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731B1 -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 Google Patents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731B1
KR101506731B1 KR1020130106300A KR20130106300A KR101506731B1 KR 101506731 B1 KR101506731 B1 KR 101506731B1 KR 1020130106300 A KR1020130106300 A KR 1020130106300A KR 20130106300 A KR20130106300 A KR 20130106300A KR 101506731 B1 KR101506731 B1 KR 10150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seat
sanitary
sanita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592A (ko
Inventor
서영대
Original Assignee
니시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코리아(주) filed Critical 니시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3010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73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8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 A47K13/20Dispensers therefor with cu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10/3809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 A47K10/3827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with a distribution opening which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2010/3675Br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6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rotation brak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특히 공중화장실에서 좌변기를 이용하여 용변을 볼 때 시트에 깨끗한 위생카바를 놓고 앉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위생적으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며, 또한 공급되는 위생카바가 좌변기 시트(seat) 상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위생카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권취되어 있으며 사용한 부분을 절취하기 위하여 좌변기 시트(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마다 횡 방향으로 절취선(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절취선(41a) 사이에 중앙 절취부(41b)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 절취선(41b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 절취선(41ba)에 인접한 부분에 분리선(41bc)이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취부(41b)의 형상은 양측에 돌출부(41e)를 형성하여 전방은 작고 후방은 큰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선(41bc)은 좌변기 사용 시 개구부 절취선(41ba)을 뜯어 중앙 개구부(42)를 형성한 후 중앙 개구부(42)와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아무런 불편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에 위치하는 중앙 개구부(42) 주위 부분이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 안으로 용이하게 굴곡 되도록 상기 개구부 절취선(41ba)에 수직방향으로 개구부 절취선(41ba)을 따라 촘촘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절취부(41b)에는 취부구멍(41bb)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중앙 절취부(41b)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변기시트 위생카바{a sanitary cover as placed on seat of toilet stool}
본 발명은 좌변기에 사용되는 위생카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 특히 공중화장실에서 좌변기를 이용하여 용변을 볼 때 시트에 깨끗한 위생카바를 놓고 앉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위생적으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며, 또한 공급되는 위생카바가 좌변기 시트(seat) 상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좌변기시트 위생카바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는 사용자가 시트(seat)에 앉아서 용변을 보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가정에서는 가족만이 좌변기를 사용하므로 좌변기 시트에 앉아 용변을 보아도 별로 불쾌한 느낌이 들지 않지만,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의 좌변기 시트는 여러 사람의 피부가 접촉하므로 사용을 할 때에 매우 불쾌한 느낌이 든다. 또한 좌변기 시트는 피부병 등 병원균을 옮길 수 있어서 비위생적이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위생카바를 시트에 공급하는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 공급 장치"를 개발하여 이를 출원번호 제10-2010-0041997호로 특허출원한 바 있다.
이 위생카바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시트(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마다 절취선(11a)이 형성되어 있고 각 절취선(11a) 사이의 중앙에 개구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위생카바(11)가 권취축(12)에 두루마리형태로 감겨져 있는 카바 어셈블리(10)와, 좌변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카바 어셈블리(10)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카바 어셈블리(10)의 권취축(12)의 양단이 삽입되어 카바 어셈블리(10)가 회전하면서 위생카바(11)가 풀리도록 되어 있는 삽입홈(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양측의 측판(21)과, 전방 하단에 위생카바(11)가 빠져나갈 수 있는 틈새(22b)가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덮개(22)가 구성되어 있는 카바 케이스(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바 어셈블리(10)의 위생카바(11)의 재질은 지류(紙類) 또는 비닐이다. 위생카바(11)의 중앙 개구부(11b)에는 다수의 분리선(11d)이 형성되어 있다.
