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614B1 -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614B1
KR101511614B1 KR20127015920A KR20127015920A KR101511614B1 KR 101511614 B1 KR101511614 B1 KR 101511614B1 KR 20127015920 A KR20127015920 A KR 20127015920A KR 20127015920 A KR20127015920 A KR 20127015920A KR 101511614 B1 KR101511614 B1 KR 10151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temperature
steel sheet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804A (ko
Inventor
노부유키 이시카와
아키히코 다니자와
히토시 스에요시
마사유키 호리에
야스미츠 기요토
노부오 시카나이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30Finishing tubes, e.g. sizing, burni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19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by interrupted quenching
    • C21D1/20Isothermal quenching, e.g. bainitic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16Facilitating the conveyance of liquids or effecting the conveyance of viscous products by modification of their 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Abstract

강관 성형에서의 특수한 성형 조건이나, 조관(pipe making) 후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강판의 금속 조직을 최적화함으로써, 압축 강도가 높은 후육의 내사우어(sour gas resistance) 라인파이프용 강관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질량%로, C: 0.02∼0.06%, Si: 0.01∼0.5%, Mn: 0.8∼1.6%, P: 0.012% 이하, S: 0.0015% 이하, Al: 0.01∼0.08%, Nb: 0.005∼0.050%, Ti: 0.005∼0.025%, Ca: 0.0005∼0.0035%, N: 0.0020∼0.0060%를 함유하고, C(%)-0.065 Nb(%)가 0.025 이상으로, CP값이 0.95 이하, Ceq값이 0.28 이상이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관이고,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분율: 80% 이상, 섬(島) 형상 마르텐사이트의 분율: 2% 이하, 베이나이트의 평균 입경: 5㎛ 이하인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이다.

Description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ELDED STEEL PIPE FOR LINEPIPE HAVING HIGH COMPRESSIVE STRENGTH AND EXCELLENT SOUR GAS RESISTANCE}
본 발명은, 원유(crude oil)나 천연 가스(natural gas) 등의 수송용의 내(耐)사우어 성능(sour gas resistance)이 우수한 라인파이프(linepip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내콜랩스 성능(collapse resistant performance)이 요구되는 후육(厚肉;heavy wall thickness)의 심해용 라인파이프(line pipe for deep sea)에의 사용에 적합한 높은 압축 강도(high compressive strength) 및 내사우어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 강도(compressive strength)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압축 항복 강도(compressive yield strength) 혹은, 0.5% 압축 내력(compressive proof strength)을 말한다. 또한, 인장 항복 강도(tensile yield strength)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인장 항복 강도(tensile yield strength) 혹은, 0.5% 인장 내력을 말하고,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통상의 정의 대로 인장 시험시의 최대 응력을 말한다.
최근의 에너지 수요의 증대(increase in demand for energy)에 수반하여, 원유나 천연 가스 파이프라인의 개발이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가스전(gas field)이나 유전의 원격지화나 수송 루트의 다양화 때문에, 해양을 통과하는 파이프라인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해저 파이프라인(offshore pipeline)에 사용되는 라인파이프에는 수압(water pressure)에 의한 콜랩스(collapse;압궤)를 방지하기 위해, 육상 파이프라인(onshore pipeline)보다도 관 두께(wall thickness)가 두꺼운 것이 이용되고, 또한 높은 진원도(roundness)가 요구되지만, 라인파이프의 재질로서는 외압(external pressure)에 의해 관둘레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 of pipe)으로 발생하는 압축 응력(compression stress)에 대항하기 위해 높은 압축 강도가 필요하게 된다.
해저 파이프라인의 설계에는 DNV 규격(Det Norske Veritas standard)(OS F 101)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본 규격에서는 외압에 의한 콜랩스 압력을 결정하는 인자로서 파이프의 관경(pipe diameter)(D), 관 두께(t), 진원도(f0) 및 재료의 인장 항복 강도(tensile yield strength)(fy)를 이용하여 콜랩스 압력(collapse pressure)이 구해진다. 그러나, 파이프의 사이즈와 인장 강도가 동일하더라도, 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따라 압축 강도가 변화하는 점에서, 인장 항복 강도에는 제조 방법에 따라 상이한 계수(coefficient)(αfab)가 곱해지게 된다. 이 DNV 규격 계수는 심리스(seamless) 파이프의 경우에는 1.0 즉 인장 항복 강도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지만, UOE 프로세스(UOE forming process)로 제조된 파이프의 경우는 계수로서 0.85가 주어지고 있다. 이것은, UOE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파이프의 압축 강도가 인장 항복 강도보다도 저하되기 때문이지만, UOE 강관은 조관의 최종 공정에서 확관 프로세스(pipe expanding process)가 있어 관둘레 방향으로 인장 변형이 주어진 후에 압축을 받게 되기 때문에, 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에 의해 압축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그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내콜랩스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압축 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지만, 냉간 성형(cold forming)에서 확관 프로세스를 거쳐서 제조되는 강관의 경우는,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항복 강도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었다.
UOE 강관의 내콜랩스성 향상에 관해서는 많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허문헌 1에는 통전 가열(Joule heating)로 강관을 가열하여 확관을 행한 후에 일정 시간 이상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확관에 의해 도입된 전위(dislocation)가 제거·분산되기 때문에, 고항복점을 얻는 것이지만, 확관 후에 5분 이상 온도 유지하기 위해, 통전 가열을 계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산성(productivity)이 뒤떨어진다.
