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264B1 - 피처리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피처리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264B1
KR101510264B1 KR20130083575A KR20130083575A KR101510264B1 KR 101510264 B1 KR101510264 B1 KR 101510264B1 KR 20130083575 A KR20130083575 A KR 20130083575A KR 20130083575 A KR20130083575 A KR 20130083575A KR 101510264 B1 KR101510264 B1 KR 10151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sensor
conveying
calibrator
cal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288A (ko
Inventor
김학태
양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8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2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22D41/13Ladle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처리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 테이블,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 교정기, 및 상기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위치 교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위치 교정기가 감지부와 제어부를 통해 경로를 벗어난 피처리물의 위치를 자동으로 교정해주어, 작업의 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처리물 이송장치{Apparatus for moving object}
본 발명은 피처리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피처물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피처리물의 위치를 교정해주는 피처리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장치에서 일정한 속도로 생산되는 주편은 토치 절단기에 의해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다. 절단된 주편은 피처리물로서 이송 롤러를 통해 집하장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주편 절단 작업을 진행할 때 토치 절단기가 주편의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절단되지 않은 주편의 모서리가, 분리되어 있어야할 뒤따라오는 주편에 붙어있게 된다. 이에, 주편의 절단된 모서리 부분은 앞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미절단된 모서리 부분은 뒤따라오는 주편에 붙어있어 앞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이 정상 이동 위치에서 틀어질 수 있다.
주편이 이동하다가 틀어지게 되면, 주편이 이송 롤러 외부로 낙하하거나,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어 크레인을 이용하여 틀어진 주편을 집어내 작업자가 수동으로 주편의 위치를 교정해주어야 한다. 또한, 틀어진 주편을 올바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인 오버 브리지(Over bridge)와 주편이 충돌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820346
본 발명은 이송되는 피처리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피처리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정된 설비 운용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피처리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 테이블,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 교정기, 및 상기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위치 교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교정부재와, 상기 교정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교정부재를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피처리물의 단부가 상기 감지기를 통과하고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기는 거리측정용 광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송수신부, 상기 감지기의 신호에 의해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위치 교정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교정부재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정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롤러 테이블은 복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이송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교정부재의 단부에 상기 교정부재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교정부재의 단부에 상기 교정부재의 하부면보다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교정부재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이 상기 교정부재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끌림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교정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교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상 여부 또는 상기 위치 교정기의 작업 진행 과정을 청각적 또는 시각적 방법으로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인발되는 주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이송장치는 피처리물이 경로를 벗어나거나 제 위치에서 틀어지더라도 피처리물의 위치를 교정해줄 수 있는 위치 교정기를 포함한다. 또한, 피처리물 이송장치는 위치 교정기가 피처리물의 위치를 자동으로 교정해줄 수 있도록, 피처리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감지기와 신호를 주고 받으며 위치 교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위치 교정기가 감지부와 제어부를 통해 경로를 벗어난 피처리물의 위치를 자동으로 교정해주면,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피처리물의 이송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이송작업을 중단하여 피처리물의 위치를 교정하는 작업을 따로 진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 위치를 벗어난 피처리물이 이송장치 외부로 이탈되는 일을 방지하여, 비상작업이 필요 없어지며 안전사고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이 연속주조공정에서 주조되는 주편일 경우, 주편이 미절단되어 주편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주편을 정위치로 자동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에, 주조작업을 중단없이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이 이탈되어 오버 브릿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버 브리지의 파손을 막고 이에, 오버 브리지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기와 위치 교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기와 위치 교정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교정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이송장치의 작업 진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철강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연속주조기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기와 위치 교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기와 위치 교정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교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이송장치의 작업 진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피처리물 이송장치는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24a)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 테이블(24), 상기 이송 롤러 테이블(24a)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기(140), 상기 감지기(14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 교정기(110), 및 상기 감지기(140)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위치 교정기(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연속주조기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기는 용강이 담겨있는 용기인 레이들(Ladle)(2)과, 레이들(2) 하부에 배치되어 레이들(2)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이 저장되는 턴디쉬(3)와, 턴디쉬(3)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턴디쉬(3)로부터 용강을 공급받는 주형(4), 주형(4)으로부터 생산된 주편(10)을 이동시키는 운송부(20), 운송부(20)를 따라 이동하는 주편(10)을 절단하는 절단기(50), 상기 운송부(20)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기(140), 상기 감지기(14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 교정기(110), 및 상기 감지기(140)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위치 교정기(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이때, 피처리물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인발되는 주편(10)일 수 있다.
