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271B1 -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271B1
KR101507271B1 KR1020140012651A KR20140012651A KR101507271B1 KR 101507271 B1 KR101507271 B1 KR 101507271B1 KR 1020140012651 A KR1020140012651 A KR 1020140012651A KR 20140012651 A KR20140012651 A KR 20140012651A KR 101507271 B1 KR101507271 B1 KR 10150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hot water
water
control valv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486A (ko
Inventor
정종현
Original Assignee
정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현 filed Critical 정종현
Priority to KR102014001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2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11Flow rate sensor
    • B67D1/1218Flow rate sensor modulating the opening of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는, 가열된 온수가 저장된 온수통과; 온수 급수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 스위치와; 온수를 온수통으로부터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급수구와; 상기 유로 또는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여 온수가 상기 급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제어밸브와; 온수를 급수받고자 하는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면, 폐쇄된 상태의 상기 급수제어밸브가 서서히 열리도록 개방량을 제어하여 온수의 급수량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SAFTY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온수를 이용하고자 할 때 용기에 급수되는 온수가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수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컵과 같은 용기에 100℃에 가까운 고온의 온수를 급수받을 때, 급수 노즐로부터 급수되는 온수가 컵의 바닥에 또는 컵에 이미 담겨진 온수의 표면에서 튀어올라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에 화상을 입히는 사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1999-2657호(명칭: 정수기의 안전 온수 공급장치)(이하, 종래 기술)가 고안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를 통해 배출된 온수가 통과하는 입구와, 이 입구의 단면적보다 적은 배출구로 이루어지며, 중간부에 경사부를 가지는 수도꼭지부가 형성되고, 온수통 연결부와 경사부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켜 온수의 충전에 의해서 하방으로 유동되게 하며, 수도꼭지부의 내부에는 다수의 날개가 나선으로 형성되어 온수가 날개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되며, 수도꼭지부의 끝단에는 나팔관 형상의 배출구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안전 온수 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에서는, 배출구에 형성되는 날개들에 물때가 끼는 등의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날개들에서 물이 튀기 시작하여 오히려 배출구에서 사방으로 온수가 튈 수 있어 안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나팔관 형상의 배출구는, 온수를 퍼져나가는 형태로 배출하므로 컵의 바깥쪽으로 온수가 튀어나갈 가능성이 오히려 더 높아진다.
본 발명은 급수 장치를 이용할 때 급수되는 온수가 용기로부터 튀어올라 화상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더욱, 사용자가 1차적으로 소량의 온수를 용기에 급수받은 후 이어서 2차적으로 온수를 급수받고자 할 때, 이미 담겨진 온수의 표면에서 새로 급수되는 온수가 튀어올라 사용자에게 화상을 유발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는, 가열된 온수가 저장된 온수통과; 온수 급수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 스위치와; 온수를 온수통으로부터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급수구와; 상기 유로 또는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여 온수가 상기 급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제어밸브와; 온수를 급수받고자 하는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면, 온수의 급수량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폐쇄된 상태의 상기 급수제어밸브가 서서히 열리면서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은, 빈용기에 대한 최초 급수시의 개방량의 제어 형태와 소정량의 급수가 이루어진 용기에 대한 추가적인 재급수시의 개방량의 제어 형태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급수제어밸브에 대하여, 온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온오프 듀티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개방량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기 급수제어밸브는, 상기 유로를 흐르는 온수의 열에 의해 부피 또는 형태가 변화하는 열변형 수단과, 상기 열변형수단에 의해 개방량이 변화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는, 물이 저장된 정수통과; 온수 급수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 스위치와; 물을 정수통으로부터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급수구와; 상기 유로 또는 상기 급수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유로 또는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여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급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제어밸브와; 온수를 급수받고자 하는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면, 온수의 급수량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폐쇄된 상태의 상기 급수제어밸브가 서서히 열리면서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온수를 급수받기 위하여 용기를 급수 장치에 가져간 후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면, 온수의 급수량이 소량으로부터 서서히 증가하도록 제어되므로, 순간적으로 다량의 온수가 급격히 토출되어 온수가 용기 바닥 또는 용기에 담겨진 온수에 충돌하여 튀어올라옴으로써 화상을 입게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급수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급수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 제어 밸브를 설치한 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마이컴에 의한 급수 제어 밸브의 개방량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급수 제어 밸브의 개방량 제어를 위해 마이컴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급수 제어 밸브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급수 제어 밸브의 다른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급수 장치(100)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 또는 다양한 식음료를 배출하는 최근의 급수 장치(100)는, 컵과 같은 용기로 급수구의 주변에 배치된 스위치(140)를 누르면, 마이컴(150)이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고 온수통(112) 또는 정수통(114)의 밸브(122 또는 124)를 개방시켜 물을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수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도 2를 참조하면, 히터(152)를 내장한 온수통(112)과 정수통(114)이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통의 하부에는 급수구(130)와 연결된 유로(1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120)에 있어서, 온수통(112)과 급수구(130)의 사이에는 온수의 급수를 실행 및 중지시키도록 개폐 제어되는 온수 밸브(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정수통(114)과 급수구(130)의 사이에는 정수의 급수를 실행 및 중지시키기 위해 개폐 제어될 수 있는 정수 밸브(124)가 형성될 수 있다.
