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497B1 -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497B1
KR101507497B1 KR1020130059058A KR20130059058A KR101507497B1 KR 101507497 B1 KR101507497 B1 KR 101507497B1 KR 1020130059058 A KR1020130059058 A KR 1020130059058A KR 20130059058 A KR20130059058 A KR 20130059058A KR 101507497 B1 KR101507497 B1 KR 10150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thickness
complex
foil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476A (ko
Inventor
정경윤
조병원
이중기
김형선
조재현
장원영
이화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4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5Electrochemical coating; Electrochemical impreg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은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전해질 용액에서의 화학적,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두께가 얇아 전지의 무게당 및 부피당 에너지밀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하므로,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안정성, 전극용량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향후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Anode foil for magnesium secondary battery and its fabr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이차전지는 자원이 풍부하고 저렴한 마그네슘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이차전지로 안전성과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 향후 대폭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전력에너지 저장용 및 전기 자동차용 중대형전지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이론적인 에너지밀도는 리튬이차전지 다음으로 상당히 높으나 이차전지로서의 특성 구현은 1990년 T. Gregory 등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으며, 그 후 10여 년 동안 마그네슘 전지에 대한 연구결과 발표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0년대에 들어서 BIU 그룹에 의해 쉐브렐-상(Chevrel-phase) 양극 활물질 소재가 개발되어 가역성이 확보됨으로써 다시 한 번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 및 가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전지로 많은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리튬이온 전지의 절반 이하의 수준을 나타내 새로운 양극활 물질소재, 전해질 용액 소재, 집전체 및 마그네슘 음극 포일 등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주요 연구 분야는 크게 양극활 물질 소재 분야와 전해질용액 분야이며, 양극활 물질 소재 분야는 단위 무게당 가역용량을 높이고 가역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금속 황 화합물, 유기 황 화합물, 금속 산화물, 금속 실리케이트 화합물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마그네슘 음극의 경우는 주로 수백 ㎛ 두께 수준의 마그네슘 포일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 마그네슘 이차전지에서 필요한 음극 포일의 두께는 50 ㎛ 이하이어야 하므로 기존의 마그네슘 포일을 사용할 시는 지나치게 과량의 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으로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무게당, 부피당 에너지밀도가 저하하게 되고, 또한 가격도 상승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마그네슘 포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수 mm 수준의 마그네슘 판을 압연하여 수백 ㎛ 두께 수준의 마그네슘 포일을 제조하는 것으로, 압연의 방법으로 100 ㎛ 이하의 포일을 제조하기는 상당히 어렵고 고가의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포일을 100 ㎛ 이하로 얇게 만들 시에는 마그네슘 자체가 연성이 부족하여 깨지게 되므로 결함이 없는 균일한 마그네슘 포일을 제조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경제성이 거의 없다는 한계를 보인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구리 시트의 표면을 세정하여 세척된 구리 시트를 얻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구리 시트의 양쪽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은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전해질 용액에서의 화학적,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두께가 얇아 전지의 무게당 및 부피당 에너지밀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하므로,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안정성, 전극용량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향후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음극 포일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음극 포일의 표면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방전특성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a) 구리 시트의 표면을 세정하여 세척된 구리 시트를 얻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구리 시트의 양쪽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b') 상기 세척된 구리 시트의 양쪽 표면 모두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세척된 구리 시트의 양쪽 표면 중 일면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 (b''-2) 상기 도금된 마그네슘을 상기 구리 시트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의 순차적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구리 시트는 두께가 1-20 ㎛인 구리 포일이고;
상기 (b''-1) 단계의 구리 시트는 두께가 1-10 ㎜인 구리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구리 포일 양면을 마그네슘 도금 용액에 침지하고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b''-1) 단계는 상기 구리 판 양면 중 일면을 마스킹하고, 마그네슘 도금 용액에 침지하여 다른 일면이 도금 용액에 닿은 상태로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구리 포일인 경우에는 마그네슘 도금층 일면의 두께가 1-50 ㎛이고,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의 두께는 양면이 동일하며;
