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227B1 -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 Google Patents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227B1
KR101507227B1 KR1020130069125A KR20130069125A KR101507227B1 KR 101507227 B1 KR101507227 B1 KR 101507227B1 KR 1020130069125 A KR1020130069125 A KR 1020130069125A KR 20130069125 A KR20130069125 A KR 20130069125A KR 101507227 B1 KR101507227 B1 KR 10150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se
insertion portion
exhaust hole
gas exhaus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707A (ko
Inventor
이규형
박승복
문창민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3006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2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가스배기홀에 체결되는 벤트호스의 선단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지 않는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Upper cover for battery with integrated vent horse connector}
본 발명은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커버의 가스배기홀에 체결되는 벤트호스의 선단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지 않는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축전지는 묽은 황산 전해액 속에 과산화납(pbo2)과 해면상납(pb)을 침적하면 표준 환원 전위차에 의해 하나의 전지당 약 2V의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지들을 직렬연결을 통해 12V 또는 6V의 제품을 준비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축전지는 전해액이 주입되기 위하여 하우징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를 밀봉시키기 위한 상부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축전지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종래의 특허등록 제0645971호(2006.11.07 등록)와, 특허등록 제0724075호(2007.05.25 등록)에 그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기 차량용 축전지는 차량의 본넷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또는 주차 및 정차중에 상기 축전지의 내측에서 발생된 가스를 본넷 내부로 직접 배출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차량은 에프알(FR : Front engine Rear drive) 차량으로서 엔진을 차량 앞쪽에 탑재하고 뒷바퀴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축전지를 엔진룸 내에 위치시킨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에프알 차량은 엔진룸 내의 부품들의 공간 확보가 어려워 각 부품의 배치 자유도에 상당한 제약을 주고 있다.
또한, 차량 앞쪽에 엔진과 함께 상당한 무게를 가진 축전지가 설치되어 차량의 중량분배가 어려워 차량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요즘에는 프론트 오버행(front overhang), 즉 앞차축의 중심부터 자동차 선단까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주행중 선회시나 주차시에 운전자에게 보다 나은 가시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프론트 오버행을 짧게 하는데 가장 큰 장애물은 엔진룸에서 차지하는 축전지의 공간이다.
이와 같이, 종래 에프알 차량은 엔진룸에 축전지를 설치함으로 인해 엔진룸 내의 부품들의 공간 확보가 어려워 각 부품의 배치 자유도가 작으며, 상당한 무게의 축전지가 엔진과 함께 차량의 앞쪽에 설치됨으로 차량의 중량이 분배되지 않아 차량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며, 프론트 오버행을 짧게 하는데 걸림돌이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엔진룸에 장착되던 축전지를 트렁크룸에 배치하여 엔진룸 내의 부품들에 대한 공간을 확보하고, 차량의 하중을 앞뒤로 분배시키고 프론트 오버행을 짧게 하는 차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의 특허등록 제0748737호(2007.08.06 등록)는 축전지가 차량 후방 트렁크룸에 장착되는 경우 축전지 과충전시 발생하는 가스가 실내로 유입됨을 방지하고자 발생 가스를 차체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축전지의 가스배기홀에 벤트 호스를 연결하여 축전지의 가스를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축전지에 연결되는 벤트 호스가 강제삽입식으로서 호스의 탄성력에 의존하여 가스배기홀에 고정됨에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자주 벤트호스가 축전지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트 호스의 선단에 축전지의 가스배기홀에 맞물림되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가스 배기홀에 벤트 호스가 체결된 이후에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일체형 벤트 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해액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폐시키고,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기홀과, 상기 가스배기홀에 억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커넥터가 선단에 체결되어 상기 가스배기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외측으로 전달 및 배출시키는 벤트호스와, 외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기홀과 상기 벤스호스에 각각 체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기홀은 내면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도록 내향된 하나 이상의 걸림홈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유출된 전해액의 유출을 저지하고 배기가스만을 배출시키도록 천정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직립형성된 유출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내측에서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제1삽입부; 내측에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벤트호스의 선단에 삽입 및 고정되는 제2삽입부; 내측에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의 중공에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및 지지하도록 '┏' 형상을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부사이에서 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삽입부가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가스배기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부를 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삽입부 