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802B1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802B1
KR102138802B1 KR1020180059887A KR20180059887A KR102138802B1 KR 102138802 B1 KR102138802 B1 KR 102138802B1 KR 1020180059887 A KR1020180059887 A KR 1020180059887A KR 20180059887 A KR20180059887 A KR 20180059887A KR 102138802 B1 KR102138802 B1 KR 102138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pile
control unit
heave mo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58A (ko
Inventor
전준환
박태윤
김정
신상명
전상배
정성훈
천진솔
최봉균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8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 댐퍼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체의 히브 운동을 제어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서포터; 서포터와 결합하여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 및 탄력적인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파일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두 서포터 사이에 형성되어 선체의 히브 운동을 제어하는 히브 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 {floater}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pile)을 이용하여 계류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원유,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해양 구조물이 해상에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오랜 시간동안 해상에 부유하므로, 그것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위치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해양 구조물에 파일(pile), 앵커(anchor) 등의 기초를 이용하는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8834호 (공개일: 2014.04.24.)
파일(pile)을 이용하여 부유식 구조물을 계류하는 경우, 파일은 선체에 형성되어 있는 서포터(supporter)와 결합하여 선체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파일을 이용하여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 무어링(pile mooring)은 선체의 수평 방향 운동을 구속할 뿐이며, 선체의 수직 방향 운동을 구속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프링 댐퍼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체의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제어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일 면(aspect)은,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서포터(supporter); 상기 서포터와 결합하여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pile); 및 탄력적인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파일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두 서포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제어하는 히브 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스프링과 댐퍼(damp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상기 두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파일의 일면 주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거나, 상기 두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파일의 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상기 파일이 적어도 두 개일 때 각각의 파일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은, 상기 선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선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선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선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선체의 상부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선체의 하부면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선체에 보조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에 구비되는 센서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을 기초로 상기 선체의 히브 운동이 상쇄되도록 상기 선체에 보조 추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추력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추력 발생기는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상기 파일이 적어도 두 개일 때 상기 선체의 외판(side shell) 하부에서 각각의 파일에 인접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브 운동 제어부의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브 운동 제어부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브 운동 제어부의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심이 깊지 않은 천해역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은 제티(jetty)나 돌핀(dolphin)에 계류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류 방법은 부유식 구조물의 운동을 크게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면 계류선을 제거하고 부유식 구조물을 대피시켜야 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파일을 이용한 계류 방법(pile mooring)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파일(pile)을 이용하여 선체(110)를 계류한다(mooring). 즉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10)를 계류할 때에 파일 무어링(pile mooring)을 이용한다.
파일 무어링은 해저의 지반에 파일을 관입시킴으로써 선체(11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계류 시스템보다 더 높은 환경 하중을 견뎌낼 수 있다. 또한 파일 무어링은 제티, 돌핀 등 기타 시설물 구축이 필요한 계류 시스템보다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파일 무어링은 선체(110)의 수평 방향 운동(ex. surge, sway 등)을 구속할 뿐, 선체(110)의 수직 방향 운동(ex. heave)을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욱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선체(110)의 상하 운동(heave motion)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추가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스프링 댐퍼(spring damper)를 이용하여 선체(110)의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10), 파일(120), 서포터(130) 및 히브 운동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120)은 기둥 형태의 것으로서,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해 선체(110)의 측면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파일(120)은 선체(11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외압(ex. 파도)에 대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선체(110)를 유효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파일(120)은 강철(steel)을 소재로 하는 강성 지지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120)은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에 한 개씩 구비되거나, 선체(110)의 일측에만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이 선체(110)의 양측에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 구비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개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 뿐만 아니라 전방, 후방 등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체(110)의 각 측에 구비되는 파일(120)의 개수는 한 개이거나 그 이상(두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선체(110)의 각 측에는 동일한 개수의 파일(120)이 구비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개수의 파일(12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방향에서 선체(110)를 효과적으로 계류하기 위해 파일(120)이 선체(110)의 적어도 양측에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일(120)은 그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파일(120)은 그 단면이 타원형인 타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그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해저의 지반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해저의 지반에 관입되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폭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파일(120)은 ㅗ 형태, Δ 형태, ↓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파일(120)은 앵커(anchor)와 결합하여 해저의 지반에 관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선체(110)에 탑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파일(120)은 선체(110)에 탑재된 채 선체(110)가 계류될 장소로 이동하여 해당 장소에서 선체(110)를 계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120)은 선체(110)에 탑재되지 않고, 선체(110)가 계류될 장소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터(130)는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파일(120)과 결합하여 선체(110)를 계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포터(130)는 파일(120)과의 결합을 통해 선체(110)의 수평 방향 운동(ex. surge, sway 등)을 구속한다. 그러나 서포터(130)는 선체(110)의 수직 방향 운동(ex. heave)에 대해서는 구속하지 않는다.
