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330B1 - 차량용 에어 클리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330B1
KR101510330B1 KR20090120096A KR20090120096A KR101510330B1 KR 101510330 B1 KR101510330 B1 KR 101510330B1 KR 20090120096 A KR20090120096 A KR 20090120096A KR 20090120096 A KR20090120096 A KR 20090120096A KR 101510330 B1 KR101510330 B1 KR 10151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cleaner
concave
convex portion
concav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146A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2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3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7Special means for preventing bypass around the filter, i.e. in addition to usual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필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바디와 커버를 클램핑 하는 클램퍼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 엘리먼트와, 상기 바디의 상단부 및 상기 커버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의 고정 부위에는 복수의 제1 돌기와 제1 홈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의 제1 홈에 맞물리는 복수의 제2 돌기와, 이들 돌기 사이에 제2 홈을 지닌 제2 요철부를 구비한다.
에어 클리너, 바디, 커버, 필터 프레임, 요철, 기밀, 실링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클리너 {AIR CLEANER FOR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air clean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와 커버의 실링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룸 일측에 마련되는 에어 클리너는 엔진의 연소과정에 필요한 흡입공기를 정화하여 엔진이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종에 따라서 엔진룸의 내측에 장착되는 경우도 있고 엔진룸의 외측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170)를 수용하는 바디(110)와, 바디(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30)와, 바디(110)와 커버(130)를 클램핑 하는 클램퍼(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70)는 필터 엘리먼트(171)와, 바디(110)의 상단부 및 커버(130)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며 필터 엘리먼트(171)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175)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111은 바디(110)에 형성되어 필터 어셈블 리(170)에 의해 필터링 된 공기를 엔진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131은 커버(130)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바디(110)의 필터 어셈블리(17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바디(110)의 상단부 및 커버(130)의 하단부 사이에는 필터 프레임(175)을 고정하며 바디(110)와 커버(13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고무 소재의 패킹부재(19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190)은 고무 재질의 특성 상 바디(110)와 커버(130)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그 바디(110)와 커버(130) 사이를 실링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바디(110)와 커버(1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 소재의 패킹부재(190)를 필요로 하므로, 부품 수 및 제작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전체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바디 및 커버와 필터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고무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바디와 커버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 클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필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바디와 커버를 클램핑 하는 클램퍼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 엘리먼트와, 상기 바디의 상단부 및 상기 커버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 엘리먼트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의 고정 부위에는 복수의 제1 돌기와 제1 홈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의 제1 홈에 맞물리는 복수의 제2 돌기와, 이들 돌기 사이에 제2 홈을 지닌 제2 요철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가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수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제1 돌기와 제1 홈이 산과 골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는 제2 돌기와 제2 홈이 직각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필터 프레임과 커버에 서로 맞물리는 제1 및 제2 요철부를 형성하여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고무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바디와 커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부품 수 및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 수를 축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구성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100)는 차량의 엔진 룸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엔진의 연소 과정에 필요한 흡기 공기를 정화하는 흡기 계통에 구성된다.
이러한 흡기 계통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차량 엔진용 흡기 장치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에어 클리너(100)는 기본적으로, 바디(10)와, 커버(30)와, 클램퍼(150: 이하 도 2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바디(10)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70)를 수용한다.
상기 바디(10)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필터 어셈블리(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필터 어셈블리(70)에 의해 필터링 된 공기를 엔진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커버(30)는 바디(1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서,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 공기를 바디(10)의 필터 어셈블리(7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70)는 바디(10) 및 커버(30)의 내측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바, 커버(30)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바디(10)의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실질적으로 필터링 하기 위한 부직포 또는 종이 재질의 필터 엘리먼트(71)와, 바디(10)의 상단부 및 커버(30)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며 필터 엘리먼트(71)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클램퍼(150)는 바디(10)와 커버(30)를 클램핑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10)의 상단부 및 커버(30)의 하단부 사이에 필터 프레임(75)의 고정 부위를 고정한 상태로, 수조작으로서 바디(10)와 커버(30)를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퍼(150)는 필터 어셈블리(70)의 교환 및 유지 보수 시, 사용자의 수조작을 통해 바디(10)와 커버(30)를 언클램핑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에어 클리너(100)는 본 실시예에서 바디(10)의 상단부 및 커버(30)의 하단부 사이에서 필터 프레임(75)을 고정하며 바디(10)와 커버(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종래 기술의 고무 패킹을 삭제하면서 바디(10)와 커버(3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 클리너(100)는 바디(10)의 상단부 및 커버(3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 프레임(75)의 고정 부위에 형성되는 제1 요철부(81)와, 제1 요철부(81)에 대응하여 커버(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요철부(91)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요철부(81)는 필터 프레임(75)의 고정 부위에 있어 커버(30)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상면에 형성되는 바, 필터 프레임(7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상면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돌기(83)와 제1 홈(85)을 교번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요철부(81)는 제1 돌기(83)와 제1 홈(85)이 산과 골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즉, 제1 돌기(83)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폭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를 취하며, 제1 홈(85)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요철부(91)는 필터 프레임(75)의 고정 부위에 대응하는 커버(30)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바, 커버(30)의 하단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그 하단면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돌기(93)와 제2 홈(95)을 교번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돌기(93)는 제1 요철부(81)의 제1 홈(85)에 맞물리며, 제2 홈(95)에는 제1 요철부(81)의 제1 돌기(83)가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제2 요철부(91)는 제2 돌기(93)와 제2 홈(95)이 직선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바, 제2 돌기(93)가 제2 홈(95)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으로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제1 및 제2 요철부(81, 91)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수단(99)으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실링수단(99)은, 필터 프레임(75)의 고정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커버(30)의 하단부에 제1 요철부(81)와 제2 요철부(91)를 각각 형성하는 바, 이에 서로 맞물리는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81, 91)를 통해 바디(10)와 커버(30) 사이의 이물질 유입 경로(도면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를 길게 형성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부 이물질이 바디(10)와 커버(30) 사이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 바디(10)와 커버(30)의 기밀을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100)에 의하 면, 바디(10)와 커버(30)의 상하부 및 필터 프레임(75)이 제1 및 제2 요철부(81, 91)를 통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10)와 커버(30) 사이의 외부 이물질 유입 경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10)와 커버(30) 사이의 외부 이물질 유입이 서로 맞물린 제1 및 제2 요철부(81, 91)에 의해 차단되면서 바디(10)와 커버(30)의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프레임(75)과 커버(30)의 서로 맞물리는 제1 및 제2 요철부(81, 91)를 통해 바디(10)와 커버(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고무 패킹을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별도의 패킹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 수 및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전체 조립 공정수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 부분의 단면 구성도이다.