내지 스토퍼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외면에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벤트호스의 선단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벤트호스는 내면에서 상기 제2삽입부의 걸림돌기에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벤트호스의 선단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벤트호스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벤트호스의 탄성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벤트호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축전지의 가스배기홀과 벤트호스간에 맞물림되는 구조를 각각 형성함에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져도 벤트호스가 축전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와 가스배기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해액을 수용하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커버(20)와,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에서 체결되는 상부커버(10)와, 상기 상부커버(10)에서 배출된 가스를 외측으로 전달하여 배출시키는 벤트호스(60)와, 상기 벤트호스(60)의 선단과 상기 상부커버(10) 사이에 체결되는 커넥터(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0)는 내측에서 다 수개의 격벽으로 분할 형성되어 전해액을 각각 수용하는 분할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축전지 케이스의 내부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도면 및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기 하부커버(20)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 케이스(40)의 상면을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20)는 상기 전해액의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생산되는 전원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전원단자(3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0)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상측에서 안착되어 하부커버(20)의 상면을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10)는 양측면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케이스(40)의 내측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기홀(11)이 형성된다.
상기 벤트호스(6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피가 금속, 고무 및 플라스틱 재질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상기 커넥터(50)를 통하여 전달되는 가스를 자동차의 외측으로 전달하여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벤트호스(60)는 상기 커넥터(50)가 체결되는 선단에서 연장되는 끝단이 자동차의 외부로 인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벤트호스(6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어 축전지의 상부커버(10) 양 측면(10a, 10b)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가스배기홀(11)에 선단이 체결되고, 끝단이 트렁크룸의 바닥면으로 통하여 자동차의 하부로 인출되어 가스를 배출시킨다.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가스배기홀(11)과 벤트호스(60)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되는 연결부(53)와, 상기 연결부(53)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스배기홀(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51)와, 상기 연결부(53)에서 제1삽입부(51)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벤트호스(60)의 선단에 체결되는 제2삽입부(54)와, 상기 연결부(53)와 상기 제1삽입부(51) 사이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제1삽입부(51)의 삽입을 저지하는 스토퍼(5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제1삽입부(51)와 제2삽입부(54)가 각각 가스배기홀(11)과 벤트호스(60)에 체결될 수 있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53)는 금속, 고무 및 플라스틱 재질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51)가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삽입부(54)가 연장되도록 '┏'자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연결부(53)와 상기 제1삽입부(51) 사이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돌출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삽입부(51)가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가스배기홀(11)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삽입부(51)를 저지한다.
상기 제1삽입부(51)는 상기 연결부(53)에서 상기 가스배기홀(11)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가스가 전달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51)는 상기 연결부(53)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고 연장되며, 외면에서 띠 형상으로서 하나 이상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걸림돌기(511)와,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갖는 제1삽입단(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삽입부(54)는 상기 연결부(53)에서 상기 벤트호스(60)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가스가 전달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삽입부(54)는 상기 연결부(53)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고 상기 제1삽입부(51)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되 외면에서 띠 형상으로서 외측에서 하나 이상이 돌출되는 제2걸림돌기(541)와,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갖는 제2삽입단(5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단(512)과 제2삽입단(542)은 상기 제1삽입부(51)와 제2삽입부(54)의 선단으로서 상기 제1걸림돌기(511)와 제2걸림돌기(541)가 형성되는 후방의 직경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기홀(11)과 벤트호스(60)에 억지 끼움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부(51)와 제2삽입부(54)는 상기 가스배기홀(11)과 벤트호스(60)의 입구에 삽입되는 제1삽입단(512)과 제2삽입단(542)에서 연결부(53)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걸림돌기(511)와 