서포터(130)는 파일(120)과의 결합을 통해 선체(110)를 고정시키기 위해 파일(120)이 선체(110)의 측면에 밀착되면 이 파일(1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포터(130)는 ㄷ 형태로 파일(1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서포터(13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거나 삿갓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터(130)는 파일(12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관통 홀(hole)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터(130)는 그 양측이 선체(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120)은 서포터(130)의 관통 홀을 통해 상측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서포터(13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선체(1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파일(120)은 힌지에 의해 서포터(130)의 측면이 선체(110)로부터 개방(open)될 때 선체(110)의 측면을 따라 이동시켜 서포터(130)의 관통 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서포터(130)의 일측은 파일(120)을 삽입한 후 선체(110)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가 장착될 수도 있다.
서포터(130)는 파일(120)과 결합되는 것임을 참작하여, 파일(120)과 동일한 개수만큼 선체(1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 개 이상의 파일(120)이 한 개의 서포터(13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서포터(130)는 이 점을 고려하여 파일(120)보다 적은 개수로 선체(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서포터(130)와 관련한 제조 비용을 감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110)에 대한 각 파일(1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개의 파일(120)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서포터(13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서포터(130)는 선체(110)의 측면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포터(130)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터(130)는 파일(120)과 마찬가지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서포터(130)와 파일(120)이 모두 철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는 경우, 파도, 해일 등에 의해 서포터(130) 내에서 파일(120)이 움직일 때마다 서포터(130)와 파일(120) 사이에 마찰력이 생겨 서포터(130)와 파일(120)이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관통 홀이 형성된 서포터(130)의 내부면에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소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스펀지와 같은 완충재가 서포터(130)의 내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선체(110)의 모션(motion)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을 가지는 형태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본 실시예에서 선체(110)의 히브 운동을 방해하여 선체(110)의 운동 횟수, 요동 정도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스프링 시스템, 스프링 댐퍼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탄력적인 소재의 것으로 구현되어 선체(110)의 히브 운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히브 운동 제어부(140)를 스프링 시스템으로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 위치에 스프링 댐퍼 시스템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가 스프링 댐퍼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서스펜션(suspension)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선체(110)의 히브 운동을 줄이기 위해 파일 가이드 부분(pile guide)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서포터(131, 132) 사이에서 파일(12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복수개 구비되어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서포터(131, 132) 사이에서 파일(120)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양측에 한 개씩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양측에 두 개 이상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일둘레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파일(120)의 일측에 한 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각각의 파일(120)과 관련하여 한 개 이상씩 구비되는 경우,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히브 운동 제어부(141a, 14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파일(120)에 대해서는 파일(120)의 주변에 파일(120)과 병렬 관계가 되도록 형성되고, 다른쪽 파일(120)에 대해서는 파일(1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브 운동 제어부의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양측에 두 개 이상씩 구비되는 경우, 파일(120)의 양측에 동일 개수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양측에 서로 다른 개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양측에 두 개 이상씩 구비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20)의 각 측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브 운동 제어부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히브 운동 제어부(142a, 142b, …, 142n)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20)의 각 측에서 서포터(1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히브 운동 제어부(142a, 142b, …, 142n)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130)의 너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130)의 길이 방향과 너비 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단면 크기와 동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의 단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파일(120)에 밀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모두 파일(120)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채 형성되거나, 모두 파일(120)에 밀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 일부만 파일(120)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채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상호 간에 소정의 거리 떨어진 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호 간에 밀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그 일부만 상호 간에 소정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 개의 파일(120)과 결합하는 서포터(130)가 세 개 이상인 경우(즉, 선체(110)의 측면 일측에서 하방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서포터(130)가 세 개 이상인 경우),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인접하는(이웃하는) 두 개의 서포터(130)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인접하는 두 개의 서포터(130) 사이마다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히브 운동 제어부(140)를 선체(110)의 상부(ex. 