또한, 특허문헌 1과 동일하게 확관 후에 가열을 행하여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항복 강도의 저하를 회복시키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2에서는 강관 외표면을 내표면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가공 경화에 의해 상승한 내면측의 압축 항복 강도를 유지하고, 바우싱거 효과에 의해 저하한 외표면측의 압축 항복 강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Nb-Ti 첨가강의 강판 제조 공정(steel plate manufacturing process)에서 열간 압연(hot rolling) 후의 가속 냉각(accelerated cooling)을 Ar3 온도 이상에서 300℃ 이하까지 행하여, UOE 프로세스에서 강관으로 한 후에 80∼550℃로 가열을 행하는 방법이 각각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는 강관의 외표면(outer surface)과 내표면(inner surface)의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을 각각 관리하는 것은 실(實)제조상, 특히 대량 생산 공정(mass production process)에 있어서 품질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또한, 특허문헌 3의 방법은 강판 제조에 있어서 가속 냉각의 정지 온도를 300℃ 이하의 낮은 온도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강판의 왜곡(distortion)이 커져 UOE 프로세스에서 강관으로 한 경우의 진원도가 저하되고, 추가로 Ar3 온도 이상으로부터 가속 냉각을 행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압연을 행할 필요가 있어 인성(fracture toughness)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확관 후에 가열을 행하지 않고 강관의 성형 방법에 따라 압축 강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는, 특허문헌 4에 O성형(O shape forming) 시의 압축률(compression rate)을 그 후의 확관율(expansion rate)보다도 크게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의 방법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관둘레 방향의 인장 사전 왜곡(tensile pre-strain)이 없기 때문에 바우싱거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높은 압축 강도가 얻어진다. 그러나, 확관율이 낮으면 강관의 진원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져 강관의 내콜랩스 성능을 열화시키게 될 수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심(seam) 용접부와 용접부의 축 대칭부(용접부로부터 180°의 위치, 외표면측의 압축 강도가 낮은 개소)를 단점(end point)으로 하는 직경이 강관의 최대 지름이 되도록 함으로써 내콜랩스 성능을 높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의 파이프라인의 부설(pipeline construction) 시에 있어서 콜랩스가 문제가 되는 것은 해저에 도달한 파이프가 굽힘 변형(bending deformation)을 받는 부분(새그벤드부(sag bend portion))으로, 강관의 심 용접부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원주 용접(girth weld)되어 해저(sea bed)에 부설되기 때문에, 심 용접부(seam weld)의 단점이 장경(長徑;major axis)이 되도록 해도 실제상으로는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6에는 가속 냉각 후에 재가열을 행하여 강판 표층부의 경질인 제2 상(相)의 분율을 저감시키고, 추가로 표층부와 판 두께 중심부의 경도차를 작게 하고, 판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강도 분포로 함으로써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항복 응력 저하가 작은 강판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는 가속 냉각 후의 재가열 처리에 있어서 강판 중심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강판 표층부를 가열하는, 판 두께가 30㎜ 이상의 고강도 내사우어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DWTT 성능(Drop Weight Tear Test property)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강판 표층부의 경질인 제2 상의 분율이 저감되기 때문에, 강판 표층부의 경도가 저감하여 재질 불균일이 작은 강판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경질인 제2 상의 분율의 저감에 의한 바우싱거 효과의 저하도 기대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6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재가열시에 강판의 중심부까지 가열을 행할 필요가 있어, DWTT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심해용의 후육의 라인파이프로의 적용은 곤란했다.
또한, 바우싱거 효과는 결정 입경이나 고용 탄소량(amount of solid solution carbon) 등, 여러가지 조직 인자(microstructure factor)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특허문헌 7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단순히 경질인 제2 상의 저감만으로는 압축 강도가 높은 강관은 얻어지지 않고, 추가로 개시되어 있는 재가열 조건에서는, 세멘타이트의 응집 조대화나 Nb나 C 등의 탄화물 형성 원소의 석출 성능 및 그들에 수반되는 고용 C의 저하에 의해, 우수한 인장 강도, 압축 강도 및 DWTT의 밸런스를 얻는 것이 곤란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4902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34263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3592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10293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34051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5696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52137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후육의 해저 파이프라인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고강도와 우수한 인성을 갖는 라인파이프로서, 강관 성형에서의 특수한 성형 조건이나, 조관(pipe making) 후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강판의 금속 조직(microstructure)을 최적화함으로써,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압축 강도가 높은 후육(heavy wall thickness)의 내사우어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들은, 우선 냉간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강관의 압축 강도와 강재의 마이크로 조직(microstructure)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조직을 갖는 강판을 이용하여, 조관 공정(pipe making step)을 모사(simulation)한 반복 재하 시험(cyclic loading test)을 행했다. 0.04% C-0.3% Si-1.2% Mn-0.28% Ni-0.12% Mo-0.04% Nb를 기본 성분으로 하는 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조직이 상이한 판 두께 38㎜의 강판을 제조했다.
도 1에 3종류의 강판의 마이크로 조직(광학 현미경 사진(optical microscope photo graph))을 나타낸다. 강판 1 및 2는 베이나이트(bainite)(「베이니틱 페라이트(bainitic ferrite)」라고도 칭함) 주체의 조직이지만, 강판 3은 입상의 페라이트(ferrite)(「폴리고날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라고도 칭함)와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는 조직이다.
도 2는 강판 1 및 2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사진이다. 강판 1은 베이나이트 주체의 조직으로, 베이나이트 입계에 근소하게 제2 상(섬(島) 형상 마르텐사이트(M-A constituent)(이하 「MA」라고도 칭하는 경우가 있음) 또는 세멘타이트(cementite))에 보이지만, 강판 2는 사진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MA)가 다수 관찰된다. 이들 강판을 이용하여, 강관의 내면측에 대응하는, 판 두께 1/4 위치의 압연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환봉 인장 시험편(round bar tensile specimen)을 채취했다. 그리고, 강관 내면의 변형을 모사한, 압축(0∼3% 왜곡)→인장(2% 왜곡) 변형을 가하여, 그 후에 압축 시험을 행하고, 압축 강도를 구했다.
도 3은 처음에 가한 압축 왜곡과 마지막 압축 시험에서 얻어지는 압축 강도(compressive yield stregth)(압축 YS)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어느 강판도 처음에 가한 압축 왜곡(compression strain)이 클수록 압축 강도도 높아져 있지만, 강판 1이 가장 높은 압축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강판 1은 반복 재하(repeated cyclic loading)에서의 하중의 반전시에 발생하는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가 작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강판 1이 폴리고날 페라이트나 MA 등의 제2 상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베이나이트 균일 조직(uniform bainite microstructure)으로서, 또한 베이나이트 입경이 작고, 근소하게 보이는 세멘타이트 등의 제2 상이 베이나이트 입계에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직 내부에서의 국소적인 전위의 집적이 억제되어, 바우싱거 효과의 원인이 되는 역 응력(back stress)의 발생이 억제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로, 바우싱거 효과의 억제에 의한 압축 강도의 향상과, 강도, 인성 및 내사우어 성능을 양립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의 실험을 시도한 결과, 이하의 인식을 얻기에 이르렀다.
1)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는 이상 계면(interface between different phases)이나 경질인 제2 상에서의 전위의 집적에 의한 역 응력(back stress)(배 응력이라고도 함)의 발생이 원인으로서, 그 방지로는, 우선 전위의 집적 장소가 되는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계면이나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MA) 등의 경질인 제2 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기 위해, 금속 조직은 연질인 페라이트상과 경질인 MA의 분율을 저감하고,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한 조직으로 함으로써,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2) 가속 냉각에 의해 제조되는 고강도 강, 특히 해저 파이프라인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후육의 강판은,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해 합금 원소(alloy elements)를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담금질성(hardenability)이 높아, MA의 생성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베이나이트 조직을 미세화하여 생성하는 MA를 미세하게 분산시켜, 추가로, 가속 냉각 후의 재가열 등에 의해 MA를 세멘타이트로 분해함으로써, 제2 상에 의한 바우싱거 효과를 저감할 수 있다.
