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255B1 -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255B1
KR101504255B1 KR20140137696A KR20140137696A KR101504255B1 KR 101504255 B1 KR101504255 B1 KR 101504255B1 KR 20140137696 A KR20140137696 A KR 20140137696A KR 20140137696 A KR20140137696 A KR 20140137696A KR 101504255 B1 KR101504255 B1 KR 10150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oad surface
road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란
Original Assignee
삼진하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하이테크(주) filed Critical 삼진하이테크(주)
Priority to KR2014013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야간 및 우천시에도 시인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paint material for surface sign of pavement, material for surface sing of pavement using th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urface sing of pavemen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야간 및 우천시에도 시인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된 도로에서는 그 도로의 진행 방향의 유도 및 차간의 간격을 유지케 하기 위해 일정폭의 차선유도용 노면 표시를 설치한다. 도로에는 다양한 형태의 노면 표시가 있는데, 제한 속도와 진행 방향에 대한 목적지의 정보 등이 도로의 노면 상에 직접 도포되어 글자나 도형으로 표시되기도 하고,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표시하는 차선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등 다양한 글자나 도형으로 표시되고, 여기에 사용되는 도로표지용 도료들이 여러 가지의 종류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로는 유성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수성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유성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아크릴이나 알키드 같은 유기합성 수지에 유기용제 및 안료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되는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함량이 높아 환경적 유해인자가 되고 있다. 또한 유성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비해 시공되는 자재의 두께가 얇아 마모층이 적거나 건조의 시간이 길어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일 경우 시공의 어려움이 크고, 스프레이 작업시 비산에 의한 2차 오염을 유발하며, 포장 용기 및 잔량의 폐기 문제 등 환경적 유해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수성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수성에멀젼 수지에 물이나 안료 등을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되며, 수성 제품이라는 점에서 주위 시공 환경(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받고, 건조 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시공할 때 제약이 많으며, 역시 포장 용기와 잔량의 폐기 문제 및 비산 등 환경적으로 유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일반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기본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제, 결합력 및 부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폴리머 성분, 색상 부여를 위한 안료, 조성물의 체적 부여를 위한 충전제, 후기 반사를 위한 글래스 비드 및 가공성을 높이기 위한 가소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하절기에 사용하기 위해 신속한 건조를 위하여, 점착성 및 결합력을 부여하나 연화점이 낮아 건조가 늦어지는 폴리머를 최소화하여 사용하고,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가소제를 극소량으로 사용함으로서 시공후 건조가 늦어지는 단점을 극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제조되어 시공되는 노면표시재의 경우 동절기에 접어들게 되면 접착력과 결합력이 약화되어 갈라짐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노면에서의 탈락이 용이하여 노면 표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시인성을 부여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중요한 요소인 노면표시용 글래스 비드는 도로 노면에 시공 후 표면에 살포되어 즉각적인 초기반사 기능을 나타내나 기본적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노면표시재가 차량의 통행에 의하여 마모시 노출되어 후기 반사효과를 나타내는데 노면표시재의 내구기간 동안 지속적인 시인성을 구현해야 된다.