갑판(deck))와 하부에 각각 연결하여 선체(110)의 히브 운동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브 운동 제어부의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체(110)보다 높은 위치에 파일(120)로부터 선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선체(110)보다 낮은 위치에도 파일(120)로부터 선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3a, 143b)는 제1 돌출부(211)와 선체(110)의 상부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제2 돌출부(212)와 선체(110)의 하부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선체(110)의 히브 운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선체(110)를 계류하는 데에 이용되는 모든 파일(120)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선체(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파일(120)에 대하여 도 4와 같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부유식 구조물(100)은 히브 운동 제어부(140)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여 이 값을 토대로 선체(110)의 히브 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유식 구조물(100)은 보조 추력 발생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선체(110)가 히브 운동을 할 때마다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한다. 히브 운동 제어부(140)는 스프링 시스템에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선체(110)에 보조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과 센서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센서(110)의 히브 운동이 상쇄되도록 선체(110)에 보조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선체(110)의 외판(side shell)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선체(110)가 계류 중일 때 항상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선체(110)의 외판 아랫단(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선체(110)가 계류 중일 때 각 파일(110)에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선택된 몇몇 파일에 인접하는 부분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 추력 발생기(150)는 본 실시예에서 스러스터(thruster)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부유식 구조물 110: 선체
120: 파일 130: 서포터
140: 히브 운동 제어부 150: 보조 추력 발생기

Claims (7)

  1.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서포터(supporter);
    상기 서포터와 결합하여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pile); 및
    탄력적인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파일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두 서포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제어하는 히브 운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은,
    상기 선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선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선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선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선체의 상부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선체의 하부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스프링과 댐퍼(damp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상기 두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파일의 일면 주변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거나, 상기 두 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파일의 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는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상기 파일이 적어도 두 개일 때 각각의 파일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보조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히브 운동 제어부에 구비되는 센서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을 기초로 상기 선체의 히브 운동이 상쇄되도록 상기 선체에 보조 추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추력 발생기
    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추력 발생기는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상기 파일이 적어도 두 개일 때 상기 선체의 외판(side shell) 하부에서 각각의 파일에 인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80059887A 2018-05-25 2018-05-25 부유식 구조물 KR102138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87A KR102138802B1 (ko) 2018-05-25 2018-05-25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87A KR102138802B1 (ko) 2018-05-25 2018-05-25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58A KR20190134358A (ko) 2019-12-04
KR102138802B1 true KR102138802B1 (ko) 2020-07-28

Family

ID=6900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87A KR102138802B1 (ko) 2018-05-25 2018-05-25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0052B (zh) * 2020-11-27 2023-07-25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浮式储存再气化减摇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086A (ja) * 1997-12-10 1999-06-29 Shimizu Corp 浮体式免振構造物の係留方法
KR101497812B1 (ko) * 2012-07-20 2015-03-04 홍문표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안 정박장치
WO2014042293A1 (en) 2012-09-12 2014-03-2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Offshore platform using guide pil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1665477B1 (ko) * 2014-12-30 2016-10-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플랜트의 히브 모션 댐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58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032B2 (en) Dual column semisubmersible for offshore application
JP2006206006A (ja) 浮体の係留方法
KR102138802B1 (ko) 부유식 구조물
JP2006519137A (ja) ライザー・パイプの支持システムおよび支持方法
IE48433B1 (en) An arrangement for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collisions with drifting floating bodies
KR102128795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선체 계류용 조립체
WO2023117459A1 (en)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KR102039692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39687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KR102474169B1 (ko) 앵커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 시스템
JP6302776B2 (ja) 浮体係留装置
KR20090056401A (ko) 부유식 방파제의 에너지 저감 구조
KR101162441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461386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70844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95318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39689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70837B1 (ko) 부유식 구조물
US5884576A (en) Mooring arrangement
KR102405936B1 (ko) 완충 계류 로프
KR20130115873A (ko) 드릴링 파이프의 고정구조체 및 드릴링 파이프의 고정구조체가 구비된 선박
KR20200053164A (ko) 부유식 구조물
KR102337086B1 (ko) 탄성 계류 로프
JP6302777B2 (ja) 浮体係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