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123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123B1
KR101510123B1 KR20080015718A KR20080015718A KR101510123B1 KR 101510123 B1 KR101510123 B1 KR 101510123B1 KR 20080015718 A KR20080015718 A KR 20080015718A KR 20080015718 A KR20080015718 A KR 20080015718A KR 101510123 B1 KR101510123 B1 KR 101510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nt
partition walls
air
v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5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0480A (en
Inventor
변상철
이남준
박대근
김용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1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123B1/en
Publication of KR2009009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4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1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벤트가 구획벽을 매개로 하여 다수개로 구획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구획벽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도어축과, 상기 도어축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벤트를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벤트 도어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트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축상에 상기 구획벽의 단부를 차폐하는 탄성 재질의 리크방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벤트 상호간의 공기 누설이 구획벽과 벤트 도어 사이를 통해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휘슬성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cas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s for discharging air to outside via a partition wall; And a vent door integrally formed on the door axis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door plat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vents, the apparatus comprising: Leakage preventing members of an elastic material for shielding the ends of the partition walls on the door axis ar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and the vent door to prevent air leakage. And the occurrence of whistling noise can be prevented.

자동차, 공기, 조화, 벤트, 구획, 공기, 누설, 고무 Car, Air, Harmonics, Vent, Compartment, Air, Leak, Rubber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벤트 상호간의 공기 누설이 구획벽과 벤트 도어 사이를 통해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휘슬성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which prevents leakage of air between a plurality of vents between a partition wall and a vent door, To a harmonic devic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되고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Evaporator)를 통과한 공기를 템프도어의 개폐에 따라 히터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차량 실내의 여러 구역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역할을 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passing through an evaporator, which is introduced into a vehicle interior by a blower and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is selectively passed through a heater core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a tempdoor, And serves to cool or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형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송풍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의 세 개의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 및 송풍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바, 그 일례로 일반적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 공 기조화장치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air conditioners for automobiles, but there are three types of three-piece type in which three units of blower, evaporator and heater core are independently configured; Semi-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the evaporator and heater core are integrated into one case;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the blower,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are all integrated into one case. For example, a typical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1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를 갖고, 출구측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로부터 이어져 후술하는 안내벽(12)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13)(14)중, 상기 제1 공기유로(13)와 연결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8)와 페이스 벤트(19)를 갖고, 상기 제2 공기유로(14)와 연결되는 플로어 벤트(20, 21)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에 설치되는 블로어 유니트(미도시)와; 상기 블로어 유니트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와; 상기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템프 도어(17);로 구성되어 있다.2,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inlet 11 at an inlet side and an air inlet 11 at an outlet side of the case 10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18) and a face vent (19) connected to the first air flow path (13) among the first and second air flow paths (13, 14) defined by the guide wall ,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10) having floor vents (20, 21)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hannel (14); A blower unit (not shown) installed in the air inlet 11; An evaporator (15) and a heater core (16)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lower unit for cooling or heating the air blown by the blower unit; And a tempdoor (17)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15) and the heater core (16).

상기 템프 도어(17)는, 그 상단부에 형성된 회동축(17a)을 중심으로 상, 하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empo door 17 is formed so as to be vertically and downwardly pivotable about a rotary shaft 17a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즉, 상기 템프도어(17)는, 상기 공기유입구(11)로부터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6)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와, 히터코어(16)를 통과하는 온풍통로(H)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That is, the TEMP door (17) has a cold air passage (C) in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1) and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5) bypasses the heater core (16) There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H.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8), 페이스 벤트(19) 및 플로어 벤트(20, 21)에는, 냉난방모드시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벤트들(18, 19, 20, 21)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벤트 도어(22), 페이스벤트 도어(23) 및 플로어벤트 도어(24)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The defrost vent 18, the face vent 19 and the floor vents 20 and 21 are selectively provided with the vents 18, 18 in accordance with respective blowing modes such as a defrost mode, a face mode, a floor mode, A defrost vent door 22, a face vent door 23, and a floor vent door 2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s 19, 20, and 21, respectively.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도어(22), 페이스벤트 도어(23) 및 플로어벤트 도어(24)는, 각 벤트(18, 19, 20)측으로의 공기유동시 통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상의 버터플라이 (Butterfly)형 구조로 되어 있다.The defrost vent door 22, the face vent door 23, and the floor vent door 24 are formed by a conventional butterfly (not shown) in order to minimize the ventilation resistance during air flow to the respective vent 18, ) Type structure.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벤트 도어(23)는 일례로 일정한 길이의 도어축(23a)과, 이 도어축(23a)의 외주면 양단에 대략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도어 플레이트(23c)로 된 버터플라이형 타입이다.2, the face vent door 23 includes, for example, a door shaft 23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door plate 23c extending generally in the radi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shaft 23a ). ≪ / RTI >

여기서, 플로어 벤트 20은, 전방 플로어 벤트이고, 플로어 벤트 21은 후방 플로어 벤트이다.Here, the floor vent 20 is a front floor vent, and the floor vent 21 is a rear floor vent.