하지만,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간의 결합력이 부족한 경우, 글래스 비드를 고정시키는 힘이 약하여 글래스 비드의 탈락 위험이 높아 시공 후 길게는 1개월 짧게는 1주일이 경과하기 전에 탈락되어 반사기능이 약화되어 시인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종래 기술 중 한국공개특허 제2006-012445호에는 고효율 역반사 도로 표시 도료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강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 번째 과제는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야간 및 우천시에도 시인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 번째 과제는 시공장비에 관계없이 다양한 방식의 시공이 가능한 노면표시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글래스 비드, 점착제, 충전제, 폴리올레핀 수지 및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제 44.7 ~ 67.1 중량부, 충전제 94.0 ~ 141.2 중량부, 폴리올레핀 수지 7.0 ~ 10.6 중량부, 섬유 0.33 ~ 0.5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상기 섬유는 유리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상기 유리섬유는 실리카(silica, SiO2) 및 지르코니아(zirconia, ZrO2)를 포함하고,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4.5 ~ 1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상기 섬유는 200℃ 이상의 융점, 3 ~ 12mm의 길이, 3 ~ 3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석분, 실리카, 탈크, 돌로마이트 및 황산바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상기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 0.51 ~ 0.78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상기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Vinyltri(2-methoxyethoxy)silane 및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상기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왁스 6.9 ~ 10.5 중량부, 증백제 0.11 ~ 0.18 중량부, 가소제 3.76 ~ 5.66 중량부 및 안료 9.8 ~ 14.9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노면표시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면표시재는 KS M 6080 시험방법으로 측정시, 야간휘도가 400 ~ 480 mcd/m2·Lux, 6개월 방치 후 야간휘도가 300 ~ 380 mcd/m2·Lux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재는 KS M 6080 시험방법으로 측정시, 내마모성이 100회전 했을 때 50mg 미만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재는 차선, 횡단보도선, 노선, 방향 표시선, 속도 표시선 중에서 선택된 노면표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면표시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제10항의 노면표시재를 170 ~ 25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2) 용해된 노면표시재를 노면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면표시재 시공방법의 상기 (2) 단계의 용해된 노면표시재는 도포(painting), 롤링(rolling) 및 스프레이(spray) 중에서 선택된 시공방법을 통해 노면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은 종래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보다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야간 및 우천시에도 시인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신속한 건조를 위하여, 점착성 및 결합력을 부여하나 연화점이 낮아 건조가 늦어지는 폴리머를 최소화하여 사용하고,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가소제를 극소량으로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시공된 노면표시재는 접착력과 결합력이 약화되어 갈라짐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노면에서의 탈락이 용이하여 노면 표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간의 결합력이 부족한 경우, 글래스 비드를 고정시키는 힘이 약하여 글래스 비드의 탈락 위험이 높아 시공 후 길게는 1개월 짧게는 1주일이 경과하기 전에 탈락되어 반사기능이 약화되어 시인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강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글래스 비드, 점착제, 충전제, 폴리올레핀 수지 및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제 44.7 ~ 67.1 중량부, 충전제 94.0 ~ 141.2 중량부, 폴리머 수지 7.0 ~ 10.6 중량부, 섬유 0.33 ~ 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보다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성 및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야간 및 우천시에도 시인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글래스 비드(glass bead), 점착제, 충전제, 폴리올레핀 수지 및 섬유를 포함한다.
우선, 글래스 비드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노면표시재에 혼입되어 차선의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마모시 노출이 되어 특히 야간에 자동차 전조등의 불빛을 받아 이를 재귀반사시켜 운전자나 보행자 등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판독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글래스 비드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굴절율 1.5 이상의 투명하고 흠이 없으며 원형도가 높은 글래스 비드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글래스 비드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를 이용하여 차선을 시공한 후, 상기 차선의 표면에 살포될 수 있으며, 상기 노면표시재가 경화되면서 차선의 표면에 살포된 글래스 비드는 고착되어 초기 일정 기간동안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재귀반사로 야간 차량의 운행시 운전자에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점착제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서 도막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기본적인 점착성을 부여하는 바인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착제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석유계 수지, 로진계 수지, 테르핀(terpine) 수지, 쿠마론 인덴(cumarone inden)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5계 합성석유 수지, 로진 에스테르(rosin ester), 쿠마론 인덴(cumarone inden)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석유계 수지로서는 C5계 합성석유 수지(이소프렌(isoprene), 시클로펜타디엔(cyclopentadiene), 1,3-펜타디엔(1,3-pentadiene), 1-펜텐(1-pentene) 중 적어도 2종의 공중합체, 2-펜텐(2-pentene), 디시크로펜타디엔(dicyclopentadiene) 중 적어도 2종의 공중합체, 1,3-펜타디엔(1,3-pentadiene) 주체의 수지 등), C9계 합성석유 수지(인덴(indene), 스틸렌(stylene), 메틸인덴(methyl indene), α-메틸스틸렌(α-methyl stylene) 중 적어도 2종의 공중합체 등)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합성석유 수지(디시크로펜타디엔(dicyclopentadiene)을 주체로 하는 이소프렌(isoprene) 및/또는 1,3-펜타디엔(1,3-pentadiene)과의 공중합체 등)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석유계 수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점착체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석유계 수지가 사용될 수 이 있다.
