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220B1 -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220B1
KR101504220B1 KR1020130061556A KR20130061556A KR101504220B1 KR 101504220 B1 KR101504220 B1 KR 101504220B1 KR 1020130061556 A KR1020130061556 A KR 1020130061556A KR 20130061556 A KR20130061556 A KR 20130061556A KR 101504220 B1 KR101504220 B1 KR 101504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glass
guiding
glass
guiding portion
float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128A (ko
Inventor
민경훈
임예훈
박수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3/0047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80493A1/ko
Priority to JP2015513949A priority patent/JP5948720B2/ja
Priority to CN201380028993.7A priority patent/CN104350015B/zh
Publication of KR2013013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128A/ko
Priority to US14/480,217 priority patent/US95983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04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 C03B18/06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using mechanical means, e.g. restrictor bars, edge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18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float bath; Composition or purification of the float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04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16Construction of the float tank; Use of material for the float tank; Coating or protection of the tank w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 유리의 주입시 주입된 용융 유리의 퍼짐성을 개선할 수 있는 플로트 배스와 이를 포함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그리고 이러한 플로트 배스를 이용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생산된 플로트 유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배스는, 용융 금속을 수용하고, 상기 용융 금속의 상부에 용융 유리가 주입되어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상기 용융 유리가 플로팅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플로트 배스로서, 상기 용융 유리가 주입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이 확장되도록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Float bath and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 유리의 주입시 주입된 용융 유리의 퍼짐성을 개선할 수 있는 플로트 배스와 이를 포함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그리고 이러한 플로트 배스를 이용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생산된 플로트 유리에 관한 것이다.
창유리, 차량의 윈도 스크린, 거울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많은 종류의 평판 유리(flat glass)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유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이 플로트(float) 법을 이용한 생산 방식이다. 예를 들어, TFT 디스플레이 등을 위한 얇은 판유리(thin glass plane) 또는 유리 필름(glass film) 등이 플로트 법에 의해 많이 제조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플로트 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를 플로트 유리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순환하는 연속적인 공정을 포함하고, 끊임없이 영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가능한 거의 중단 없이 수년 이상 가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평판 유리 제조 방법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유리는 일반적으로 용융 주석 또는 용융 주석 합금과 같은 용융 금속(M)이 저장되어 유동되는 플로트 배스(float bath)(10)를 이용하여 성형된다. 이때, 용융 금속(M)보다 낮은 점도를 가지며 용융 금속(M)보다 대략 2/3 정도 더 가벼운 용융 유리가 스파우트 립(spout lip)(11)을 통해 플로트 배스(10)의 입구로 연속적으로 플로트 배스(10) 내부로 공급된다. 플로트 배스(10) 내부에서 용융 유리(G)는 용융 금속(M) 위에서 플로팅 및 스프레딩되면서 플로트 배스(10)의 하류 측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용융 유리(G)는 자신의 표면 장력과 중력에 따라 평형 두께 부근에 도달하게 되어 어느 정도 응고된 유리 스트립 또는 리본이 형성된다.
이후, 이러한 용융 유리는 서냉 공정을 거치기 위해 플로트 배스의 출구에 인접한 리프트 아웃 롤러(lift out roller)에 의해 서냉로를 향해 끌어 당겨진다. 이때, 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유리의 양, 롤러들의 회전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당김 속도 및 플로트 챔버 내부에 설치된 탑 롤러들과 같은 성형 수단의 조절 및 변화는 생산되는 유리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종래 플로트 배스의 입구로 주입된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를 플로트 배스의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에서 화살표는 용융 유리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용융 금속(M)이 플로트 배스의 내벽(12)에 의해 수용되어 있으며, 용융 유리(G)는 스파우트 립(11)으로부터 이러한 용융 금속(M)의 상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용융 유리(G)는 플로트 배스(10)의 하류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폭 방향으로도 점차 퍼지게 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용융 유리(G)는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면의 상부와 하부 방향(폭 방향)으로 점차 퍼지게 된다. 이때, 용융 유리(G)의 폭 방향 끝 부분은 도 2에서 a로 표시된 바와 같다. 이처럼, 용융 유리(G)는 용융 금속(M) 상부에서 플로팅된 상태로 하류 측으로 이동하면서 폭 방향으로도 퍼지게 되는데, 이때, 용융 유리(G)의 퍼짐 형태 및 속도는, 유리의 밀도, 분위기 가스, 용융 금속, 유리의 점도 및 유리 간의 계면 장력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런데, 용융 금속의 상부에서 주입된 용융 유리의 퍼짐 속도가 늦을 경우, 폭이 넓은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플로트 배스(10)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용융 유리는 가급적 빠른 속도로 퍼질 수 있는 것이 좋다.