상기 구리 판인 경우에는 마그네슘 도금층의 두께가 10-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마그네슘 도금층의 두께는 구리 포일인 경우에는 양면의 마그네슘 도금층을 각각 1-50 ㎛의 두께로 양면을 동일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용 음극 포일과 동일한 성능을 내면서 두께 및 무게를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고, 부피당 및 무게당 에너지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세정은 탈지, 수세, 산피클링, 수세하는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피클링은 황산 또는 중크롬산염이 용해된 황산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공정은 그리그나드 시약,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EtMgBr),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EtMgCl), 알-에틸 복합물(All-Ethyl Complex(AEC, EtMgCl-(EtAlCl2)2Complex)), 알-페닐 복합물(All-Phenyl Complex(APC, PhMgCl-AlCl3 Complex)), Mg(ClO4)2, Mg(TFSI)2, 이온성 액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제조된 마그네슘 도금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 이미다졸륨, 피페리디늄, 피리디늄, 암모늄, 몰폴리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매는 테트라히이드로퓨란(THF), 디메톡시에탄(DME), 디글라임(Diglyme), 트리글라임(Triglyme), 테트라글라임(Tetraglym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2) 단계는 세척 및 건조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양극, (2) 음극, (3)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한 전해질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로서;
상기 음극은 (2') 구리 포일, (2’') 상기 구리 포일 양면에 위치한 마그네슘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구리 포일의 두께는 1-20 ㎛이고;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 중에서 일면의 두께는 1-50 ㎛이며;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은 그리그나드 시약,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EtMgBr),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EtMgCl), 알-에틸 복합물(All-Ethyl Complex(AEC, EtMgCl-(EtAlCl2)2Complex)), 알-페닐 복합물(All-Phenyl Complex(APC, PhMgCl-AlCl3 Complex)), Mg(ClO4)2, Mg(TFSI)2, 이온성 액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 이미다졸륨, 피페리디늄, 피리디늄, 암모늄, 몰폴리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양극, (2) 음극, (3)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한 전해질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로서;
상기 음극은 (a) 구리판의 표면을 세척하여 세척된 구리판을 얻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구리판의 일면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 (c) 상기 도금된 마그네슘을 상기 구리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의 순차적 공정으로 수행되고;
상기 구리판의 두께는 1-10 ㎜이고;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의 두께는 10-100 ㎛이며;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은 그리그나드 시약,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EtMgBr),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EtMgCl), 알-에틸 복합물(All-Ethyl Complex(AEC, EtMgCl-(EtAlCl2)2Complex)), 알-페닐 복합물(All-Phenyl Complex(APC, PhMgCl-AlCl3 Complex)), Mg(ClO4)2, Mg(TFSI)2, 이온성 액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 이미다졸륨, 피페리디늄, 피리디늄, 암모늄, 몰폴리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 사이에 구리 포일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포일의 마그네슘 도금층은 1-50 ㎛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판과 분리하여 제조된 마그네슘 포일은 10-100 ㎛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극으로서 두께가 10-100 ㎛로 동일한 범위에 있는 마그네슘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기존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슘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구리판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마그네슘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음극 포일의 표면이 결함 없이 균일한 효과가 새롭게 발현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실시예 1: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1
10 ㎛ 두께의 구리포일을 에탄올로 탈지하고 증류수로 수세한 후, 10 부피% 황산 용액으로 산피클링하여 표면 산화막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수세하여 구리포일 표면을 세정하였다. 상기 구리포일을 그리그나드 시약(PhMgCl-AlCl3 Complex) 및 이온성 액체(AMPCl)를 혼합한 도금 용액에 침지하여 전류밀도 10 mA/cm2의 직류전류로 25 분 동안 도금하여 구리포일 양면에 마그네슘 도금층을 각각 5 ㎛ 두께로 형성시켜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2