로진계 수지로서는 천연 수지 로진, 변성 로진, 로진 에스테르(로진 글리세린 에스테르(rosin glycerin ester), 로진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rosin pentaerythritol ester) 등) 또는 소수첨가 로진 에스테르(수소 첨가 로진 글리세린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등)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로진계 수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점착체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로진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44.7 ~ 67.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0 ~ 6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점착제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44.7 중량부 미만이면 안정적인 도막을 형성되지 못하여 기본 점착성은 물론 내구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67.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결합제의 강도가 높아져 조성물 조직이 깨지거나 부서지기 쉽다.
다음으로, 충전제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안정성 및 칙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석분, 실리카, 탈크, 돌로마이트 및 황산바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및 돌로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94.0 ~ 14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5.8 ~ 129.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충전제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94.0 중량부 미만이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141.2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필수함량을 감소시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높여 작업성 및 물성을 저해할 수 있고, 시공된 노면표시재가 너무 견고해져 유연성이 저하되어 부착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간의 결합력 및 도로 노면과의 부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초산비닐(el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수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수지 및 고 초산비닐(high vinyl acetate resin)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초산비닐(el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폴리올레핀 수지는 당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변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 1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9 ~ 9.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폴리올레핀 수지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점성이 낮아져 결합력, 노면 접착력 및 가공성이 나빠질 수 있고, 10.6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고, 기온이 높아지면 차량의 타이어에 의하여 눌리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섬유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가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투입, 배합 또는 용해시 단섬유로 분해되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고, 이 상태에서 노면표시용 도로 조성물이 경화될 시 결합력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섬유는 200℃ 이상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포함된 섬유의 융점이 200℃ 미만이면,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내부에서 용해시 알갱이 형태로 구형화되어,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를 사용하여 시공시 시공장비의 토출구에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는 3 ~ 12mm의 길이, 3 ~ 30㎛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5 ~ 10mm의 길이, 10 ~ 23㎛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섬유의 길이가 3mm 미만이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이 약하고, 12mm를 초과하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내부에서 서로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유동성을 방해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섬유는 유리섬유(glass fiber), 나일론 섬유(nylon fiber), 폴리프로필렌 섬유(polypropylene fiber), 폴리비닐알코올 섬유(polyvinyl alcohol fiber), 셀룰로오스 섬유(cellulose fiber),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섬유(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및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내알칼리성 유리섬유로서, 실리카(silica, SiO2) 및 지르코니아(zirconia, ZrO2)를 포함할 수 있고,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4.5 ~ 1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유리섬유가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4.5 ~ 16 중량부를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내부에서 분산이 가장 우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실란은 유기물질과 무기물질 간의 부착력, 결합력을 강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이지만, 액체 상태의 실란은 물과 접촉하면 급격히 반응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분말 상태의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을 포함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위험성을 배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유기, 무기 혼합 조성물간의 결합력 강화는 물론 조성물 중 비교적 크기가 큰 글래스 비드와의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어 글래스 비드의 높은 경도에 의한 내구성으로 차선 등에 시공된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야간 시인성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은 다른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과의 신속하고 안전하게 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제품에 