종래에는, 이러한 용융 유리의 퍼짐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고온 운전 조건 방식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온 운전 조건 방식은, 플로트 배스(10)의 상류 측 온도를 높임으로써, 용융 유리의 온도를 상승시켜 용융 유리가 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온을 이용하는 방식은 전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이고, 플로트 배스(10)의 냉각 성능 또한 좋아야 한다. 그리고, 고온의 운전 조건은 플로트 배스(10)를 구성하는 내화물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관리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용융 유리가 퍼지는 플로트 배스(10) 상류에서는 용융 유리의 공급 조건이 변동되거나 운전 조건이 변동되는 경우 유리 리본의 형성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고온의 운전 방식은 이러한 불안정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고온 운전에 의하지 않고도 유리의 퍼짐 속도를 개선하여 유리 리본이 폭 방향으로 충분히 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지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플로트 배스 및 이를 이용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배스는, 용융 금속을 수용하고, 상기 용융 금속의 상부에 용융 유리가 주입되어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상기 용융 유리가 플로팅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플로트 배스로서, 상기 용융 유리가 주입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이 확장되도록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는, 좌측 가이딩부 및 우측 가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가이딩부와 상기 우측 가이딩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는, 하면이 상기 용융 금속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플로트 배스의 하류 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플로트 배스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 방향으로,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을 확장시키는 확장부 및 상기 용융 유리를 이탈시키는 이탈부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퍼짐 속도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 방향이 상기 용융 유리의 진행 방향과 0° 내지 10°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융 유리의 진행 방향을 따라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부는,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가 최초 접촉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이, 상기 확장부와 접촉하기 이전의 용융 유리의 측면 길이 방향과 10° 내지 30°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가이딩부의 최단부에서의 용융 유리 폭의 1배 내지 5배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상술한 플로트 배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용융 금속을 수용하는 플로트 배스를 이용하여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용융 금속의 상부로 용융 유리가 주입되는 부분에,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이 확장되도록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딩부가 배치된 부분에서 상기 용융 금속의 상부로 상기 용융 유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 배치 단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 좌측 가이딩부와 우측 가이딩부를 상기 플로트 배스의 양 측면에 배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 배치 단계는, 상기 가이딩부의 하면이 상기 용융 금속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 배치 단계는, 상기 가이딩부의 플로트 배스 하류 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배치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는, 상술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트 배스로 용융 유리를 주입할 때, 주입된 용융 유리의 퍼짐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주입된 용융 유리가 가이딩부를 통해 용융 금속 상부에서 빠르게 좌우 측면 방향(폭 방향)으로 충분하게 퍼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플로트 배스에 비해 용융 유리의 측면 방향으로의 퍼짐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용융 유리가 빠르게 퍼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융 유리를 고온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용융 유리의 고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나 냉각 공기량 등을 줄일 수 있어, 플로트 유리의 제조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 상태에서는 유리 공급 조건의 변동이나 운전 조건 변동에 의해 유리 리본의 불안정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는데, 본원 발명에 의하면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유리 리본의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고품질의 플로트 유리를 생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 유리가 폭 방향으로 신속하게 퍼질 수 있으므로, 플로트 배스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 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플로트 배스의 입구로 주입된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를 플로트 배스의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의 구성에 대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이딩부가 플로트 배스에 