레이들(2)은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강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레이들(2)의 하부에는 원통형 노즐(미도시)이 구비되어, 레이들(2) 하부에 배치되는 턴디쉬(3)에 용강을 공급한다. 그러나 레이들(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레이들(2)은 레이들 터렛(Ladle Turret)(1)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될 수 있다.
턴디쉬(3)는 용강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이며, 그 하부에서 침지노즐(4)과 연결된다. 턴디쉬(3)의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용강이 턴디쉬(3)에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턴디쉬(3)의 저장공간 상면은 덮개로 덮여있을 수 있다. 덮개는 턴디쉬(3)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강이 외부의 대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산화 및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공간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용강이 빠져나갈 수 있는 출강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침지노즐(4)은 일단이 주형(5)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고, 타단이 출강구와 연결된다. 침지노즐(4)의 일단에는 용강이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침지노즐(4)에는 슬라이딩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침지노즐(4)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용강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턴디쉬(3)는 주형(5) 내로 용강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주형(5)은 턴디쉬(3)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주형(5)은 구조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들이 개구된 형태로서 턴디쉬(3)로부터 공급받은 용강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주형(5)의 벽면 내부에는 냉각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냉각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체가 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주형(5)에 공급되는 용강을 응고시킬 수 있다. 용강은 주형(5)을 이루는 벽면에 접한 부분부터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는 용강의 중심부보다는 주변부가 냉각유체에 의해 열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이때, 주형(5)은 용강이 응고되면서 주형(5)의 벽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주형(5)은 용강을 응고시켜 금속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틀일 수 있다. 상기의 턴디쉬(3)와, 침지노즐(4), 주형(5)은 상술된 구조 및 방식 외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운송부(20)는 주형(5)과 연결되어 주형(4)에서 생산되는 주편(10)을 후술될 절단기(50)로 이동시키는 상하 롤러 테이블(22)과, 절단기(50)에서 절단된 주편(10)을 집하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테이블(24)을 포함한다. 상하 롤러 테이블(22)은 주편(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 아래로 롤러가 배치되며, 주편(10)이 위 아래로 배치된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연속적으로 주조된다. 이송 롤러 테이블(24)은 주편(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이송 롤러(24a)를 포함한다. 이때, 이송 롤러(24a)는 동력기(28)와 연결되어 동력기(28)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롤러가 배치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되어 주편(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절단기(50)는 주편(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 롤러 테이블(24)의 이송 롤러(24a) 외부에 구비되는 주행 레일(3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절단기(50)는 주편(1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하부로 지나가는 주편(10)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기(50)는 절단기 몸체(51)와, 절단기 몸체(51)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구비되는 절단 토치(52), 및 절단기 몸체(51)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 바퀴(53)를 포함한다. 절단기 몸체(5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주편(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절단기 몸체(51) 내부에는 절단 토치(52)를 이동시키는 토치 동력기(미도시)와, 주행 바퀴(53)를 작동시키는 주행 동력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절단 토치(52)는 절단기 몸체(51)에 구비되어 주편(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절단 토치(52)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절단 토치(52)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주편(10)을 절단할 수 있다. 주행 바퀴(53)는 주행 레일(30) 상에 배치되어 절단기 몸체(51)를 지지해주고 있다. 따라서, 주행 바퀴(53)가 회전하여 전후로 이동하면, 절단기 몸체(51)와 절단기 몸체(51)에 구비된 절단 토치(52)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절단기(50)가 주행 바퀴(53)를 통해 주편(10)의 이동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동하면서 주편(10) 절단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절단기(50)의 형상이나 구조, 구비되는 토치(5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감지기(140)와, 위치 교정기(110), 및 제어기(150)가 설치되는 영역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연속주조기의 운송부(20)에 감지기(140)와, 위치 교정기(110), 및 제어기(150)가 구비되는 경우로 예시한다.