더욱이, 상기 제1 공기유로(13)와 제2 공기유로(14)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8)와 페이스 벤트(19)쪽으로 굴곡되게 연장되는 안내벽(12)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그 끝단부측에 상기 플로어 벤트(20, 21)과 연통되는 제2 공기유로(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상기 플로어 도어(24)가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air flow path 13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14 are formed in the case body 10 so as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case body 10 to the defrost vent 18 and the face vent 19, 12 and the floor door 24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air passage 14 communicating with the floor vents 20, 21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송풍기의 작동으로 케이스(10)내로 유입되어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템프도어(17)의 회동에 의해 히터코어(16)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도어(22,23,24)의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각 벤트들(18,19,20,21)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난방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air that has flown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blower and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5 is selectively passed through the heater core 16 by the rotation of the tempo door 17 The air is cooled or he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s 22, 23 and 24 so as to pass through the vents 18, 19, 20 and 21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Cooling / heating is performed by discharging.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는 좌측 케이스(10a)와 우측 케이스(10b)로 이루어지며, 이 좌측 케이스(10a)와 우측 케이스(10b)가 서로 형합되어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조케이스(10)의 상부측에는 3개의 개구부로 구획되는 페이스벤트(Face Vent, 19)가 형성되어 있다.1,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composed of a left case 10a and a right case 10b, and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are formed as a single unit.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 a face vent 19 partitioned by three openings is formed.

이 페이스 벤트(19)는 그 중앙부에 형성되어 차량 앞좌석의 중앙부, 예를 들면 운전석의 우측과 보조석의 좌측에 각각 냉/온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센터벤트(Center Vent, 19c)와; 이 센터벤트(19c)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덕트를 통하여 앞좌석의 양 측면, 예를 들면 운전석의 좌측과 보조석의 우측에 연결되어 각각 냉/온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벤트(Side Vent, 19a, 19b)로 이루어져 있다.The face vent 19 has a pair of center vents 19c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formed so as to discharge cold / warm air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left side of the auxiliary seat ; A side vent 19a,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enter vent 19c 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eat,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right side of the auxiliary seat, 19b.

이 센터벤트(19c)와 사이드벤트(19a,19b)는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한쌍의 구획벽(19d,19e)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고, 구획벽(19d)은 좌측 케이스(10a)에 형성되어 있고, 구획벽(19e)은 우측 케이스(10b)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획벽(19d,19e)에 센터벤트(19c)와 사이드벤트(19a,19b)를 개폐하도록 페이스벤트 도어(2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center vent 19c and the side vents 19a and 19b are partitioned by a pair of partition walls 19d and 19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artition wall 19d is formed in the left case 10a The partition wall 19e is formed in the right case 10b and a face vent door 23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enter vent 19c and the side vents 19a and 19b in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And is rotatably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공기조화장치에서 페이스벤트 도어(23)는, 좌측 케이스(10a)와 우측 케이스(10b) 각각에 형성된 구획벽(19d)(19e)의 벽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조립되며, 이때 구획벽(19d)(19e)의 하면에 요입 형성된 회동 공간부(19f;도 2 참조))의 내면은 페이스벤트 도어(23)의 도어축(23a)의 외면과 서로 미세한 틈새가 형성됨과 아울러 구획벽(19d)(19e) 각각의 양측면과 도어 플레이트(23b) 사이 역시 미세한 틈새가 형성된다.The face vent door 23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s assemb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formed in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See FIG. 2) form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d and 19e) is formed with a fine ga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haft 23a of the face vent door 23, A minute gap is also formed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partition walls 19d, 19e and the door plate 23b.