적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에서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에서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와 종래의 플로트 배스에서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의 구성에 대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로트 배스(100)의 측벽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플로트 배스(100)에는, 탑 롤러, 루프 히터, 벤트와 같은 여러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이러한 구성들은 도시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위주로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로트 배스(100)는 용융 주석이나 용융 주석 합금과 같은 용융 금속(M)을 수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용융 금속(M)의 상부에 용융 유리(G)가 주입된다. 즉, 스파우트 립(101)을 통해 플로트 배스의 입구(I)로 용융 유리(G)가 주입되면, 주입된 용융 유리(G)는 용융 금속(M)의 상부에서 플로팅된 상태로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란 용융 유리(G)가 주입되는 플로트 배스의 입구(I) 측 부분을 의미하며, 플로트 배스(100)의 하류란 용융 유리(G)가 유리 리본 형태로 배출되는 플로트 배스의 출구(O) 측 부분을 의미한다. 도 3에서는, 플로트 배스(100)의 좌측이 상류 측 부분이고, 플로트 배스(100)의 우측이 하류 측 부분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는 가이딩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딩부(110)는, 용융 유리(G)가 주입될 때 주입된 용융 유리(G)의 측면과 접촉하여 주입된 용융 유리(G)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딩부(110)는, 주입된 용융 유리(G)가 측면 방향으로 퍼져 나갈 때, 이러한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함으로써, 용융 유리(G)의 측면 방향의 퍼짐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딩부(110)는 용융 유리(G)가 퍼져나가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딩부(110)는 적어도 용융 유리(G)가 주입되는 부분, 즉 플로트 배스(100)의 입구(상류)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형태 및 기능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이딩부(110)가 플로트 배스(100)에 적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로트 배스(100)의 내벽 등은 도시하지 않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딩부(110)는 2개의 가이딩부(110), 즉 좌측 가이딩부(111) 및 우측 가이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좌측 가이딩부(111) 및 우측 가이딩부(112)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에서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좌측 가이딩부(111)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에서 좌측에 구비되고, 우측 가이딩부(112)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에서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4 및 도 5에서는, 좌측 및 우측의 개념이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에서 하류 측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나, 이러한 좌측과 우측의 개념이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상기 가이딩부(110)는, 도 4에서 b로 표시된 바와 같은 내측면 부분이 용융 유리(G)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용융 유리(G)의 측면이란, 용융 유리(G)가 플로트 배스(100)의 입구 측에 공급되어 용융 금속(M)의 상부에서 플로팅된 상태로 퍼져나갈 때, 용융 유리(G)의 폭 방향 좌우 끝 부분을 의미한다. 이처럼, 용융 유리(G)가 플로트 배스(100) 내부로 주입되어 용융 금속(M) 상부에서 퍼져나갈 때, 용융 유리(G)의 측면이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러한 내측면을 따라 퍼질 수 있으므로, 용융 유리(G)의 측면 부분에서는 계면 장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트 배스(100)의 입구로부터 주입된 용융 유리(G)가 폭 방향, 즉 플로트 배스(100)의 좌우 방향으로 빠르게 퍼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에서 용융 유리(G)의 퍼짐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에서는, 용융 금속(M)이 플로트 배스의 내벽(102)에 수용되며, 이러한 용융 금속(M)의 상부로 스파우트 립(101)을 통해 용융 유리(G)가 주입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 유리(G)가 주입되는 부분에 가이딩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c로 표시된 용융 유리(G)의 측면은,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내측면(b)과 접촉하며, 이러한 용융 유리(G)의 측면 부분에는 계면 장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융 유리(G)는 가이딩부(110)의 내측면(b)을 따라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서, 주입된 용융 유리(G)는 용융 금속(M)의 상부에서 초기에 실선 d1과 같은 형태로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융 유리(G)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d2 및 d3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에서, 용융 유리(G)의 측면이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퍼져나가는 과정을 시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용융 유리(G)의 구체적인 퍼짐 형태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에서 주입된 용융 유리(G)가 퍼져나갈 때, 용융 유리(G)의 측면이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퍼져나가므로, 보다 빠르게 퍼질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에서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와 종래의 플로트 배스에서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실선 