6 mm 두께의 구리포일을 에탄올로 탈지하고 증류수로 수세한 후, 10 부피% 황산 용액으로 산피클링하여 표면 산화막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수세하여 구리포일 표면을 세정하였다. 상기 구리포일을 그리그나드 시약(PhMgCl-AlCl3 Complex) 및 이온성 액체(AMPCl)를 혼합한 도금 용액에 침지하여 전류밀도 20 mA/cm2의 직류전류로 100 분 동안 도금하여 구리포일 한면에 마그네슘 도금층을 40 ㎛ 두께로 형성시키고, 상기의 마그네슘이 도금된 판을 세척 및 건조한 후 구리판으로부터 마그네슘 포일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마그네슘 이차전지 코인셀의 제조-1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양극층은 Mo6S8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인 덴카블랙, PVdF 바인더(NMP에 용해된 용액)를 90: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니켈 포일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 압연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고,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전해질 용액은 알-페닐 복합체(All-Phenyl Complex, APC, PhMgCl-AlCl3 Complex) 전해질 염 0.04 몰을 THF 용매 100 ml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음극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음극 포일, PP 분리막 및 Mo6S8 양극층으로 이루어진 마그네슘 이차전지 코인셀을 구성하고 전지의 충·방전 전압조건을 0.5-1.8 V로 설정하여 용량 및 사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4: 마그네슘 이차전지 코인셀의 제조-2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양극층은 Mo6S8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인 덴카블랙, PVdF 바인더(NMP에 용해된 용액)를 90: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니켈 포일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 압연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고,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전해질 용액은 알-페닐 복합체(All-Phenyl Complex, APC, PhMgCl-AlCl3 Complex) 전해질 염 0.04 몰을 THF 용매 100 ml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음극으로 상기 실시예 2의 음극 포일, PP 분리막 및 Mo6S8 양극층으로 이루어진 마그네슘 이차전지 코인셀을 구성하고 전지의 충·방전 전압조건을 0.5-1.8 V로 설정하여 용량 및 사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비교예 1: 마그네슘 이차전지 코인셀의 제조-3
양극으로 Mo6S8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인 덴카블랙, PVdF 바인더(NMP에 용해된 용액)를 90: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니켈 포일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 압연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고,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전해질 용액은 알-페닐 복합체(All-Phenyl Complex, APC, PhMgCl-AlCl3 Complex) 전해질 염 0.04 몰을 THF 용매 100 ml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음극으로 200 ㎛ 두께의 마그네슘 포일을 사용하고, PP 분리막 및 Mo6S8 양극층으로 이루어진 마그네슘 이차전지 코인셀을 구성하고 전지의 충·방전 전압조건을 0.5-1.8 V로 설정하여 용량 및 사이클 수명을 조사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음극 포일로 제조된 실시예 3 및 4의 마그네슘 이차전지 코인셀의 경우, 충전 종지 전압을 1.8 V, 방전 종지 전압을 0.5 V로 설정하여 방전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위 부피당 방전용량(mAh/cc)의 특성이 비교예의 상용 마그네슘포일 음극으로 제조한 코인셀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음극 포일을 포함하는 실시예 3 및 4의 마그네슘 이차전지는 비교예의 마그네슘 이차전지보다 사이클 수명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포일을 사용하는 경우 상용 음극 포일과 동일한 성능을 내면서, 두께 및 무게는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어 마그네슘 이차전지의 두께당, 즉 부피당 및 무게당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3)

  1. 삭제
  2. (a) 구리 시트의 표면을 세정하여 세척된 구리 시트를 얻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구리 시트의 양쪽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b) 단계는 (b') 상기 세척된 구리 시트의 양쪽 표면 모두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세척된 구리 시트의 양쪽 표면 중 일면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 (b''-2) 상기 도금된 마그네슘을 상기 구리 시트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의 순차적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구리 시트는 두께가 1-20 ㎛인 구리 포일이고;
    상기 (b''-1) 단계의 구리 시트는 두께가 1-10 ㎜의 구리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구리 포일 양면을 마그네슘 도금 용액에 침지하고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b''-1) 단계는 상기 구리 판 양면 중 일면을 마스킹하고, 마그네슘 도금 용액에 침지하여 다른 일면이 도금 용액에 닿은 상태로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포일인 경우에는 마그네슘 도금층 일면의 두께가 1-50 ㎛이고,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의 두께는 양면이 동일하며;
    상기 구리 판인 경우에는 마그네슘 도금층의 두께가 10-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세정은 탈지, 수세, 산피클링, 수세하는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피클링은 황산 또는 중크롬산염이 용해된 황산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공정은 그리그나드 시약,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EtMgBr),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EtMgCl), 알-에틸 복합물(All-Ethyl Complex(AEC, EtMgCl-(EtAlCl2)2Complex)), 알-페닐 복합물(All-Phenyl Complex(APC, PhMgCl-AlCl3 Complex)), Mg(ClO4)2, Mg(TFSI)2, 이온성 액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제조된 마그네슘 도금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 이미다졸륨, 피페리디늄, 피리디늄, 암모늄, 몰폴리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테트라히이드로퓨란(THF), 디메톡시에탄(DME), 디글라임(Diglyme), 트리글라임(Triglyme), 테트라글라임(Tetraglym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세척 및 건조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의 제조방법.
