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616B1 -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616B1
KR101510616B1 KR1020140051487A KR20140051487A KR101510616B1 KR 101510616 B1 KR101510616 B1 KR 101510616B1 KR 1020140051487 A KR1020140051487 A KR 1020140051487A KR 20140051487 A KR20140051487 A KR 20140051487A KR 101510616 B1 KR101510616 B1 KR 10151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mposition
fermented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문
정혜선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정종문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문,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종문
Priority to KR102014005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발효한 쌀겨를 배지 조성으로 사용하여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2차 발효시킨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쌀눈 또는 쌀눈을 포함한 쌀 껍질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2) 발효쌀눈과 쌀겨, 꿀, 콘드로이틴황산 및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3) 발효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후, 인지질과 혼합하여 초음파파쇄하는 단계; 및 4) 파쇄물을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으로 마이셀(Micelle) 구조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제조된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이 피부 침투력과 피부 미백 및 보습 기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런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피부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secondary fermented embryo bud of rice}
본 발명은 쌀눈(embryo bud of rice)의 2차 발효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효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유기물이 분해되고 변화하여 어떠한 물질을 생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미생물 자체가 이러한 유기물의 단단한 화학 결합을 자르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이 자라면서 외부로 분비하는 효소가 분해 작용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발효 미생물로는 고초균, 유산균, 누룩균, 효모, 곰팡이, 초산균 등이 있다.
최근 화장품 분야에서는 천연소재들을 이용한 발효 식품 및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 이유는 화장품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저자극과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천연 소재의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은 발효 과정에서 유해균을 제거하고 천연소재가 함유하고 있는 당성분을 알콜로 변화시키고, 천연소재 속에 들어있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 외의 유효성분을 함께 추출함으로써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때문에 기존에 개발된 화장품 보다 뛰어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쌀의 영양소는 달리 미강이라고도 불리우는 쌀겨(쌀눈을 포함하는 쌀 껍질)에 95%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쌀겨에는 철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비타민E등의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고 토코페롤이 노화방지,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여드름, 아토피 진정 효과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또한 쌀눈에는 비타민 B1, B2, B6, 비타민E, 칼슘, 철, 인, 식물섬유의 영양소와 "가바"라는 감마 아미노산과 리놀산, 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재생 효과와 미백 효과가 뛰어나며 뛰어난 보습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뮤코다당은 동물조직 중에서 일반적으로 단백질복합체로서 존재하는 아미노산을 포함한 다당의 총칭이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라고 불리고 있다. 뮤코다당은 다른 당류(글루코스, 글리코겐)와는 달리, 대사되어 생체에너지원으로 되지 않고, 조직의 구성물질로서 조직의 유지와 강도, 유연함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세포 외액의 용량조절, 전해질의 이동, 칼슘의 조직에서의 평형과 침착 등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은 뮤코다당류의 하나로서 연골(軟骨)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N-아세틸갈락토사민우론산(글루쿠론산 또는 이두론산)황산으로 이루어지는 다당류로 피부탯줄육아(肉芽) 등 각종 결합조직에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 피부 보습효과로 각광받고 있는 히알루론산과 비슷하여 화장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달팽이 크림의 유용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사람 피부의 지방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지방산 사람(%) 사용한 오일(%)
포화지방산 Myristic Acid 3 1.1
Palmitic Acid 25 35.7
Heptadecane Acid - -
Stearic Acid 4 3.3
불포화지방산 Myristoleic Acid - -
Palmitoleic Acid 9 7.8
Hepadecene Acid - -
Oleic Acid 48 37.5
Linoleic Acid 11 10.7
Linolenic Acid - 0.1