e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에서의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를 나타내고, 점선 e2는 종래의 플로트 배스에서의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배스(100)에서는, 용융 유리(G)가 주입되는 부분에 가이딩부(11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 초기에 용융 유리(G)는, 실선 e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퍼져 나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e1은 용융 유리(G)의 측면 부분을 나타냄과 동시에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종래의 플로트 배스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배스의 입구에 이러한 가이딩부(11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주입된 용융 유리는, 자유 계면에서 형성된 계면 장력 등에 의해, 도 7에서 e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분이 본 발명에 의한 e1만큼 널리 퍼지지 못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딩부(110)가 플로트 배스(100)에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하여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므로, e1과 e2 사이의 차이만큼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을 확장시키고 퍼짐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부(110)의 내측면 형태는, 가이딩부가 없는 종래 플로트 배스에서 계면 장력 등에 영향을 받으며 자연적으로 퍼져나가는 용융 유리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에서, 좌측 가이딩부(111)의 내측면은 좌측(도 7에서는 상부 측)의 e1과 같이, e2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우측 가이딩부(112)의 내측면은 우측의 e1과 같이, e2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110)의 내측면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용융 유리는 측면이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퍼지기 때문에, 용융 유리의 퍼짐 형태는 가이딩부(110)의 내측면 형태를 따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용융 유리의 원하는 퍼짐 형태를 얻기 위해서는, 가이딩부(110)의 내측면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가이딩부(110)의 외측면이 플로트 배스의 내벽(102)에 부착되도록, 플로트 배스의 내벽(102)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가이딩부(110)의 외측면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용융 유리가 넓은 폭을 갖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가이딩부(111)와 우측 가이딩부(112)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거리, 보다 정확하게는 좌측 가이딩부(111)와 우측 가이딩부(112)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에 불과할 뿐,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 부분에서부터 하류 측 부분으로 갈수록, 좌측 가이딩부(111)와 우측 가이딩부(11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다가, 소정 지점부터는 좌측 가이딩부(111)와 우측 가이딩부(112)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딩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높이가 용융 금속(M) 상부에서 플로팅된 용융 유리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딩부(110)는, 내측면 높이가 용융 유리의 측면 높이보다 높은 것이 좋다. 가이딩부(110)의 내측면 높이가 용융 유리의 측면 높이보다 낮은 경우, 용융 유리의 측면이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에 제대로 접촉하지 못해, 가이딩부(110)가 용융 유리의 퍼짐 가이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용융 금속(M)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만일, 가이딩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용융 금속(M)에 잠겨 있다면 용융 금속(M)에 의한 부력으로 인해 가이딩부(110)가 파손될 수 있다. 반면, 가이딩부(110)의 하면이 용융 금속(M)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면, 용융 유리의 측면이 가이딩부(110)의 내측면에 제대로 접촉하지 못해 가이딩부(110)에 의한 용융 유리의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는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가이딩부(110)의 하단 높이와 용융 주석의 상부 표면은 높이가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하류 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이딩부(110)의 단부 높이란 가이딩부(11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하 길이를 의미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부(110)의 오른쪽 끝 부분은 쐐기 모양으로 뾰족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 유리가 가이딩부(110)의 측면을 따라 퍼지면서 이동하다가 가이딩부(110)의 우측 단부에 이르러 가이딩부(110)를 이탈할 때, 가이딩부(110)와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용융 유리의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 방향으로의 길이가 1m 내지 10m일 수 있다. 