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790B1 -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 Google Patents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790B1
KR102536790B1 KR1020210024434A KR20210024434A KR102536790B1 KR 102536790 B1 KR102536790 B1 KR 102536790B1 KR 1020210024434 A KR1020210024434 A KR 1020210024434A KR 20210024434 A KR20210024434 A KR 20210024434A KR 102536790 B1 KR102536790 B1 KR 10253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anel
support frame
support
coupling part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389A (ko
Inventor
허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Priority to KR102021002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7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잔교에 편하중에 의하여 기울기가 발생하는 경우,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된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는 판상으로 형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방에서 상기 상부패널을 틸팅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틸팅결합부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이 수상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와; 상기 상부패널과 해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해저에 대한 상기 상부패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Floating pier with reducer of amount of sway}
본 발명은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잔교에 편하중에 의하여 기울기가 발생하는 경우,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된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란 부력을 이용하여 수상에 부유하는 시설물로, 내륙의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과 같은 수역에, 소형선박의 접안시설이나 수상낚시터 시설 또는 사람의 이동통로나 화물의 운반통로 등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잔교는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엮어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력체를 구축한 다음, 이러한 부력체의 상부면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다만, 통나무나 스티로폼과 같은 충격에 취약한 부력재를 사용하는 경우, 파도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부력재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부잔교의 수명과 안전성이 저하되며, 파손된 부잔교에 의하여 해양이 오염되고, 이와 같은 부잔교의 설치, 회수에 상당한 인력 소모가 드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콘크리트, PE, 강철로 이루어진 부잔교들이 개발되고 있다.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우수한 재질들이 이용됨에 따라, 순간적인 외부 충격에 의한 부잔교의 파손 위험은 과거 대비 감소하였으나, 기상환경 또는 선박의 항해로 인해 발생하는 해수면의 편경사로 인해 부잔교가 기울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163459 호에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장치가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장치를 구비한 부잔교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장치들의 부력을 각기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편경사가 발생하는 상태에서도 부잔교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장치에 내에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며 수시로 변화하는 해수면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워 사용자 또는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163459 호 :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장치를 구비한 부잔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별도 조작을 요하지 않아도 수시로 변화하는 수면상에서 사람 또는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는 판상으로 형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방에서 상기 상부패널을 틸팅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틸팅결합부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이 수상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와; 상기 상부패널과 해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해저에 대한 상기 상부패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상부패널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에 구형의 볼이 마련된 볼스터드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이 수용될 수 있는 조인트홈이 마련되어 상기 볼스터드가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패널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개의 완충유닛을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완충유닛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상부패널을 상기 틸팅결합부를 중심으로 3점 이상 지지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유닛은 일측이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1지지링크와,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 1지지링크와 힌지결합되는 제 2지지링크와, 상기 제 1지지링크와 상기 제 2지지링크의 힌지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멀어지게 복원력을 발휘하는 완충유닛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일측이 상기 상부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로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틸팅결합부는 상기 소켓과 상기 볼스터드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프레임이 평행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볼스터드를 바로세워지게 탄성 지지하는 틸팅결합부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틸팅결합부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소켓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볼스터드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의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소켓의 외측면에는 상기 틸팅결합부 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이 인입 형성되고, 상기 볼스터드의 외측면에는 상기 틸팅결합부 탄성부재의 타측이 걸릴 수 있는 걸림턱부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는 틸팅결합부에 의해 수면상에서 부유하는 지지프레임 및 부력체의 각도가 적응적으로 변화되게 구성됨으로써 수면에 편경사가 조성된 상태에서 사람 또는 차량을 지지하는 상부패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이 간편하며 수시로 변화하는 수면 상황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복수개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가 상부패널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도로를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틸팅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지지프레임 및 부력체가 상부패널에 대해 틸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틸팅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1)는 판상으로 형성된 상부패널(30)과, 상부패널(30)의 하방에서 상부패널(30)을 틸팅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틸팅결합부(40)에 의해 상부패널(30)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30)이 수상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20)와, 상부패널(30)과 해저를 상호 연결하여 해저에 대한 상부패널(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70)과, 상부패널(30)과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상부패널(30)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개의 완충유닛(60)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0)은 수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과, 수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평 프레임(12,14)들이 부력체(20)가 이탈되지 않게 수용될 수 있는 부력체 수용공간(13)을 형성하도록 함체 형상의 테두리를 이루게 결합되고, 상부에 후술할 틸팅결합부(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 테이블프레임(16)이 설치된 것이다. 지지프레임(10)은 부력체(20)의 크기와 형태, 수량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력체(20)는 소정 형상으로 제조되며 해수보다 낮은 밀도를 가짐으로써 부력을 발생시킨다. 부력체(20)는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 및 조립이 용이한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의 합성수지 파이프가 별도의 연결브라켓에 의해 결합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20)는 스티로폼, 발포우레탄과 같은 중실형 부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력체(20)는 복수개가 각각 둥근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력체 수용공간(13) 내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부력체(20)는 부력체 수용공간(13) 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로프, 클램프,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10)과 체결될 수 있다.
