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791Y1 -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791Y1
KR200396791Y1 KR20-2005-0017754U KR20050017754U KR200396791Y1 KR 200396791 Y1 KR200396791 Y1 KR 200396791Y1 KR 20050017754 U KR20050017754 U KR 20050017754U KR 200396791 Y1 KR200396791 Y1 KR 200396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fixing means
offshore structure
presen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연
홍삼권
최용호
홍용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Abstract

본 고안은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펜더와 이를 고정 지지하며 높이 조절가능한 고정수단을 다수개 설치하여 흘수선에 펜더를 위치시킴으로써 침수면적을 증가시키고 와류를 발생시켜 횡동요운동과 상하동요운동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해상구조물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펜더와; 상기 펜더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펜더는 상기 구조물의 침수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의 흘수선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펜더에 결합되는 체인과; 상기 구조물의 흘수선 변화에 따라 상기 펜더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체인과 연결되며 상기 구조물에 상,하 높이차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도르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펜더에는 상기 펜더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체인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Rolling and Pitching for FPSO}
본 고안은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펜더와 이를 고정 지지하며 높이 조절가능한 고정수단을 다수개 설치하여 흘수선에 펜더를 위치시킴으로써 침수면적을 증가시키고 와류를 발생시켜 횡동요운동과 상하동요운동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유전 개발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같은 해상구조물은 방형계수가 크며, 사각형상의 중앙단면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파도에 의해서 상하동요 및 횡동요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동요현상은 작업성능과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바,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각 동요현상을 방지 또는 억제하여야 한다.
한편, 해상구조물과 선박을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동요현상, 이 중 횡동요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이 공지된 바 있다. 이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바로 빌지키일(Bilge Keel)이다. 상기 빌지키일은 판과 같은 부재로서 선저와 선체의 측벽이 만나는 빌지 부분에 부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빌지키일은 선박이 횡동요를 할 때 와류를 발생시키는데, 설치시 부가적인 비용이 크지 않음에 따라 대부분의 선박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빌지키일 만으로 횡동요 감쇄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할 경우에는 횡동요 감쇄탱크나 핀안정기와 같은 장비를 부가 설치하게 된다. 상기 감쇄탱크는 선박의 중앙부 U자형 물탱크를 설치하여 물탱크 내부 유동의 공진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수동식과 능동식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핀안정기는 빌지에 핀을 부착시켜 횡동요에 따라 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핀에 양력을 발생시켜 부가적인 복원력과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횡동요 감쇠장치이다.
그런데, 상기의 횡동요 감쇠방식들은 해상구조물의 작업성능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횡동요 및 상하동요 중 횡동요만을 감쇄하여 보정하게 되는 바, 전술한 상기 해상구조물에서의 상하동요 및 횡동요 모두를 감쇄 보정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펜더와 이를 고정 지지하며 높이 조절가능한 고정수단을 다수개 설치하여 흘수선에 펜더를 위치시킴으로써 침수면적을 증가시키고 와류를 발생시켜 횡동요운동과 상하동요운동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해상구조물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펜더와; 상기 펜더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펜더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침수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해상구조물의 흘수선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조물의 흘수선 변화에 따라 상기 펜더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펜더에 결합되는 체인과; 상기 구조물의 흘수선 변화에 따라 상기 펜더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체인과 연결되며 상기 구조물에 상,하 높이차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도르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펜더에는 상기 펜더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체인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크게 해상구조물(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펜더(10)와 상기 펜더(1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펜더(10)는 해상구조물(100)이 항구나 항만에 하역시 외부 구조물과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탄력성있는 탄성부재나 공기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에어백 등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더(10)는 해상구조물(100) 외벽의 고정수단에 고정지지 및 높이 조절가능하게 체결되어 해상구조물(100) 전체의 침수면적을 증가시키며,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해상구조물(100)의 횡요동운동과 상하요동운동을 억제시키는데, 이를 위해 해상구조물(100)의 평면면적에 대해 다수개의 펜더(10)가 차지하는 비율은 5~15% 내외가 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펜더(10)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데,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상기 펜더(10)에 결합되는 체인(21)과; 상기 해상구조물(100)의 흘수선(L) 변화에 따라 상기 펜더(10)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체인(21)과 연결되며 상기 해상구조물(100)에 상,하 높이차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도르레(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펜더(10)에는 상기 펜더(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체인(21)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인(21)과 펜더(10) 및 도르레(22)의 결합에 있어서는 상기 체인(21)의 일단은 펜더(1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며, 상,하 도르레(22)의 외주연을 따라 연결되어 타단이 펜터(10)의 타측에 고정결합됨에 따라 도르레의 회전에 따라 펜더(10)가 상, 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펜더(10)의 보다 견고한 고저을 위해서는 상기 펜더(10)에 체인(21)이 단순 결합되기 보다는 상기 체인(21)이 상기 펜더(10)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진 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도르레(22)는 높이조절 가능하기 위해서 최소 한쌍으로 체인(21)에 의해 연결 구비되어야 하며, 안정적인 펜더(10)의 높이 조절 및 펜터(10)의 평행성을 보장하기 위해 펜더(10) 하나에 다수개의 도르레(22)와 이와 연결되는 체인(21)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펜더(10)는 흘수선(L)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 하 도르레(22)를 회전시킴으로써 펜더(10)를 높이 조절한다.
이때 상, 하 도르레(2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만을 회전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선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 하 도르레(22) 모두 회전하여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펜더와 이를 고정 지지하며 높이 조절가능한 고정수단을 다수개 설치하여 흘수선에 펜더를 위치시킴으로써 침수면적을 증가시켜 부력증가에 의한 상하동요운동의 억제는 물론 펜더로부터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에너지를 분산시켜 횡동요운동을 동시에 억제한다.
또한 탄력성있는 탄성부재 또는 공기를 수용하여 하역시 외부 구조물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펜더를 횡동요운동과 상하동요운동 방지장치로 활용함에 따라 별도의 충격완화장치가 필요없어 해상구조물 전체의 안전구조장치가 간단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펜더 21: 체인
22: 도르레 100: 해상구조물
L: 흘수선

