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469Y1 - 자동열림 변기카바 - Google Patents

자동열림 변기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469Y1
KR200339469Y1 KR20-2003-0034171U KR20030034171U KR200339469Y1 KR 200339469 Y1 KR200339469 Y1 KR 200339469Y1 KR 20030034171 U KR20030034171 U KR 20030034171U KR 200339469 Y1 KR200339469 Y1 KR 200339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cover
hinge
su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죠이
Priority to KR20-2003-0034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와 덮개의 힌지에 복원용힌지이 설치되어 시트와 덮개를 열어 세울려는 복원력이 부여되고, 시트하부에는 일정시간 후에 흡착력이 제거되는 흡착판이 설치되어, 변기를 사용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시트를 개방하여 세울 수 있는 자동열림 변기카바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의 하부에는 중심부에 형성된 홈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미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열림 변기카바{Automatic opening toilet-seat cover}
본 고안은 자동열림 변기카바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와 덮개의 힌지에 복원용힌지이 설치되어 시트와 덮개를 열어 세울려는 복원력이 부여되고, 시트하부에는 일정시간 후에 흡착력이 제거되는 흡착판이 설치되어, 변기를 사용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시트를 개방하여 세울 수 있는 자동열림 변기카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식 변기의 변기카바는 좌판과 덮개를 각각 손으로 회전시켜 사용하였다.
따라서, 좌변에서 필요한 경우 외에는 남자가 소변기로 사용할 경우가 많아 좌판과 덮개 모두를 들어 올려야 한다. 특히 남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이고 손을 이용하여 무릎 높이에 위치하는 시트를 직접 들어올리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였다.
또한, 상기 시트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소변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시트를 손으로 직접 만지게 되므로 비위생적이고, 허리를 숙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야가 좌변기내부와 직면하게 되므로 시각적인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변기의 시트와 덮개는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좌판의 힌지에 비틀림스프링 등의 복원용힌지에 의해 좌판만 사용 후에 상기 복원용힌지의 복원력에 의해 세워지는 좌변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좌판을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자가 손으로 좌판을 내려 누른 상태에서 앉아야 하므로 앉을 때까지 손을 좌판에서 뗄 수 없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변기를 사용한 후 일어설 때 좌판이 동시에 들려 세워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스치는 불쾌감을 초래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좌판을 내려 누르면 좌판이 내려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고, 또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 후 일어서면 일정 시간이 지나서 좌판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자동열림 변기카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변기카바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변기카바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a은 본 고안인 변기카바 시트의 저면사시도
도 3b는 시트지지편과 흡착판의 결합단면도
도 4는 흡착판의 사시도
도 5는 흡착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변기본체 100: 흡착판
110: 미세공 120: 장착공
200: 시트 210, 211: 시트지지편
220: 덮개 230: 복원용힌지
240: 흡착판지지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트와 덮개로 구성된 변기카바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복원력이 있는 힌지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시트의 하부에는 중심부에 형성된 홈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미세공이 형성된 흡착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열림 변기카바이다.
상기에서 흡착판은 시트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장착공을 더 형성한 것과, 흡착판은 가이드홈이 형성된 시트지지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원용힌지의 내부에 방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과, 상기의 시트의 재질이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 구조를 가진 발포체로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변기에 본 고안인 변기카바를 설치한다.
본 고안은 시트와 덮개로 구성된 변기카바로써, 시간간격을 두고 흡착력이 서서히 제거되는 흡착판을 설치하는 것을 요점으로 한다.
상기의 시트의 재질을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 구조를 가진 발포체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청결함을 도와준다.
시트와 덮개는 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연결된다. 이 때, 시트는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회전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힌지부분에 복원용힌지을 설치한다.
상기 복원용힌지의 복원력은 시트만을 들어올릴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왜냐하면, 필요에 의해 시트와 덮개 모두를 닫아야 할 경우가 있으므로, 복원용힌지의 복원력을 제한하여 시트와 덮개를 합친 중량은 들어올릴 수 없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복원용힌지의 내부에는 방향수단을 더 포함시켜 사용자가 쾌적하게 용변을 보도록 도울 수 있다.
방향수단에는 방향제를 복원용힌지 내부의 공간에 충진하는 것과, 일정시간간격마다 또는 복원용힌지의 움직임에 따라 방향제를 분사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당해분야의 평균수준의 전문가라면 다양한 형태의 방향수단을 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흡착판은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면 부압이 형성되어 물체에 고정될 수 있는 일반적인 흡착판의 구조에, 그 중심부의 상측으로 형성된 돌출부에 미세공 및 장착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미세공은 흡착판의 부압이 형성되는 부분과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된다.
흡착판은 PVC 또는 PU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PVC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내부 가소재의 이행현상(migration) 때문에 경도가 증가하고 연성이 저하되어 흡착능이 저하될 뿐 아니라 PVC의 취화현상(Brittleness)으로 내구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PU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판은 상기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압축을 받을 경우 흡착판 하부면이 바닥면에 닿게 변형되어 부압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공도 함께 눌려 흡착판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압축력이 제거되면 서서히 미세공을 통해 공기가 흡착판 내부로 삽입되어 흡착력이 서서히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흡착력이 완전히 제거되면 상기 복원용힌지에 의해 시트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시트가 흡착판의 미세공을 통한 흡착력 제거의 시간동안 변기에 흡착되어 있다가 들어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미세공의 직경을 조절하여 상기의 흡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공은 상기와 같이 외부의 압축을 받기 위해서는 압축에 대해 직각인 방향, 즉 돌기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미세공이 돌기부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변기의 특성상 잔존하기 쉬운 물기를 미세공에 포함하게 되어 외부의 힘이 제거되도 흡착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단점이 있어, 본 고안과 같이 돌기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흡착판에는 장착구가 형성되어 시트하부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장착구는 흡착판에 형성된 돌기부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판은 시트의 하부에 설치할 경우, 여러가지 크기의 시트가 존재하므로, 시트하부에서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지지편에 가이드홈을 마련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흡착판을 설치하여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변기의 크기와 상관없이 흡착판의 설치가 가능한 시트카바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변기의 사시도로, 덮개(220)와 시트(200)가 모두 들어올려져 있는 상태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덮개(220), 시트(200), 흡착판(100), 시트지지편(210,211), 복원용힌지(230)을 포함하고 있다.
복원용힌지(230)은 시트(200)에만 연결되며, 덮개(220)는 단지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시트지지편(210,211)은 시트(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200)를 변기(1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홈이 마련된 시트지지편(211)은 흡착판(100)을 결합하여 좌우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변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흡착판(1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흡착판(100)과 시트지지편(211)의 결합시 흡착판(100)이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착판지지편(240)이 흡착판(100)과 시트지지편(211) 사이에 삽입된다.
흡착판(100)은 시트(200) 하부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시트지지편 중, 전열에 대해서만 흡착판(100)을 설치하였다.
도 2는 외부 힘에 의해 시트(200)가 내려져 변기에 안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이때, 흡착판(100)은 외부의 힘이 제거되고 미세공에 의해 흡착력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변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3a은 시트(200)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시트지지편(211)과 흡착판(100)의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흡착판(100)의 설치시 시트지지편(210,211)의 높이보다 흡착판(100)이 높게 설치되어 있다. 왜냐하면 변기 상부면에 흡착판(100)이 닿아야 흡착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흡착판(100)의 확대도로써, 미세공(110)과 장착공(120)을 보여준다.
도 5는 흡착판(100)의 확대 단면도로써, 흡착판(100)과 내부적으로 연결되어공기가 통할 수 있는 미세공(110)과, 설치를 위한 장착공(120)의 단면모습을 나타낸다.
본 고안에 의하여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후 변기시트로 부터 일어서면 변기시트가 자동으로 회동하여 물탱크쪽으로 들어올려지므로 허리를 굽혀 변기시트를 들어올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몸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에게 편리하며 변기에 손을 접촉하지 않게 되어 위생상 유리하다.
또한, 흡착판의 재질을 PU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꾀하였으며, 흡착판에 미세공을 측부에 두어 물기에 의한 미세공 막힘현상을 극복하였다.
제품의 생산을 고려하여 흡착판의 설치위치를 시트 좌우측 하부에 둠으로써, 변기의 크기에 맞추어 다종류의 제품을 생산하지 않아도 되어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Claims (5)