  12. (1) 양극, (2) 음극, (3)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한 전해질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로서;
    상기 음극은 (2') 구리 포일, (2'') 상기 구리 포일 양면에 위치한 마그네슘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구리포일의 두께는 1-20 ㎛이고;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 중에서 일면의 두께는 1-50 ㎛로 양면을 동일 두께로 하며;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은 그리그나드 시약,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EtMgBr),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EtMgCl), 알-에틸 복합물(All-Ethyl Complex(AEC, EtMgCl-(EtAlCl2)2Complex)), 알-페닐 복합물(All-Phenyl Complex(APC, PhMgCl-AlCl3 Complex)), Mg(ClO4)2, Mg(TFSI)2의 이온성 액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 이미다졸륨, 피페리디늄, 피리디늄, 암모늄, 몰폴리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
  13. (1) 양극, (2) 음극, (3)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한 전해질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로서;
    상기 음극은 (a) 구리판의 표면을 세척하여 세척된 구리판을 얻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구리판의 일면에 마그네슘을 도금하는 단계; (c) 상기 도금된 마그네슘을 상기 구리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의 순차적 공정으로 수행되고;
    상기 구리판의 두께는 1-10 ㎜이고;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의 두께는 10-100 ㎛이며;
    상기 마그네슘 도금층은 그리그나드 시약,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EtMgBr),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EtMgCl), 알-에틸 복합물(All-Ethyl Complex(AEC, EtMgCl-(EtAlCl2)2Complex)), 알-페닐 복합물(All-Phenyl Complex(APC, PhMgCl-AlCl3 Complex)), Mg(ClO4)2, Mg(TFSI)2, 이온성 액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 이미다졸륨, 피페리디늄, 피리디늄, 암모늄, 몰폴리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
KR1020130059058A 2013-05-24 2013-05-24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058A KR101507497B1 (ko) 2013-05-24 2013-05-24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058A KR101507497B1 (ko) 2013-05-24 2013-05-24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76A KR20140138476A (ko) 2014-12-04
KR101507497B1 true KR101507497B1 (ko) 2015-03-31

Family

ID=5245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058A KR101507497B1 (ko) 2013-05-24 2013-05-24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3573B2 (ja) * 2015-02-06 2019-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
WO2017187700A1 (ja) * 2016-04-26 2017-11-02 ソニー株式会社 マグネシ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マグネシウム二次電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540A (ko) * 1999-07-29 2002-05-03 유니버시타' 데글리 스투디 디 파도바 마그네슘계 일차(재충전이 불가능한) 및 이차(재충전이가능한) 전지
JP2002157999A (ja) * 2000-11-20 2002-05-31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20020094530A (ko) * 2001-06-12 2002-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이 피복된 집전체, 이를 이용한 전극 및 이들 전극을포함하는 리튬전지
KR20120030021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마그네슘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540A (ko) * 1999-07-29 2002-05-03 유니버시타' 데글리 스투디 디 파도바 마그네슘계 일차(재충전이 불가능한) 및 이차(재충전이가능한) 전지
JP2002157999A (ja) * 2000-11-20 2002-05-31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20020094530A (ko) * 2001-06-12 2002-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이 피복된 집전체, 이를 이용한 전극 및 이들 전극을포함하는 리튬전지
KR20120030021A (ko) * 2010-09-17 2012-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마그네슘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76A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884B2 (en) Electrode structures
US10020514B2 (en) Ionically permeable structur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JP4929182B2 (ja) 蓄電素子
US9118087B2 (en)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JP6743861B2 (ja) 液式鉛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276444A1 (en)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battery
US8822071B2 (en)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battery
WO2022027907A1 (zh) 负极材料、负极、钾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JP4168241B2 (ja) 非水電解質電池
KR101507497B1 (ko)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음극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
JP5927755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WO2013146464A1 (ja) 電極材料、及びこの電極材料を用いたキャパシタ、二次電池
Raicheff et al. Novel current collector and active mass carrier of the zinc electrode for alkaline nickel-zinc batteries
KR101481107B1 (ko)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양극 집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3058079A1 (ja) 溶融塩電池の稼働方法
US20120044613A1 (en) Electrolyte for lithium ion capacitor and lithium ion capacitor including the same
CN107871885B (zh) 金属离子二次电池
JPH11283871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集電体及び該集電体を有す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20240047747A1 (en) Zinc rechargeable batteries
JPH11135368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集電体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BG66966B1 (bg) Алкална зареждаема никел-цинкова батерия
JP2022014065A (ja) 電池
JPWO2019212038A1 (ja) アルカリ金属イオンキャパシタ
JP2018186093A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た鉄アノード及び改善された性能を備えるバッテリー
JP2006165197A (ja) 電気化学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