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622A -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622A
KR20200038622A KR1020180118056A KR20180118056A KR20200038622A KR 20200038622 A KR20200038622 A KR 20200038622A KR 1020180118056 A KR1020180118056 A KR 1020180118056A KR 20180118056 A KR20180118056 A KR 20180118056A KR 20200038622 A KR20200038622 A KR 2020003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film
amount
traffic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영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이소영
이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영, 이용인 filed Critical 이소영
Priority to KR102018011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8622A/ko
Publication of KR2020003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the marking material being applied to the surface by contact with an application tool, e.g. paint roll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건조 도막 형성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10)과; 상기 저장통(110)에 저장중인 조성물이 투입되어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형성기(120)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30)와; 도막 형성장치가 상기 가이드 부재(130)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차도나 지하주차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차선이나 주차 구역 라인 등의 표시 작업 시 사용할 수 있는 띠 형상의 건조 도막을 제조함으로써 바닥면에 건조 도막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차선이나 주차 구역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 작업 방법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A coating composition for traffic markers having improved adhesion by using a Hydrocarbon Resin and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s main ingredient &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dryfilm on a road surf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기 위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도에는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러한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교통 표지선 표시에 필요한 각종 재료, 예를 들면 페인트, 폐타이어, 가네트, 유동성 에폭시, 경화제, 글라스 볼, 안료, 연소용 연료, 가열용 버너 및 가열저장통 등을 이용한다. 즉, 가열저장통에 각종 재료를 충전하여 버너로 가열하여 교통 표지선표시용 용융물을 만든 후, 그 용융물을 소형 작업 카트에 담아서 표시할 교통 표지선에 일정폭과 길이로 배출시키면서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는 경우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가열저장통에 각종 재료를 충전하여 버너로 가열하고, 가열된 교통 표지선 표시용 용융물을 소형 작업 카트에 담아서 표시할 교통 표지선에 일정폭과 길이로 배출시키면서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여야 하므로 장시간 동안의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장시간 동안 교통 체증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차장에 주차구역 라인을 표시할 때에도 차도에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기 때문에 주차 구역 라인의 표시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고, 구차구역을 표시하고 나서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된 교통 표지선을 경화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테이프 형태로 감겨지며 라텍스는 15~95 중량%, 보조제 5~85 중량%로 이루어진 열융합 테이프가 설치가 설치되어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의 전방에 설치하며 열융합 테이프에 5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열융합 테이프를 가압하여 도로의 표면에서 10㎤에 20kg의 압력으로 가열하여 융합 고정하는 가압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표시용 열융합 테이프를 이용한 차선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탄화 수소, 이브이에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가 혼합되는 주원료; 상기 주원료에 충진재로서 첨가되는 탄산칼슘; 노면표시용 핫테이프의 식별을 위한 안료로서 첨가되는 산화티탄; 상기 노면표시용 핫테이프의 시공 후 차량의 오일이나 차량바퀴의 오염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표면평활제로서 첨가되는 토우폴리큘레폴리에칠렌첨가제; 동절기에 노면표시용 핫멜트 테이프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가소제로서 첨가되는 프탈산디옥틸틸; 노면표시용 핫멜트 테이프의 시공 후의 열안전성을 위한 안정제로서 첨가되는 스테아르산 칼슘; 야간에 보다 더 지속적인 재귀반사를 위하여 식별반사체로 첨가되는 세라믹 그라스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국내공개특허 10-2013-0015879 국내등록특허 10-0740296
본 발명은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되 도로의 차도 나 지하주차장 등의 바닥면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건조 도막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교통 표지선이나 주차구역 라인 등을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은, 글래스 비드, 점착제, 첨가제,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백운석, 실란 화이버, 실란 파우더 및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글래스 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착제는 30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이산화티탄은 5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탄산칼슘은 50 내지 8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백운석은 20 내지 4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실란 화이버는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실란 파우더는 1 내지 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안료는 선택적으로 15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는,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건조 도막 형성장치로서,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에 저장중인 조성물이 투입되어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형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조성물이고, 상기 형성기는 사각틀 형상이면서, 도막 형성장치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띠 형상의 건조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단부에 도막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요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도막 형성장치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막 형성장치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 또는 대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도로의 차도나 지하주차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차선이나 주차 구역 라인 등의 표시 작업 시 사용할 수 있는 띠 형상의 건조 도막을 제조함으로써 바닥면에 건조 도막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차선이나 주차 구역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 작업 방법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의 제1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의 제2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의 제1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의 제2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도로의 차도 또는 지하주차장 등의 바닥면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건조 도막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교통 표지선이나 주차구역 라인 등을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은, 융착식 도료로서, 글래스 비드, 점착제, 첨가제,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백운석, 실란 화이버, 실란 파우더 및 안료를 포함하고, 특별히 상기 점착제는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은, 상기 글래스 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착제는 30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이산화티탄은 