3) 강재의 C량과 Nb 등의 탄화물 형성 원소(carbide formation elements)의 첨가량을 적정화하고, 고용 C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전위와 고용 C의 상호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하중의 반전시의 전위의 이동을 저해하여 역 응력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4) 후육의 고강도 강에서는 합금 원소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중심 편석부(center segregation portion)의 경도도 높아지고, 내HIC 성능(Hydrogen Induced Cracking resistance)이 열화된다. 그 방지를 위해서는, 중심 편석부로의 합금 원소의 농화 거동(behavior of incrassate)을 고려하여, 중심 편석부의 경도가 일정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합금 원소를 선택하여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인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1 발명은, 질량%로, C: 0.02∼0.06%, Si: 0.01∼0.5%, Mn: 0.8∼1.6%, P: 0.012% 이하, S: 0.0015% 이하, Al: 0.01∼0.08%, Nb: 0.005∼0.050%, Ti: 0.005∼0.025%, Ca: 0.0005∼0.0035%, N: 0.0020∼0.0060% 를 함유하고, C(%)-0.065 Nb(%)가 0.025 이상으로,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CP값이 0.95 이하, Ceq값이 0.28 이상이며, Ti/N이 1.5∼4.0의 범위로서,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관이며,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분율: 80% 이상,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MA)의 분율: 2% 이하, 베이나이트의 평균 입경: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
CP=4.46 C(%)+2.37 Mn(%)/6+{1.18 Cr(%)+1.95 Mo(%)+1.74 V(%)}/5+{1.74 Cu(%)+1.7 Ni(%)}/15+22.36 P(%)
Ceq=C(%)+Mn(%)/6+{Cr(%)+Mo(%)+V(%)}/5+{Cu(%)+Ni(%)}/15
제2 발명은, 추가로 질량%로, Cu: 0.5% 이하, Ni: 1.0% 이하, Cr: 0.5% 이하, Mo: 0.5% 이하, V: 0.1%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C(%)-0.065 Nb(%)-0.025 Mo(%)-0.057 V(%)가 0.0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에 기재된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
제3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기재된 성분을 갖는 강을, 950∼1200℃로 가열하고, 미재결정 온도역(no-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range)의 압하율(rolling reduction)이 60% 이상, 압연 종료 온도가 Ar3∼(Ar3+70℃)의 열간 압연을 행하고, 이어서, (Ar3-30℃) 이상의 온도로부터 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초과∼550℃까지 가속 냉각을 행함으로써 제조한 강판을 이용하여, 냉간 성형에 의해 강관 형상으로 하고, 맞댐부를 심 용접하고, 이어서 확관율이 0.4∼1.2%인 확관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제4 발명은, 강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가속 냉각에 이어서, 강판 표면 온도가 550∼720℃이고, 그리고, 강판 중심 온도가 550℃ 미만이 되는 재가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발명에 기재된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저 파이프라인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고강도와 우수한 인성을 갖고, 높은 압축 강도로 더욱 내사우어 성능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강관이 얻어진다.
도 1은 3종류의 강판의 마이크로 조직(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강판1 및 2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에 의한 조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처음에 가한 압축 왜곡과 마지막 압축 시험에서 얻어지는 압축 강도(압축 YS)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표 2 및 표 3의 No.12(강종 C)에 있어서, 확관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압축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표 2의 No.6(강종 C)의 강판으로부터 잘라낸 환봉 인장 시험편에 반복하여 재하(load)를 가함으로써, 구한 확관율 상당의 반전전 사전 왜곡과 배 응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이하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각 구성 요건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1. 화학 성분에 대해서
먼저, 본 발명의 고강도 고인성 강판이 함유하는 화학 성분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또한, 성분%는 모두 질량%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 규정된 각 화학 성분 등의 수치 범위의 다음의 자릿수의 수치는, 0이다. 예를 들면, C: 0.02∼0.06%는 C: 0.020∼0.060%, Si: 0.01∼0.5%는 Si: 0.010∼0.50%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입경 사이즈도 5㎛ 이하는, 5.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MA 등의 분율 2% 이하는, 2.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C: 0.02∼0.06%
C는, 가속 냉각에 의해 제조되는 강판의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0.02% 미만에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0.06%를 초과하면 인성 및 내HIC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C량을 0.02∼0.06%의 범위 내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0.060%이다.
Si : 0.01∼0.5%
Si는 탈산을 위해 첨가하지만, 이 효과는 0.01% 이상에서 발휘되지만, 0.5%를 초과하면 인성이나 용접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Si량은 0.01∼0.5%의 범위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35%이다.
Mn : 0.8∼1.6%
Mn는 강의 인장 강도, 압축 강도 및 인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하지만, 0.8%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1.6%를 초과하면 용접성과 내HIC 성능이 열화한다. 따라서, Mn량은 0.8∼1.6%의 범위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50%이다.
P: 0.012% 이하
P는 불가피 불순물 원소로서, 중심 편석부의 경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내HIC성을 열화시킨다. 이 경향은 0.012%를 초과하면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P량을 0.012%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로 한다.
S: 0.0015% 이하
S는 불가피 불순물 원소로서, 강 중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MnS계의 개재물이 되지만, Ca 첨가에 의해 MnS계로부터 CaS계 개재물로 형태 제어된다. 그러나 S의 함유량이 많으면 CaS계 개재물의 양도 많아져, 고강도재에서는 균열의 기점이 될 수 있다. 이 경향은, S량이 0.0015%를 초과하면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S량을 0.0015% 이하로 한다. 보다 엄격한 내HIC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는, S량을 더욱 저하하는 것이 유효하고, 바람직하게는 0.0008% 이하로 한다.
Al : 0.01∼0.08%
Al은 탈산제로서 첨가된다. 이 효과는 0.010% 이상에서 발휘되지만, 0.08%를 초과하면 청정도의 저하에 의해 연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Al량은 0.01∼0.08%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0.040%이다.
Nb : 0.005∼0.050%
Nb는, 압연시의 입성장(grain growth)을 억제하고, 미세립화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Nb량이 0.005%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없고, 0.050%를 초과하면 탄화물로서 석출하여 고용 C량을 저하시켜, 바우싱거 효과가 촉진되기 때문에 높은 압축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중심 편석부에 조대한(coarse) 미(未)고용 NbC를 생성시켜 내HIC 성능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Nb량은 0.005∼0.050%의 범위로 한다. 보다 엄격한 내HIC 성능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는, 0.005∼0.0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 0.005∼0.025%
Ti는, TiN을 형성하여 슬래브 가열시의 입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용접 열영향부의 입성장을 억제하고, 모재 및 용접 열영향부의 미세립화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Ti량이 0.005%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없고, 0.025%를 초과하면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Ti량은 0.005∼0.025%의 범위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020%이다.
Ca : 0.0005∼0.0035%
Ca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고, 연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효한 원소이지만, 0.0005%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없고, 0.0035%를 초과하여 첨가해도 효과가 포화하여, 오히려 청정도의 저하에 의해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Ca량은 0.0005∼0.0035%의 범위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0.0035%이다.