Eicosenoic Acid - -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보다 기능이 우수한 천연 소재의 발효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노력한 결과, 1년간 독 안에서 자연 발효한 쌀눈과 영양소가 풍부한 쌀겨, 꿀, 콘드로이틴황산을 포함한 배지에서 리조푸스 오리재(Rizopus oryzae)로 2차 발효한 후, 인간 지방산과 유사한 지방산 조성을 가진 인지질을 혼합하여 제조한 쌀눈 2차 발효성분이 피부 침투력과 피부 미백 및 보습 기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여 이들 쌀눈 2차 발효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쌀눈 2차 발효성분을 함입시켜 제조한 마이셀을 이용하여 피부 침투력과 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원료, 상기 화장품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화장품 원료를 유효한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쌀눈 또는 쌀눈을 포함한 쌀 껍질(쌀겨)을 자연발효시켜 발효쌀눈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발효쌀눈에 더해 쌀겨, 꿀,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및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2차 발효시켜 미생물 발효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미생물 발효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미생물을 제거한 후, 인지질과 혼합하여 초음파파쇄(sonication)시켜 파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파쇄물을 두 개의 챔버(chamber) 사이에 연결된 50 ~ 100 nm의 작은 구멍이 104 - 106개 있는 지름 5 cm, 길이 10 cm의 긴 미세관을 상기 얻어진 혼합액을 4-6시간 동안 통과시켜(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 마이셀(Micelle) 구조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보습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년간 독 안에서 자연 발효한 쌀눈과 영양소가 풍부한 쌀겨, 꿀 및 콘드로이틴황산을 포함한 배지에서 리조푸스 오리재(Rizopus oryzae)로 2차 발효 한 후 인간 지방산과 유사한 지방산 조성을 가진 인지질을 혼합하여 피부에 흡수가 용이한 화장품 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1년간 자연 발효한 쌀눈을 사용함으로써 흡수하기 좋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미생물을 통해 2차 발효 시 더 유용한 성분이 많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쌀겨를 미생물을 통해 발효하여 더 유용한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간의 지방산 구성과 유사한 지방산조성을 꼬리에 가진 인지질이 2차 발효한 발효액을 둘러싸도록 만들어 피부에 2차 발효를 통해 얻어진 유용성분이 더욱 흡수가 잘 되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발효함으로 화학적 성분에서 발생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발효된 쌀눈을 사용하여 2차 발효 시 쌀눈을 포함한 쌀 껍질의 유용한 성분을 미생물이 이용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리조푸스 오리재(Rizopus oryzae)로 2차 발효하여 철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비타민E의 유용성분을 극대화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증대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지방산조성과 유사한 지방산 꼬리를 가진 인지질을 혼합하여 초음파파쇄(sonication)함으로써 더욱 피부에 흡수되기 쉽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차 발효액과 인지질을 초음파파쇄한 후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을 이용하여 마이셀(Micelle)화하여 피부 깊숙이 유용성분이 흡수되게 하여 피부의 보습효과를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게 하고, 2차 발효를 통해 얻어진 유용성분을 피부가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발효 조성물을 처리했을 때 농도에 따른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을 수행하는 미세관의 외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을 수행하는 균질기 및 압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지시하는 일측과 타측에 대해서는, 프레임 구조체에 마련된 셸을 중심으로 스프로킷이 설치되는 방향에 있는 각 구성 및 구성부를 일측 또는 일측부라 명명하기로 하고, 상대측을 타측 또는 타측부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1) 쌀눈 또는 쌀눈을 포함한 쌀 껍질(쌀겨)을 자연발효시켜 발효쌀눈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발효쌀눈에 더해 쌀겨, 꿀,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및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2차 발효시켜 미생물 발효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미생물 발효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미생물을 제거한 후, 인지질과 혼합하여 초음파파쇄(sonication)시켜 파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파쇄물을 두 개의 챔버(chamber) 사이에 연결된 50 ~ 100 nm의 작은 구멍이 104 - 106개 있는 지름 5 cm, 길이 10 cm의 긴 미세관을 상기 얻어진 혼합액을 4-6시간 동안 통과시켜(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 마이셀(Micelle) 구조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자연발효는 장독을 이용하여 1년 내지 3년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1년간 발효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배지는 발효쌀눈 0.1 내지 1.0%(v/v), 쌀겨 1.0 내지 2.0%(v/v), 꿀 0.5 내지 1.5%(v/v), 콘드로이틴황산 0.1 내지 0.2%(v/v) 및 효모 추출물 0.001 내지 0.01%(v/v)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효쌀눈 0.5%(v/v), 쌀겨 1.5%(v/v), 꿀 1.0%(v/v), 콘드로이틴황산 0.14%(v/v) 및 효모 추출물 0.001%(v/v)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발효 미생물은 리조푸스(Rizopus) 속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조푸스 오리재(Rizopus oryzae) 균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발효는 20 내지 40℃에서 100 내지 200 rpm으로 50 내지 10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24℃에서 150 rpm으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배양액과 인지질은 중량비로 1 : 5 내지 1: 2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은 상기 단계 3)에서 얻어진 혼합액을 두 개의 챔버(chamber) 사이에 연결된 50 ~ 100 nm의 작은 구멍이 104 - 106개 있는 지름 5 cm, 길이 10 cm의 긴 관에 4 내지 6시간 통과시키는 것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발효함으로 화학적 성분에서 발생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차 발효된 쌀눈을 사용하여 2차 발효시 쌀눈을 포함한 쌀 껍질의 유용한 성분을 미생물이 이용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리조푸스 속 균주로 2차 발효하여 철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비타민E의 유용성분을 극대화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증대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람의 지방산조성과 유사한 지방산 꼬리를 가진 인지질을 혼합하여 초음파파쇄함으로써 더욱 피부에 흡수되기 쉽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을 이용하여 마이셀(Micelle)화하여 피부 깊숙이 유용성분이 흡수되게 하여 피부의 보습효과를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게 하고, 유용성분을 피부가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미백 또는 보습 효과가 있고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 용도에 따라서 상기 범위 이상 또는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으며, 상기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보습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은 예를 들어, 피부 미백 또는 보습을 위한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을 의약외품 조성물의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하는 등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의 함량은 의약외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의약외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은 샤워폼, 물티슈, 비누, 핸드워시, 또는 샴푸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쌀겨 2차 발효 조성물의 제조