상부패널(30)은 사람이나 차량이 배에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지닌 목재, 철재, 콘크리트,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구성된다. 상부패널(30)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부패널(3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판재가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패널(30)은 부력체(20)로부터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충분히 인양될 수 있는 너비와 무게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상부패널(30)의 하부에는 위치고정수단(7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편(35)이 마련된다. 결합편(35)은 상부패널(30)의 각 모서리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패널(30)과 지지프레임(10)을 상호 결합하는 틸팅결합부(40)는 볼조인트 방식이 적용된다.
틸팅결합부(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부패널(3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에 구형의 볼이 마련된 볼스터드(41)와, 지지프레임(10)의 상부 즉, 테이블프레임(16)에 설치되며 볼(46)이 수용될 수 있는 조인트홈이 마련되어 볼스터드(41)가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51)을 포함한다.
볼스터드(41)은 상부패널(30)에 결합되는 상부패널연결부(42)와, 상부패널연결부(42)의 하부에 결합되는 볼연결부(45)를 포함한다. 상부패널연결부(42)는 소정 직경의 원기둥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패널연결부(42)는 상단부로부터 더 큰 외경을 갖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패널연결부 플랜지(43)가 형성된다. 상부패널연결부 플랜지(43)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부패널(30)과 볼트체결 된다. 상부패널연결부(42)는 하단부로부터 더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상부패널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부패널연결부(42)는 볼연결부(45)와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0)에 대해 상부패널(30)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상부패널(30)의 하부에 상부패널(30)의 무게중심을 이루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볼연결부(45)는 상부패널연결부(42)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볼연결부(45)는 상부 일측에 상면으로부터 상부패널연결부 결합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된 볼연결부 결합홈(46)이 형성된다. 볼연결부 결합홈(46)의 내주면에는 상부패널연결부 결합부(4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볼(46)은 볼연결부(45)의 하부 타측에 형성된다. 볼(46)은 볼연결부(45)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의 구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켓(51)은 상방으로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직경의 반구 형상의 소켓바디(52)와 소켓바디(52)를 지지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플랜지(55)를 포함한다. 소켓바디(52)는 내부에 볼(46)이 수용될 수 있는 조인트홈(53)이 마련되며 상부에 조인트홈(53)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54)이 관통 형성된다. 소켓바디(52)의 관통공(54)은 조인트홈(53)에 수용된 볼(46)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볼(46)의 외경보다 더 작되 볼연결부(45)가 틸팅가능하도록 볼연결부(45)의 외경보다 볼연결부(45)가 틸팅될 수 있는 영역만큼 더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소켓 플랜지(55)는 소켓바디(52)의 하단으로부터 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갖도록 연장된다. 소켓 플랜지(55)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테이블프레임(16)과 볼트체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틸팅결합부(40)는 소켓(51)의 관통공(54)을 통해 조인트홈(53)에 해수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볼(46)과 소켓바디(52)가 마모 또는 부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소켓바디(52)와 볼스터드(41)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관통공(54)을 밀봉하는 커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틸팅결합부(40)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틸팅결합부(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틸팅결합부(40)는 소켓(51)과 볼스터드(41)에 설치되어 상부패널(30)과 지지프레임(10)이 평행상태로 복원되도록 볼스터드(41)를 바로세워지게 탄성 지지하는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를 더 구비한다.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일측이 소켓(5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볼스터드(41)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의 코일스프링이 적용된 것이다.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일측의 직경이 타측의 직경보다 감소되므로,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원추 형태로 형성된다.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가 타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므로,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탄성력이 코일 스프링의 중심부 측으로 수렴하도록 가해진다. 따라서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볼스터드(41)가 소켓(51)에 대해 기울어지면 복원력을 발휘하여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소켓(51)의 외측면에는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이 형성된다. 지지홈(56)은 소켓바디(52)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지지홈(56)은 소켓바디(52)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볼스터드(41)의 외측면에는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의 타측이 걸릴 수 있는 걸림턱(47)이 형성된다. 