N: 0.0020∼0.0060%
N은 강 중에 불순물로서 함유되지만 C와 동일하게 강 중에 고용 원소로서 존재하면 왜곡 시효를 촉진하여,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의 방지에 기여한다. 그러나, 0.0020%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작고, 또한, 0.0060%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인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N량은 0.0020∼0.0060%의 범위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0∼0.0050%이다.
C(%)-0.065 Nb (%): 0.025 이상
본 발명은 고용 C와 전위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역 응력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바우싱거 효과를 저감하고, 강관의 압축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유효한 고용 C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일반적으로, 강 중의 C는 세멘타이트나 MA로서 석출하는 것 외에, Nb 등의 탄화물 형성 원소와 결합하여 탄화물로서 석출하고, 고용 C량이 감소한다. 이때, C 함유량에 대하여 Nb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Nb 탄화물의 석출량이 많아 충분한 고용 C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C(%)-0.065 Nb(%)가 0.025 이상이면 충분한 고용 C가 얻어지기 때문에, C 함유량과 Nb 함유량의 관계식인, C(%)-0.065 Nb(%)를 0.025 이상으로 규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8 이상이다.
C(%)-0.065 Nb (%)-0.025 Mo (%)-0.057 V(%): 0.025 이상
본 발명의 선택 원소인 Mo 및 V도 Nb와 동일하게 탄화물을 형성하는 원소로서, 이들 원소도 충분한 고용 C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C(%)-0.065 Nb(%)-0.025 Mo(%)-0.057 V(%)로 나타나는 관계식의 값이 0.025 미만에서는 고용 C가 부족하기 때문에, C(%)-0.065 Nb(%)-0.025 Mo(%)-0.057 V(%)를 0.025% 이상으로 규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8 이상이다. 또한 함유량이, 불가피 불순물 레벨의 원소(첨가하지 않는 원소)에 대해서는, 0%로 계산한다.
Ti /N: 1.5∼4.0
강 중의 N은 Ti와 결합하여 질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고용 N량은 Ti 첨가량과의 관계에서 변화한다. Ti량과 N량과의 질량%에서의 비인 Ti/N이 4.0을 초과하면, 강 중의 N이 거의 Ti질화물이 되어 고용 N이 부족하고, Ti/N이 1.5 미만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용 N량이 지나치게 많아져 인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Ti/N를 1.5∼4.0의 범위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3.50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화학 성분 외에, 이하의 원소를 선택 원소로서 첨가할 수 있다.
Cu : 0.5% 이하
Cu는, 첨가하지 않아도 좋지만, 인성의 개선과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의 상승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0%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5%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용접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Cu를 첨가하는 경우는 0.5%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이하이다.
Ni : 1.0% 이하
Ni는, 첨가하지 않아도 좋지만, 인성의 개선과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의 상승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0%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0%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용접성이 열화하고, 연속 주조시의 슬래브 표면 균열을 조장한다. 따라서, Ni를 첨가하는 경우는 1.0%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이다.
Cr : 0.5% 이하
Cr은, 첨가하지 않아도 좋지만, 인성의 개선과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의 상승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0%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5%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용접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Cr을 첨가하는 경우는 0.5%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이다.
Mo : 0.5% 이하
Mo는, 첨가하지 않아도 좋지만, 인성의 개선과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의 상승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5%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용접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Mo를 첨가하는 경우는 0.5%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이다.
V: 0.1% 이하
V는, 첨가하지 않아도 좋지만, 인성의 개선과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의 상승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0%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Nb와 동일하게 탄화물로서 석출하고 고용 C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V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0.1% 이하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 이하이다.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CP 값이 0.95 이하
CP=4.46 C(%)+2.37 Mn(%)/6+{1.18 Cr(%)+1.95 Mo(%)+1.74 V(%)}/5+{1.74 Cu(%)+1.7 Ni(%)}/15+22.36 P(%)
CP는 각 합금 원소의 함유량으로부터 중심 편석부의 재질을 추정하기 위해 고안된 식으로, CP의 값이 높을수록, 중심 편석부의 농도가 높아지고, 중심 편석부의 경도가 상승한다. 이 CP값을 0.95 이하로 함으로써 중심 편석부의 경도를 낮게 하고, HIC 시험에서의 균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P값이 낮을수록 중심 편석부의 경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더욱 높은 내HIC 성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상한을 0.9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유량이, 불가피 불순물 레벨의 원소(첨가하지 않는 원소)에 대해서는, 0%로 계산한다.
Ceq 값: 0.28 이상
Ceq=C(%)+Mn(%)/6+{Cr(%)+Mo(%)+V(%)}/5+{Cu(%)+Ni(%)}/15
Ceq는 강의 담금질성 지수로서, Ceq값이 높을수록 강재의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높아진다. Ceq값이 0.28 미만에서는 20㎜를 초과하는 후육의 강관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Ceq값은 0.28 이상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8∼0.38이다. 또한, 30㎜를 초과하는 육후의 강관에 있어서 충분히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0.3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eq가 높을수록 저온 균열 감수성이 증가하고, 용접 균열을 조장하여, 부설 선상(船上)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예열 없이 용접하기 위해, 상한을 0.42로 한다. 또한, 함유량이, 불가피 불순물 레벨의 원소(첨가하지 않는 원소)에 대해서는, 0%로 계산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강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지만, 상기 이외의 원소 및 불가피 불순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함유할 수 있다.
2. 금속 조직에 대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의 한정 이유를 이하에 나타낸다.
베이나이트 분율: 80% 이상
바우싱거 효과를 억제하고 높은 압축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연질인 페라이트상이나 경질인 제2 상이 적은 균일한 조직으로 하고, 변형시의 조직 내부에서 발생하는 국소적인 전위의 집적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베이나이트 주체의 조직으로 한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베이나이트의 분율이 80% 이상 필요하다. 또한, 높은 압축 강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베이나이트 분율을 9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MA)의 분율: 2% 이하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MA)는 매우 경질인 상이며, 변형시에 국소적인 전위의 집적을 촉진하고, 바우싱거 효과에 의해 압축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그 분율을 엄격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MA의 분율이 2% 이하에서는 그 영향이 작고 압축 강도의 저하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섬 형상 마르텐사이트(MA)의 분율을 2% 이하로 규정한다.