쌀눈을 포함한 쌀 껍질을 자연조건에서 1년간 발효시켜 발효쌀눈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발효쌀눈 0.5%(v/v), 쌀겨 1.5%(v/v), 꿀 1%(v/v),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0.14%(v/v) 및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001%(v/v)로 조성한 배양 배지에서 리조푸스속 오리재(Rizopus oryzae)(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11272))를 상기 배지 배양액 부피 대비 5%(v/v)로 접종하여 24℃에서 150 rpm으로 7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그런 다음, 배양한 배양액을 4℃, 10,000 rpm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후, 발효 배양액과 인지질(두산바이오텍, 한국)을 중량비로 발효액 5 : 인지질 1의 비율에서 발효액 25 : 인지질 1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30분간 초음파파쇄기(Hwashin, power sonic 520)를 이용하여 초음파파쇄(sonication)시켰다. 그런 다음,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을 통해 마이셀 구조를 형성시켰다. 여기서 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은 두 개의 챔버(chamber) 사이에 연결된 50 ~ 100 nm의 작은 구멍이 104 - 106개 있는 지름 5 cm, 길이 10 cm의 긴 미세관을 상기 얻어진 혼합액을 4-6시간 동안 통과시켜 일정한 크기의 안정된 둥근 마이셀(Micelle)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 실험예 1> 마이셀 구조의 2차 발효 조성물의 보습 효과 확인
2차 발효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에 정량을 도포한 후 수분 보유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기기는 피부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피부 수분함량 측정기 Skicon 200(IBS사, 고주파: 3.5 MHz)로 얕은 두께의 피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시험 방법은 22도,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2차 발효 조성물을 각각 15명의 피시험자의 팔의 안쪽에 일정량(2 mg/cm2)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최초의 수분 보유능을 기준으로 1시간과 3시간 후의 수분 증가율(%)을 측정하여 짧은 시간 내에 얼마만큼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3일간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대조군으로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수분보유능 %)
구분 도포 1일
1시간
도포 1일
3시간후
도포 2일
1시간
도포 2일
3시간
도포 3일
1시간
도포 3일
3시간
대조군 8.69 8.54 7.95 8.78 10.5 9.5
실시예 1 27.6 29.7 28.5 31.2 35.2 40.5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2차 발효 조성물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정제수에 비해 보습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는 피부 보습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마이셀 구조의 2차 발효 조성물의 멜라닌( Melanin ) 생합성 억제 효과 확인
B16F10를 2x104 cell/well이 들어가도록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고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DMEM 배지에 IBMX 400 mM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2차 발효 조성물을 각각 0.1%과 0.5%, 1%, 2%, 4%가 되도록 웰(well)에 넣었다. 96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 한 후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PBS로 씻어준 다음 Trypsin-EDTA를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펠렛(pellet)을 얻었다. 펠렛에 10% DMSO가 들어간 1N NaOH를 200 ㎕넣고 볼텍싱(vortexing)한 후 80℃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96 웰 플레이트에 100 ㎕씩 옮겨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용액을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일정 단백질 당 멜라닌 값을 비교하였다. 멜라닌 색소의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2차 발효 조성물을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제조예 1> 마이셀 구조의 2차 발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실시예 1의 2차 발효 조성물 5.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조예 2> 마이셀 구조의 2차 발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실시예 1의 2차 발효 조성물 5.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D-판테놀 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
식물성 오일 1.0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to 100