Claims (3)

  1. 필터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상부를 덮는 커버(30)와, 상기 바디(10)와 커버(30)를 클램핑 하는 클램퍼(150)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70)는 필터 엘리먼트(71)와, 상기 바디(10)의 상단부 및 상기 커버(30)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 엘리먼트(71)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75)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75)의 고정 부위에는 복수의 제1 돌기(83)와 제1 홈(85)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81)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부(81)의 제1 홈(85)에 맞물리는 복수의 제2 돌기(93)와, 이들 돌기(93) 사이에 제2 홈(95)을 지닌 제2 요철부(9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요철부(81)는 제1 돌기(83)와 제1 홈(85)이 산과 골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요철부(91)는 제2 돌기(93)와 제2 홈(95)이 직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81, 91)가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수단(99)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3. 삭제
KR20090120096A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에어 클리너 KR10151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0096A KR101510330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에어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0096A KR101510330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에어 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46A KR20110063146A (ko) 2011-06-10
KR101510330B1 true KR101510330B1 (ko) 2015-04-06

Family

ID=4439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0096A KR101510330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에어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4021B (zh) * 2013-05-31 2017-06-30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空气滤清器
CN107489568A (zh) * 2017-09-30 2017-12-1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滤盖的连接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057U (ko) * 1979-07-24 1981-02-21
KR100409576B1 (ko) 2001-08-16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클리너의 카바와 바디의 체결 구조
JP2009024636A (ja) * 2007-07-20 2009-02-05 Yamaha Motor Co Ltd 車両
JP4372356B2 (ja) * 1998-12-08 2009-11-25 フイルテルウエルク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ハウジング、フィルター、およびフィルターインサ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057U (ko) * 1979-07-24 1981-02-21
JP4372356B2 (ja) * 1998-12-08 2009-11-25 フイルテルウエルク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ハウジング、フィルター、およびフィルターインサート
KR100409576B1 (ko) 2001-08-16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클리너의 카바와 바디의 체결 구조
JP2009024636A (ja) * 2007-07-20 2009-02-05 Yamaha Motor Co Ltd 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46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885B1 (ko) 필터 엘리먼트
CN102574041B (zh) 过滤器插入件和过滤装置
KR100319346B1 (ko) 필터,특히내연기관의공기흡기구용공기필터
JP4767363B2 (ja) ガスフィルタインサート
JP4621406B2 (ja) フィルタ装置
RU2730570C2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газа и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4506634B2 (ja) フィルタ及びクリーナ
JP5845284B2 (ja) エア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6975160B2 (ja) ガス濾過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2003503189A (ja) フィルタインサート
HU220440B (hu) Légszűrő, különösen belső égésű motor szívólevegőjéhez
JP2010527761A5 (ko)
KR20060053243A (ko) 에어 크리너
WO2012067133A1 (ja) エアクリーナ
JP5753214B2 (ja) エアクリーナケース
US20160348617A1 (en) Hood of a Multi Cyclone Block of an Air Cleaner And Air Cleaner
US20140165518A1 (en) Air cleaner
US10767606B2 (en) Tubular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ubular filter element
KR101510330B1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CN112601597B (zh) 用于内燃机的板式空气过滤器滤芯
JP3693617B2 (ja) フィルタ
JP4958733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KR20150027071A (ko) 특히 내연 기관의 에어 클리너
CN108778447B (zh) 互锁稳定的过滤器组件
JP2004019543A (ja) エアクリーナの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およびエアクリ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