카바 케이스(20)는 좌변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카바 어셈블리(10)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사용 시 상기 위생카바(11)를 당겨 시트(1) 위에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바 어셈블리(10)의 권취축(12)의 양단이 삽입되어 카바 어셈블리(10)가 회전하면서 위생카바(11)가 풀리도록 되어 있는 삽입홈(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양측의 측판(21)과, 전방 하단에 위생카바(11)가 빠져나갈 수 있는 틈새(22b)가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폐덮개(22), 상기 양측의 측판(21)을 연결하는 밑판(23)과 후판(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덮개(22)는 후판(24)에 힌지(24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덮개(22)의 선단 중앙에 상기 위생카바(11)의 취부공(11c)에 손가락 또는 도 6과 같은 갈고리집게(13)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선단 쪽이 개방되어 있는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집게(13)는 갈고리(13a)와 집게(13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밑판(23)에는 위생카바(11)의 취부공(1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취부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취부공(23a)은 손가락 또는 갈고리집게(13)로 위생카바(11)의 취부공(11c)을 취부할 때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장공(長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바케이스(20)는 좌변기와 같은 색상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바 케이스(20)는 좌변기의 시트(1)와 덮개(2)를 제조할 때 함께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변기 시트(1)는 카바 케이스(20)의 밑판(23)과의 사이에 힌지(1a)를 구성하여 회동가능하게 하고, 좌변기 덮개(2)는 카바 케이스(20)와의 사이에 다른 힌지(2a)를 구성하여 회동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덮개(2)는 시트(1) 위에 덮을 때 카바 케이스(20)에 걸리지 않도록 하부에 개구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3은 통상의 좌변기 본체이고, 도면부호4는 물탱크이다.
그리고 상기 카바 어셈블리(10)의 위생카바(11)의 개구부(11b)의 전방 중앙에는 손가락 또는 갈고리집게(13)의 갈고리(13a)를 삽입할 수 있는 취부공(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바 케이스(20)의 개폐덮개(22)의 선단 중앙에 상기 위생카바(11)의 취부공(11c)에 손가락 또는 갈고리집게(13)의 갈고리(13a)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선단 쪽이 개방되어 있는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사용을 위하여 우선 카바 케이스(20)의 개폐덮개(22)를 열고 카바 어셈블리(10)의 권취축(12)의 양단을 삽입홈(21a)에 끼워 넣은 후 위생카바(11)의 선단을 개폐덮개(22)의 선단에 맞추면서 개폐덮개(22)를 닫는다. 그리고 시트(1)에 위생카바(11)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마찰부재(32)가 인서트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양면접착테이프(31)를 접착해 놓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개폐덮개(22)의 중앙 선단부분에 있는 관통공(22a)으로 손가락 또는 갈고리집게(13)의 갈고리(13a)를 넣어 위생카바(11)의 취부공(11c)을 취부하여 앞으로 당긴다. 손가락 또는 갈고리(13a)로 위생카바(11)의 취부공(11c)을 취부할 때에는 밑판(23)에도 취부공(2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생카바(11)의 취부공(11c)을 손가락 또는 갈고리(13a)로 취부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위생카바(11)의 선단을 손가락 또는 갈고리집게(13)의 갈고리(13a)로 취부한 손가락으로 당기면 위생카바(11)는 권취축(12)에서 풀리면서 개폐덮개(22)와 밑판(23) 사이의 틈새(22b)를 통하여 앞으로 빠져나온다.
위생카바(11)를 시트(1) 위에 넣은 상태가 도 1 및 도 2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상의 방법으로 용변을 본다. 이 때 시트(1)의 위치고정수단인 양면접착테이프(31) 또는 마찰부재(32)로 인하여 위생카바(11)는 움직임이 방지된다. 용변을 본 후에는 다음 이용자를 위하여 카바 케이스(20) 밖으로 빠져나온 위생카바(11)를 절취하여 폐기하여야 하는데, 위생카바(11)를 개폐덮개(22)의 선단 부분에서 위로 올리면 절취선(11a)에서 절취된다. 절취선(11a)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생카바(11)가 정확한 위치보다 앞으로 더 빠져나갔든지 덜 빠져나갔든지 관계없이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바 케이스(20)의 개폐덮개(22)는 선단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공(22c)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25a)과 손잡이(2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덮개(22)의 선단부에 누름덮개(25)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안내볼트(26)가 개폐덮개(22)의 안내공(22c)을 관통하여 누름덮개(25)에 체결되어 안내공(22c)의 길이방향 여유만큼 누름덮개(25)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위생카바(11)를 절취할 때 누름덮개(25)를 누르면 누름덮개(25)의 선단이 위생카바(11)의 카바 케이스(20) 내부에 있는 부분을 견고하게 누른 상태에서 위생카바(11)를 절취하게 되므로 위생카바(11)가 카바 케이스(20) 외부로 빠져 나옴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한 위생카바(11)를 절취하게 된다.