마이컴(150)은, 히터(1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온수통 내의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고, 스위치(140)의 조작을 감지하면, 온수 밸브(122) 또는 정수 밸브(124)를 동작시켜 급수구(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위치(140)는, 온수의 급수를 요청하는 "온수" 스위치와, 실온 또는 냉각된 정수의 급수를 요청하는 "정수" 스위치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스위치(140)는, 평소에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온 상태로 유지되거나, 사용자가 누르는 등의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렇게 스위치 조작에 의해 마이컴(150)이 밸브를 온오프시키는 전자식의 급수 장치에서는 밸브를 온(개방)시키거나 오프(폐쇄)시키는 동작이 순간적으로 완료되도록 구성된다. 즉, 밸브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개방량이 0%에서 즉시 100%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밸브가 폐쇄될 때에도 100% 개방으로부터 즉시 완전한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왜냐하면, 밸브는, 위와 같은 신속한 동작을 위하여, 예를 들면, 제1위치에서 제2치로 순간적으로 동작되는 자력식 솔레노이드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구성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신속한 온 동작이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온수를 요청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컵을 급수구에 가까이 가져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손과 같은 신체 일부가 급수구(130)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급수구(130)로 다량의 온수가 급속으로 토출되면, 이 온수가 컵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급속으로 충돌하게 되며, 충돌한 온수는 사방으로 튀어올라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에 묻어 화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더욱 심각한 문제는, 사용자가 컵에 소량의 온수를 이미 받아놓은 상태에서, 온수를 조금 더 받기 위해서 조작 스위치(140)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온수 밸브(122)가 즉시 100% 온상태로 개방되면 급수구(130)를 통해 급속으로 온수가 토출되게 되는데, 이 온수가 낙하하여 컵에 이미 담겨져 있는 온수의 표면과 충돌하면, 토출된 온수뿐만아니라 담겨져있던 온수도 함께 튀어오르게 된다. 이는, 최초에 온수를 급수받을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큰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가 최초 급수를 시작할 때 컵의 바닥에 충돌하여 튀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더욱, 온수가 재급수될 때 컵에 이미 담겨진 온수와 충돌하여 튀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
삭제
이러한 방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온수 급수 장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 근방 또는 온수통과 급수구 사이의 유로 중 일부에 급수 제어 밸브(126)를 추가하는 것으로 완료될 수 있다.