비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고, 가공성, 안전성, 편의성, 저공해성을 향상시키며, 글래스 비드의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Vinyltri(2-methoxyethoxy)silane 및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 0.7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8 ~ 0.7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이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 미만이면, 부착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0.78 중량부를 초과하면, 지나친 응력 발생으로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이 경화 후 굽거나 그 힘으로 노면에서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성형성을 좋게하고 크랙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조절, 침전방지 및/또는 표면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왁스, 파라핀(paraffin)왁스 및 아마이드(amide)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6.9 ~ 1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8 ~ 9.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왁스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6.9 중량부 미만이면, 노면표시재의 용융성, 가공성 및 분산기능 저하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1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를 낮추어 가공성을 저하시키거나 왁스가 외부 표면으로 유출되어 유실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증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백제는 차선의 백색도를 증대 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증백제는 1,4-bis(2-cyanostyryl)Benzene, 2,5-bis[2-(5-tert-butyl-2-benzoxazoly)thiophene, 2,2’-(4,4’-diphenol vinyl) dibenzoxazol 및 1,4-Bis(2-benzoxazoly)naphtha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bis(2-cyanostyryl) Benzene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백제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 0.1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3 ~ 0.1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증백제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미만이면, 증백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0.18 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황변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가소제(plasticiz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가공성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소제는 폴리에스터(Polyester), 프탈레이트 (Phthalate), 포스페이트 (Phosphate), 트라이멜리테이트(Trimellitate), 알리페틱 디이스터(Aliphatic Diester) 계열의 가소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Polyester) 계열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76 ~ 5.6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23 ~ 5.1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가소제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79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용해시 유동성이 낮아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5.66 중량부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용해시 유동성이 높아 시공된 노면표시재의 경화건조가 늦게 강도가 낮아져 눌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도로 노면의 표시에 있어서 색상 구현 및 시인성 유지의 목적으로 필요한 색상을 선택하여 도로 노면에 착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료는 흰색, 황색, 파란색 등 원하는 색상으로 발현시키도록 하기 위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색안료로 이산화티탄, 아연화, 리소폰, 연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9.8 ~ 14.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1 ~ 13.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안료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9.8 중량부 미만이면 색상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여 노면표시재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14.9 중량부를 초과하면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한 작업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는 앞서 설명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를 KS 6080 시험방법으로 측정시, 야간휘도가 400 ~ 480 mcd/m2·Lux, 6개월 방치 후 야간휘도가 300 ~ 380 mcd/m2·Lux일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노면표시재보다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야간 및 우천시 시인성이 유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를 KS M 6080 시험방법으로 측정시, 내마모성이 100회전 했을 때 75mg 미만, 바람직하게는 50mg 미만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내마모성 실험은 시험 전 시료의 무게를 측정한 후 테버형 내마모성 시험 기계를 이용하여 100회전 실시 후 무게를 측정하여 마모감량을 확인 하는 것이데, 상기와 같은 내마모성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의 내마모성 실험시 75mg 미만, 바람직하게는 50mg 미만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노면표시재보다 조성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도로 노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야간 및 우천시 시인성이 유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노면표시재는 차선, 횡단보도선, 노선, 방향 표시선, 속도 표시선 중에서 선택된 노면표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1) 노면표시재를 170 ~ 25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2) 용해된 노면표시재를 노면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노면은 통상적인 노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아스콘, 투수콘 및 수지 몰탈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로 노면일 수 있다.