본 발명의 금속 조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나이트가 80% 이상이며, MA를 2% 이하로 함으로써 소정의 성능이 얻어지는 것이며, 그 이외의, 페라이트, 세멘타이트, 펄라이트 등의 금속 조직을 포함해도 좋다. 단, 바우싱거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페라이트는 20% 미만으로 하고, 베이나이트, MA 및 페라이트 이외의 세멘타이트, 펄라이트 등의 금속 조직의 분율은 합계로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나이트의 평균 입경: 5㎛ 이하
고강도 후육 강판에서는 MA 등의 경질상의 생성을 완전하게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베이나이트 조직을 미세화함으로써, 생성하는 MA나 세멘타이트를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변형시의 국소적인 전위의 집적을 완화할 수 있어, 바우싱거 효과의 저감으로 연결된다. 또한, 베이나이트립계도 전위의 집적 장소가 되기 때문에, 조직을 미세화함으로써 입계 면적을 늘려, 입계에서의 국소적인 전위의 집적을 완화할 수 있어, 역시 바우싱거 효과의 저감에 의해 압축 강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후육재로 충분한 모재 인성을 얻기 위해서도 미세한 조직이 유효하다. 그러한 효과는, 베이나이트 입경을 5㎛ 이하로 함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베이나이트의 평균 입경을 5㎛ 이하로 규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금속 조직적인 특징을 가짐으로써,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높은 압축 강도가 달성되지만, 보다 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MA의 사이즈는 미세한 것이 바람직하다. MA의 평균 입경이 작을수록, 국소적인 왜곡 집중이 분산되기 때문에, 왜곡 집중량도 적어져 바우싱거 효과의 발생이 더욱 억제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MA의 평균 입자 지름을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가속 냉각을 적용하여 제조된 강판의 금속 조직은, 강판의 판 두께 방향에서 상이한 경우가 있다. 외압을 받는 강관의 콜랩스는, 둘레 길이가 작은 강관 내면측의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이 먼저 발생함으로써 일어나기 때문에, 압축 강도로서는 강관의 내면측의 특성이 중요해지고, 일반적으로 압축 시험편은 강관의 내면측으로부터 채취한다. 따라서, 상기의 금속 조직은 강관 내면측의 조직을 규정하는 것이며, 강관의 콜랩스 성능을 대표하는 위치로서, 내면측의 판 두께 1/4의 위치의 조직으로 한다.
3. 제조 조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3 발명은, 전술한 화학 성분을 함유하는 강 슬래브를, 가열하고 열간 압연을 행한 후, 가속 냉각을 행하는 제조 방법이다. 이하에, 강판의 제조 조건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래브 가열 온도: 950∼1200℃
슬래브 가열 온도는, 950℃ 미만에서는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으며, 1200℃를 초과하면, 인성이나 DWTT 특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슬래브 가열 온도는 950∼1200℃의 범위로 한다. 더욱 우수한 DWTT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는, 슬래브 가열 온도의 상한을 1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재결정역의 압하율 : 60% 이상
바우싱거 효과를 저감하기 위한 미세한 베이나이트 조직과 높은 모재 인성을 얻기 위해서는,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미재결정 온도역에서 충분한 압하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압하율이 60% 미만에서는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미재결정역에서 압하율을 60%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으로 한다. 또한, 압하율은 복수의 압연 패스로 압연을 행하는 경우는 그 누적의 압하율로 한다. 또한, 미재결정 온도는 Nb, Ti 등의 합금 원소에 의해 변화하지만, 본 발명의 Nb 및 Ti 첨가량에서는, 미재결정 온도역의 상한 온도를 950℃로 하면 좋다.
압연 종료 온도: Ar 3 ∼( Ar 3 +70℃)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금속 조직을 베이나이트 주체의 조직으로 하고 페라이트 등의 연질인 조직의 생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 열간 압연은, 페라이트 생성 온도인 Ar3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다 미세한 베이나이트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압연 종료 온도는 낮을수록 좋고, 압연 종료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베이나이트 입경이 지나치게 커진다. 그 때문에, 압연 종료 온도의 상한을 (Ar3+70℃)로 한다.
또한, Ar3 온도는 강의 합금 성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각각의 강에서 실험에 의해 변태 온도를 측정하여 구해도 좋지만, 성분으로부터 하기식 (1)로 구할 수도 있다.
Ar3(℃)=910-310 C(%)-80 Mn(%)-20 Cu(%)-15 Cr(%)-55 Ni(%)-80 Mo(%)·····(1)
또한, 함유량이, 불가피 불순물 레벨의 원소(첨가하지 않는 원소)에 대해서는, 0%로 계산한다.
열간 압연에 이어서 가속 냉각을 행한다. 가속 냉각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냉각 개시 온도: ( Ar 3 -30℃) 이상
열간 압연 후의 가속 냉각에 의해 금속 조직을 베이나이트 주체의 조직으로 하지만, 냉각 개시 온도가 페라이트 생성 온도인 Ar3 온도를 하회하면,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혼합 조직이 되어,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강도 저하가 크고 압축 강도가 저하한다. 그러나, 가속 냉각 개시 온도가 (Ar3-30℃) 이상이면, 페라이트 분율이 낮고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강도 저하도 작다. 따라서, 냉각 개시 온도를 (Ar3-30℃) 이상으로 한다.
냉각 속도: 10℃/초 이상
가속 냉각은 고강도에서 고인성의 강판을 얻기 위해 불가결한 프로세스로서, 높은 냉각 속도로 냉각함으로써 변태 강화에 의한 강도 상승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냉각 속도가 10℃/초 미만에서는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C의 확산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변태 오스테나이트(non-transformed austenite)로 C의 농화가 일어나, MA의 생성량이 많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MA 등의 경질 제2 상에 의해 바우싱거 효과가 촉진되기 때문에, 압축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나, 냉각 속도가 10℃/초 이상이면 냉각 중의 C의 확산이 적고, MA의 생성도 억제된다. 따라서 가속 냉각시의 냉각 속도의 하한을 10℃/초로 한다.
냉각 정지 온도 : 300℃ 초과∼550℃
가속 냉각에 의해 베이나이트 변태가 진행하여 필요한 강도가 얻어지지만, 냉각 정지시의 온도가 550℃를 초과하면, 베이나이트 변태가 불충분하고, 충분한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베이나이트 변태가 완료하지 않기 때문에, 냉각 정지 후의 공냉 중에 미변태 오스테나이트로의 C의 농축이 일어나 MA의 생성이 촉진된다. 한편, 냉각 정지시의 강판 평균 온도가 300℃ 이하에서는, 강판 표층부의 온도가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 이하까지 저하하기 때문에 표층부의 MA분율이 높아져 바우싱거 효과에 의해 압축 강도가 저하한다. 또한, 표층부의 경도가 높아져, 강판에 왜곡이 발생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성형성이 열화하고 파이프에 성형했을 때의 진원도가 현저하게 열화한다. 따라서, 냉각 정지시의 온도는 300℃ 초과∼550℃의 범위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발명은, 가속 냉각 후의 강판에 재가열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지만, 이하에 그 재가열 조건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강판 표면 온도: 550∼720℃
압강판의 가속 냉각에서는 강판 표층부의 냉각 속도가 빠르고 또한 강판 내부에 비해 표층부가 낮은 온도까지 냉각된다. 그 때문에, 강판 표층부에는 MA(섬 형상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기 쉽다. 이러한 경질상은 바우싱거 효과를 촉진하기 때문에, 가속 냉각 후에 강판의 표층부를 가열하여 MA를 분해함으로써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표면 온도가 550℃ 미만에서는 MA의 분해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720℃를 초과하면, 강판 중앙부의 가열 온도도 상승하기 때문에 큰 강도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가속 냉각 후에 MA의 분해를 목적으로 재가열을 행하는 경우에는, 재가열시의 강판 표면 온도를 550∼720℃의 범위로 한다.