감지기(140)는 이송 롤러 테이블(24) 양측에 구비되고, 주편(10)의 단부가 상기 절단기(50)를 통과하고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감지기(140)는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광센서를 통해 이송 롤러 테이블(24) 상에서 이동하는 주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편(10)이 정상적인 경로를 따라 이송되면, 상기 주편(10)은 이송 롤러 테이블(24)의 중심부에서 이송된다. 따라서, 이송 롤러 테이블(24) 양측에 구비된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각각의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의 수치가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 있다. 하지만, 주편(10)이 정상 경로나 위치에서 틀어져 이송되면, 상기 두 감지기(140)의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값을 비교하여 주편(10)의 위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기(140)는 다른 방법으로 주편(1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기(140)가 이송 롤러 테이블(24)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주편(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주편(10)이 정상 위치에서 이동한다면, 시간이 지나도 일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값이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주편(10)이 틀어져서 이송되면, 시간에 따라 일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값이 계속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감지기(140)에서 시간에 따라 측정한 수치들을 비교하여, 주편(10)의 위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감지기를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게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기(140)가 구비하는 센서나 주편(10)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구비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a 또는 도 2b를 참조하면, 위치 교정기(110)는 상기 감지기(140)와 이격되고, 주편(10)의 단부가 감지기(140)를 통과하고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기(140)가 주편(10)의 위치를 먼저 감지한 후 위치 교정기(110)를 작동하여 주편(1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감지기(140)와 위치 교정기(110)를 배치할 때 즉, 위치 교정기(110)가 감지기(140)보다 앞쪽에 위치할 때, 감지기(140)가 먼저 주편(10)의 위치를 감지하고 나서 위치 교정기(110)가 작동하기 때문에, 위치 교정기(110)가 효과적으로 주편(10)의 위치를 교정해줄 수 있다. 또한, 위치 교정기(110)는 복수의 이송 롤러(24a)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 테이블(24)의 이송 롤러(24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감지기(140)와 위치 교정기(110)의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교정기(110)가 감지기(140)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기(140)가 주편(10)의 전단부 또는 중간부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교정기(110)가 주편(10)의 중간부 또는 후단부와 접촉하여 주편(10)의 위치를 교정해 줄 수 있다.
위치 교정기는 도 3과 같이, 주편(1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교정부재(111)와, 상기 교정부재(111)의 하부에 위치하여 교정부재(111)를 주편(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116)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교정기(110)는 상기 교정부재(111)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정부재(11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117)와, 상기 교정부재(11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미끌림 방지부재(113), 상기 교정부재(11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재(112), 및 스토퍼(114)를 포함할 수 있다.
교정부재(111)는 주편(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교정부재(111)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교정부재(111)는 주편(10)의 뜨거운 열기를 견딜 수 있는 내화성을 가진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교정부재(111)의 형상이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미끌림 방지부재(113)는 상기 교정부재(111)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교정부재(111) 상부면이 주편(10)과 접촉하게되면, 미끌림 방지부재(113)가 주편(10)이 교정부재(111) 외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끌림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미끌림 방지부재(113)가 교정부재(111)의 상부면 전체영역 또는 일부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재(112)는 교정부재(111)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구비되고, 교정부재(111)의 상부면 보다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교정부재(111)의 상부면에 접촉한 주편(10)이 교정부재(111)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교정부재(111)가 주편(10)의 위치 교정작업을 진행할 때, 이탈 방지부재(112)가 주편(10)과 접촉하여 주편(10)을 밀어주어 주편(10)을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토퍼(114)는 상기 교정부재(111)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구비되고, 교정부재(111)의 하부면보다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토퍼(114)는 교정부재(111)의 하부에 위치한 제1 구동부(115)가 교정부재(111)를 이동시킬 때, 제1 구동부(115)와 접촉하여 제1 구동부(115)가 교정부재(111)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제한해 줄 수 있다. 또한, 스토퍼(114)는 교정부재(111)가 제1 구동부(1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제1 구동부(115)는 상기 교정부재(111) 하부에 위치하여, 교정부재(11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구동부(115)는 교정부재(111) 하부면과 접촉하고 교정부재(111)를 지지해주는 구동 롤러(115b)와, 구동 롤러(115b)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회전축(115d), 및 구동 롤러(115b)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기(115a)를 포함한다. 구동 롤러(115b)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동 롤러(115b)는 2개 이상이 구비되어, 교정부재(111)를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구동 롤러(115b)에는 구동 롤러(115b)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단턱(115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단턱(115c)이 구동 롤러(115b)에 의해 지지되는 교정부재(111)가 구동 롤러(115b)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구동 롤러(115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15a)는 구동 롤러(115b)를 관통하는 회전축(115d)과 연결되어 구동 롤러(115b)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제1 구동기(115a)는 모터일 수 있다. 