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49B1 -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549B1
KR101508549B1 KR20130094405A KR20130094405A KR101508549B1 KR 101508549 B1 KR101508549 B1 KR 101508549B1 KR 20130094405 A KR20130094405 A KR 20130094405A KR 20130094405 A KR20130094405 A KR 20130094405A KR 101508549 B1 KR101508549 B1 KR 10150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ridge
file
coupling frame
flo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691A (ko
Inventor
김인홍
Original Assignee
김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홍 filed Critical 김인홍
Priority to KR2013009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immobilising, e.g. using wedges or clamping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잔교와 파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내재한 상태로 상기 부잔교에 결합되는 테두리 형상의 결합틀; 일단은 상기 결합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파일과 밀착하는 롤러부가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일부 단위롤러가 손상하더라도 부잔교와 파일 간의 연결구조에 있어 완충효과가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손상된 단위롤러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장치의 내구성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Interface device of Floating Pier and Pile}
본 발명은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에 떠있는 부잔교가 파일에 구속된 상태에서 간만의 차에 기인한 부잔교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파도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연결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접안시설에서 사용하는 부잔교는, 철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씌운 폰툰(pontoon)이나, 부력제로 사용하는 F.R.P 수지 및 발포 스티로폼 부자를 중심으로 나무틀을 만들어 여러 개의 끈으로 엮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와 같은 부잔교는 물 위에 떠 있어 흔들림으로, 배를 정박하는데 불편하고 부잔교 위에서 활동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물 위에 설치되는 부잔교는 파도와 기타 외부요인으로 인해 부잔교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잔교를 물 위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잔교를 물 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속에 고정한 파일에 부잔교가 고정될 수 있도록 부잔교에 파일 가이드를 형성하여, 부잔교와 파일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잔교에 형성하는 파일 가이드의 구성이, 단순히 파일과 부잔교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므로, 파일과 파일 가이드의 결합을 편리하기 위하여, 파일의 지름보다 지름이 넓은 파일 가이드를 사용하므로, 파일 가이드와 파일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부잔교가 파도나 외부요인(사람들의 보행)으로 인하여 흔들릴 때 파일과 파일 가이드가 충돌하여 파일 가이드와 파일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과, 부잔교가 흔들리므로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85872에서는 파일 가이드를 형성한 부잔교를 제시하였으나, 이 역시 상기한 문제점들을 완벽하게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8587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파도 및 간만의 차에 의해 연결장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롤러에 내구성을 강화하여 부잔교와 파일 간의 전체적인 연결구조에 있어 완충효과가 오래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손상된 단위롤러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장치의 내구성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효과를 부여하는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는 부잔교와 파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내재한 상태로 상기 부잔교에 결합되는 테두리 형상의 결합틀; 일단은 상기 결합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파일과 밀착하는 롤러부가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롤러부는 복수의 단위롤러가 동일축 상에 배치되되, 이웃하는 단위롤러와 간섭없이 개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중심에서 양단부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틀은 상기 부잔교와 회전연결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결합틀과 상기 부잔교가 회전연결체에 의해 결합 되는데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체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하여 배치되는 보조연결부가 더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연결부는 상기 결합틀에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가이드구; 상기 부잔교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에 관통 배치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두개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원호 형상의 상기 가이드봉의 원 중심은 상기 회전연결체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는 파도 및 간만의 차 등에 의해 연결장치에 전달되는 충격으로 일부 단위롤러가 손상하더라도 전체적인 롤러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부잔교와 파일 간의 연결구조에 있어 완충효과가 역시 유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손상된 단위롤러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장치의 내구성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지지대 및 롤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지지대 및 롤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부잔교란 부두에 방주(方舟)를 연결하여 띄워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잔교로써, 통상적으로 부잔교는 해저에 고정된 파일에 구속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면에 떠있는 부잔교(1)가 파일(2)에 구속된 상태에서 간만의 차에 기인한 부잔교(1)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파도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연결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는 파일(2)을 내재한 상태로 부잔교(1)에 결합되는 결합틀(100)과 결합틀(10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파일(2)을 지지하는 완충지지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틀(100)은 테두리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외형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결합틀(100)의 외형이 사각형인 것을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틀(100)은 부잔교(1)에 고정되는 데 있어서 종래의 다양한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바, 일례로써 볼팅 또는 용접 등을 통한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견고한 고정 및 결합 되는 수단이라면 그 밖에도 종래의 다양한 고정수단이 적용 가능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틀(100)의 내측 면에는 복수의 완충지지대(200)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완충지지대(200)가 결합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각 면에 구성되고 각각의 완충지지대(200)는 파일(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지지대(200)는 완충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210)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10)의 일단에는 고정대(220)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틀(1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실린더(210)의 타단에는 롤러부(300)가 구성되어 상기 파일(2)에 밀착된다.
