 스틱(210)의 평면부(211b)에 융착하면 도5c 와 같이 부직포 자루(220)는 내부에 건조제가 봉입된 상태에서 밀봉된 상태가 되므로 건조제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제3단계(스틱어세이와 매쉬필터의 조립단계)
상기 완성된 건조제가 담긴 부직포 자루(220)의 양단(221a)(221b)이 스틱에 융착되어 일체화 된 스틱어세이부품(이하 스틱어세이 라 칭함)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매쉬필터(110)에 끼워 조립한다.
즉, 스틱어세이의 밑으로 돌출된 끝단의 결합부(214)를 사출 성형된 메쉬필터(110)의 내면 중앙에 형성한 홀(111)에 끼운 후 도7a 와 같이 상기 결합부(214)가 나사부(216a)로 된 경우는 너트(215)로 체결하여 메쉬필터(110)와 일체로 고정시키고, 도8a 와 같이 상기 결합부(214)에 나사부 성형이 없는 타입인 경우는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끼운 후 결합부(214) 끝단을 헤드형 형상(216b)으로 열융착 성형하여 메쉬필터(110)와 일체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결합부(214)가 도9a 와 같이 절결부(218)에 의해 구경이 신축되면서 상단에 결합홈(219)이 구비된 스냅부(217)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스냅부(217)를 상기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밀어끼우기만 하면 그 스냅부(217) 상단의 결합홈(219) 부위가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끼워져 걸리면서 록킹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다고 할 수 있다.
제4단계(필터와 밀봉캡의 조립단계)
상기 스틱어세이와 결합된 메쉬필터(110)의 하단에 밀봉캡을 끼워 일체로 조립한다. 즉, 메쉬필터(110)의 하단에는 스냅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밀봉캡(120) 내면에는 상기 스냅부(113)가 끼워져 걸리는 결합홈(122)과 걸림턱(121)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록킹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쉬필터(110)의 하단에 밀봉캡(120)을 손쉽게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건조제가 담긴 부직포 자루(220)와 스틱(210)이 일체로 결합되어 스틱어세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메쉬필터(110) 및 밀봉캡(120)과 하나로 된 건조제 용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제 용기는 건조제가 담긴 부직포 자루의 양단이 스틱의 평면부에 융착되어 밀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스틱의 일단은 메쉬필터 및 밀봉캡과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결합되고, 스틱의 타단은 날개부에 의해 사방이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내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되므로 주행중의 차량 진동 등이 가해져도 건조제가 충진된 부직포 자루가 종래처럼 유동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부직포만으로 된 건조제 용기에서 발생되는 부직포 터짐 등에 의한 건조제 유출의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건조제 용기와 밀봉캡을 탱크에 각각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 자루속의 건조제가 서로 마찰되면서 미세한 건조제분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부직포 자루는 양모 원단과 같이 건조제의 미세한 가루를 양호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프라스틱 건조제용기에서 미세 분진가루가 유출됨으로 인해 빌생하는 에어컨시스템의 오리피스 막힘 등의 품질문제와 고가의 사출금형비 등의 단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틱은 막대형으로 사출되는 것이므로 금형비가 저렴하고, 스틱과 메쉬필터의 결합 및 메쉬필터와 밀봉캡의 결합이 보다 신속 간편하며, 건조제가 채워진 부직포용기와 필터 및 밀봉캡이 하나로 된 건조제 용기이므로 조립 작업성이 좋아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한 원가절감으로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의 건조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부직포형 건조제 용기를 넣고 필터가 결합된 밀봉캡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a 는 종래의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부직포형 건조제 용기를 넣고 밀봉캡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2b 는 종래의 부직포형 건조제 용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종래의 프라스틱 사출되어 필터 및 밀봉캡과 일체로 된 건조제 용기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건조제 용기가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일부 단면하여 보인 정면도
도 5a 는 본 발명의 스틱과 부직포 자루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b, 5c 는 본 발명의 건조제용기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횡단면도
도 6a 는 도 5a 의 A-A선 단면도
도 6B 는 도 5a 의 B-B선 단면도
도 7a, 7b 는 본 발명의 스틱어세이와 메쉬필터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짐을 일례로 보인 일부 횡단면도
도 8a, 8b 는 본 발명의 스틱어세이와 메쉬필터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횡단면도
도 9a, 9b 는 본 발명의 스틱어세이와 메쉬필터가 결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횡단면도
도 10a, 10b 는 본 발명의 스틱어세이와 메쉬필터 및 밀봉캡이 일체로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일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시버드라이어 탱크 110 : 메쉬필터
111 : 홀 112, 218 : 절결부
113, 217: 스냅부 120 : 밀봉캡
121 : 걸림턱 130 : 응축기
210 : 스틱 211a,211b: 평면부
212 : 날개부 214 : 결합부
216a: 나사부 216b: 헤드형 형상
219 : 결합홈 220 : 부직포 자루