그러나, 종래 기술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서 송풍되어 센터벤트(19c)와 사이드벤트(19a,19b)는 공기는 전술한 구획벽(19d)(19e)의 하면에 요입 형성된 회동 공간부(19f)의 내면과 페이스벤트 도어(23)의 도어축(23a)의 외면 사이의 틈새로 통과하거나 구획벽(19d)(19e) 각각의 양측면과 도어 플레이트(23b) 사이 역시 미세한 틈새로 통과하면서 휘슬(whistle )성 소음이 발생되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center vent 19c and the side vents 19a and 19b, which are blown from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 are pushed into the rotating space portion 19f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haft 23a of the face vent door 23 or between the both sides of each of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and the door plate 23b also pass through the minute clearance, whistle noise was generated.

한편, 종래 기술의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각각의 측면 유리창에 이슬 또는 김 서림등을 방지 또는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페이스벤트 도어(23)가 회동 작동되어 센터벤트(19c)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디프로스트 모드, 벤트모드, 플로어 모드의 전 모드에서 사이드벤트(19a,19b)를 통해 항상 냉기 또는 뜨거운 공기가 토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Meanwhile,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related art, the face vent door 23 is turned and operated to prevent or remove the dew or steam from the side windows of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It is designed to always discharge cold air or hot air through the side vents 19a and 19b in all the modes of the defrost mode, the vent mode, and the floor mode, regardless of whether the opening or closing is made.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철에 토출 모드가 디프로스트 모드와 플로어 모드일 때, 온기는 센터벤트(19c)로는 토출이 안되고 사이드벤트(19a,19b)도 토출되는 바, 이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벤트(19a,19b)측의 공기가 화살표 "C" 방향으로 구획벽(19d)(19e)의 하면에 요입 형성된 회동 공간부(19f)의 내면과 페이스벤트 도어(23)의 도어축(23a)의 외면 사이의 틈새와, 구획벽(19d)(19e) 각각의 양측면과 도어 플레이트(23b) 사이 역시 미세한 틈새를 통해 센터벤트(19c)로 유동되며, 이로 인해 뜨거운 공기가 센터벤트(19c)에서 토출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discharge mode is the de-frost mode and the floor mode in winter, the warm air is not discharged by the center vent 19c and the side vents 19a and 19b are also discharged. At this time, The air on the side vents 19a and 19b side is push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A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haft 23a of the partition wall 19d and the door plate 23b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also flows through the minute vent to the center vent 19c,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comfortable to the driver because it is discharged from the center vent 19c.

이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벤트(19a,19b)와 센터벤트(19c) 사이의 공기누설이 방지되도록 도어축(23a) 외주면에 원판형 씰링부(미도시)를 페이스베트 도어를 구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구획벽(19d)(19e) 각각의 일측면과 접촉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해보았지만, 구획벽(19d)(19e)이 공조케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페이스벤트 도어(23)를 조립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이 경우에는 구획벽(19d)(19e)을 공조케이스(10)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좌측 케이스(10a)와 우측 케이스(10b)에 의한 공조케이스(10)의 조립 완성후, 구획벽(19d)(19e)을 별도로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disc-shaped sealing portion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shaft 23a so as to prevent air leakage between the side vents 19a, 19b and the center vent 19c,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each of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made of the same plastic material as the constituent material. However, when the partition walls 19d and 19e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ing 10, The vent door 23 could not be assembled. That is,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s 19d, 19e are made as separate components from the air conditioner case 10, and after the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 by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is completed, The walls 19d and 19e have to be assembled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다수의 벤트 상호간의 공기 누설이 구획벽과 벤트 도어 사이를 통해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휘슬성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that prevents leakage of air between a plurality of vents between a partition wall and a vent doo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rmonizing apparatu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벤트가 구획벽을 매개로 하여 다수개로 구획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구획벽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도어축과, 상기 도어축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벤트를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벤트 도어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트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축상에 상기 구획벽의 단부를 차폐하는 탄성 재질의 리크방지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cas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s for discharging air through a partition wall; And a vent door integrally formed on the door axis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door plat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vents, the apparatus comprising: An anti-leak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on the door shaft to shield an end of the partition wall to prevent air leakage.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본 발명은 다수의 벤트 상호간의 공기 누설이 구획벽과 벤트 도어 사이를 통해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휘슬성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leakage of air between a plurality of vents between a partition wall and a vent door, and prevents whistling noise from being generated.