5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탄산칼슘은 50 내지 8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백운석은 20 내지 4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실란 화이버는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실란 파우더는 1 내지 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안료는 선택적으로 15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흰색 도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안료가 불필요하고 노란색 등의 도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상기 비율로 안료가 포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래스 비드는 야간에 자동차 전조등의 불빛을 받아 이를 재귀반사시켜 운전자나 보행자 등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판독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글래스 비드는 굴절률 1.5 이상 이어야 하고 휘도는 400 내지 800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 점착제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서, 석유계 수지, 로진계 수지, 테르핀 수지, 쿠마론 인덴 수지 및/또는 폴리아미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석유계 수지인 하이드로 카본 수지(Hydrocarbon Resin)가 주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이외의 석유계 수지로서는 C5계 합성석유 수지(이소프렌, 시클로펜타디엔, 1,3-펜타디엔, 1-펜텐 중 적어도 2종의 공중합체, 2-펜텐, 디시크로펜타디엔 중 적어도 2종의 공중합체, 1,3-펜타디엔 주제의 수지 등), C9계 합성석유 수지(인덴, 스틸렌, 메틸인덴, α-메틸스틸렌 중 적어도 2종의 공중합체 등)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합성석유 수지(디시크로펜타디엔을 주제로 하는 이소프렌 및/또는 1,3-펜타디엔과의 공중합체 등)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석유계 수지는 도막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기본적인 점착성을 부여하는 바인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는 에틸렌과 초산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 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가 상기 석유계 수지에 추가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의 양이 상기한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도막이 형성되지 못하며 반대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합제의 강도가 높아져 조성물 조직이 깨지거나 부서지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는 첨가제가 포함된다.
첨가제는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성형성을 좋게 하고 크랙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조절, 침전방지 및/또는 표면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폴리에틸렌 첨가제, 파라핀 첨가제 및 아미드 첨가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된다. 첨가제의 양이 상기한 범위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노면표시재의 용융성, 가공성 및 분산기능 저하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를 낮추어 가공성을 저하시키거나 첨가제가 외부 표면으로 유출되어 유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는 이산화티탄이 포함된다.
이산화티탄은 흰색안료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 색상 구현 및 시인성 유지의 목적으로 도로 노면에 착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노란색 도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글래스 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가 적합하고, 흰색 도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글래스 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부가 적합하다. 이산화티탄의 양이 상기한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색상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여 노면표시재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한 작업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는 탄산칼슘과 백운석이 포함된다.
상기 탄산칼슘은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중량부의 양이 사용되며, 상기 백운석은 20 내지 40중량부의 양이 사용된다. 이들 탄산칼슘과 백운석의 양이 상기한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의 필수 함량을 감소시켜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높여 작업성 및 물성을 저해할 수 있고, 시공된 노면표시재가 너무 견고해져 유연성이 저하되어 부착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는 실란 화이버가 포함된다.
실란 화이버는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란 화이버가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 투입, 배합 또는 용해시 단섬유로 분해되어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고, 이 상태에서 노면표시용 도로 조성물이 경화될 때 결합력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 화이버는 3 ~ 12mm의 길이, 3 ~ 30㎛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5 ~ 10mm의 길이, 10 ~ 23㎛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실란 화이버의 길이가 3mm 미만이면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이 약하고, 12mm를 초과하면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내부에서 서로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의 유동성을 방해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실란 화이버의 양은 글래스 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부의 양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에는 실란 파우더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란 파우더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및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를 들 수 있다.
실란 파우더는 글래스 비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된다. 실란 파우더의 양이 상기한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부착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친 응력발생으로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이 경화 후 굽거나 그힘으로 노면에서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실란은 유기물질과 무기물질 간의 부착력, 결합력을 강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이지만, 액체 상태의 실란은 물과 접촉하면 급격히 반응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은 분말 상태의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을 포함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위험성을 배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유기, 무기 혼합 조성물간의 결합력 강화는 물론 조성물 중 비교적 크기가 큰 글래스 비드와의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어 글래스 비드의 높은 경도에 의한 내구성으로 차선 등에 시공된 본 발명의 노면표시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야간 시인성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유기기능성 분말용 실란은 다른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과의 신속하고 안전하게 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제품에 비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고, 가공성, 안전성, 편의성, 저공해성을 향상시키며, 글래스 비드의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성분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증백제 및 가소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증백제는 차선의 흰색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증백제로는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2,5-비스[2-(5-t-부틸-2-벤즈옥사졸일)티오펜, 2,2'-(4,4'-디페놀비닐)디벤즈옥사졸 및 1,4-비스(2-벤즈옥사졸일)나프탈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이 사용될 수 있다. 가소제는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의 가공성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소제로는 폴리에스터, 프탈레이트, 포스페이트, 트리멜리테이트 및 지방족 디이스터 계열의 가소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계열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조성물 자체에도 특징이 있지만 조성물을 이루는 과정으로써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얻어진 그 조성물에도 발명의 특징이 있다.