제2걸림돌기(541)는 하나 이상이 상호 이격되도록 띠 형상으로서 외면에서 돌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제1걸림돌기(511)와 제2걸림돌기(541)는 전면(가스배기홀(11)측 또는 벤트호스(60)측을 지향하는 면)이 첨단에서 하향 되는 경사면(5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11a)의 반대면(연장부측을 지향하는 면)이 직립된 벽면(511b)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걸림돌기(511)는 상기 가스배기홀(11)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1)(도 3참조)에 안착되어 상기 커넥터(50)를 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2걸림돌기(541)는 상기 벤트호스(60)의 선단에 삽입되어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5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커넥터(50)와 벤트호스(60)는 상호 분리된 구성으로 억지 끼움식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능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설계자 또는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50)와 벤트호스(60)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벤트호스(60)의 선단에 상기 커넥터(50)가 일체로 구비됨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해당되는 다양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상기 가스배기홀(11)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용 벤트호스(60) 커넥터(50)와 가스배기홀(1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배기홀(11)은 상기 제1삽입부(51)의 제1걸림돌기(511)와 일치되도록 내면에서 내향된 걸림홈(111)과, 직립된 벽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40) 내측에서 유출된 전해액의 유출을 저지하고 가스만을 배출시키도록 내측 상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유출방지턱(112)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111)은 상기 제1걸림돌기(5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걸림돌기(511)가 음각된 형상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홈(111)은 상기 제1걸림돌기(511)의 직립된 벽면이 안착되도록 내향된 벽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과, 내향된 벽면이 상측에서 하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걸림돌기(511)의 경사면(511a)에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유출방지턱(112)는 상기 가스배기홀(11)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되고, 그 상측에서 상기 가스배기홀(11)의 내측 천정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유출방지턱(112)은 상기 케이스(40)에서 유출되는 전해액이 상기 가스배출홀(11)을 통하여 배출됨을 차단하고, 상측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가스만을 배출시킨다.
아울러 상기 벤트호스(60)의 선단은 내면에서 상기 가스배기홀(11)의 걸림홈(111)과 일치되는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제2삽입부(54)가 삽입되어 걸림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도 3의 걸림홈(111)과 일치된 형상이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축전지를 자동차의 트렁크룸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축전지의 상부커버(10)는 양측면(10a, 10b)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가스배기홀(11)이 형성되고, 상기 트렁크룸 바닥면에는 벤트호스(60)의 끝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연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벤트호스(60)의 끝단을 상기 트렁크룸의 연결공에 삽입하고, 반대쪽의 선단에 상기 커넥터(50)를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50)는 제2삽입부(54)가 상기 벤트호스(60)의 내면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벤트호스(60)의 내면은 상기 제2삽입부(54)의 제2걸림돌기(541)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홈(도 3의 걸림홈(111) 참조)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벤트호스(6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고, 그 직경이 상기 커넥터(50)의 제2삽입부(54)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부(54)는 상기 제2삽입단(542)에서 부터 점차로 직경이 확장된다. 따라서 상기 벤트호스(60)는 탄성력으로 상기 제2삽입부(54)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벤트호스(60)와 커넥터(50)는 일체형으로서 제조됨도 가능하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50)의 제1삽입부(51)의 선단(512)을 상기 가스배기홀(11)에 일치시킨 뒤에 힘을 가하여 억지끼움식으로 가스배기홀(11)의 내면에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부(51)는 상기 제1걸림돌기(511)의 경사면(511a)과 상기 가스배기홀(11)의 걸림홈(111)에 형성되는 경사면(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따라서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111)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제1삽입부(51)가 삽입하다가 상기 스토퍼(52)와 상기 가스배기홀(11)의 입구가 밀착되어 이동이 저지될 때까지 가압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상기 제1삽입부(51)가 상기 스토퍼(52)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고, 이후 상기 제1걸림돌기(511)와 걸림홈(111)이 정확히 안착되도록 살짝 뒤로 당겨서 위치를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스토퍼(52)에 의하여 상기 제1삽입부(51)가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돌기(511)와 걸림홈(111)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50)에서 상기 가스배기홀(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51)의 외면에 띠형상으로서 외측에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511)와, 가스배기홀(11)의 걸림홈(111)을 구비함에 따라서 상기 커넥터(50)가 가스배기홀(11)에 견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50)에 의하여 가스배기홀(11)에 연결된 벤트호스(60)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상부커버 10a, 10b : 상부커버 측면
11 : 가스배기홀 20 : 하부커버
30 : 전원단자 40 : 케이스
50 : 커넥터 51 : 제1삽입부
52 : 스토퍼 53 : 연결부
54 : 제2삽입부 60 : 벤트호스