둘째, 본 발명은 리크방지부재를 고무 재질의 탄성이 있는 것으로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벤트 도어를 구획벽의 벽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원활하게 조립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integrally injection-molding the leak preventive member with elasticity of rubber material, the vent door is smoothly assembl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 ≪ / RTI >

셋째, 본 발명은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공조케이스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벤트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air leakage between the vents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cas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부인 벤트 및 구획벽, 공조케이스, 벤트 도어(종래의 페이스벤트 도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도면인 도 2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2 for the conventional drawings are given to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recessed vents, partition wall, air conditioning case, and vent door (conventional face ven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벤트(190a,190b,190c)가 구획벽(190d,190e)을 매개로 하여 다수개로 구획 형성된 공조케이스(100)와; 이 공조케이스(100)의 구획벽(190d,190e)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도어축(230a)과, 이 도어축(230a)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벤트(190a,190b,190c)를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 플레이트(230b)로 이루어진 벤트 도어(230);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0 in which vents 190a, 190b, and 190c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ar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rough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 door shaft 230a rotatably pierced through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0 and a plurality of vents 190a, 190b and 190c integrally formed on the door shaft 230a. And a vent door 230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or plates 230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ntilation doors 230a and 230b.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조케이스(100)는 좌측 케이스(100a)와 우측 케이스(100b)로 분할 형성되어 이 좌측 케이스(100a)와 우측 케이스(100b)가 서로 형합되는 것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00)는, 벤트 도어(230)의 양측에서 도어축(230a) 방향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진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left case 100a and a right case 100b so that the left case 100a and the right case 100b are mutually formed, Are assembled from both sides of the vent door 230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axis 230a.

본 발명은 벤트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축(230a)상에 구획벽(190d,190e)의 단부를 차폐하는 탄성 재질의 리크방지부재(235)를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의 리크방지부재(235)를 고무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shielding the end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is formed on the door shaft 230a in order to prevent air leakage between the v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member 235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은 리크방지부재(235)의 요홈부(235a)에 구획벽(190d,190e)이 삽입되기 때문에 도어축(230a)과 구획벽(190d,190e)간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다수의 벤트(190a,190b,190c)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35a of the leak preventing member 235, the gap between the door shaft 230a and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leak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190a, 190b, and 190c.

그리고, 본 발명은 구획벽(190d,190e)의 하면과 벤트 도어(230)의 도어축(230a) 외면 사이의 틈새와, 구획벽(190d,190e) 각각의 양측면과 도어 플레이트(230b) 사이 역시 미세한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휘슬(whistle )성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a clear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haft 230a of the vent door 230 and the clear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nd the door plate 230b The whistle noise can be reduced because the ai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a minute gap.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리크방지부재(235)는 구획벽(190d,190e)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한쌍의 실링편(235,237)을 가지며, 이 한쌍의 실링편(235,237)에 의해 형성되는 요홈부(235a)로 인하여, 도어축(230a)과 구획벽(190d,190e)간의 공기 누설이 방지됨은 물론 다수의 벤트(190a,190b,190c)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벽(190d,190e)이 상기 요홈부(235a)에 안착된 방향은, 상기 좌우측 케이스(100a,100b)의 조립 방향(도 7의 Ⅱ선 방향)과 수직(도 7의 Ⅰ선 방향)이 되도록 이루어진다.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sealing pieces 235 and 237 that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nd a recessed portion 235 and 237 formed by the pair of sealing pieces 235 and 237 The air leakage between the door shaft 230a and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is prevented and air leakage between the plurality of vents 190a, 190b and 190c can be preven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seated in the recessed portion 235a is perpendicular to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00a and 100b (the direction of the II line in FIG. 7)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리크방지부재(235)를 구성하는 한쌍의 실링편(235,237)이 고무 재질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획벽(190d,190e)이 요 홈부에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이 될 뿐만 아니라 벤트 도어(230)의 회전 작동시 요홈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실링편(235,237)이 구획벽(190d,190e)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Since the pair of sealing pieces 235 and 237 constituting the leak preventive member 23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lastic force of rubber material,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smoothly inserted In addition, a pair of sealing pieces 235 and 237, which form a concave portion when the vent door 230 is rotated, closely contact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to block leakage of air.

이러한 본 발명의 리크방지부재(235)는 벤트 도어(230)의 외면에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바, 2중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nt door 230 by injection, and is formed by a double injection molding method.