Claims (7)

  1. 응축기(130)의 일측 헤더파이프(134)와 일체로 브레이징되어 연결된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메쉬필터(110) 및 밀봉캡(120)과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건조제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 끝단에 메쉬필터(110)와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214)가 돌출되어 있는 가소성 프라스틱 재질의 스틱(210)과;
    양단(221a)(221b) 개구부 중 일측 개구부(221a)를 통해 상기 스틱(210)에 끼워진 다음 내부에 건조제를 채워 넣음과 아울러 양단 개구부(221a)(221b)가 상기 스틱(210)에 초음파 또는 고주파 또는 진동 또는 열선으로 상호 융착되어 일체형으로 밀봉 고정되는 부직포 자루(2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자루(220)와 프라스틱 재질의 스틱(210)은,
    서로 융착 가능하도록 20% 이상 같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210)은,
    양쪽에 융착용 평면부(211a)(211b)를 두곳 이상 형성하여 부직포 자루(220)의 양단(221a)(221b) 개구부가 상기 양쪽의 평면부(211a)(211b)에 융착되게 하고, 스틱(210)의 일측 끝단 외주면에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날개부(212)를 2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210)의 날개부(212)는,
    리시버드라이어 탱크(100)의 내벽보다 1mm 이내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12)는,
    스틱(210)과 별개로 만들어진 후 스틱(210)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210)의 결합부(214)는,
    나사부로 형성되어 밀봉캡(120)과 결합되는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끼워진 후 너트(215)로 체결되는 타입;
    또는 나사부 없이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끼워진 결합부(214) 끝단을 헤드형 형상(216)으로 융착 성형하여 결합시키는 타입;
    또는 절결부(218)에 의해 구경이 신축되면서 상단에 결합홈(219)이 구비된 스냅부(217)를 두어 메쉬필터(110)의 홀(111)에 상기 스냅부(217)가 끼워져 록킹되는 타입;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필터(110)와 밀봉캡(120)의 결합수단으로,
    메쉬필터(110)의 하단은 절결부(112)에 의해 구경이 신축되는 스냅부(113)로 형성하고, 밀봉캡(120) 내면에는 상기 메쉬필터(110)의 스냅부(113)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턱(121)이 구비된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록킹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KR10-2003-0086367A 2003-10-21 2003-12-01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KR100537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3541 2003-10-21
KR1020030073541 2003-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38A KR20050038538A (ko) 2005-04-27
KR100537222B1 true KR100537222B1 (ko) 2005-12-16

Family

ID=3724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367A KR100537222B1 (ko) 2003-10-21 2003-12-01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2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38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6118B2 (en) Cap for hermetically sealing receiver driers
JP2560195B2 (ja) レシーバー乾燥器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H09324962A (ja) 受液器一体型凝縮器
JPH11101532A (ja) レシーバタンク
US5201792A (en) Accumulator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3536932A (ja) 自動車空調装置用レシーバードライヤー
US6474098B2 (en) Integrated condenser-receiver desiccant bag and associated filter cap
KR100537222B1 (ko) 자동차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건조제 용기
JP2001263869A (ja) リキッドタンク
KR100649591B1 (ko) 자동차 에어컨의 리시버드라이어용 건조제 용기
JP2004069272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WO1997033129A1 (en) Air conditioner receiver dr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438991B1 (en) Integrated U-tube and adsorbent unit
KR100687307B1 (ko) 어큐물레이터
KR101284425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KR200369548Y1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구조
KR101655468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KR200419179Y1 (ko) 수액기용 필터 캡
WO2006016761A1 (en) Cap for hermetically sealing receiver driers
JP4014332B2 (ja) リキッドタンク
JP7049556B2 (ja) 受液器、受液器の製造方法および受液器を用いたコンデンサ
KR100524879B1 (ko) 응축기 시스템 및 그 가공방법
KR100532055B1 (ko) 수액기 일체형 열교환기
EP3637023B1 (en) Heat exchanger with filter, for refrigerant fluid loop
KR101655470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