먼저, 앞서 언급한 노면표시재를 도로 노면에 도포하기에 앞서 도로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하게 청소한다. 청소는 청소차량에 부착된 회전브러쉬를 이용해 쓸고, 물을 뿌려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을 제거한 후 노면에 남은 물기를 제거한다. 이 경우 건조기로 건조시키거나 일정 시간 방치 후 자연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노면표시재를 도로 노면에 도포하기 전에 프라이머를 도포할 수 있는데, 프라이머를 도포함으로서, 노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노면에 도장했을 때, 도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1)단계에서 노면표시재를 통상적인 가열교반장치 및/또는 용해기에서 170 ~ 250℃, 바람직하게는 190 ~ 23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다. 가열교반장치 및/또는 용해기는 내부에 투입된 노면표시재를 170 ~ 25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면서 골고루 혼합되도록 교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 용해된 노면표시재를 노면에 도포한다. 구체적으로, (1) 단계에서 용해된 노면표시재를 시공장비의 재료탱크에 옮긴 후, 시공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노면표시재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노면표시재는 도포(painting), 롤링(rolling) 및 스프레이(spray) 중에서 선택된 시공방법을 통해 노면에 도포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시공방법은 시공장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식 시공장비를 통해 미장식(Screed) 방식으로 노면에 노면표시재를 도포할 수 있고, 기계식 시공장비를 통해 회전롤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용해된 노면표시재를 흩뿌리는 방식으로 노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분사식 시공장비를 통해 탱크내에 압력을 가하여 토출되는 노면표시재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노면표시재가 분사되도록 노면에 도포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시공장비에 관계없이 다양한 방식의 시공이 가능한 노면표시재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 단계에서 노면표시재가 도표된 노면에 글래스 비드를 살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 단계에서 노면에 도포된 노면표시재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추가로 글래스 비드가 살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공된 노면표시재는 야간 및 우천시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시공된 노면표시재 상부에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효율을 항샹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의 제조
용해조에 글래스 비드(glass bead, 평균입경 400 ~ 850㎛) 100 중량부와, 상기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제인 C5계 합성섬유 수지(RC-1100R, 코오롱 유화) 55.9 중량부, 충전제인 탄산칼슘 80.9 중량부, 돌로마이트(dolomite) 36.8 중량부, EVA 수지 8.8 중량부, 표면처리를 위한 왁스(LC-402F, 라이온켐텍) 7.65 중량부, 강도증강을 위한 왁스(GMT-1807, GMT) 1.06 중량부, 증백제(Euchem, Optical Brightening Agent) 0.147 중량부, 내알칼리성 유리섬유(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5 중량부가 혼합된 유리섬유, 융점 220℃, 길이 6mm, 직경 15㎛)(Jiangsu Zhongya New Material Co.Ltd., AR-Glass Fiber) 0.412 중량부, 가소제(plasticizer)인 폴리에스터(polyester, PES) 4.71 중량부,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탄(TiO2) 12.35 중량부를 투입하고, 200℃에서 가열 및 교반하여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4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0.647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0.7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0.5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1.2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0.1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 사용된 내알칼리성 유리섬유(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5 중량부가 혼합된 유리섬유, 융점 220℃, 길이 6mm, 직경 15㎛)(Jiangsu Zhongya New Material Co.Ltd., AR-Glass Fiber) 대신 길이가 다른 내알칼리성 유리섬유(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5 중량부가 혼합된 유리섬유, 융점 220℃, 길이 20mm, 직경 15㎛)(Jiangsu Zhongya New Material Co.Ltd., AR-Glass Fiber)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 사용된 내알칼리성 유리섬유(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5 중량부가 혼합된 유리섬유, 융점 220℃, 길이 6mm, 직경 15㎛)(Jiangsu Zhongya New Material Co.Ltd., AR-Glass Fiber)대신 길이가 다른 내알칼리성 유리섬유(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5 중량부가 혼합된 유리섬유, 융점 220℃, 길이 1mm, 직경 15㎛)(Jiangsu Zhongya New Material Co.Ltd., AR-Glass Fiber)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를 포함시키지 않고,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내알칼리성 유리섬유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대해 하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야간 휘도 측정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표면이 균일하고 평평한 아스팔트 블록(약300mm× 300mm× 50mm)에 건조된 도막의 두께가 최대 2.0mm 되도록 도포하고, 수평으로 놓고 글래스 비드를 100g을 높이 약 10cm 위에서 골고루 도포한 다음 경화시킨 시료를 제조한다.
상기 시료에 대해 전자 휘도계(Delta사, LTL2000SQ)를 사용하여 시료 뒤에 부착시켜 자동으로 휘도를 측정하였다.
2.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 측정
노면의 접착저해물을 제거하고 핫멜트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용해기에 넣고 20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시공장비를 통해 프라이머를 도포한 노면 상에 도포하였다.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이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상부에 건조된 도막의 두께가 최대 2.0mm가 되도록 글래스 비드를 살포한 후 25℃에서 경화시켰으며, 6개월간 방치 후 크랙 발생 여부 및 야간휘도를 측정하였다.