이때, 급수 제어 밸브(126)는, 마이컴(150)에서 제공되는 순차적인 개방량(급수량)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수동적으로 개방량이 조절될 수 있거나, 마이컴(150)에서 제공하는 개방 신호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서서히 개방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급수 장치에서의 온수 밸브(122)를 상술한 급수 제어 밸브(126)로 교체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온수를 요청하여 온수 밸브(122)가 개방을 시작할 때, 마이컴(150)이 온수 밸브(122)(또는, 급수 제어 밸브)의 개방량이 폐쇄 상태(개방량 0%)로부터 완전 개방 상태(개방량 100%)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변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온수가 컵에서 튀어 오르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4는 마이컴에 의한 급수 제어 밸브(126)의 개방량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에서 제시한, "서서히 개방량을 증가시킨다"는 의미를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량이, 폐쇄된 상태(0% 개방)로부터의 개방 초기에는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최종 개방량(100% 개방)에 가까울수록 개방량의 증가가 완만해지는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개방 초기에는 완만하게 개방량이 증가하도록 제어되다가 일정 순간부터 급격하게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형태를 볼 수 있다.
도 4(c)는, 폐쇄된 상태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상태까지 직선적으로 개방량이 증가하도록 제어되는 형태이다.
상기의 3가지 개방량 제어 형태는 단지 예시일 뿐으로서, 계단식 증가 형태로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3가지 형태를 서로 조합한 형태 등의 다양한 제어 형태가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량 제어를 위해 마이컴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어 방식은, 온수 밸브 및/또는 급수 제어 밸브가, 단순히 온/오프만 전환될 수 있는 방식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한 경우에 유용하다. 즉, 급수 제어 밸브의 온/오프를 시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급수량 제어(개방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5(a)는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를 통해 온수의 급수를 선택한 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급수 제어 밸브(126)를 온시키고 특정의 시간 동안 오프시킨다. 이후, 이전의 온시간보다 증가된 온시간 동안 급수 제어 밸브(126)를 온시키고 다시 특정의 시간 동안 오프시킨다. 이렇게 서서히 온시간을 증가시킨 후, 임의의 시간 후에 급수 제어 밸브(126)를 연속적으로 온상태로 유지한다. 급수 제어 밸브(126)의 온상태는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를 놓을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도 5(b)는 급수 제어 밸브(126)를 온 시키는 시간을 특정하고, 조작 스위치를 통해 온수의 급수가 선택된 시점으로부터 급수 제어 밸브(126)를 온 및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의 시간동안 온시킨 후 다시 온시키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점차 줄여나가고, 임의의 시점으로부터는 급수 제어 밸브(126)를 연속적으로 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c)는 급수 제어 밸브(126)를 제어하는 주기를 특정하고, 해당 주기 내에서 온시간과 오프 시간을 변화시키는 듀티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술한 서서히 개방량이 증가되는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빈 컵에 온수를 받기 위한 최초 급수시의 개방량의 제어 형태와 이미 온수를 급수받은 후 조금 더 급수받기 위한 재급수시의 개방량의 제어 형태가 다르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미 온수가 담겨져 있는 컵에 재급수를 할 때, 온수가 더 많이 튈 수 있어서, 최초 급수시보다 더 위험하기 때문이다.
한편, 온수가 재급수되는 상황은, 예를 들면, 임의의 급수 동작이 발생한 후 기준 시간 이내에 또다시 급수가 이루어지는 경우로 판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위와 같이 개방량이 서서히 변화하는 제어 형태에 대응할 수 있는 급수 제어 밸브(126)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반적인 유량 제어에 사용되는 회전볼식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볼의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급수량(개방량) 제어가 가능하다.