즉, 도 3에서 가이딩부(110)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까지의 길이가 1m 내지 10m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길이는 플로트 배스(100)로 주입된 용융 유리가 신속하고 충분하게 퍼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길이는 플로트 배스(100)의 크기나 내부 온도, 용융 유리의 종류 등 여러 제반 조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구체적인 길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입구 측에서부터 출구 측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폭이 20mm 내지 200mm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폭 범위에서, 용융 유리의 퍼짐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딩부(110)의 단부 폭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 방향으로, 확장부 및 이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110)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딩부(110)는, 확장부(F1) 및 이탈부(F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F1)는, 가이딩부(110)에서 플로트 배스(100)의 상류 측에 위치하여, 플로트 배스(100)로 주입되는 용융 유리(G)와 최초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확장부(F1)는, 주입된 용융 유리(G)가 측면 방향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확장시킨다. 즉, 상기 확장부(F1)는, 용융 유리(G)가 측면 방향으로 확장될 때, 가이딩부(110) 없이 자연적으로 확장하는 경우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확장부(F1)는, 용융 유리(G)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 유리(G)의 진행 방향을 따라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장부(F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이 스파우트 립(101)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서부터 전체적으로 곡선 형태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장부(F1)는, 주입된 용융 유리(G)가 최초 접촉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이, 확장부(F1)와 접촉하기 이전의 용융 유리(G)의 측면 길이 방향과 10° ~ 30°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플로트 배스(100)로 용융 유리(G)를 주입하는 스파우트 립(101)의 내측면에 대한 연장선을 H1이라 할 때, 이러한 H1은 가이딩부(110)의 확장부(F1)와 접촉하기 이전의 용융 유리(G)의 측면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딩부(110)의 확장부(F1)에서 용융 유리(G)와 최초 접촉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을 H2라 할 때, H1과 H2가 이루는 각도는 H3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H3는 가이딩부(110)와 스파우트 립(101) 사이의 초기 각도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도는 10° 내지 30°가 되도록 확장부(F1)가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이러한 각도 범위에서, 용융 유리(G)가 가이딩부(110)의 확장부(F1)를 따라 최대한 넓게 퍼질 수 있으면서도, 용융 유리(G)가 가이딩부(110)의 확장부(F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같이, 확장부(F1)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곡선 형태로 구성될 때, 곡선 형태로 구성되는 부분의 곡률 반경은, 가이딩부(110)와 스파우트 립(101) 사이의 초기 각도인 H3 및 확장부(F1)의 길이(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부(F1)의 내측면에 대한 곡률 반경은, 가이딩부(110)의 최단부에서의 용융 유리의 폭의 1배 내지 5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딩부(110)의 최단부란, 가이딩부(110)에서 플로트 배스의 가장 하류 측에 위치한 부분, 다시 말해 용융 유리가 이탈되는 이탈부(F3)의 가장 끝 부분을 의미한다. 즉, 확장부(F1)의 곡률 반경은, 용융 유리(G)가 가이딩부(110)에서 이탈할 때, 그 이탈되는 순간에서의 용융 유리(G)의 폭(도 8에서 J로 표시)에 비해 1배 내지 5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만일, 확장부(F1)의 곡률 반경이 너무 작다면, 원하는 가이딩부(110) 폭으로 넓어지기 위해 초기 각도(H3)가 적정 범위보다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곡률 반경이 너무 크다면, 안정화부(F2)와 같이 인접하는 부분과의 연결 지점에서 각 또는 단차를 형성하여, 용융 유리(G)의 측면 방향 퍼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곡률 반경의 범위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탈부(F3)는, 용융 유리(G)의 흐름 방향으로 가이딩부(110)의 최단부에 위치하여, 용융 유리(G)가 가이딩부(11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부(F3)의 용융 유리(G)의 흐름 방향 길이는, 용융 유리(G)가 가이딩부(110)에서 천천히 이탈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딩부(110)의 전체 길이나 제작의 용이성 등을 감안할 때, 상기 이탈부(F3)의 길이는, 0.01m ~ 0.1m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이러한 이탈부(F3)의 길이는 가이딩부(110)나 플로트 배스(100)의 전체 길이, 용융 유리(G)의 폭, 플로트 배스(100) 내부의 온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이탈부(F3)는, 플로트 배스(100)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부(110)의 오른쪽 끝 부분에 위치하는 이탈부(F3)는, 끝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 유리(G)가 이탈부(F3)에서 이탈할 때, 가이딩부(110)와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용융 유리(G)의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딩부(110)는, 확장부(F1)와 이탈부(F3) 사이에 안정화부(F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부(F2)는, 상기 확장부(F1)에 의해 확장된 용융 유리(G)의 퍼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안정화부(F2)는, 상기 용융 유리(G)의 퍼짐 속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화부(F2)는, 용융 유리(G)의 온도가 흐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용융 유리(G)의 온도가 안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정화부(F2)는, 용융 유리(G)와 접촉하는 내측면이 직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정화부(F2)는, 용융 유리(G)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 방향이 상기 용융 유리(G)의 진행 방향과 0°~10°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용융 유리(G)의 진행 방향을 I1이라 하고, 안정화부(F2)의 내측면의 길이 