3. 내마모성
KS M 6080 4종 내마모성 시험규격에 따라 지름 100mm 시험편에 두께가 5mm가 되도록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하고, 시험편의 윗면을 위로하여 테버형 마모시험기의 지지대에 수평으로 고정시킨다. 연마지를 감은 고무제 원반을 시험편 위에 내려놓고, 마모시험기와 전동식 제진장치를 시동하여 회전반을 100회전한 후 정지시켜 시험편을 빼낸다. 그 후 시험편을 깨끗한 헝겊으로 닦은 후 그 무게를 저울로 1㎎ 칭량하여 마모감량을 계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야간휘도
(mcd/m2·Lux)
425 432 409 488 463 456 375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
(mcd/m2·Lux)
318 306 304 366 347 342 281
크랙발생여부 × × × × × ×
내마모성
(100회전에 감소된 무게)
68 66 72 40 37 46 32
구분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야간휘도
(mcd/m2·Lux)
327 303 277 252 322 276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
(mcd/m2·Lux)
213 165 113 124 188 143
크랙발생여부 ×
내마모성
(100회전에 감소된 무게)
55 68 75 88 55 84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야간휘도 및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가 현저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0.33 ~ 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1 ~ 3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및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교예 3보다 야간휘도 및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유리섬유뿐만 아니라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을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 0.78 중량부 포함하는 실시예 4 ~ 6은 유리섬유만 포함하는 실시예 1 ~ 3 보다 야간휘도 및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가 현저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 0.51 ~ 0.78 중량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4 ~ 6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7 및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8보다 야간휘도 및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리섬유의 길이가 6mm인 실시예 1은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리섬유의 길이가 20mm인 실시예 9 및 유리섬유의 길이가 1mm인 실시예 10 보다 야간휘도 및 6개월 방치 후 야간 휘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글래스 비드, 점착제, 충전제, 폴리올레핀 수지, 섬유 및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을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제 44.7 ~ 67.1 중량부, 충전제 94.0 ~ 141.2 중량부, 폴리올레핀 수지 7.0 ~ 10.6 중량부, 섬유 0.33 ~ 0.50 중량부 및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 0.51 ~ 0.7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유리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실리카(silica, SiO2) 및 지르코니아(zirconia, ZrO2)를 포함하고,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4.5 ~ 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200℃ 이상의 융점, 3 ~ 12mm의 길이, 3 ~ 30㎛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석분, 실리카, 탈크, 돌로마이트 및 황산바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Vinyltri(2-methoxyethoxy)silane 및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왁스 6.9 ~ 10.5 중량부, 증백제 0.11 ~ 0.18 중량부, 가소제 3.76 ~ 5.66 중량부 및 안료 9.8 ~ 14.9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표시재는 KS M 6080 시험방법으로 측정시, 야간휘도가 400 ~ 480 mcd/m2·Lux, 6개월 방치 후 야간휘도가 300 ~ 380 mcd/m2·Lu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표시재는 KS M 6080 시험방법으로 측정시, 내마모성이 100회전 했을 때 50m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표시재는 차선, 횡단보도선, 노선, 방향 표시선, 속도 표시선 중에서 선택된 노면표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재.
  14. (1) 제10항의 노면표시재를 170 ~ 25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2) 용해된 노면표시재를 노면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재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용해된 노면표시재는 도포(painting), 롤링(rolling) 및 스프레이(spray) 중에서 선택된 시공방법을 통해 노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재 시공방법.
KR20140137696A 2014-10-13 2014-10-13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0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696A KR101504255B1 (ko) 2014-10-13 2014-10-13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696A KR101504255B1 (ko) 2014-10-13 2014-10-13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255B1 true KR101504255B1 (ko) 2015-03-19

Family

ID=5302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7696A KR101504255B1 (ko) 2014-10-13 2014-10-13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25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931B1 (ko) * 2015-04-09 2015-10-29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내마모도가 향상된 열 융착형 노면표지용 도료조성물
CN106893481A (zh) * 2015-12-17 2017-06-2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聚乙烯醇纤维-氟聚氨酯抗空蚀涂料及其制备方法
KR20170136167A (ko) * 2016-06-01 2017-12-11 김춘호 입설지주용 빛 반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한 제품
JP2018035341A (ja) * 2016-08-25 2018-03-08 アトミクス株式会社 水性路面標示用塗料
KR101906811B1 (ko) * 2017-11-27 2018-10-12 로드켐 주식회사 차선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101971888B1 (ko) * 2018-11-14 2019-04-24 권희문 나노세라믹 장수명 차선 도색 도료의 제조방법