이에, 제1 구동기(115a)는 구동 롤러(115b)를 회전시켜, 구동 롤러(115b) 상부에 위치한 교정부재(111)를 수평방향으로 예를 들면,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기(115a)는 각각의 구동 롤러(115b)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동 롤러(115b)에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구비되는 제1 구동기(115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17)는 제1 구동부(117)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17)는, 상기 구동 롤러(115b)와 연결되어 구동 롤러(115b)를 지지해주는 연결부재(117b)와, 연결부재(117b) 하부와 결합하여 연결부재(117b)를 상승하강시키는 제2 구동기(117a)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17b)는 구동 롤러(115b)와 제2 구동기(117a)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 롤러(115b)의 회전축(115d)이 연결부재(117b)의 벽면을 관통하여, 연결부재(117b)와 구동 롤러(115b)가 연결된다. 제2 구동기(117a)는 연결부재(117b)의 하부면과 결합하여 있다. 제2 구동기(117a)는 실린더일 수 있고, 연결부재(117b)를 상승하강시켜, 교정부재(111)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주편(10)의 위치를 교정하지 않을 때는, 제2 구동부(117a)가 교정부재(111)를 하강시켜 이송 롤러 테이블(24)을 따라 이동하는 주편(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주편(10)의 위치를 교정해야할 때는, 제2 구동부(117a)가 교정부재(111)를 상승시켜 교정부재(111)가 주편(10)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구동부(117)가 구비되는 위치나 교정부재(11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제어기(150)는 감지기(140)와 위치 교정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150)는 감지기(14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송수신부(150a)와, 송수신부(150a)로부터 신호를 받아 주편(10)의 위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50b), 및 판단부(150b)의 판단에 따라 위치 교정기(1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5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50)의 구성요소들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업자에게 주편(10)의 위치 이상 여부, 또는 주편(10)의 위치 교정 작업의 진행 과정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알려주는 알림부(150d)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50a)는 감지기(140)와 케이블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주편(10)의 위치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판단부(150b)는 송수신부(150a)에서 들어오는 주편(1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주편(10)의 위치가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150c)는 제1 구동기(115a) 또는 제2 구동기(117a)에 케이블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명령할 수 있다. 즉, 판단부(150b)가 주편(1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50c)는 우선 제2 구동기(117a)를 작동시켜, 교정부재(111)가 주편(10)과 접촉할 수 있게 교정부재(111)를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50c)는 제1 구동기(115a)를 작동시켜 교정부재(111)를 주편(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교정부재(111)가 주편(1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게 해 준다. 알림부(150d)는 판단부(150b)가 주편(10)의 위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면, 청각적 또는 시각적 방법으로 작업자에게 주편(10)의 위치 이상에 대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c)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2 구동기(117a)가 작동하거나 제1 구동기(115a)가 작동할 때, 작업자에게 청각적 또는 시각적 방법으로 교정 작업의 진행과정을 알려줄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이송장치의 작동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리물의 틀어짐을 감지하는 과정(S500)과, 교정부재(111)를 상승시키는 과정(S510), 교정부재(111)를 좌우로 위치이동시키는 과정(S520), 피처리물의 정상 위치 확인 과정(S530), 및 교정부재(111)를 하강시키는 과정(S540)을 포함한다. 이하, 연속주조기에 구비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턴디쉬(3)에 저장되어 있는 용강은 주형(5)을 통과하여 주편(10)으로 생산된다. 주편(10)은 상하 롤러 테이블(22)의 롤러 사이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주조된다. 주조된 주편(10)은 절단기(50)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다. 절단된 주편(10)이 이송 롤러 테이블(24) 상에서 틀어지는 일 없이 이동하면, 감지기(140)는 상기 주편(10)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부(150a)에 보낸다. 송수신부(150a)는 상기 정보를 판단부(150b)에 보내고, 판단부(150b)는 주편(10)의 위치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c)는 제1 구동기(115a)와 제2 구동기(117a)에 주편(10)의 위치 교정 작업을 시작하지 말라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한편, 절단기(50)를 통과한 주편(10)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절단기(50)가 주편(10)의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지 못하거나 다른 문제로 인해 주편(10)이 정상 이송 위치에서 틀어질 수 있다. 그러면,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값이 계속 변할 수 있다. 즉, 주편(10)이 정상위치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시간에 따른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값이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변하거나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변할 수 있다. 감지기(140)는 주편(10)의 상기와 같은 위치 변화 정보를 송수신부(150a)에 보낸다. 송수신부(150a)는 상기 정보를 판단부(150b)에 보내고, 판단부(150b)는 감지기(140)에서 측정되는 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보고 주편(10)의 위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c)는 제2 구동기(117a)에 신호를 보내 교정부재(111)를 상승시켜, 교정부재(111)가 주편(10)과 접촉할 수 있게 해준다. 다음으로, 제어부(150c)는 제1 구동기(115a)에 신호를 보내 교정부재(111)를 주편(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주편(10)의 위치를 교정해주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주편(10)이 모서리 부분이 절단되지 못해 주편(10)이 틀어졌다면, 작업자는 알림부(150d)를 통해 주편(10) 위치 교정 작업 진행상황을 확인하며, 수동토치절단기를 이용하여, 주편(10)의 미절단 부분을 절단해줄 수 있다.