이때, 각각의 실린더(210)는 팽창시 상기 롤러부(300)가 상기 파일(2)을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10)의 내부에 압축 스프링(530)이 배치되는 것으로, 스프링(530)이 배치되는 공간(214)에 오일을 주입함으로써 실린더(210)의 완충 성능이 배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300)는 재질을 우레탄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충격흡수에 유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만조와 간조의 차로 인해 해수면이 변동함여도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그 상태로 롤러가 회전하여 부잔교(1) 및 결합틀(100)이 파일(2)에 가이드 되어 자연스러운 승강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므로, 파도 및 간만의 차에 의한 수심변동 등에 의한 충격이 부잔교(1)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완충지지대(200) 및 롤러부(300)의 완충구조에 기해 부잔교(1)와 파일(2) 및 연결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장치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태풍 등에 동반되는 강한 파도에 의한 충격 및 간만의 차에 의한 해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른 부잔교(1)의 승강이 지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롤러부(300)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일측의 롤러부(300) 전체의 회전이 불가하게 되므로 파일(2)에 가이드 되는 부잔교(1)의 승강이 원활치 않게 되고 이후 타측 롤러부(300)의 손상을 초래하는 등 2차적인 충격의 발생에 의해 연결장치 전체적인 손상을 초래하게 되어 더 이상의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롤러부(300)가 복수의 단위롤러(310)가 동일 축 상에 배치되는 예를 제시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0)의 일단에 구성되는 롤러부(300)는 실린더(210)와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브라켓(320)이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320)의 양단부에 걸쳐 축(도면부호 미도시)이 마련되며, 상기 축 상에 복수의 단위롤러(31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위롤러(310)는 이웃하는 단위롤러(310)와 간섭없이 개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충격이 롤러부(300)에 전달되어 일부 단위롤러(310) 파손 및 손상되더라도 롤러 전체의 회전이 멈추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일부 단위롤러(310)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부잔교(1)와 파일(2) 간의 전체적인 연결구조에 있어 완충효과가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손상된 단위롤러(310)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장치의 내구성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부(300)의 다른 실시 예로써, 도 6에서는 롤러부(300)가 중심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일(2)의 측면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300)와 파일(2)간의 접지면이 넓어지게 되므로 밀착력의 향상과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외력에 의한 충격이 롤러부(300)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어 롤러부(300)의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300)가 중심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일(2)의 측면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게 함에 있어, 롤러부(300)가 복수의 단위롤러(310)로 구성하여 개별 회전이 가능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바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부잔교(1)와 결합틀(100)과의 결합시 추가적인 완충작용이 부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회전연결체(400)가 더 구성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연결체(400)는 부잔교(1)와 결합틀(100)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일단면에는 부잔교(1)가 고정되고, 타단면에는 결합틀(100)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연결체(400)의 연결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체(400)의 일단면 및 타단면이 상기 부잔교(1) 및 결합틀(100)에 고정되는 데 있어서 종래의 다양한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바, 일례로써 볼팅 또는 용접 등을 통한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견고한 고정 및 결합 되는 수단이라면 그 밖에도 종래의 다양한 고정수단이 적용 가능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체(400)의 연결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연결체(400)는 베어링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체(400)를 통한 결합구조에 의한 완충작용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일(2)과 밀착되는 복수의 완충지지대(200) 및 롤러부(300)는 수평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갖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회전연결체(400)를 통한 결합틀(100)과 부잔교(1)의 결합관계에 기해 파도에 의한 충격으로 부잔교(1)가 출렁이게 되어 일측이 상승하고 타측이 하강하더라도 상기 결합틀(100)은 회전이 가능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파일(2)과 부잔교(1) 간의 각도변화에 기인한 결합틀(100)에 발생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연결체(400)를 통한 부잔교(1)와 결합틀(100) 간의 결합구조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 회전연결체(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하여 배치되는 보조연결부(500)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연결부(500)는 결합틀(100)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의 중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는 가이드구(510)와 부잔교(1)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구(510)의 중공(도면부호 미도시)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가이드봉(520) 및 상기 가이드구(510)와 가이드봉(520)에 배치되는 스프링(5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520)은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연결체(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520)은 서로 마주보는 원호 형상을 이루게 됨과 아울러 각각의 가이드봉(520)은 동일한 원주 범위에 포함되며 각각의 중심은 상기 회전연결체(40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520)에는 두 개의 스프링(530)이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구(5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보조연결부(500)는 회전연결체(400)의 회전이 자유로우면서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결합틀(100) 및 부잔교(1) 간의 결속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530)의 구성에 기해 완충작용 및 복원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부잔교 2 : 파일