KR101980672B1 (ko) * 2018-11-30 2019-05-22 한국도로공사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차선 인식 기능이 강화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2013079B1 (ko) * 2018-12-18 2019-08-21 주식회사 태산마스타 우수한 상용성과 부착성을 갖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료의 제조방법
KR102092298B1 (ko) 2019-09-18 2020-05-26 현대건업 (주) 미끄럼방지 부착식 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5612431A (zh) * 2021-07-16 2023-01-17 江苏高速公路工程养护技术有限公司 一种养护路面专用结构型标线及其施工方法
CN116948528A (zh) * 2023-07-20 2023-10-27 深圳标朗环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和道路标线涂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944A (ja) * 1995-12-21 1997-06-30 Nisshin Chem Ind Co Ltd 路面標示用水性塗料組成物
JPH10102440A (ja) * 1996-09-27 1998-04-21 R C Sangyo Kk 埋設型溶融用道路標示材料および道路標示方法
JP2003082275A (ja) 2001-09-14 2003-03-19 Nippon Zeon Co Ltd 水性路面表示塗料
KR101037033B1 (ko) 2011-01-31 2011-05-25 (주)새론테크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944A (ja) * 1995-12-21 1997-06-30 Nisshin Chem Ind Co Ltd 路面標示用水性塗料組成物
JPH10102440A (ja) * 1996-09-27 1998-04-21 R C Sangyo Kk 埋設型溶融用道路標示材料および道路標示方法
JP2003082275A (ja) 2001-09-14 2003-03-19 Nippon Zeon Co Ltd 水性路面表示塗料
KR101037033B1 (ko) 2011-01-31 2011-05-25 (주)새론테크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931B1 (ko) * 2015-04-09 2015-10-29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내마모도가 향상된 열 융착형 노면표지용 도료조성물
CN106893481B (zh) * 2015-12-17 2019-05-10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聚乙烯醇纤维-氟聚氨酯抗空蚀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893481A (zh) * 2015-12-17 2017-06-2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聚乙烯醇纤维-氟聚氨酯抗空蚀涂料及其制备方法
KR20170136167A (ko) * 2016-06-01 2017-12-11 김춘호 입설지주용 빛 반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한 제품
KR101851595B1 (ko) * 2016-06-01 2018-06-04 김춘호 입설지주용 빛 반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한 제품
JP2018035341A (ja) * 2016-08-25 2018-03-08 アトミクス株式会社 水性路面標示用塗料
WO2019103271A1 (ko) * 2017-11-27 2019-05-31 로드켐 주식회사 차선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101906811B1 (ko) * 2017-11-27 2018-10-12 로드켐 주식회사 차선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101971888B1 (ko) * 2018-11-14 2019-04-24 권희문 나노세라믹 장수명 차선 도색 도료의 제조방법
KR101980672B1 (ko) * 2018-11-30 2019-05-22 한국도로공사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차선 인식 기능이 강화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2013079B1 (ko) * 2018-12-18 2019-08-21 주식회사 태산마스타 우수한 상용성과 부착성을 갖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료의 제조방법
KR102092298B1 (ko) 2019-09-18 2020-05-26 현대건업 (주) 미끄럼방지 부착식 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5612431A (zh) * 2021-07-16 2023-01-17 江苏高速公路工程养护技术有限公司 一种养护路面专用结构型标线及其施工方法
CN116948528A (zh) * 2023-07-20 2023-10-27 深圳标朗环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和道路标线涂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255B1 (ko)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4086B1 (ko) 기능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 급속 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US8183308B2 (en) Road marking products with self-cleaning photocatalytic properties and with a renewable hyperhydrophilic surface
CN106574141B (zh) 用于低沾污冷塑性材料标记的反应性树脂密封材料
KR100832922B1 (ko)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20140001652A (ko) 고휘도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2177185B1 (ko) 내오염성, 내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융착식 플라스틱 노면표지용 도료
KR101176043B1 (ko) 혼합 비드를 함유하는 도로의 차선용 액상 도료 조성물
KR100727717B1 (ko) 폴리아미드수지를 이용한 재용융형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KR101472358B1 (ko) 노면표지용 융착식 도료
KR20090011422A (ko) 스프레이형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한도료표지용 도료
KR100973796B1 (ko) 노면표시용 스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2005362B1 (ko)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KR102604181B1 (ko) 미끄럼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3074B1 (ko) 유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58900B1 (ko)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무늬형 기능성도로표지선의 시공 방법
AU2018236338A1 (en) Pelletiz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compositions using glass dust filler
KR20200038622A (ko)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0888704B1 (ko) 노면표시용 융착식 스프레이 도료
KR20180006604A (ko) 야간 반사 도료
KR101255239B1 (ko) 도로의 차선 표시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102091216B1 (ko)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0257B1 (ko) 노면표지용 융착식 시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지용 융착식 시트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