강판 중심 온도: 550℃ 미만
가속 냉각 후의 재가열에 의해, 표층부의 MA가 분해되어 높은 압축 강도가 얻어지지만, 강판 중앙부의 가열 온도가 550℃ 이상이 되면, 세멘타이트의 응집 조대화나 Nb, V라는 탄화물 형성 원소가 석출이 일어나, DWTT 성능이 열화하고, 추가로 고용 C의 저하에 의해 압축 강도의 저하가 일어난다. 따라서, 가속 냉각 후의 재가열에서의 강판 중심 온도는 550℃ 미만으로 한다. 가속 냉각 후의 재가열하는 수단으로서는, MA가 많이 존재하는 표층부만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가열에 의한 효과를 얻으려면 냉각 정지시의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가열시의 강판 중심 온도는 냉각 정지시의 온도보다도 50℃ 이상 높은 온도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을 이용하여 강관으로 하지만, 강관의 성형 방법은, UOE 프로세스나 프레스 벤드(press bend) 등의 냉간 성형에 의해 강관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심 용접(seam welding)하지만, 이때의 용접 방법은 충분한 이음 강도(strength of joint) 및 이음 인성(toughness of joint)가 얻어지는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이라도 좋지만, 우수한 용접 품질(weld quality)과 제조 능률(production efficiency)의 점에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댐부(seam)의 용접을 행한 후에, 용접 잔류 응력(weld residual stress)의 제거와 강관의 진원도의 향상을 위해, 확관을 행한다. 이때의 확관율은, 소정의 강관의 진원도가 얻어지며, 잔류 응력이 제거되는 조건으로서 0.4% 이상이 필요하다. 또한, 확관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바우싱거 효과에 의한 압축 강도의 저하가 커지기 때문에, 그 상한을 1.2%로 한다. 또한, 통상의 용접 강관의 제조에 있어서는, 진원도를 확보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 확관율을 0.90∼1.20%의 사이로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압축 강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는, 확관율이 낮은 편이 좋다. 도 4는, 표 2 및 표 3의 No.12에 있어서, 확관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압축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관율을 0.9% 이하로 함으로써, 현저한 압축 강도의 개선 효과가 보여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9%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8%이다. 또한, 확관율을 0.9% 이하로 함으로써, 현저한 압축 강도의 개선 효과가 보이는 이유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재의 배 응력(back stress)의 발생 거동이 저(低) 왜곡역에서 현저하게 증가하고, 그 후 1% 정도부터 증가도가 작아져, 2.5% 이상에서는 포화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표 2의 No.6(강종 C)의 강판으로부터 잘라낸 환봉 인장 시험편에 반복하여 재하를 가함으로써, 구해진 확관률 상당의 반전전 사전 왜곡과 배 응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의 강(강종 A∼K)을 연속 주조법(continuous casting process)에 의해 슬래브(slab)로 하고, 이를 이용하여 판 두께 30㎜ 및 38㎜의 후강판(No.1∼23)을 제조했다. 강판의 제조 조건 및 강관의 제조 조건, 금속 조직 및 기계적 성질 등을 각각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강판의 제조시의 재가열 처리는, 가속 냉각 설비와 동일 라인 상에 설치한 유도 가열로(induction heating furnace)를 이용하여 재가열을 행했다. 재가열시의 표층 온도는 유도 가열로의 출구에서의 강판의 표면 온도이며, 중심 온도는 가열 후의 표층 온도와 중심 온도가 거의 동일해진 시점에서의 강판 온도로 했다. 이들 강판을 이용하여, UOE 프로세스에 의해 외경 762㎜ 또는 900㎜의 강관을 제조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강관의 인장 특성(tensile property)은, 관둘레 방향의 전(全)두께 시험편을 인장 시험편으로 하여 인장 시험(tensile test)을 행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압축 시험(compression test)은 강관의 강관 내면측의 위치보다 관둘레 방향으로 직경 20㎜, 길이 60㎜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압축 시험을 행하여 압축의 항복 강도(혹은 0.5% 내력)를 측정했다. 또한, 강관의 관둘레 방향으로부터 채취한 DWTT 시험편에 의해 연성 파면율(Shear area)이 85%가 되는 온도를 85% SATT로 하여 구했다. 내HIC 특성은, pH가 약 3의 황화수소(H2S)를 포화시킨 5% NaCl+0.5% CH3COOH 수용액(통상의 NACE(National Association of Corrosion Engineers)용액)을 이용한 HIC 시험에 의해 행하고, 96시간 침지한 후, 초음파 탐상(ultrasonic inspection)에 의해 시험편 전면의 균열의 유무를 조사하여, 균열 면적률(crack area ratio)(CAR)로 그 성능을 평가했다. 여기에서, 각각의 강판으로부터 3개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HIC 시험을 행하고, 개개의 균열 면적률 중의 최대치를, 그 강판을 대표하는 균열 면적률로 했다. 금속 조직은 강관의 내면측의 판 두께 1/4의 위치에서 샘플을 채취하고, 연마 후 나이탈(nital)에 의한 에칭(etching)을 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을 행했다. 그리고, 200배로 촬영한 사진 3∼5매를 이용하여 화상 해석(image analysis)에 의해 베이나이트 분율을 구했다. 베이나이트의 평균 입경은 동일한 현미경 사진을 이용하여 선분법(line analysis)에 의해 구했다. MA의 관찰은, 나이탈 에칭 후에 전해 에칭(electrolytic etching)(2단 에칭(two-step etching))을 행하여, 그 후 주사 전자 현미경(SEM)에 의한 관찰을 행했다. 그리고, 1000배로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화상 해석에 의해 MA의 면적분율과 평균 입경을 구했다. 여기에서, MA의 평균 입경은, 화상 해석에 의해 원(円)상당 지름으로 하여 구했다.
표 2 및 표 3에 있어서, 본 발명예인 No.1~4,6~10은 모두, 화학 성분 및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 조직이 본 발명의 범위 내로서, 압축 강도가 430㎫ 이상의 높은 압축 강도이며, DWTT 특성 및 내HIC 성능도 양호했다.