100 : 결합틀 200 : 완충지지대
300 : 롤러부 400 : 회전연결체
500 : 보조연결부

Claims (5)

  1. 부잔교와 파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내재한 상태로 상기 부잔교에 결합되는 테두리 형상의 결합틀;
    일단은 상기 결합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파일과 밀착하는 롤러부가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틀은 상기 부잔교와 회전연결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연결체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하여 배치되는 보조연결부가 더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연결부는
    상기 결합틀에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가이드구;
    상기 부잔교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에 관통 배치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두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되,
    마주보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봉은 각각 동일한 원주를 갖고, 상기 원주의 중심은 상기 회전연결체의 중심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복수의 단위롤러가 동일축 상에 배치되되, 이웃하는 단위롤러와 간섭없이 개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중심에서 양단부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4. 삭제
  5. 삭제
KR20130094405A 2013-08-08 2013-08-08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KR10150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05A KR101508549B1 (ko) 2013-08-08 2013-08-08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05A KR101508549B1 (ko) 2013-08-08 2013-08-08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691A KR20150018691A (ko) 2015-02-24
KR101508549B1 true KR101508549B1 (ko) 2015-04-08

Family

ID=5257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405A KR101508549B1 (ko) 2013-08-08 2013-08-08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5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2566A (zh) * 2016-05-26 2016-08-17 陈桂霞 一种锁定浮桥用抱桩器
CN105970796A (zh) * 2016-05-26 2016-09-28 陈桂霞 一种基于紧固桥体用抱桩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093B1 (ko) * 2018-04-27 2020-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 방법
KR102474169B1 (ko) * 2018-05-11 2022-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 시스템
CN110184895B (zh) * 2019-07-01 2023-10-27 沈阳建筑大学 一种可随河流水位上涨自动调整高度的桥梁及其构筑方法
KR102167255B1 (ko) * 2019-11-28 2020-10-20 주식회사 씨웨이테크 해상 부유 구조물용 파일 가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06A (ja) * 1989-05-30 1991-01-08 Fudo Constr Co Ltd 浮体構造物
JPH0477614U (ko) * 1990-11-16 1992-07-07
KR20090085872A (ko) * 2008-02-05 2009-08-10 종 석 정 파일 가이드를 형성한 부잔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06A (ja) * 1989-05-30 1991-01-08 Fudo Constr Co Ltd 浮体構造物
JPH0477614U (ko) * 1990-11-16 1992-07-07
KR20090085872A (ko) * 2008-02-05 2009-08-10 종 석 정 파일 가이드를 형성한 부잔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2566A (zh) * 2016-05-26 2016-08-17 陈桂霞 一种锁定浮桥用抱桩器
CN105970796A (zh) * 2016-05-26 2016-09-28 陈桂霞 一种基于紧固桥体用抱桩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691A (ko)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549B1 (ko)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US20110274502A1 (en) Dampening Pile Guide
KR10216725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용 파일 가이드
KR102048296B1 (ko) 외력흡수형 부잔교
KR102093939B1 (ko) 교각보호대
NO168784B (no) Ettergivende offshoreplattform.
US20160145822A1 (en) Compressible roller for use in stabilizing a floating dock
KR101762286B1 (ko) 수상부유구조물의 롤링을 절감하는 계류장치
KR101440878B1 (ko) 덮개판과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KR101284438B1 (ko) 선박 접안용 방충재
JP2514487B2 (ja) 脚付き浮体構造物
JP4895650B2 (ja) 免震装置および浮屋根式タンク
JP2013142440A (ja) 免震構造体
US20150353172A1 (en) Device for securing floating bodies
KR101083693B1 (ko) 해양 구조물의 지진 격리 시스템
KR200398507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JP2008274733A (ja) 回転浮上式堤防
CA2801391C (en) Compliant deck tower
KR102536790B1 (ko)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CN215166769U (zh) 一种建筑防震稳固结构
KR100816890B1 (ko)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KR101551838B1 (ko) 도교 자중 완화장치
CN113277007A (zh) 一种海上作业防倾覆装置
KR102049771B1 (ko)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부유식 교량
KR102138802B1 (ko)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