도 6(b)은 유로에 삽입 및 배출되어 유로를 온오프시키는 차단벽을 구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차단벽의 삽입 및 배출량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c)은 실리콘과 같은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유로를 측면으로부터 누르거나 해제하여 급수량을 제어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방식은 단지 예시일 뿐으로서, 개방량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형태이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7은 급수 제어 밸브의 다른 상세한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급수 제어 밸브(126)는, 일측에 온수가 유입되는 입수구와 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구가 구성된 외형을 이루는 밸브체(1260)와, 밸브체의 내부에서 입수되는 온수의 열에 의해 형태가 변화하는 열 변형 수단으로서의 벨로즈(1268)와, 벨로즈의 말단에 연결되어 온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 수단으로서의 가동 부재(1264)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입수구로 유입되는 온수는 밸브체(1260)의 내부를 흐르면서 벨로즈(1268)의 표면에 접하게 된다. 벨로즈(1268)는 예를 들면 열 팽창량이 큰 물질이 봉입될 수 있으며, 온수의 열에 의해 길이 방향(즉, 도면의 세로 방향)으로 팽창하고, 온수가 중단되면 수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벨로즈(1268)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가동 부재(1264)도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밸브체(1260)의 출수구측에는, 가동 부재(1264)의 테이퍼된 부분과 맞물릴 수 있도록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 차단벽(12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벨로즈(1268)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테이퍼 부분이 차단벽(1262)에 끼워져 출수구는 막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벨로즈(1268)가 온수의 열에 의해 팽창할 때에는 가동 부재(1264)의 테이퍼 부분이 밀려나와 차단벽(1262)과 틈새를 이루고, 이 틈새를 통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가동 부재(1264)에는 밸브체(1260) 내에서 이동 방향이 제어될 수 있도록 가이드(1266)가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1266)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a)의 차단벽(1262) 부분에 대한 A-A'선을 따른 횡단면도인 도 7(b)을 참조하여 볼 수 있듯이, 차단벽(1262)의 일부에는 개방부(12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개방부(1263)는 벨로즈(1268)가 수축하여 가동 부재(1264)의 테이퍼 부분이 차단벽(1262)을 막고 있더라도 소량의 온수가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온수가 처음 유입될 때, 소량의 온수는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로써, 벨로즈(1268)에 열을 포함하는 온수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의 가이드(1266) 부분에 대한 B-B'선을 따른 횡단면도인 도 7(c)를 참조하여 볼 수 있듯이, 가이드의 일부에는 비교적 큰 개구부(126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1266)가 온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열 변형 수단으로서는, 벨로즈뿐만 아니라, 바이메탈, 형상기억 합금과 같은 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2를 참조하는 급수 장치(100)에서는, 온수통(112)과 정수통(114)을 별개로 설치하고 각각의 유로(120)를 급수구에서 결합시키는 구성을 보여준다. 물론, 실제 구성에서는 온수를 토출하기 위한 급수구와 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급수구가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장치에서는, 하나의 정수통(114)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정수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정수를 토출하고, 사용자가 온수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유로(120)의 일측에 형성된 히터(152)를 동작시켜 정수가 유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온수로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마이컴(150)에 의해 또는 자체적으로 급수량이 서서히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 급수 제어 밸브(126)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온수를 급수받기 위하여 용기를 급수 장치에 가져간 후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면, 온수의 급수량이 소량으로부터 서서히 증가하도록 제어되므로, 초기에 온수가 배출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유속이 상당히 느려질 수 있다.
특히, 배출구로부터 컵의 바닥 또는 이미 담겨진 온수의 표면까지의 낙차가 클수록 물이 더 많이 튀어오르게 되는데, 이때, 떨어지는 유량을 최소량으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떨어지는 물의 위치 에너지를 최소부터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순간적으로 다량의 온수가 급격히 토출되어 온수가 용기 바닥 또는 용기에 담겨진 온수에 충돌하여 튀어올라옴으로써 화상을 입게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가열된 온수가 저장된 온수통(112)과;
    온수 급수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 스위치(140)와;
    온수를 온수통(112)으로부터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120)와;
    상기 유로(120)의 말단에 배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급수구(130)와;
    상기 유로(120) 또는 상기 급수구(130)를 개폐하여 온수가 상기 급수구(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제어밸브(126)와;
    온수를 급수받고자 하는 상기 조작 스위치(140)의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급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급수량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상기 급수제어밸브(126)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서서히 개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급수제어밸브(126)의 개방량을 제어하는 마이컴(150)을 포함하는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50)은, 빈용기에 대한 최초 급수시의 상기 급수제어밸브(126)의 개방량의 제어 형태와 소정량의 급수가 이루어진 용기에 대한 추가적인 재급수시의 상기 급수제어밸브(126)의 개방량의 제어 형태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3. 삭제