한편, No.11∼18은, 화학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이지만, 제조 방법이 본 발명의 범위 외이기 때문에, 압축 강도, DWTT 특성 또는 내HIC 특성 중 어느 한쪽이 뒤떨어져 있다. No.19∼23은 화학 성분이 본 발명 외이기 때문에 내HIC 특성이 뒤떨어져 있거나, 또는 압축 강도가 부족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압축 강도를 갖고, 더욱 우수한 DWTT 특성과 내HIC 특성을 갖는 후육의 강관이 얻어지기 때문에, 높은 내콜랩스 성능이 요구되는 심해용 라인파이프, 특히 사우어 가스를 수송하는 라인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2048918669-pct00001
Figure 112015006474595-pct00011
Figure 112015006474595-pct00012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질량%로, C: 0.02∼0.06%, Si: 0.01∼0.5%, Mn: 0.8∼1.6%, P: 0초과∼0.012% 이하, S: 0초과∼0.0015% 이하, Al: 0.01∼0.08%, Nb: 0.005∼0.050%, Ti: 0.005∼0.025%, Ca: 0.0005∼0.0035%, N: 0.0020∼0.0060%를 함유하고, C(%)-0.065 Nb(%)가 0.025 이상으로,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CP값이 0.95 이하, Ceq값이 0.28 이상이며, Ti/N이 1.5∼4.0의 범위로서,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을, 950∼1200℃로 가열하고, 미(未)재결정 온도역의 압하율이 60% 이상, 압연 종료 온도가 Ar3∼(Ar3+70℃)의 열간 압연을 행하고, 이어서, (Ar3-30℃) 이상의 온도로부터 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초과∼450℃까지 가속 냉각을 행하고, 이어서, 강판 표면 온도가 550∼720℃이고 그리고, 강판 중심 온도가 550℃ 미만이 되는 재가열을 행함으로써 제조한,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분율: 80% 이상, 섬(島) 형상 마르텐사이트(MA)의 분율: 2% 이하, 베이나이트의 평균 입경: 5㎛ 이하인 강판을 이용하여, 냉간 성형에 의해 강관 형상으로 하고, 맞댐부를 심 용접하고, 이어서 확관율이 0.4∼1.2%의 확관을 행하는, 압축항복강도가 430MPa 이상이고, 강관의 두께가 30mm이상인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CP=4.46C(%)+2.37Mn(%)/6+{1.18Cr(%)+1.95Mo(%)+1.74V(%)}/5+{1.74Cu(%)+1.7Ni(%)}/15+22.36 P(%)
    Ceq=C(%)+Mn(%)/6+{Cr(%)+Mo(%)+V(%)}/5+{Cu(%)+Ni(%)}/15
  4. 질량%로, C: 0.02∼0.06%, Si: 0.01∼0.5%, Mn: 0.8∼1.6%, P: 0초과∼0.012% 이하, S: 0초과∼0.0015% 이하, Al: 0.01∼0.08%, Nb: 0.005∼0.050%, Ti: 0.005∼0.025%, Ca: 0.0005∼0.0035%, N: 0.0020∼0.0060%를 함유하고, 추가로, Cu: 0.5% 이하, Ni: 1.0% 이하, Cr: 0.5% 이하, Mo: 0.5% 이하, V: 0.1%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C(%)-0.065 Nb(%)-0.025 Mo(%)-0.057 V(%)가 0.025 이상으로,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CP값이 0.95 이하, Ceq값이 0.28 이상이며, Ti/N이 1.5∼4.0의 범위로서,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을, 950∼1200℃로 가열하고, 미(未)재결정 온도역의 압하율이 60% 이상, 압연 종료 온도가 Ar3∼(Ar3+70℃)의 열간 압연을 행하고, 이어서, (Ar3-30℃) 이상의 온도로부터 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초과∼450℃까지 가속 냉각을 행하고, 이어서, 강판 표면 온도가 550∼720℃이고 그리고, 강판 중심 온도가 550℃ 미만이 되는 재가열을 행함으로써 제조한,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분율: 80% 이상, 섬(島) 형상 마르텐사이트(MA)의 분율: 2% 이하, 베이나이트의 평균 입경: 5㎛ 이하인 강판을 이용하여, 냉간 성형에 의해 강관 형상으로 하고, 맞댐부를 심 용접하고, 이어서 확관율이 0.4∼1.2%의 확관을 행하는, 압축항복강도가 430MPa 이상이고, 강관의 두께가 30mm이상인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CP=4.46C(%)+2.37Mn(%)/6+{1.18Cr(%)+1.95Mo(%)+1.74V(%)}/5+{1.74Cu(%)+1.7Ni(%)}/15+22.36 P(%)
    Ceq=C(%)+Mn(%)/6+{Cr(%)+Mo(%)+V(%)}/5+{Cu(%)+Ni(%)}/15
KR20127015920A 2009-11-25 2010-11-25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KR101511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7256 2009-11-25
JPJP-P-2009-267256 2009-11-25
PCT/JP2010/071536 WO2011065582A1 (ja) 2009-11-25 2010-11-25 高い圧縮強度および耐サワー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溶接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658A Division KR101688082B1 (ko) 2009-11-25 2010-11-25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04A KR20120084804A (ko) 2012-07-30
KR101511614B1 true KR101511614B1 (ko) 2015-04-13

Family

ID=440666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5920A KR101511614B1 (ko) 2009-11-25 2010-11-25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KR1020157001658A KR101688082B1 (ko) 2009-11-25 2010-11-25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658A KR101688082B1 (ko) 2009-11-25 2010-11-25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81609B2 (ko)
EP (1) EP2505683B1 (ko)
JP (1) JP5561119B2 (ko)
KR (2) KR101511614B1 (ko)
CN (1) CN102639734A (ko)
WO (1) WO2011065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14B1 (ko) 2009-11-25 2015-04-1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CN102666898A (zh) * 2009-11-25 2012-09-12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压缩强度优异的管线管用焊接钢管及其制造方法
JP5126326B2 (ja) * 2010-09-17 2013-01-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76377B2 (ja) * 2011-06-30 2015-09-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サワー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溶接鋼管向け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03880B2 (ja) * 2011-12-26 2016-04-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サワー特性と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352852A1 (en) * 2011-12-27 2014-12-04 Jfe Steel Corporation Hot rolle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WO2014010150A1 (ja) * 2012-07-09 2016-06-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厚肉高強度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09887B1 (ko) 2013-07-25 2017-02-2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라인 파이프용 강판 및 라인 파이프
MX2016011083A (es) 2014-02-27 2016-11-25 Jfe Steel Corp Lamina de acero laminada en caliente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la misma.