걸림턱(47)은 볼연결부(45) 또는 상부패널연결부(42)의 외주면에서 더 큰 직경의 외경을 형성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일측이 지지홈(56)에 원주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되고, 타측이 걸림턱(47)에 의해 걸리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소켓(51)에 대해 볼스터드(41)를 바로세우는 탄성력을 발휘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이 상부패널(30)에 기울어진 상태에서, 물살이 잠잠해져 수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변화할 때 지지프레임(10)과 상부패널(30)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틸팅하는 동작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이점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를 더 구비하는 틸팅결합부(40)는 상부패널(30)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파도와 같은 충격이 틸팅결합부(40)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충함으로써 상부패널(30)과 지지프레임(10)이 갑자기 기울어졌을 때 볼스터드(41)가 소켓(51)의 관통공(54)의 내주면과 부딛쳐 소켓(51)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완충유닛(60)은 일측이 상부패널(3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1지지링크(61)와, 일측이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제 1지지링크(61)와 힌지결합되는 제 2지지링크(63)와, 제 1지지링크(61)와 제 2지지링크(63)의 힌지결합부에 설치되어 상부패널(30)과 지지프레임(10)을 상호 멀어지게 복원력을 발휘하는 완충유닛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완충유닛(60)은 복수개가 지지프레임(10)에 대해 상부패널(30)을 틸팅결합부(40)를 중심으로 3점 이상 지지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유닛(60)은 틸팅결합부(40)로부터 동일 거리에 이격된 지지프레임(10)의 각 모서리부 마다 총 4개가 설치된다.
제 2지지링크(63)의 일측이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0)의 각 가장자리에는 제 2지지링크(63)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힌지결합부(37)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패널(30)의 하부에는 프레임 힌지결합부(37)와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제 1지지링크(61)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패널 힌지결합부(36)가 각각 설치된다.
제 1지지링크(61)는 일측이 상부패널 힌지결합부(36)에 힌지결합되고, 제 2지지링크(63)는 일측이 프레임 힌지결합부(37)와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 1지지링크(61)의 축선과 제 2지지링크(63)의 축선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제 1지지링크(61)는 타측 단부가 제 2지지링크(63)의 타측 단부와 힌지결합되고, 제 1 및 제 2지지링크(61, 63)의 각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진행될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완충유닛 탄성부재는 제 1지지링크(61)와 제 2지지링크(63)의 힌지결합부에 설치되어 제 1지지링크(61)와 제 2지지링크(63)를 각각의 타측 단부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발휘하는 릴스프링이 적용된다. 이와 다르게 탄성부재(65)는 제 1지지링크(61)와 제 2지지링크(63)의 각 타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 또는 가스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위치고정수단(70)은 일측이 상부패널(30)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되고 타측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로프(71)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로프(71)는 일측 단부는 각각의 결합편(35)에 결속된다. 각 고정로프(71)의 타측 단부는 해저에 고정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해저에 고정로프(71)의 타측 단부가 결속될 수 있는 아이볼트를 매설하고, 아이볼트의 고리부에 고정로프(71)의 타측 단부를 결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로프(71)는 동일 길이로 구성된다. 각 고정로프(71)는 지지프레임(10)이 기울어지더라도 상부패널(30)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동일한 장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1)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수상에 각각의 상부패널(30)이 상호 이웃하도록 일렬로 배치되어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1)는 기상환경과 파도로 인해 해수면에 편경사가 발생되면 지지프레임(10) 및 부력체(20)는 해수면의 편경사를 따라 기울어진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은 틸팅결합부(40)에 의해 상부패널(30)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틸팅되며, 상부패널(30)은 고정로프(71)에 의해 가장자리가 구속되어 수면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각 모서리가 동일한 장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1)는 틸팅결합부(40)에 의해 수면상에서 부유하는 지지프레임(10) 및 부력체(20)의 각도가 적응적으로 변화되게 구성됨으로써 수면에 편경사가 조성된 상태에서 사람 또는 차량을 지지하는 상부패널(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이 간편하며 수시로 변화하는 수면 상황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부패널(30)과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 완충유닛(60)이 설치되어 잔물결이나 항주파와 같이 수면상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함으로써 상부패널(30)의 상면에 지지되는 사람이 불안감을 느끼거나 차량 및 화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10 : 지지프레임 20 : 부력체
30 : 상부패널 40 : 틸팅결합부
60 : 완충유닛 70 : 위치고정수단

Claims (8)

  1. 판상으로 형성된 상부패널(30)과;
    상기 상부패널(30)의 하방에서 상기 상부패널(30)을 틸팅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틸팅결합부(40)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30)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상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20)와;
    상기 상부패널(30)과 해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해저에 대한 상기 상부패널(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70);과,