제1 구동기(115a)를 통한 교정작업이 진행되면서, 감지기(140)가 주편(10)의 위치를 재확인할 수 있다. 주편(10)이 위치가 올바로 교정되었다면,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값이 일정할 수 있다. 즉, 주편(10)이 똑바른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시간에 따른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값이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감지기(140)에 일정한 수치가 측정되면, 판단부(150b)는 주편(10)이 정상위치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에, 제어부(150c)는 제2 구동기(117a)에 신호를 보내 교정부재(111)를 하강시켜 교정작업을 종료한다. 하지만, 교정 후에도 감지기(140)가 측정하는 감지기(140)로부터 주편(10)까지의 거리값이 계속 변할 수 있다. 그러면, 판단부(115b)는 감지기(140)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변화되는 것을 보고 주편(10)의 위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c)는 제1 구동기(115a)에 신호를 보내 주편(10)의 위치 교정 작업을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재작업 후 주편(10)의 위치가 올바로 교정되었다면, 제어부(150c)는 제2 구동기(117a)를 통해 교정부재(111)를 하강시키고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 교정기(110)의 작동방법이나 작동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연속주조기에 설치되는 위치 교정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 외의 다양한 이송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 턴디쉬 5: 주형
10: 주편 20: 운송부
30: 주행 레일 50: 절단기
110: 위치 교정기 140: 감지기
150: 제어기

Claims (12)

  1. 피처리물을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 테이블;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 교정기; 및
    상기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위치 교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교정부재와, 상기 교정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교정부재를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교정부재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정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피처리물의 단부가 상기 감지기를 통과하고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기는 거리측정용 광센서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송수신부;
    상기 감지기의 신호에 의해 상기 피처리물의 위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위치 교정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 테이블은 복수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이송 롤러들 사이에 배치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교정부재의 단부에 상기 교정부재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교정기는 상기 교정부재의 단부에 상기 교정부재의 하부면보다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교정부재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이 상기 교정부재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끌림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교정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교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상 여부 또는 상기 위치 교정기의 작업 진행 과정을 청각적 또는 시각적 방법으로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인발되는 주편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이송장치.
KR20130083575A 2013-07-16 2013-07-16 피처리물 이송장치 KR10151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575A KR101510264B1 (ko) 2013-07-16 2013-07-16 피처리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575A KR101510264B1 (ko) 2013-07-16 2013-07-16 피처리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288A KR20150009288A (ko) 2015-01-26
KR101510264B1 true KR101510264B1 (ko) 2015-04-08

Family

ID=5257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3575A KR101510264B1 (ko) 2013-07-16 2013-07-16 피처리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25B1 (ko) * 2017-09-27 2019-04-01 주식회사포스코 주편 이송장치
CN110394435B (zh) * 2019-08-14 2021-09-24 建龙北满特殊钢有限责任公司 小方坯短定尺出坯辊道平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03B1 (ko) * 2006-03-31 2007-06-20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 장치
KR100783080B1 (ko) 2006-12-28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장치
KR20130046596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03B1 (ko) * 2006-03-31 2007-06-20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 장치
KR100783080B1 (ko) 2006-12-28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장치
KR20130046596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288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353B2 (en) Apparatus for cutting pipe
TWI627143B (zh) Glass plate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KR101448871B1 (ko) 롤포밍 형강제품 연속생산 규격의 길이 자동절단이송프레스장치
KR20110074095A (ko) 용탕 운반용 래들링 장치
JP5916954B2 (ja) タイヤ保持装置、タイヤ試験システム
KR101140410B1 (ko)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264B1 (ko) 피처리물 이송장치
JP4591585B2 (ja) 枠付き上下鋳型の枠合せ装置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9856A (ko) 플라즈마 절단기
CN102529071B (zh) 快速更换系统和用于容器处理机器的操作方法
KR20110010492A (ko) 슬라브용 스카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0710A (ko) 크롭이송장치
KR101553145B1 (ko) 슬라브 제거장치
KR101316514B1 (ko) 기계 위치 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편절단기
JP5408797B2 (ja) 注湯設備
KR101403474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사행 보정제어장치
KR20180048154A (ko) 코일 포장재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벤딩방법
KR101399861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5418A (ko) 소재 정렬 장치
KR20170068640A (ko) 연속주조설비의 더미바 안내장치
JP4489788B2 (ja) ロール体搬送装置
WO2013105211A1 (ja) 自動搬送機の非常停止方法、搬送作業システム、及び搬送作業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搬送機の非常停止方法
KR100878621B1 (ko)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KR101751287B1 (ko)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 절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