CN106133175B (zh) 2014-03-31 2018-09-07 杰富意钢铁株式会社 耐应变时效特性和耐hic特性优良的高变形能力管线管用钢材及其制造方法以及焊接钢管
RU2653740C2 (ru) * 2014-03-31 2018-05-14 ДжФЕ СТИЛ КОРПОРЕЙШН Сталь для высокодеформируемых труб магистраль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высокой стойкостью к деформационному старению и водородному охрупчиванию,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варная стальная труба
KR20160000963A (ko) * 2014-06-25 2016-01-06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가스 메탈 아크 용접금속부
CN104099522B (zh) * 2014-07-16 2016-06-01 首钢总公司 无铜镍抗酸管线钢x52ms及其热轧板卷的制造方法
CN107429354B (zh) * 2015-03-27 2020-06-09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强度钢及其制造方法、以及钢管及其制造方法
WO2016157235A1 (ja) 2015-03-27 2016-10-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CA2980985C (en) * 2015-03-27 2020-06-09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steel, steel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ipe
WO2016157862A1 (ja) * 2015-03-31 2016-10-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高靭性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532253B (zh) * 2015-03-31 2019-06-21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强度/高韧性钢板及其制造方法
WO2017094593A1 (ja) * 2015-12-04 2017-06-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熱影響部の低温靭性劣化および溶接熱影響部の硬さを抑制した高降伏強度を有する非調質鋼板
JP6736959B2 (ja) * 2016-04-27 2020-08-05 日本製鉄株式会社 厚鋼板の製造方法
CN106011622B (zh) * 2016-06-11 2018-07-31 青岛果子科技服务平台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高变形性能的焊接钢管的制造方法
JP6809524B2 (ja) * 2018-01-10 2021-01-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超低降伏比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733879B1 (en) 2018-01-30 2021-11-17 JFE Steel Corporation Steel material for line pipes,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line pipe
CN108239723A (zh) * 2018-03-03 2018-07-03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mg700锚杆钢及其热轧生产方法
US11628512B2 (en) * 2018-06-27 2023-04-18 Jfe Steel Corporation Clad steel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2313357B (zh) * 2018-06-29 2021-12-31 日本制铁株式会社 钢管和钢板
JP7155702B2 (ja) * 2018-07-19 2022-10-19 日本製鉄株式会社 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112021005768A2 (pt) * 2018-09-28 2021-06-29 Jfe Steel Corporation chapa de aço de alta resistência para tubulação resistente à acidez e método para produção da mesma, e tubo de aço de alta resistênica que usa a chapa de aço de alta resistência para tubulação resistente à acidez
JP7119888B2 (ja) * 2018-10-19 2022-08-17 日本製鉄株式会社 Uoe鋼管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580039B (en) * 2018-12-19 2023-06-14 Verderg Pipe Tech Ltd Method of inspecting pipe joints for use in a subsea pipeline
CN113210799B (zh) * 2021-05-20 2022-09-30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一种基于纵向循环载荷的焊接残余应力控制方法和装置
CN113549846A (zh) * 2021-07-13 2021-10-26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低温性能优异的550MPa级海工钢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285A (ko) * 2003-06-12 2008-02-2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항복비 고강도 고인성의 후강판과 용접강관
JP2009052137A (ja) * 2007-07-31 2009-03-12 Jfe Steel Kk 高強度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鋼管
JP2009133005A (ja) * 2007-11-07 2009-06-18 Jfe Steel Corp ラインパイプ用鋼板および鋼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025A (ja) 1995-08-07 1997-02-18 Sumitomo Metal Ind Ltd 耐コラプス性に優れたuoe鋼管の製造法
JP2002102931A (ja) 2000-09-28 2002-04-09 Kawasaki Steel Corp Uoe鋼管の製造方法
JP4071995B2 (ja) 2002-05-24 2008-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潰強度に優れたuoe鋼管の製造方法
JP2003340518A (ja) * 2002-05-24 2003-12-02 Nippon Steel Corp 圧潰強度に優れたuoe鋼管の製造方法
JP2003340519A (ja) 2002-05-24 2003-12-02 Nippon Steel Corp 圧潰強度に優れたuoe鋼管
JP4072009B2 (ja) 2002-07-01 2008-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潰強度の高いuoe鋼管の製造方法
CN100432261C (zh) * 2003-06-12 2008-11-12 杰富意钢铁株式会社 低屈服比高强度高韧性的厚钢板和焊接钢管及它们的制造方法
JP5055736B2 (ja) * 2004-12-02 2012-10-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高強度蒸気配管用鋼板の製造方法
JP4904774B2 (ja) 2005-10-31 2012-03-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中温域での強度に優れた高強度高靭性鋼材の製造方法
CA2644892C (en) 2006-03-16 2015-11-24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Steel plate for submerged arc welding
JP5098256B2 (ja) 2006-08-30 2012-12-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水素誘起割れ性能に優れたバウシンガー効果による降伏応力低下が小さい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2358B2 (ja) * 2006-11-09 2012-12-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高靱性鋼板の製造方法
JP5217773B2 (ja) * 2007-09-19 2013-06-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引張強度が570MPa以上760MPa以下の低温用高強度溶接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45476B2 (ja) 2008-03-15 2013-07-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ラインパイプ用鋼板
EP2505681B1 (en) 2009-11-25 2022-07-06 JFE Steel Corporation Welded steel pipe for linepipe with superior compressive strength and superior toughnes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102666898A (zh) 2009-11-25 2012-09-12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压缩强度优异的管线管用焊接钢管及其制造方法
KR101511614B1 (ko) 2009-11-25 2015-04-1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285A (ko) * 2003-06-12 2008-02-2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항복비 고강도 고인성의 후강판과 용접강관
JP2009052137A (ja) * 2007-07-31 2009-03-12 Jfe Steel Kk 高強度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鋼管
JP2009133005A (ja) * 2007-11-07 2009-06-18 Jfe Steel Corp ラインパイプ用鋼板および鋼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360A (ko) 2015-02-04
KR101688082B1 (ko) 2016-12-20
WO2011065582A1 (ja) 2011-06-03
JP2011132600A (ja) 2011-07-07
EP2505683A1 (en) 2012-10-03
JP5561119B2 (ja) 2014-07-30
KR20120084804A (ko) 2012-07-30
CN102639734A (zh) 2012-08-15
EP2505683B1 (en) 2017-04-05
EP2505683A4 (en) 2013-05-01
US20130000793A1 (en) 2013-01-03
US9181609B2 (en)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614B1 (ko) 높은 압축 강도 및 내사우어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KR101511617B1 (ko) 높은 압축 강도를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의 제조 방법
KR101699818B1 (ko) 높은 압축 강도 및 인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용접 강관
JP4969915B2 (ja) 耐歪時効性に優れた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管及び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板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5782827B2 (ja) 高圧縮強度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5499731B2 (ja) 耐hic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90026A (ja) ラインパイプ用厚肉高強度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19835B1 (ja) ラインパイプ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ライン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655872B (zh) 管线管用钢材及其制造方法以及管线管的制造方法
JP5020691B2 (ja) 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板および高強度ラインパイプ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