전술한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는 위생카바(11)의 사용으로 인하여 좌변기 사용자가 청결감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시트(1)에 묻은 병원균이나 오물 등이 전염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는 위생카바(11)를 사용한 후에 다음 사람을 위하여 사용한 위생카바(11)를 절취하고 다음 사람이 사용을 위하여 카바 케이스(20)의 위생카바(11)를 시트(1) 쪽으로 당길 때, 위생카바(11)의 절취선(11a)이 개폐덮개(22)의 선단 부분에 정확하게 오도록 하는 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할 위생카바(11)가 정확하게 좌변기 시트(1) 상에 위치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공중 화장실은 여러 사람이 이용하고 이러한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사용에 익숙해 있지 않기 때문에 위생카바(11)를 당길 때 너무 많이 당겨서 위치조절이 안되고, 사용 후 절취하기 곤란을 겪는 등 여러 가지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위생카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마다 위생카바를 좌변기 시트 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사용을 위하여 위생카바를 당겨 좌변기 시트위에 위치시킬 때 정확하게 시트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위생카바에 의하여 좋은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위생카바가 좌변기 시트에 놓여 진후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을 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는 권취되어 있으며 사용한 부분을 절취하기 위하여 좌변기 시트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마다 횡 방향으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절취선 사이에 중앙 절취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 절취선에 인접한 부분에 분리선이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취부의 형상은 양측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전방은 작고 후방은 큰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선은 좌변기 사용 시 개구부 절취선을 뜯어 중앙 개구부를 형성한 후 중앙 개구부와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아무런 불편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중앙 개구부 주위 부분이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 안으로 용이하게 굴곡 되도록 상기 개구부 절취선에 수직방향으로 개구부 절취선을 따라 촘촘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절취부에는 취부구멍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중앙 절취부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죄변기 시트 위생카바는 중앙 절취부의 형상은 전방은 비교적 작고 후방은 비교적 큰 눈사람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중앙 절취부가 절취된 후의 위생카바는 시트의 넓이보다 넓고 인체구조상 시트의 많은 부분이 허벅지에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좋은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개구부 절취선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분리선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변기 사용 시에 위생카바의 개구부 절취선을 뜯어 중앙 개구부를 형성한 후에 그 주위 부분을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 안으로 용이하게 굴곡 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며, 위생카바의 개구부 절취선을 뜯어 낸 후 형성되는 중앙 개구부와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위생카바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분리선들로 인하여 내측으로 굴곡 되어 구태여 좌우 또는 전후로 위치조절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일실시예의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가 구성된 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좌변기의 측면도,
도 3은 종래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개폐덮개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구성요소인 마찰부재가 시트에 인서트 된 상태를 나타내는 시트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위생카바 공급장치에서 위생카바를 당길 때 사용되는 갈고리집게의 사시도,
도 7은 종래 다른 실시예의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개폐덮개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위생카바 정지장치와 위생카바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12는 도11의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위생카바 정지장치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11의 위생카바 공급장치의 위생카바 정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위생카바 정지장치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위생카바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위생카바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는 위생카바(41)가 권취되어 있는 카바 어셈블리(40)와, 상기 카바 어셈블리(40)가 내장되는 카바 케이스(50), 그리고 용변 시 사용자가 위생카바(41)를 당길 때 위생카바(41)가 자연스럽게 좌변기 시트(1)에 제자리에 위치하게 하는 위생카바 정지장치(60)로 이루어져 있다.