조성물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성분간의 적합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글래스 비드에 대한 성분들의 적합성이 높아져 도로에의 시공 후에도 글래스 비드가 이탈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100)는,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기 위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건조 도막 형성장치로서, 크게 저장통(110), 형성기(120), 가이드 부재(130) 및 가이드 롤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통(110)은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여 융착식 도료인 글래스 비드, 점착제, 첨가제,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백운석, 실란 화이버 및 실란 파우더를 포함하는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을 열용융된 상태에서 임시 보관한다.
상기 형성기(120)는 상기 저장통(110)에 저장중인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이 투입되어 건조 도막을 형성한다. 즉, 융용된 상태의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성기(120)는 사각틀 형상이면서, 도막 형성장치(100)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띠 형상의 건조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단부에 도막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요홈부(1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1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융용된 상태의 도료 조성물이 요홈부(121)에 의해 도막 폭(예를 들면, 15cm)과 두께(예를 들면 1.5mm)를 가지면서 일정한 길이(예를 들면 5M)로 건조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곧은 상태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데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140)는 도막 형성장치(100)가 상기 가이드 부재(130)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즉, 건조 도막 형성장치(1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좌우로 틀어지지 않고 바른 형태로 건조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100)는 작업자에 의한 이송을 위한 손잡이 또는 동력으로 이송할 수 있는 대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작업자는 실제로 도로의 차도나 지하주차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차선이나 주차 구역 라인 표시 작업 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건조 도막을 열융착에 의해 또는 점착제 등을 도포하여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고, 이후에는 시인성 확보를 위해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을 가진 글래스 비드를 건조 도막 위에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도로의 차도나 지하주차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차선이나 주차 구역 라인 등의 표시 작업 시 사용할 수 있는 띠 형상의 건조 도막을 제조함으로써 바닥면에 건조 도막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차선이나 주차 구역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 작업 방법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막 형성장치 110 : 저장통
120 : 형성기 121 : 요홈부
130 : 가이드 부재 140 : 가이드 롤러부

Claims (5)

  1.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로서,
    글래스 비드, 점착제, 첨가제,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백운석, 실란 화이버, 실란 파우더 및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글래스 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착제는 30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이산화티탄은 5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탄산칼슘은 50 내지 8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백운석은 20 내지 4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실란 화이버는 0.5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실란 파우더는 1 내지 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안료는 선택적으로 15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2. 교통 표지선을 표시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건조 도막 형성장치(100)로서,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10)과;
    상기 저장통(110)에 저장중인 조성물이 투입되어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형성기(120)를 포함하는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성물이고,
    상기 형성기(120)는 사각틀 형상이면서, 도막 형성장치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띠 형상의 건조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단부에 도막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요홈부(1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30)와;
    도막 형성장치가 상기 가이드 부재(130)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도막 형성장치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 또는 대차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KR1020180118056A 2018-10-04 2018-10-04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KR20200038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56A KR20200038622A (ko) 2018-10-04 2018-10-04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56A KR20200038622A (ko) 2018-10-04 2018-10-04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22A true KR20200038622A (ko) 2020-04-14

Family

ID=7029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56A KR20200038622A (ko) 2018-10-04 2018-10-04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86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273B1 (ko) * 2022-07-05 2022-12-29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CN116948528A (zh) * 2023-07-20 2023-10-27 深圳标朗环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和道路标线涂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296B1 (ko) 2006-12-01 2007-07-18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30015879A (ko) 2011-08-05 2013-02-14 정규헌 차선표시용 열융합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296B1 (ko) 2006-12-01 2007-07-18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30015879A (ko) 2011-08-05 2013-02-14 정규헌 차선표시용 열융합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273B1 (ko) * 2022-07-05 2022-12-29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CN116948528A (zh) * 2023-07-20 2023-10-27 深圳标朗环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和道路标线涂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255B1 (ko)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226542B1 (ko) 역반사 도로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244B1 (ko)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KR100740296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32922B1 (ko)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101163685B1 (ko) 노면표시용 융착식 테이프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30799B1 (ko) 노면표시용 용융형 도료 조성물과 시공 방법
KR102261217B1 (ko) 우천시 및 야간시 시인성이 향상된 테이프형 차선의 제조방법
KR100978213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부착식 노면시트용 조성물,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20200038622A (ko) 하이드로카본 수지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킨 교통 표지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부착형 건조 도막 형성장치
KR102177185B1 (ko) 내오염성, 내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융착식 플라스틱 노면표지용 도료
KR20140001652A (ko) 고휘도 노면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1045007B1 (ko) 노면 표시 선의 시공방법
KR101176043B1 (ko) 혼합 비드를 함유하는 도로의 차선용 액상 도료 조성물
KR102005362B1 (ko)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KR20090011422A (ko) 스프레이형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한도료표지용 도료
KR102143785B1 (ko) 우천시 시인성이 향상된 열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조성물
KR100858900B1 (ko)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무늬형 기능성도로표지선의 시공 방법
KR101913666B1 (ko)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13074B1 (ko) 유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06309B1 (ko)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80171153A1 (en) Composition for pavement markings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2400257B1 (ko) 노면표지용 융착식 시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지용 융착식 시트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488816B1 (ko) 미끄럼 방지 기능과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표시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