111 : 걸림홈 511, 541 : 걸림돌기
512 : 제1삽입단 542 : 제2삽입단
112 : 유출방지턱

Claims (7)

  1. 전해액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폐시키고,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기홀과, 상기 가스배기홀에 억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커넥터가 선단에 체결되어 상기 가스배기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외측으로 전달 및 배출시키는 벤트호스와, 외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기홀과 상기 벤스호스에 각각 체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기홀은 내면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도록 내향된 하나 이상의 걸림홈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유출된 전해액의 유출을 저지하고 배기가스만을 배출시키도록 천정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직립형성된 유출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내측에서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제1삽입부; 내측에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벤트호스의 선단에 삽입 및 고정되는 제2삽입부; 내측에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의 중공에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및 지지하도록 '┏' 형상을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부사이에서 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삽입부가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가스배기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부를 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삽입부 내지 스토퍼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외면에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벤트호스의 선단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벤트호스는 내면에서 상기 제2삽입부의 걸림돌기에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벤트호스의 선단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벤트호스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벤트호스의 탄성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벤트호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7. 삭제
KR1020130069125A 2013-06-17 2013-06-17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KR10150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25A KR101507227B1 (ko) 2013-06-17 2013-06-17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25A KR101507227B1 (ko) 2013-06-17 2013-06-17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07A KR20140146707A (ko) 2014-12-29
KR101507227B1 true KR101507227B1 (ko) 2015-03-31

Family

ID=5267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125A KR101507227B1 (ko) 2013-06-17 2013-06-17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816B1 (ko) * 2017-06-27 2021-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KR20210122511A (ko) * 2020-04-01 2021-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5210948A (zh) * 2020-11-26 2022-10-18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71B1 (ko) 2004-12-29 2006-11-14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
KR100748737B1 (ko) 2006-05-15 2007-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벤트호스의 체결구조
KR100772696B1 (ko) 2005-04-13 2007-11-02 윤수백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KR20090063582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배기호스 그로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71B1 (ko) 2004-12-29 2006-11-14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
KR100772696B1 (ko) 2005-04-13 2007-11-02 윤수백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KR100748737B1 (ko) 2006-05-15 2007-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벤트호스의 체결구조
KR20090063582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배기호스 그로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07A (ko) 201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0804B2 (ja) バッテリパック
CN107150581B (zh) 电池组保持总成和方法
KR101085278B1 (ko) 차량용 전원 장치
US9932072B2 (en) Vehicle structure
KR101143314B1 (ko)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KR101507227B1 (ko)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CN105024024A (zh) 电动车辆用蓄电池组件外罩
US10377432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CN203391606U (zh) 电池组的排气结构
US8960754B1 (en) Utility vehicle
JP6053618B2 (ja) 車両用の支持構造体
CN213026283U (zh) 电池顶盖及电池
JP2012224196A (ja) 充電コネクタ取付構造
US20220297523A1 (en) Energy-Store Flo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19133867A (ja) 電池組付構造体
US8747137B2 (en) Connector
US9007021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charging equipment in rear vehicle body
CN107554621B (zh) 用于车辆的地板梁结构
CN107554619B (zh) 用于车辆的机舱安装框架结构及车辆
JP2014082896A (ja) 充電用コネクターのホルダー
KR101490028B1 (ko) 밀봉된 가스배기홀을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CN105793079A (zh) 排水部件以及使用了该排水部件的车辆用空调装置
CN214689944U (zh) 用于电动代步车的控制器盒和电动代步车
KR10201634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체결장치
CN213035766U (zh) 车辆的保险盒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