카바 어셈블리(40)는 좌변기 시트(1)에 놓여지는 위생카바(41)와, 상기 위생카바(41)가 두루마리형태로 권취 되는 권취축(42)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카바(41)는 도 1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한 부분을 절취하기 위하여 좌변기 시트(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마다 횡 방향으로 절취선(41a)이 형성되어 있고, 각 절취선(41a) 사이의 중앙에 소변 및 대변이 통과하는 중앙 개구부(42)를 형성하기 위한 눈사람 형상의 중앙 절취부(41b)를 형성하도록 개구부 절취선(41ba)이 형성되어 있다. 눈사람 형상의 중앙 절취부(41)를 절취한 후 형성되는 중앙 개구부(42)(도 15에서 점표시된 부분)는 앞부분의 작은 개구부가 소변이 통과하는 부분이고 뒷부분의 큰 개구부가 대변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개구부 절취선(41ba)은 용이하게 절취하기 위하여 절단부분이 절단되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 절취선(41ba)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분리선(41bc)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선(41bc)들이 촘촘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첫째로 좌변기 사용 시에 개구부 절취선(41ba)을 뜯어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주위 부분을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 안으로 용이하게 굴곡 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생카바(41)의 개구부 절취선(41ba)을 뜯어 낸 후 형성되는 중앙 개구부(42)와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에 위치하는 위생카바(41)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분리선(41bc)들로 인하여 내측으로 굴곡 되므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불편을 주지 않는다.
또한 중앙 절취부(41b)의 후방에는 취부구멍(41bb)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취부구멍(41bb)은 위생카바(41)의 길이방향 중앙선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이유는 후술하는 감지수단이 작용을 할 때 빛 관통공(41c)(41c')과 혼돈을 일으키지 않기 위함이다.
위생카바(41)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절취부(41b)를 완전히 절취하지 않고 개구부 절취선(41ba)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사용 시에 절취하도록 하는 이유는 위생카바(41)가 권취축(42)에 권취 되고 풀리는 과정에서 이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용변을 볼 사용자가 직접 뜯어내기 전까지 사용하지 않은 부분임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중앙 절취부(41b)의 형상은 양측에 돌출부(41e)를 형성하여 전방은 비교적 작고 후방은 비교적 큰 눈사람형상을 하고 있다. 중앙 절취부(41b)의 형상을 눈사람 형상으로 한 이유는 중앙 절취부(41b)를 절취한 후 나머지 위생카바가 시트(1)의 넓이보다 넓고 인체구조상 위생카바의의 많은 부분이 허벅지에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좋은 촉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위생카바(41)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취부돌기(4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위생카바(41)의 위치, 즉 위생카바(41)가 좌변기 시트(1)에 놓여지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빛관통공(41c)(41c')이 형성되어 있다.
빛 관통공(41c)은 구멍이 하나이고 빛 관통공(41c')는 구멍이 2개로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어느 위생카바에 하나의 빛 관통공(41c)이 형성되어 있으면, 다음의 위생카바에는 두개의 빛 관통공(41c')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다음은 하나의 빛 관통공(4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교대로 구멍의 수가 반복되게 한 이유는 감지수단이 용이하게 위생카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광센서가 하나의 빛 관통공(41c)을 감지하여 위생카바의 위치를 감지한 후 다음 사용 시에는 두개의 빛 관통공(41c')을 감지하여 위치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착오를 일으키지 않게 한다.
위생카바(11)의 재질은 지류(紙類)나 비닐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부면은 지류를 사용하고 하부면은 비닐로 적층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비닐은 가격이 저렴하나 감촉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지류는 감촉은 좋으나 물에 젖을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럭셔리한 화장실에서는 사용자들이 주의하여 깨끗하게 화장실을 사용하므로 지류나, 지류와 비닐이 적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권취축(42)은 위생카바(41)의 폭보다 길게 하고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카바 케이스(50)는 종래와 같이 삽입홈(51a)이 형성되어 있는 양쪽의 측판(51), 밑판(53), 후판(54), 힌지(54a)에 의하여 회전하는 개폐덮개(5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덮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바 케이스(50)의 일측에는 컨트롤 박스(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컨트롤박스(70)에는 작동스위치(71)와 작동램프(72)가 구성되어 있다.