방향 직선을 I2라 할 때, I1과 I2가 이루는 각도인 I3는 0° 내지 10°가 되도록 상기 안정화부(F2)가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안정화부(F2)는, 내측면의 길이 방향이, 확장부(F1)와 안정화부(F2)가 만나는 지점에서의 확장부(F1)의 접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도 8에서 I2는, 확장부(F1)의 최단부에서 확장부(F1)의 접선과 일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확장부(F1)와 안정화부(F2)가 큰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연결 지점에서 용융 유리(G)의 측면이 가이딩부(110)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부(F2)는, 용융 유리(G)의 흐름 방향으로의 길이가 0.5m ~ 2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안정화부(F2)의 길이는, 가이딩부(110)나 플로트 배스(100)의 길이, 용융 유리(G)의 폭, 플로트 배스(100)의 내부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가이딩부(110)에 안정화부(F2)가 구비된 경우, 안정화부(F2)에 인접하여 다음 위치에 이탈부(F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탈부(F3)의 내측면 역시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탈부(F3)의 내측면이 이루는 직선과 안정화부(F2)의 내측면이 이루는 직선은 서로 일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정화부(F2)는 플로트 배스의 하류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일정하거나 그 차이가 크지 않은 형태로 구성되고, 이탈부(F3)는 플로트 배스의 하류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호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딩부(110)는, 고온의 플로트 배스(100) 내부에 구비되며, 고온의 용융 유리와 접촉하기 때문에, 내화물과 같이 내열성 등을 갖춘 재질이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가이딩부(110)의 특정 재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상술한 플로트 배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상류 측에 가이딩부(110)가 구비된 플로트 배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이러한 플로트 배스(100)와 함께, 플로트 배스(100)로 용융 유리를 공급하는 용융 유리 공급부, 플로트 배스(100)로부터 인출된 유리 리본에 대하여 서냉 공정을 수행하는 서냉로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플로트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가이딩부(110) 배치 단계(S110) 및 용융 유리 주입 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딩부(110) 배치 단계(S110)는, 플로트 배스의 입구 측에 가이딩부(11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가이딩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 유리가 용융 금속(M)의 상부로 주입될 때,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하여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플로트 배스 내에서 가이딩부 없이 용융 유리가 자연적으로 퍼지는 경우에 비해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융 유리 주입 단계(S120)는, 플로트 배스의 내부로 용융 유리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용융 유리가 주입되는 플로트 배스의 입구 측에는 상기 S110 단계를 통해 가이딩부(11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용융 유리는 가이딩부(110)가 배치된 부분에서 용융 금속(M)의 상부로 주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110 단계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 좌측 가이딩부(111)와 우측 가이딩부(112)가 플로트 배스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가이딩부(111)와 우측 가이딩부(112)는, 플로트 배스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S110 단계는, 가이딩부(110)의 하면이 용융 금속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도록 가이딩부(11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가이딩부(110)는 플로트 배스의 하류 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딩부(110)의 하류 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배치하는 것은, 가이딩부(110)의 형상 자체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딩부(110)의 하류 측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가이딩부(110)의 하류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딩부(110)의 하류 측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갖지 않더라도, 가이딩부(110)의 배치 조절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즉, 용융 금속의 상면에 대하여 가이딩부(110)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가이딩부(110)를 배치함으로써, 가이딩부(110)의 하류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20 단계를 거쳐 플로트 배스 내부에서 형성된 유리 리본은 플로트 배스의 출구로 인출된 후, 서냉로로 인입되어 서냉 공정 등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는, 상술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유리는, 상술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리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 방향을 가리키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 관측자의 위치나 대상물의 놓인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플로트 배스
110: 가이딩부
I: 플로트 배스의 입구
O: 플로트 배스의 출구
G: 용융 유리
M: 용융 금속

Claims (19)

  1. 용융 금속을 수용하고, 상기 용융 금속의 상부에 용융 유리가 주입되어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상기 용융 유리가 플로팅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플로트 배스에 있어서,