  4. 가열된 온수가 저장된 온수통(112)과;
    온수 급수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 스위치(140)와;
    온수를 온수통(112)으로부터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120)와;
    상기 유로(120)의 말단에 배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급수구(130)와;
    상기 유로(120) 또는 상기 급수구(130)를 개폐하여 온수가 상기 급수구(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제어밸브(126)와;
    온수를 급수받고자 하는 상기 조작 스위치(140)의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급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급수량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상기 급수제어밸브(126)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까지의 시간을 다수의 주기로 구분하고, 상기 주기의 각각에서 상기 급수제어밸브(126)의 온시간과 오프시간을 변화시키는 듀티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급수제어밸브(126)의 개방량을 제어하는 마이컴(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5. 물이 저장된 정수통(114)과;
    온수 급수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 스위치(140)와;
    물을 정수통(114)으로부터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120)와;
    상기 유로(120)의 말단에 배치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급수구(130)와;
    상기 유로(120) 또는 상기 급수구(130)의 일측에 배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52)와;
    상기 유로(120) 또는 상기 급수구(130)를 개폐하여 상기 히터(152)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급수구(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제어밸브(126)와;
    온수를 급수받고자 하는 상기 조작 스위치(140)의 조작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152)를 가동시켜 상기 유로(120)를 흐르는 물을 가열하고, 상기 급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급수량이 서서히 증가하도록, 상기 급수제어밸브(126)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서서히 개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급수제어밸브(126)의 개방량을 제어하는 마이컴(150)을 포함하는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KR1020140012651A 2014-02-04 2014-02-04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KR10150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51A KR101507271B1 (ko) 2014-02-04 2014-02-04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51A KR101507271B1 (ko) 2014-02-04 2014-02-04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86A KR20140038486A (ko) 2014-03-28
KR101507271B1 true KR101507271B1 (ko) 2015-03-31

Family

ID=5064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651A KR101507271B1 (ko) 2014-02-04 2014-02-04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2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720A (ja) 1999-03-29 2000-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浄化機能付給湯風呂装置
KR200343143Y1 (ko) 2003-12-08 2004-02-25 전재석 생맥주의 기포 차단장치
JP2008247400A (ja) 2007-03-29 2008-10-16 Sanden Corp 液体搬出装置及び飲料提供装置
KR20100105061A (ko) * 2009-03-20 2010-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720A (ja) 1999-03-29 2000-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浄化機能付給湯風呂装置
KR200343143Y1 (ko) 2003-12-08 2004-02-25 전재석 생맥주의 기포 차단장치
JP2008247400A (ja) 2007-03-29 2008-10-16 Sanden Corp 液体搬出装置及び飲料提供装置
KR20100105061A (ko) * 2009-03-20 2010-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86A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49B1 (ko) 농도가 조절된 향의 다중 자동배출 및 전환이 가능한 향 배출장치
ITBG970020A1 (it) Generatore elettrodomestico di vapore a livello acqua di caldaia stabilizzato particolarmente per ferri da stiro
JP2012000883A5 (ko)
JP2000033200A (ja) 業務用アイロン及びスチームブラシ
US79970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team
KR101507271B1 (ko) 온수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JP2012170707A (ja) 電気ケトル
IT1314778B1 (it) Dispositivo per l'erogazione automatica dell'acqua
JP4627772B2 (ja) 温水洗浄装置
DK3141668T3 (en) Wash-WC with flow heater and hot water tank
JP2007289870A (ja) トリガー式の泡噴出ディスペンサ
JP2011169529A (ja) 風呂装置
JP2007046344A (ja) 温水洗浄装置
JP6970608B2 (ja) 肩湯ノズル及び肩湯システム
CN208237141U (zh) 用于电热水龙头的阀件
JPH05161564A (ja) シャワー装置
JPH0335386Y2 (ko)
ES2402498B1 (es) Dispositivo eléctrico de planchado
KR20050062765A (ko) 물의 성질을 활용하는 물탱크가 일체로 구비된 수도직결샤워기 온수장치와 온수배출방법
KR20070101626A (ko) 연속온수식비데용 저수탱크
JP6383287B2 (ja) 風呂給湯システム
JP5603151B2 (ja) 吐水装置
JPH1190099A (ja) アイロン
JP5050516B2 (ja) サウナ装置
JP3200104U (ja) 浴室暖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