위생카바 정지장치(60)는 상기 카바 케이스(50)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당겨져 배출틈새(52b)를 통하여 빠져 나가는 위생카바(41)가 소정 길이만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하이동하는 상부 취부판(61a), 상기 상부 취부판(61a)과 맞물려 그 사이의 위생카바(41)를 취부하는 하부취부판(61b), 상기 상부 취부판(61a)을 밀거나 당기는 전자석(64)이 설치되어 있고 카바 케이스(50)의 밑판(53)에 고정되어 있는 설치판(65), 상기 상부취부판(6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2), 상기 전자석(64)의 자기력이 해제된 후 이동되었던 상부취부판(61a)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63), 그리고 상기 위생카바(41)의 소정길이 배출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취부판(61a)과 하부취부판(61b)은 금속성의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은 하부취부판(61b)에 설치된 광센서(66)(66')와, 상기 광센서(66)(61')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것으로서 상부취부판(61a)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경(67)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광센서(66)(66')은 적외선 센서이고, 반사경(67)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거울이다.
그러나 감지수단은 이 형태 외에 위생카바에 바코드를 코팅하고 바코드 리더기로 위생카바의 위치를 감지하게 할 수 있고, 초음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위생카바를 일정 길이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은 기계적인 장치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위생카바(41)가 소정길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생카바(41)의 소정길이마다 광센서(66)(66')로부터의 빛이 통과하는 빛관통공(41c)(4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취부판(61a)의 저면과 하부취부판(61b)의 상면에는 위생카바(41)를 강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각각 요철(61aa)(61b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62)에는 스냅링(68)이 설치되어 복귀스프링(63)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설치판(65) 및 카바케이스(50)의 밑판(53)에는 가이드(62)의 하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밑판(53)의 하부에는 약간의 여유공간이 있어서 가이드(62)가 상하이동을 하는데 지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상부취부판(61a)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64)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복귀스프링(63)에 의하여 하부취부판(61b) 쪽으로 당겨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자석(64)에 전류를 인가할 때 자기력에 의하여 하부취부판(61b)에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64)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부취부판(61a)은 복귀스프링(63)에 의하여 하부취부판(61b)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전자석(64)에 전류를 인가할 때 하부취부판(61b) 쪽으로 당겨 서로 밀착하게 할 수도 있다.
용변시 신체에 접촉하는 시트(1)에는 열선을 깔아 기온 하강 시에 따뜻하게 하여 접촉감각을 좋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카바 케이스(50)의 개폐덮개(52)를 열고 카바 어셈블리(40)의 권취축(42)의 양단을 삽입홈(51a)에 끼워 넣은 후 위생카바(41)의 선단을 정치장치(60)의 상부취부판(61a)과 하부취부판(61b) 사이를 통과시키고 개폐덮개(52)의 선단에 맞추면서 개폐덮개(52)를 닫는다. 이 때 위생카바(41)의 2개의 취부돌기(41d)는 배출틈새(52b)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시트(1)에 위생카바(11)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마찰부재(32)가 인서트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양면접착테이프(31)를 접착해 놓는다.
작동스위치(71)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2와 같이 위생카바 정지장치(60)의 상부취부판(61a)과 하부취부판(61b) 사이에 위생카바(41)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박스(70)의 작동스위치(71)를 누르면 작동램프(72)가 점등이 되면서 광센서(66)(66') 등 관련 전기 및 전자장치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전자석(64)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력에 의하여 상부취부판(61a)이 위로 밀려서 하부취부판(61b)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생카바(41)의 두개의 취부돌기(41d)를 서서히 잡아당기는데, 카바케이스(50)의 외부로 빠져나간 부분이 시트(1)의 소정 위치에 놓여질 때 위생카바 정지장치(60)는 위생카바(41)를 취부하여 정지시킨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최초상태에서 광센서(66) 위에 위생카바(41)의 빛 관통공(41c)이 위치하여 있는데, 위생카바(41)가 외부로 당겨지면 광센서(66)(66')에서 발광한 빛은 위생카바(41)에 의하여 차단되고 후방에 있는 두개의 빛 관통공(41c')이 광센서(66)(66')에 위치하였을 때 광센서(66)(66')의 광이 각각 반사경(67)에 의하여 반사되고 이 반사광을 광센서(66)(66')가 감지한다. 빛 관통공(41c)(41c') 사이의 길이는 시트(1)의 길이와 대응하므로 광센서(66)(66')가 후방의 빛 관통공(41c')을 감지함으로써 위생카바(41)가 시트(1)의 소정위치에 놓여지는 소정길이가 배출틈새(52b)통하여 빠져 나갔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전자석(64)으로 전류를 차단하여 전자석(64)에 자기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취부판(61a)을 하부취부판(61b)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하부 취부판(61b)과의 사이에서 위생카바(41)가 취부되고, 정지된다. 그리고 전자석(64)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때 작동스위치(71)도 자동으로 오프된다.