    상기 용융 유리가 주입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이 확장되도록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을 확장시키는 확장부 및 상기 용융 유리를 이탈시키는 이탈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융 유리의 진행 방향을 따라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가 최초 접촉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이, 상기 확장부와 접촉하기 이전의 용융 유리의 측면 길이 방향과 10° 내지 3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좌측 가이딩부 및 우측 가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가이딩부와 상기 우측 가이딩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가이딩부와 상기 우측 가이딩부는, 상기 플로트 배스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하면이 상기 용융 금속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플로트 배스의 하류 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플로트 배스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 방향으로의 길이가 1m 내지 1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퍼짐 속도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 방향이 상기 용융 유리의 진행 방향과 0° 내지 1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가이딩부의 최단부에서의 용융 유리 폭의 1배 내지 5배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배스.
  13.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로트 배스를 포함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14. 용융 금속을 수용하는 플로트 배스를 이용하여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 금속의 상부로 용융 유리가 주입되는 부분에,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이 확장되도록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딩부가 배치된 부분에서 상기 용융 금속의 상부로 상기 용융 유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 퍼짐을 확장시키는 확장부 및 상기 용융 유리를 이탈시키는 이탈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용융 유리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융 유리의 진행 방향을 따라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주입된 용융 유리가 최초 접촉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이, 상기 확장부와 접촉하기 이전의 용융 유리의 측면 길이 방향과 10° 내지 3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 배치 단계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 좌측 가이딩부와 우측 가이딩부를 상기 플로트 배스의 양 측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가이딩부와 상기 우측 가이딩부는, 상기 플로트 배스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 배치 단계는, 상기 가이딩부의 하면이 상기 용융 금속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 배치 단계는, 상기 가이딩부의 플로트 배스 하류 측 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19. 삭제
KR1020130061556A 2012-05-30 2013-05-30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10150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4774 WO2013180493A1 (ko) 2012-05-30 2013-05-30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JP2015513949A JP5948720B2 (ja) 2012-05-30 2013-05-30 フロート槽及び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方法
CN201380028993.7A CN104350015B (zh) 2012-05-30 2013-05-30 金属液槽及制造浮法玻璃的方法
US14/480,217 US9598302B2 (en) 2012-05-30 2014-09-08 Float ba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7508 2012-05-30
KR1020120057508 2012-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128A KR20130135128A (ko) 2013-12-10
KR101504220B1 true KR101504220B1 (ko) 2015-03-19

Family

ID=4998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556A KR101504220B1 (ko) 2012-05-30 2013-05-30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8302B2 (ko)
EP (1) EP2837605B1 (ko)
JP (1) JP5948720B2 (ko)
KR (1) KR101504220B1 (ko)
CN (1) CN104350015B (ko)
WO (1) WO2013180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5617B (zh) * 2015-04-03 2020-10-30 Agc株式会社 浮法玻璃的制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661A (en) * 1977-10-07 1978-09-26 Ppg Industries, Inc. Submerged dam barriers for selective diversion of molten metal flow in a glass forming chamber
US4152135A (en) 1978-03-20 1979-05-01 Ppg Industries, Inc. Device for positioning a glass edge guide in a glass forming chamber
KR20100091949A (ko) * 2007-10-25 2010-08-1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유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300261A (ko) * 1962-11-09
NL135446C (ko) * 1963-04-16
GB1103276A (en) * 1964-03-13 1968-02-14 Pilkington Brothe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flat glass
GB1158958A (en) * 1966-12-05 1969-07-23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Glass.