  1. 시트와 덮개로 구성된 변기카바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복원력이 있는 힌지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시트의 하부에는 중심부에 형성된 홈과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미세공이 형성된 흡착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열림 변기카바.
  2. 제1항에 있어서, 흡착판은 시트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장착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카바.
  3. 제1항에 있어서, 흡착판은 가이드홈이 형성된 시트지지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열림 변기카바.
  4. 제1항에 있어서, 복원용힌지의 내부에 방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카바.
  5. 제1항에 있어서, 시트의 재질이 폴리우레탄 인테그랄 스킨 폼 구조를 가진 발포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카바.
KR20-2003-0034171U 2003-10-31 2003-10-31 자동열림 변기카바 KR200339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1U KR200339469Y1 (ko) 2003-10-31 2003-10-31 자동열림 변기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1U KR200339469Y1 (ko) 2003-10-31 2003-10-31 자동열림 변기카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469Y1 true KR200339469Y1 (ko) 2004-01-24

Family

ID=4942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71U KR200339469Y1 (ko) 2003-10-31 2003-10-31 자동열림 변기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4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31B1 (ko) * 2013-09-04 2015-03-30 니시코리아(주)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KR102275457B1 (ko) 2020-08-06 2021-07-09 주식회사 지엘피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좌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31B1 (ko) * 2013-09-04 2015-03-30 니시코리아(주)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KR102275457B1 (ko) 2020-08-06 2021-07-09 주식회사 지엘피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7029A (en) Toilet seat structure
JPH05507433A (ja) 一体構造の便器付き椅子
KR101144747B1 (ko) 욕조가 구비된 침대
KR200339469Y1 (ko) 자동열림 변기카바
CN213524966U (zh) 一种用于移动马桶的垫圈结构
KR101680512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101722727B1 (ko)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CN209137166U (zh) 一种具有防侧漏功能的便盆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CN113017465A (zh) 坐便器用辅助盖
KR101554627B1 (ko) 자동 하강되는 좌변기의 변기커버
KR200336564Y1 (ko) 좌변기용 자동 열림 변기시트
WO2005060805A1 (en) Easy access commode seat
CN215022113U (zh) 一种痔疮术后护理用熏洗盆
KR200306676Y1 (ko) 좌변기용 자동 열림 변기시트
JP3230705U (ja) 浴室内介助用ボード及び浴室
KR200301713Y1 (ko) 장 마사지 장치
KR102043975B1 (ko) 쾌변 유도 구조를 갖는 변기시트
KR200263501Y1 (ko) 좌변기용 자동열림 시트
CN213075476U (zh) 一种充气式防倒泼泡脚盆
CN212896678U (zh) 一种组合结构的坐便器
KR200263502Y1 (ko) 좌변기용 자동열림 시트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CN116491848A (zh) 一种蹲便器辅助如厕装置
KR200375570Y1 (ko) 재래식 겸용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