< 제조예 3> 마이셀 구조의 2차 발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의 제조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실시예 1의 2차 발효 조성물 5.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방부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to 100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쌀눈 또는 쌀눈을 포함한 쌀 껍질(쌀겨)을 자연발효시켜 발효쌀눈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발효쌀눈에 더해 쌀겨, 꿀,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및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2차 발효시켜 미생물 발효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미생물 발효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미생물을 제거한 후, 인지질과 혼합하여 초음파파쇄(sonication)시켜 파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파쇄물을 두 개의 챔버(chamber) 사이에 연결된 50 ~ 100 nm의 작은 구멍이 104 - 106개 있는 지름 5 cm, 길이 10 cm의 긴 미세관에 상기 얻어진 파쇄물을 4-6시간 동안 통과시켜(멀티셀(Micelle tunneling) 공법) 마이셀(Micelle) 구조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눈의 2차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자연발효는 장독을 이용하여 1년 내지 3년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배지는 발효쌀눈 0.1 내지 1.0%(v/v), 쌀겨 1.0 내지 2.0%(v/v), 꿀 0.5 내지 1.5%(v/v), 콘드로이틴황산 0.1 내지 0.2%(v/v) 및 효모 추출물 0.001 내지 0.01%(v/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발효 미생물은 리조푸스(Rizopus) 속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발효는 20 내지 40℃에서 100 내지 200 rpm으로 50 내지 10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배양액과 인지질은 중량비로 1 : 5 내지 1: 25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삭제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이셀(Micelle) 구조를 갖는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
제 8항의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 8항의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 8항의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제 8항의 쌀겨의 2차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보습용 의약외품.


KR1020140051487A 2014-04-29 2014-04-29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0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487A KR101510616B1 (ko) 2014-04-29 2014-04-29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487A KR101510616B1 (ko) 2014-04-29 2014-04-29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616B1 true KR101510616B1 (ko) 2015-04-16

Family

ID=5305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487A KR101510616B1 (ko) 2014-04-29 2014-04-29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6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13A1 (ko) * 2017-09-26 2019-04-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쌀 부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1132662A (zh) * 2017-09-26 2020-05-08 高丽大学校产学协力团 含有发酵米副产物提取物或其部分作为活性成分的抗氧化剂、皮肤美白以及减少皱纹的多功能化妆品组合物
KR20200142626A (ko) * 2019-06-12 2020-12-23 (주) 나우코스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192A (ko) * 2006-02-10 2007-08-16 (주)쓰리대시예스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9568A (ko) * 2010-03-31 2011-10-06 주식회사 스킨푸드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3779A (ko) * 2011-06-01 2012-12-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분자량 황산콘드로이틴 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192A (ko) * 2006-02-10 2007-08-16 (주)쓰리대시예스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9568A (ko) * 2010-03-31 2011-10-06 주식회사 스킨푸드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3779A (ko) * 2011-06-01 2012-12-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분자량 황산콘드로이틴 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13A1 (ko) * 2017-09-26 2019-04-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쌀 부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1132662A (zh) * 2017-09-26 2020-05-08 高丽大学校产学协力团 含有发酵米副产物提取物或其部分作为活性成分的抗氧化剂、皮肤美白以及减少皱纹的多功能化妆品组合物
KR20200142626A (ko) * 2019-06-12 2020-12-23 (주) 나우코스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KR102195365B1 (ko) 2019-06-12 2020-12-30 (주)나우코스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CN106265360B (zh) 一种含海藻发酵产物的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20140128674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195365B1 (ko)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EP3564382B1 (en) Fermented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939918B1 (ko) 파프리카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40016461A (ko) 해삼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90079514A (ko) 알로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5874B1 (ko) 강황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0616B1 (ko) 쌀눈 발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0760B1 (ko) 전복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80081328A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16195142A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40025737A (ko)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5813774A (zh) 具有美白效果的水油双层精粹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70076967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0874A (ko) 피부 유연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7761B1 (ko) 홍해삼 유래 저염 펩타이드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9959A (ko) 녹각 영지버섯 포자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