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928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928B1
KR101503928B1 KR1020080103280A KR20080103280A KR101503928B1 KR 101503928 B1 KR101503928 B1 KR 101503928B1 KR 1020080103280 A KR1020080103280 A KR 1020080103280A KR 20080103280 A KR20080103280 A KR 20080103280A KR 101503928 B1 KR101503928 B1 KR 10150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heat exchanger
terminal block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999A (ko
Inventor
정신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928B1/ko
Priority to PCT/KR2009/000012 priority patent/WO2010047440A1/en
Priority to CN2009100093221A priority patent/CN101726083B/zh
Publication of KR2010004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 내부로 인입되는 다수의 배선이 깔끔하게 정리되고, 실내기 내부로의 배선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섀시,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 프런트 패널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별도의 제품으로 제공되는 분리형과, 일체로 제공되는 일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는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상치형과, 벽면에 부착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에는 열교환기와,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및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은 원심팬 또는 횡류팬이 적용된다.
본 발명은, 실내기 내부의 배선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열교환기의 측단부를 차폐하여 실내기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섀시; 상기 섀시의 전방에 장착되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전방에 제공되는 열교환기; 상기 섀시에 장착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측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컨트롤 박스;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컨트롤 박스 사이 공간을 차폐하여, 냉매 배관 또는 배선이 가려지도록 하는 와이어 커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측면에 돌출되는 냉매 배관과, 컨트롤 박스로 연결되는 각종 배선이 와이어 커버에 의하여 덮이게 되므로, 실내기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모터 커버의 하단에 별도의 와이어 가이드가 형성되므로, 실내기 후방에서 전방으로 와이어의 배선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배선이 깔끔하게 정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기 내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블록을 덮는 커버 부재가 단일체로 형 성되므로, 서비스 작업시 커버 부재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에는,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섀시(11)와, 상기 섀시(1)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 패널(12) 및 상기 섀시(11)와 프런트 패널(12) 사이에 개입되고, 상부면에 흡입구가 구비되는 센터 프레임(1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팬 어셈블리(미도시)와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하여 흡입된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40:도 3 참조)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전면에는 신호 수신부(14)가 제공되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의 저면측에는 공기 토출구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의 토출구 측에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가 장착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좌측 및 우측으로 넓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6)에는 토출구(202)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열교환기 안착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안착부(201)는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열교환기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드레인팬(drain pan)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 안착부(201)는 드레인 팬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02)의 바닥면에는 루버 장착 홀(203)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202)는 서브 베인(19)과 메인 베인(1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베인(18)과 상기 서브 베인(19)의 양 단부에는 회전축(181,191)이 각각 돌출된다. 특히, 상기 메인 베인(18)의 회전축(181)은 하단부에 돌출되고, 상기 서브 베인(19)의 회전축(191)는 상단부에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베인(18)과 서브 베인(19)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상기 실내기(1)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두 개의 베인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181,191)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베인(18)과 서브 베인(19)의 회전축들과 각각 연결되는 메인 베인 모터(30)와 서브 베인 모터(29)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 베인(18)의 양 측단부에는 베인 링크 연결단(182)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베인 링크 연결단(182)은 상기 회전축(181)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인 모터(30)의 회전축에는 베인 링크(3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베인 링크(31)의 타단은 상기 베인 링크 연결단(18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에는 공기의 좌우 방향 토출을 가이드 하는 루버 어셈블리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루버 어셈블리에는, 루버 모터(28)와, 상기 루버 모터(28)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루버 구동바(27)와, 상기 루버 구동바(27)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루버(2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26)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토출구(202)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26) 각각은 상기 루버 구동바(27)와 상기 루버 장착홀(203)에 모두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장착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를 구성하는 섀시(11)의 전방에는 열교환기(40)가 장착되고, 상기 열교환기(4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컨트롤 박스(31)가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4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U 형상으로 만곡되는 냉매 배관의 만곡부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 주위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31)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배열된다. 따라서, 프런트 패널(12)을 회전시켜 실내기(1) 전면을 개방하면, 컨트롤 박스(31)가 안착되는 쪽의 열교환기(40) 가장자리 부위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다. 그러면, 상기 전선들과 냉매 배관의 만곡부들로 인하여 미관상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31)와 열교환기(40)의 가장자리 사이 공간이 와이어 커버(34)에 의하여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31) 상부면은 금속 소재의 박스 커버(32)에 의하여 덮이고, 상기 박스 커버(32)의 상부면에 터미널 블록(33)과 팬모터 커버(3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 커버(35)의 하측에는 전선 가이드 구조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어 커버(34)와 팬모터 커버(35) 및 상기 터미널 블록(33) 차폐 수단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버를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와이어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버(34)는 상기 열교환기(40)의 냉매 배관의 만곡부를 완전히 차폐하고, 상기 열교환기(40)의 측단부와 상기 컨트롤 박스(31)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와이어 커버(34)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 커버(34)의 일 측면부, 구체적으로는 좌측면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파이프 걸림단(341)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걸림단(341)는 상기 배관의 만곡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라운드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걸림단(341)에 상기 열교환기(40)의 배관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커버(34)의 장착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걸림단(341)은 상기 와이어 커버(34)의 상단부와 하단부 쪽에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 커버(34)가 장착된 상태에서 요동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커버(34)의 우측면부에는 체결부(34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2)는 상기 와이어 커버(34)가 팬모터 커버(35)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 관통홀이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와이어 커버(34)가 열교환기(40)와 컨트롤 박스(31)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열교환기 배관과 각종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실내기 내부가 깔끔하게 처리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열교환기(40)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비산되어 컨트롤 박스(31) 쪽으로 스며들거나 실내기(1) 외부로 흘러내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팬모터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팬모터 커버(35)의 전면에는 체결 보스(353)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 보스(353)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커버(34)의 체결부(342)를 관통하는 체결 수단이 상기 체결 보스(3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커버(34)가 상기 팬 모터 커버(35)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모터 커버(35)의 하단에는 전선 가이드 수단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전선 가이드 수단은 내부에 와이어 통과홀(352)이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351)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 베인 모터와 서브 베인 모터 및 루머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와이어 통과홀(352)을 통과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 박스(31) 또는 터미널 블록(33)으로 연결되는 전선도 상기 와이어 통과홀(352)을 통과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전선들의 배선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전선들이 어지럽게 널려서 배치되었다. 따라서, 전선이 다른 구조물에 걸려서 피복이 벗겨지거 나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제품 조립 과정에서 실내기(1) 외부로부터 전선을 인입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수단에 의하여 다수의 전선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선 인입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컨트롤 박스의 커버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31)의 상측에는 박스 커버(32)가 안착되고, 상기 박스 커버(32)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시 불이 컨트롤 박스 외부로 번지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 커버(32)의 상측에는 터미널 블록(33)이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금속 소재의 터미널 블록 커버(36)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 커버(36)의 상부면에는 서비스 커버(37)가 결합되고, 상기 서비스 커버(37)의 전면부 일측에는 손잡이(371)가 형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터미널 블록 커버(36)와 서비스 커버(37)가 분리된 상태로 조립되었었다. 따라서, 서비스 맨이 터미널 블록(36)이나 컨트롤 박스(31)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비스 커버(37)를 열고, 상기 터미널 블록 커버(36)를 분리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비스 커버(37)와 터미널 블록 커버(36)가 한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서비스 맨이 상기 서비스 커버(37)의 손잡이(371)를 잡고 당기는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블록(33)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서비스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장착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버를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상기 와이어 커버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팬모터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
도 8은 컨트롤 박스의 커버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Claims (8)