즉, 벤트 도어(230)를 1차로 사출 형성한 다음, 벤트 도어(230)의 도어축(230a)에 리크방지부재(235)를 2차로 사출 성형하면 되는 데, 벤트 도어(230) 전체가 덮어 씌워지도록 고무 재질의 사출물로 사출하면서 구획벽(190d,190e)에 대응되는 부분에 리크방지부재(235)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하는 방법이 있고, 구획벽에 대응되는 벤트 도어(230)의 도어축(230a)에 고무 재질의 사출물로 리크방지부재(230)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vent door 230 is firstly injection-molded,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is injection-molded on the door shaft 230a of the vent door 230 by a secondary injection. There is a method of performing injection molding so as to simultaneously form a leak preventive member 235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while injecting a rubber material to cover the ventilation door 230, Injection mold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leak-preventive member 230 is formed of an injection-molded rubber material on the shaft 230a.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다수개로 구획된 벤트(190)는 센터벤트(190c)와, 센터벤트(190c)의 양측에 각각 구획벽(190d,190e)을 매개로 구획 형성되는 양측 사이드벤트(190a,190b)로 이루어진다.The plurality of divided vents 19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enter vent 190c and a pair of side vents 190a and 190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vent 190c through dividing walls 190d and 190e, , 190b.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도어(230)의 도어 플레이트(230b)는 도어축(230a)의 외주면 양단에 연장 형성되되, 양측 사이드벤트(190a)(190b)와 센터벤트(190c)를 각각 개폐하도록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와 이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로 이루어지고,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와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 사이에는 구획벽(190d,190e)이 삽입되는 슬릿부(233)가 형성되며, 슬릿부(233)에 해당되는 도어축(230a)의 외면에 리크방지부재(235)가 일체로 형성된다.7, the door plate 230b of the vent door 230 is exten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shaft 230a and includes both side vents 190a and 190b and a center vent 190c. Side door plate 231 and a center-side door plate 232 positioned between the side-side door plate 231 and the side-side door plate 231. The center-side door plate 232 and the side- And a leak preventing member 23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haft 230a corresponding to the slit portion 233. The slit portion 233 is formed with a slit portion 233 for inserting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그리고,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중 도어축(230a)의 외주면 일단으로 연장 형성된 일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1a)는, 도어축(230a)의 외주면 타단으로 연장 형성된 타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1b)와 상호 높이차가 있도록 어긋나게 형성되고, 타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1b)는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의 양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2a)(232b)와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형성된다.One side door plate portion 231a of the side door plate 231 extending to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shaft 230a includes a door side plate portion 231b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oor shaft 230a, And the other side door plate portion 231b is formed to be flush with the both side door plate portions 232a and 232b of the center side door plate 232. [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190d,190e)의 하면에는 도어축(230a)이 삽입되도록 요입 형성된 도어축 삽입홈(190f)이 형성되고,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의 일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1a)와 타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1b)가 통과되도록 도어축 삽입홈(190f)의 나머지 하면은 높이차를 두고 단차지게 형성된다.7, door shaft insertion grooves 190f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d so as to insert the door shaft 230a. The other lower surface of the door shaft insertion groove 190f is formed so as to be stepped with a height difference so that the side door plate portion 231a and the other side door plate portion 231b are passed therethrough.

즉, 도어축 삽입홈(190f)의 나머지 하면은 서로 높이차를 두고 단차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구획벽(190d,190e)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실링면(190g)(190h)이다.That is,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door shaft insertion groove 190f is a sealing surface 190g formed by being stepped at a height difference from each other and being bent perpendicularly to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부언하면, 실링면(190g)의 하면에는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의 일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2b)의 상면이 접촉되고, 실링면(190h)의 상면에는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의 타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2a)의 하면이 접촉되는 것이다.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plate portion 232b on one side of the center side door plate 23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surface 190h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side door plate 23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surface 190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door plate portion 232a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door plate portion 232a.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도어(230)와 구획벽(190d,190e)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케이스(100a;도 4참조)에 벤트 도 어(230)를 조립시 구획벽(190d)의 벽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Ⅱ방향)으로 조립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축(230a)의 일단부는 구획벽(190d)의 하면에 형성된 도어축 삽입홈(190f)을 통해 삽입되고,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를 구성하는 일측편 도어 플레이트부(231a)와 타측편 도어플레이트부(231b)는 도어축 삽입홈(190f)을 제외한 구획벽(190d)의 하면을 따라 삽입되며, 결국에는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는 사이드측 벤트(190a)내에 위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는 센터 벤트(190c)내에 위치하게 된다.7, since the vent door 230 and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formed, when the vent door 230 is assembled to the left case 100a (see FIG. 4) (8), one end of the door shaft (230a) is inserted into the partition wall (190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d) The one side piece door plate portion 231a and the other side piece door plate portion 231b which are inserted through the groove 190f and constitute the side side door plate 231 ar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wall 190d And the center side door plate 232 is positioned in the center vent 190c as well as the side side door plate 231 is positioned in the side side vent 190a.