    상기 틸팅결합부(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상부패널(3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에 구형의 볼이 마련된 볼스터드(41)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46)이 수용될 수 있는 조인트홈이 마련되어 상기 볼스터드(41)가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51)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패널(3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상부패널(30)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충하는 것으로,일측이 상기 상부패널(3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1지지링크(61)와,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 1지지링크(61)와 힌지결합되는 제 2지지링크(63)와, 상기 제 1지지링크(61)와 상기 제 2지지링크(63)의 힌지결합부(36)(37)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패널(3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을 상호 멀어지게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유닛들을 구비하며,
    상기 틸팅결합부(40)는 상기 소켓(51)과 상기 볼스터드에 설치되어 상부패널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평행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볼스터드를 바로세워지게 탄성 지지하는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를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결합부 탄성부재(58)는 일측이 상기 소켓(5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볼스터드(41)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의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소켓의 외측면에는 상기 틸팅결합부 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56)이 형성되고,
    상기 볼스터드의 외측면에는 상기 틸팅결합부 탄성부재의 타측이 걸릴 수 있는 걸림턱(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70)은 일측이 상기 상부패널(30)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되고 타측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로프(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7. 삭제
  8. 삭제
KR1020210024434A 2021-02-23 2021-02-23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KR10253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34A KR102536790B1 (ko) 2021-02-23 2021-02-23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34A KR102536790B1 (ko) 2021-02-23 2021-02-23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89A KR20220120389A (ko) 2022-08-30
KR102536790B1 true KR102536790B1 (ko) 2023-06-20

Family

ID=8311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434A KR102536790B1 (ko) 2021-02-23 2021-02-23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9858B (zh) * 2023-03-24 2023-08-15 兰州有色冶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泥水两用可自动升降的船桥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137A (ja) * 1998-08-21 2000-03-03 Shigemitsu Otake 免震装置及び免震建物
KR100984766B1 (ko) * 2009-09-02 2010-10-01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KR102048296B1 (ko) * 2019-06-27 2019-11-25 (주) 씨플렉스코리아 외력흡수형 부잔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221U (ko) * 1998-12-17 1999-04-26 석교상 선박 계류용 도선 충격완화장치
US6425710B1 (en) * 2000-06-21 2002-07-30 Jon Khachaturian Articulated multiple buoy marine platform apparatus
KR102163459B1 (ko) 2019-12-06 2020-10-08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137A (ja) * 1998-08-21 2000-03-03 Shigemitsu Otake 免震装置及び免震建物
KR100984766B1 (ko) * 2009-09-02 2010-10-01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KR102048296B1 (ko) * 2019-06-27 2019-11-25 (주) 씨플렉스코리아 외력흡수형 부잔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89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3735B1 (fr) Dispositif amortisseur de mouvement d'eau
RU2502629C2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US20060034668A1 (en) Winch gate for protection barrier system
KR101806193B1 (ko) 롤링을 저감하며 복원성을 높인 해상부유구조물
US7484470B2 (en) Soft quay mooring system
US5144904A (en) Stabilizing apparatus
KR102536790B1 (ko)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JP2005515116A (ja) 揺動係留浮舟
US4686924A (en) Fender or similar device for absorbing forces of impact
AU20042802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otion of a floating vessel
US5716249A (en) Mooring means
KR100935238B1 (ko) 선박계류장치용 계류파이프 유닛
KR101936379B1 (ko) 선박의 전복방지장치
KR101609625B1 (ko) 동요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WO2011027949A1 (ko) 해상부유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0396791Y1 (ko)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JP5619333B2 (ja) 防舷材
KR200474803Y1 (ko) 횡동요 감쇠 탱크
JPH0660611U (ja) 浮桟橋
KR200352592Y1 (ko) 보트용 조립식 정박장치
US10981630B2 (en) Floating mooring structure
JP2019060113A (ja) 防舷装置
AU688397B2 (en) Mooring means
GB2084529A (en) Stabiliz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