사용자는 위생카바(41)의 중앙절취부(41b)를 뜯어낸 후 용변을 보고, 용변이 끝난 후에는 사용한 위생카바(41)를 절취선(41a)에서 절취하여 폐기한다.
다음 사용 시에 작동스위치(71)를 누르면 다시 감지수단이 작동되지만 위생카바(41)의 빛 관통공(41c')이 전(前) 작동 시에 감지하였던 관통공이므로 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지 않고 사용자가 위생카바(41)를 당겨 하나의 빛 관통공(41c)이 광센서(66) 위에 위치했을 때 이를 감지한다.
이렇게 하여 위생카바(41)를 시트(1)의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길이만큼씩만 사용 시마다 반복적으로 카바 케이스(50)에서 빠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감지수단이 위생카바(41)의 빛 관통공(41c)(41c')을 감지하였을 때 전자석(64)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부취부판(61a)을 하부취부판(61b)으로 밀착하게 하여 위생카바(41)를 취부 함으로써 위생카바(41)의 배출을 정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변을 보기 위하여 위생카바(41)를 당길 때 위생카바(41)가 소정길이 빠져 나와 좌변기 시트(1)의 소정 위치에 놓일 때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위생카바(41)를 상부 취부판(61a)과 하부 취부판(61b) 사이에서 취부되므로 위생카바(41)가 더 이상 빠져 나오지 않고 정지된다. 따라서 위생카바(41)는 정확하게 좌변기 시트(1)에 위치하게 되므로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카바는 중앙 절취부(41b)의 형상이 전방은 비교적 작고 후방은 비교적 큰 눈사람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중앙 절취부(41b)를 절취한 후의 나머지 위생카바가 좌변기시트(1)의 넓이보다 넓고 인체구조상 위생카바의 많은 부분이 허벅지에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좋은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개구부 절취선(41ba)은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분리선(41bc)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변기 사용 시에 개구부 절취선(41ba)을 뜯어 중앙 개구부를 형성할 때 그 주위 부분을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 안으로 용이하게 굴곡 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며, 위생카바(41)의 개구부 절취선(41ba)을 뜯어 낸 후 형성되는 중앙 개구부(42)와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위생카바(41)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분리선(41bc)들로 인하여 내측으로 굴곡 되어 좌우 또는 전후로 위치조절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불편을 주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시트(seat) 1a : 힌지
2 : 덮개 2a : 힌지
2b : 개구부 3 : 좌변기 본체
4 : 물탱크 10 : 카바 어셈블리
11 : 위생 카바 11a : 절취선
11b : 개구부 11c : 취부공
11d : 분리선 12 : 권취축
13 : 갈고리집게 13a : 갈고리
13b : 집게 20 : 카바 케이스
21 : 측판 21a : 삽입홈
22 : 개폐덮개 22a : 관통공
22b : 틈새 22c : 안내공
23 : 밑판 23a : 취부공
24 : 후판 24a : 힌지
25 : 누름덮개 25a : 관통공
25b : 손잡이 26 : 안내볼트
31 : 앙면접착테이프 32 : 마찰 부재
40 : 카바 어셈블리
41 : 위생 카바 41a : 절취선
41b : 중앙 절취부 41ba : 개구부 절취선
41bb : 취부구멍 41c, 41c' : 빛 관통공
41d : 취부돌기 41e: 돌출부
50 : 카바 케이스 51 : 측판
51a : 삽입홈 52 : 개폐덮개
52a : 틈새 53 : 밑판
54 : 후판 54a : 힌지
60 : 위생카바 정지장치 61a : 상부 취부판
61aa : 요철 61b : 하부 취부판
61bb : 요철 62 : 가이드
63 : 복귀스프링 64 : 전자석
65 : 설치판 66, 66' : 광센서
67 : 반사경 68 : 스냅링
70 : 컨트롤 박스 71 : 작동스위치
72 : 작동램프

Claims (2)

  1. 권취되어 있으며 사용한 부분을 절취하기 위하여 좌변기 시트(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마다 횡 방향으로 절취선(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절취선(41a) 사이에 중앙 절취부(41b)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 절취선(41b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 절취선(41ba)에 인접한 부분에 분리선(41bc)이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시트 위생카바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취부(41b)의 형상은 양측에 돌출부(41e)를 형성하여 전방은 작고 후방은 큰 눈사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선(41bc)은 좌변기 사용 시 개구부 절취선(41ba)을 뜯어 중앙 개구부(42)를 형성한 후 중앙 개구부(42)와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아무런 불편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에 위치하는 중앙 개구부(42) 주위 부분이 좌변기 시트의 개구부(h) 안으로 용이하게 굴곡 되도록 상기 개구부 절취선(41ba)에 수직방향으로 개구부 절취선(41ba)을 따라 촘촘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절취부(41b)에는 취부구멍(41bb)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중앙 절취부(41b)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죄변기 시트 위생 카바.