Claims (3)

  1. 해상구조물(100)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펜더(10)와;
    상기 펜더(10)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펜더(10)는 상기 해상구조물(100)의 침수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해상구조물(100)의 흘수선(L)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조물(100)의 흘수선(L) 변화에 따라 상기 펜더(1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펜더(10)에 결합되는 체인(21)과; 상기 체인(21)과 연결되며 상기 구조물에 상,하 높이차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도르레(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10)에는 상기 펜더(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체인(21)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2005-0017754U 2005-06-20 2005-06-20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0396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54U KR200396791Y1 (ko) 2005-06-20 2005-06-20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54U KR200396791Y1 (ko) 2005-06-20 2005-06-20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791Y1 true KR200396791Y1 (ko) 2005-09-27

Family

ID=4369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754U KR200396791Y1 (ko) 2005-06-20 2005-06-20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7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60A (ko) 2014-10-22 2016-05-03 현대건설주식회사 능동적 요동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60A (ko) 2014-10-22 2016-05-03 현대건설주식회사 능동적 요동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849B2 (en) Drag-inducing stabilizer plates with damping apertures
JP4358456B2 (ja) 浮体の動揺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浮体
PL182098B1 (pl) Urzadzenie do tlumienia skladowej pionowej ruchu konstrukcji plywajacej PL PL PL PL PL
RU2603172C2 (ru) Плавучая морская платформа и центральная открытая килевая пластина
ES2231576T3 (es) Embarcacion que comprende faldones transversales.
KR101454775B1 (ko) 동요 억제 장치
US10196112B2 (en) Adaptive observation platform device for sea surface
KR101138752B1 (ko) 해상부유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0396791Y1 (ko)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JP2009184671A (ja) 浮体の動揺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浮体
KR101468227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가변형 빌지 킬을 이용한 횡요운동 제어방법
JP2000142569A (ja) 浮体の動揺低減装置
JP4024793B2 (ja) 船舶のピッチング軽減装置
KR20140144555A (ko) 선박의 횡동요 억제 장치
KR101159161B1 (ko) 해상부유물의 동요 방지장치
JP2005239157A (ja) 浮体の動揺低減装置
KR20150145321A (ko) 해양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220120389A (ko)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JP4022973B2 (ja) 浮遊構造物の横揺れ低減構造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101400003B1 (ko) 해양구조물의 동요 저감 장치
JP2001295244A (ja) 消波装置
KR101609625B1 (ko) 동요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0469023Y1 (ko) 해상구조물의 동요 저감장치
KR101762651B1 (ko) 반잠수식 플랫폼의 동요 감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