이때, 본 발명의 벤트 도어(230)에 형성된 리크방지부재(235)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도어축(230a)방향 즉 좌우측 케이스(100a,100b)의 조립 방향(Ⅱ방향)과 수직(I방향)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좌측 케이스(100a)로 벤트 도어(230)를 구획벽(190d)의 벽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조립시, 리크방지부재(235)의 요홈부(235a)를 형성하는 한쌍의 실링편(236,237)이 구획벽(190d)의 벽면에 걸리게 되나, 이 한쌍의 실링편(236,237)이 고무 재질의 탄성이 있기 때문에 휘어지는 상태로 변형되어 도어축 삽입홈(190f)의 내면을 통과하게 된다.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formed on the vent door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door axis 230a, that is,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00a and 100b When the vent door 230 is assembled to the left case 100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d, the recessed portion 235a of the leak preventive member 235 is formed The pair of sealing pieces 236 and 237 are caught by the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d but the pair of sealing pieces 236 and 237 are deformed in a bent state due to elasticity of the rubber material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shaft insertion groove 190f .

이후, 구획벽(190d)에 형성된 도어축 삽입홈(190f)을 가장 먼저 통과한 한쌍의 실링편(236,237)중 선단의 한쪽 실링편(236)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구획벽(190d)의 후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구획벽(190d)은 한쌍의 실링편(236,237)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235a)내에 삽입되고, 후단의 한쪽 실링편(237)은 구획벽(190d)의 전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편(236,237)은 구획벽(190d)을 통과한 후 원상로 복귀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나 탄성력을 조절하여 설정한다.Thereafter, one of the pair of sealing pieces 236 and 237 passing through the door shaft inserting groove 190f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90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o be returned to the rear 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d The partition wall 190d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35a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aling pieces 236 and 237 and the one sealing piece 237 at the rea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90d. Here, the sealing pieces 236 and 237 are set by adjusting the magnitude and the elasticity to such a degree that they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hape after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190d.

한편, 좌측 케이스(100a)에 형성된 구획벽(190d)과 벤트 도어(230)의 조립을 완료한 후, 이 좌측 케이스(100a)에 우측 케이스(100b)를 결합하여, 하나의 공조케이스(1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우측 케이스(100b)에 형성된 구획벽(190d)과 벤트 도어(230)의 조립 역시 좌측 케이스(100a)와 동일하게 조립한다.After the assembly of the partition wall 190d and the vent door 230 formed in the left case 100a is completed and the right case 100b is coupled to the left case 100a, 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190d formed in the right case 100b and the vent door 230 are assemb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eft case 100a.

상기와 같이 좌측 케이스(100a)와 우측 케이스(100b) 각각에 형성된 구획벽(190d,190e)에 벤트 도어(230)를 조립 완료하여, 구획벽(190d,190e)이 벤트 도어(230)의 리크방지부재(235)에 형성된 요홈부(235a)에 삽입되면, 벤트 도어(2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와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 사이에 형성된 슬릿부(233)내로 구획벽(190d,190e)이 삽입되어, 향후 벤트 도어(230)의 회전 작동에 지장이 없게 된다.The vent door 230 is assembled to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formed in the left case 100a and the right case 100b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contact the leakage of the vent door 230 When the vent door 230 is rotated, the slit portion 233 formed between the center side door plate 232 and the side door plate 231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35a formed in the preventing member 235,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inserted to prevent the vent door 230 from rotating in the futur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를 종래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각각의 측면 유리창에 이슬 또는 김 서림등을 방지 또는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벤트 도어(230)가 회동 작동되어 센터 벤트(190c)의 개폐 여부에 관계없이 디프로스트 모드, 벤트모드, 플로어 모드의 전 모드에서 사이드벤트(190a,190b)를 통해 항상 냉기 또는 뜨거운 공기가 토출되도록 설계할수 있다.Accordingly,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door 230 is rotated to prevent dew, steam, or the like on the side windows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respectively, 190c can be designed to always discharge cold air or hot air through the side vents 190a, 190b in all the modes of the defrost mode, the vent mode, and the floor mode.