  2. 삭제
KR1020130106300A 2013-09-04 2013-09-04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KR10150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00A KR101506731B1 (ko) 2013-09-04 2013-09-04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00A KR101506731B1 (ko) 2013-09-04 2013-09-04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562A Division KR101389539B1 (ko) 2012-04-30 2012-04-30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92A KR20130122592A (ko) 2013-11-07
KR101506731B1 true KR101506731B1 (ko) 2015-03-30

Family

ID=4985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300A KR101506731B1 (ko) 2013-09-04 2013-09-04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89B1 (ko) * 2017-09-29 2019-03-04 박천수 변기 커버 자동 출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69Y1 (ko) * 2003-10-31 2004-01-24 주식회사 필죠이 자동열림 변기카바
JP2006514572A (ja) 2003-12-18 2006-05-11 パク、イン−ク 便座用衛生シートカバー組立体
KR20110122461A (ko) * 2010-05-04 2011-11-10 서영대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69Y1 (ko) * 2003-10-31 2004-01-24 주식회사 필죠이 자동열림 변기카바
JP2006514572A (ja) 2003-12-18 2006-05-11 パク、イン−ク 便座用衛生シートカバー組立体
KR20110122461A (ko) * 2010-05-04 2011-11-10 서영대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92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731B1 (ko)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KR20210000298U (ko) 양변기의 페달형 물내림 장치
KR101389539B1 (ko)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
JP2004024378A (ja) ロールペーパー供給装置
US11950734B2 (en) Portable toilet seat cover
JPH085679Y2 (ja) 便座カバー
JP3185147U (ja) 便座用取っ手
KR101173685B1 (ko)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
JP2008029807A (ja) 留め具材を設けたホルダーを便座に固着し、当該ホルダーに挟んだ紙片等を着脱自在にするホルダー、および当該ホルダーをあらかじめ装着した便座。
US9560941B2 (en) Wiping board apparatus
KR20180007246A (ko) 일회용 좌변기 시트 커버
JP2016116637A (ja) シートディスペンサー及びシート移送機構
KR101277092B1 (ko) 엉덩이가 닿지 않는 구조의 위생시트 공급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GB2182688A (en) Disposable paper toilet seat cover
EP1413237A2 (en) Sanitary seat for toilet bowl
JP2008200462A (ja) 洋式便器便座ペーパーシート収納ボックス
JP3867169B2 (ja) 便器用用紙ホルダー
KR101279637B1 (ko) 양변기 위생 손잡이
KR200435259Y1 (ko) 좌변기용 위생커버의 부착장치
JP2000175844A (ja) 着脱式便座シ―ト収納ケ―スおよび便座シ―ト
KR200333392Y1 (ko) 일회용 변기시트 커버
JP3888639B2 (ja) 便座カバー
JP2684341B2 (ja) 便座シート供給装置
JP2530511Y2 (ja) 便座カバー用紙セット
JPH0737589Y2 (ja) 便座シート自動供給装置と便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