US3468651A (en) * 1967-05-10 1969-09-23 Ford Motor Co Process using stationary blades to laterally stretch glass during float glass manufacturing
FR2133794A1 (ko) * 1971-04-16 1972-12-01 Vetreria Di Vernante Spa
GB1393118A (en) * 1971-09-16 1975-05-07 Pilkington Brothers Ltd Manufacture of flat glass
GB1421910A (en) * 1972-10-31 1976-01-21 Pilkington Brothers Ltd Manufacture of flat glass
US4013438A (en) * 1975-10-06 1977-03-22 Libbey-Owens-Ford Company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float glass
US4055407A (en) * 1976-11-01 1977-10-25 Ppg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flat glass having a glass refractory delivery pie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H06227830A (ja) * 1993-02-05 1994-08-16 Asahi Glass Co Ltd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装置
FR2747119B1 (fr) * 1996-04-05 1998-05-07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de fabrication de verre en feuille par flottage
DE102005053642B3 (de) * 2005-11-10 2007-05-10 Schot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 Glaskeramik umwandelbarem Floatglas
KR101561973B1 (ko) 2009-02-13 2015-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판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661A (en) * 1977-10-07 1978-09-26 Ppg Industries, Inc. Submerged dam barriers for selective diversion of molten metal flow in a glass forming chamber
US4152135A (en) 1978-03-20 1979-05-01 Ppg Industries, Inc. Device for positioning a glass edge guide in a glass forming chamber
KR20100091949A (ko) * 2007-10-25 2010-08-1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유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0107A (ja) 2015-07-16
EP2837605B1 (en) 2018-07-25
JP5948720B2 (ja) 2016-07-06
WO2013180493A1 (ko) 2013-12-05
CN104350015A (zh) 2015-02-11
US20140378293A1 (en) 2014-12-25
EP2837605A1 (en) 2015-02-18
KR20130135128A (ko) 2013-12-10
EP2837605A4 (en) 2015-11-04
CN104350015B (zh) 2017-09-01
US9598302B2 (en)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867B1 (ko) 유리기재로 플랫시트를 제조하는 공정 및 장치
US20090013725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Sheet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Glass
JP2007112665A (ja) 液晶板ガラス用加熱装置および液晶板ガラス用炉ならびに液晶板ガラスの製造方法
KR20120038968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20121877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6048697B2 (ja) フロート槽及びそれを含むガラス製造装置
KR101504220B1 (ko)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20140105747A (ko) 성형 동안의 유리 리본의 온도 제어
CN106186642A (zh) 熔融玻璃供给装置
CN104995141A (zh) 玻璃板的制造方法和玻璃板的制造装置
JP2017530085A (ja) ガラス製造装置及び方法
TW201834980A (zh) 熔融玻璃之成形方法、成形裝置、及玻璃製品之製造方法
US82764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in oxide in float glass production
JPWO2017002626A1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CN1930095B (zh) 浮法平板玻璃的制造方法及其装置
KR20190094144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FI61301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plant glas
JP3844164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850332B2 (ja) 薄板ガラスの成形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KR19980064709A (ko)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FI61856C (fi) Laakalasin valmistusmenetelmae jalaite
KR20190092028A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KR102542084B1 (ko) 유리 제조 장치
JP2008100876A (ja) 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製造装置
US11820696B2 (en) Optical fiber draw furna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