이때, 겨울철에 토출 모드가 디프로스트 모드와 플로어 모드 상태에서, 온기는 센터벤트(190a)로는 토출이 안되지만 사이드벤트(190a,190b)는 토출되는 바, 이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리크방지부재(235)에 형성된 한쌍의 실링편(236,237)에 의해, 사이드벤트(190a,190b)측의 공기가 구획벽(190d)(190e)의 도어축 삽입홈(190f)과 이에 대응되는 벤트 도어(230)의 도어축(230a)의 외면 사이의 틈새와, 구획벽(190d)(190e) 각각의 양측면과 도어 플레이트(230a) 사이 역시 미세한 틈새를 통해 센터벤트(190c)로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뜨거운 공기가 토출됨에 따른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ile the discharging mode is in the defrost mode and the floor mode in winter, the warm vent is not discharged by the center vent 190a, but the side vents 190a and 190b are discharged. At this time, The air on the sides of the side vents 190a and 190b is guided to the door shaft insertion groove 190f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nd the vent door 230f corresponding to the door shaft insertion groove 190f by the pair of sealing pieces 236 and 237 formed on the side walls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door shaft 230a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nd the door plate 230a between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lso do not flow into the center vent 190c through the fine gap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discharge of air.

한편, 본 발명은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공조케이스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벤트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ir leakage between the vents can be prevented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은 리크방지부재를 고무 재질의 탄성이 있는 것으로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벤트 도어를 구획벽의 벽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원활하게 조립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integrally injection-molding the leak preventive member with elasticity of rubber material, the vent door is smoothly assemb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 ≪ / RTI >

그리고, 본 발명은 페이스 펜트(190)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공기토출구 역할을 하는 디프로스트 벤트(18)에서 구획벽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ace pit 190,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se where the defrost vent 18 serving as an air outlet serves as a partition wall.

도 1은 일반적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공조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ir conditioning case constituting a general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도 2는 도 1의 지시선 "A-A"부의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A-A"

도 3은 도 1의 지시선 "B-B"부의 개략적인 단면도.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B-B"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조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ir conditioning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지시선 "D-D"부의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D-D"

도 6은 도 4의 지시선 "E-E"부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E-E"

도 7은 본 발명에 벤트 도어와 구획벽간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로, 좌우측 케이스중 다른 부분은 생략하고 구획벽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nt door and a partition wall in a state before coupling between a vent door and a partition wall, in which other parts of the left and right cases are omitted and a partition wall portion is extracted. FIG.

도 8은 도 7에서 벤트 도어와 구획벽이 결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vent door and the partition wall are coupled in FIG. 7;

도 9는 도 4의 지시선 "F-F"부의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ader line "F-F"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공조케이스 100a: 좌측 케이스100: air conditioning case 100a: left case

100b : 우측 케이스 190d,190e : 구획벽100b: right case 190d, 190e: partition wall

190a,190b,190c : 벤트 230 : 벤트도어190a, 190b, 190c: vent 230: vent door

230a : 도어축 230b : 도어 플레이트230a: door shaft 230b: door plate

235 : 리크방지부재 235a : 요홈부235: leak preventing member 235a:

236,237 : 실링편236, 237:

Claims (7)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벤트가 구획벽(190d,190e)을 매개로 하여 다수개로 구획 형성된 공조케이스(100)와; 상기 구획벽(190d,190e)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도어축(230a)과, 상기 도어축(230a)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벤트(190a,190b,190c)를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 플레이트(230b)로 이루어진 벤트 도어(230)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An air conditioning case 100 in which a vent for discharging air to outside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via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 door shaft 230a rotatably pierced through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nd a plurality of vanes 190a and 190b integrally formed on the door shaft 230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vents 190a,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vent door (230) consisting of a door plate (230b) 상기 벤트간의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축(230a)상에 상기 구획벽(190d,190e)의 단부를 차폐하는 탄성 재질의 리크방지부재(235)를 형성하고,A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on the door shaft 230a so as to shield the end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to prevent leakage of air between the vents. 상기 리크방지부재(235)는 상기 구획벽(190d,190e)의 양측면과 접촉되는 한쌍의 실링편(236,237)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실링편(236,237)에 의해 상기 구획벽(190d,190e)의 단부를 차폐하는 요홈부(235a)가 형성되고,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has a pair of sealing pieces 236 and 237 that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nd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formed by the pair of the sealing pieces 236 and 237, A recessed portion 235a for shielding the end portion of the light- 상기 구획벽(190d,190e)은 공조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실링편(236,237)이 벤트 도어(230)의 축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The pair of the sealing pieces 236 and 237 ar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vent door 230, 상기 공조케이스(100)는 좌우측 케이스(100a,100b)로 분할 형성되어, 벤트 도어(230)의 양측에서 도어축(230a) 방향으로 조립되며, 상기 구획벽(190d,190e)이 요홈부(235a)에 안착된 방향은 좌우측 케이스(100a,100b)의 조립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이루어지고,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cases 100a and 100b and assembled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axis 230a from both sides of the vent door 230.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are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s 235a Is made to be perpendicular to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cases 100a and 100b, 상기 실링편(236,237)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도어축(230a)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벤트 도어(230) 조립 시 탄성 변형되면서 축 방향으로 구획벽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Wherein the sealing pieces (236, 237) ar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protrude radially from the door shaft (230a) to elastically deform when assembling the vent door (230) to support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in the axial direction Harmonic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리크방지부재(235)는 상기 벤트 도어(230)의 외면에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Wherein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23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nt door (230) by in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다수개로 구획된 벤트는 센터벤트(190c)와, 상기 센터벤트(190c)의 양측에 각각 상기 구획벽(190d,190e)을 매개로 구획 형성되는 양측 사이드벤트(190a)(19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The plurality of vents are divided into a center vent 190c and both side vents 190a and 190b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s 190d and 190e on both sides of the center vent 190c Features a car air condition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벤트 도어(230)의 도어 플레이트(230b)는 상기 도어축(230a)의 외주면 양단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양측 사이드벤트(190a)(190b)와 센터벤트(190c)를 각각 개폐하도록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와 상기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 사 이에 위치하는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측 도어플레이트(232)와 사이드측 도어플레이트(231) 사이에는 상기 구획벽(190d,190e)이 삽입되는 슬릿부(233)가 형성되며, 상기 슬릿부(233)에 해당되는 상기 도어축(230a)의 외면에 상기 리크방지부재(235)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The door plate 230b of the vent door 230 is exten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shaft 230a to open and close the side side vents 190a and 190b and the center vent 190c, Side door plate 231 between the center-side door plate 232 and the side-side door plate 231, and a center-side door plate 232 positioned between the plate 231 and the side- 190e and 190e are inserted into the slit portion 233 and the leak preventing member 23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haft 230a corresponding to the slit portion 233. [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80015718A 2008-02-21 2008-02-21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10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5718A KR101510123B1 (en) 2008-02-21 2008-02-21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5718A KR101510123B1 (en) 2008-02-21 2008-02-21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480A KR20090090480A (en) 2009-08-26
KR101510123B1 true KR101510123B1 (en) 2015-04-08

Family

ID=4120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5718A KR101510123B1 (en) 2008-02-21 2008-02-21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1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368B1 (en) 2012-12-26 2018-10-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880B1 (en) * 2011-06-16 2014-08-0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14194003A (en) * 2022-01-25 2022-03-18 泰铂(上海)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Air inlet of vehicle air conditioner, vehicle comprising sam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022A (en) * 2003-08-11 2005-02-21 한라공조주식회사 Cas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JP2006341707A (en) 2005-06-08 2006-12-21 Denso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70030379A (en) * 2005-09-13 2007-03-16 한라공조주식회사 Intake Door Sealing Assembly for 2 Layer Type Air Conditioner
KR20070059519A (en) * 2005-12-07 2007-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022A (en) * 2003-08-11 2005-02-21 한라공조주식회사 Cas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JP2006341707A (en) 2005-06-08 2006-12-21 Denso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70030379A (en) * 2005-09-13 2007-03-16 한라공조주식회사 Intake Door Sealing Assembly for 2 Layer Type Air Conditioner
KR20070059519A (en) * 2005-12-07 2007-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368B1 (en) 2012-12-26 2018-10-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480A (en)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3780B2 (en) Air conditioner
US2012005797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1012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03431B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0754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utomotive vehicles
KR10123847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60217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08497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US6979259B2 (en) Air conditioner
KR101450597B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84703B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492150B1 (en)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s
CN113928078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47266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41884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8471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29212B1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5002209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0939546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KR10177936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08497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7368133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CN107215170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90064821A (en)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200364965Y1 (en) Air climate case for air climat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