  1. 섀시;
    상기 섀시의 전방에 장착되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전방에 제공되며, 냉매 배관을 구비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전선을 구비하는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컨트롤 박스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와이어 커버가 포함되며, 상기 와이어 커버에는,
    상기 냉매 배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절곡되어 형성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냉매 배관에 결합되는 파이프 걸림단이 포함되고,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전선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걸림단은, 상기 와이어 커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결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와,
    상기 팬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팬 모터를 덮는 팬모터 커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팬 모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의 후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팬모터 커버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와이어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버의 일 측면은 상기 열교환기의 배관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상기 팬 모터 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버의 타측면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제공되고,
    상기 팬모터 커버의 상부면에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 보스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의 상부면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터미널 블록이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커버 부재에 의하여 외부 노출이 차단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터미널 블록을 감싸는 터미널 블록 커버와,
    상기 터미널 블록 커버와 함몸으로 결합되는 서비스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커버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제공되어, 상기 서비스 커버와 터미널 블록 커버가 한몸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80103280A 2008-10-21 2008-10-21 공기 조화기 KR10150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80A KR101503928B1 (ko) 2008-10-21 2008-10-21 공기 조화기
PCT/KR2009/000012 WO2010047440A1 (en) 2008-10-21 2009-01-02 Air conditioner
CN2009100093221A CN101726083B (zh) 2008-10-21 2009-02-18 空调的室内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80A KR101503928B1 (ko) 2008-10-21 2008-10-21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99A KR20100043999A (ko) 2010-04-29
KR101503928B1 true KR101503928B1 (ko) 2015-03-18

Family

ID=4211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280A KR101503928B1 (ko) 2008-10-21 2008-10-2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3928B1 (ko)
CN (1) CN101726083B (ko)
WO (1) WO2010047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6662A (ja) * 2014-03-04 2015-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708952B2 (ja) * 2016-03-29 2020-06-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N113028513B (zh) * 2017-01-25 2022-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2462983B1 (ko) * 2020-10-26 2022-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공기정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812A (ja) * 1997-01-24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30055724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
JP2004293976A (ja) * 2003-03-27 2004-10-21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6250404A (ja) 2005-03-09 2006-09-21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内機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894A (ja) * 2001-08-28 2003-03-12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KR20050062044A (ko) * 2003-12-19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693806A (zh) * 2004-05-09 2005-11-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内机
JP2007187379A (ja) * 2006-01-12 2007-07-26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01086377A (zh) * 2006-06-06 2007-12-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
JP5070898B2 (ja) * 2007-03-22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812A (ja) * 1997-01-24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30055724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
JP2004293976A (ja) * 2003-03-27 2004-10-21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6250404A (ja) 2005-03-09 2006-09-21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内機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7440A1 (en) 2010-04-29
KR20100043999A (ko) 2010-04-29
CN101726083B (zh) 2012-11-14
CN101726083A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26072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210832255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1503928B1 (ko) 공기 조화기
JP4357950B2 (ja) 室外機
CN101726080B (zh) 空调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38403A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902680B (zh) 天花板嵌入式空调机
JP640301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34346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JP470012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16662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940010973B1 (ko) 일체형공기조화기의 응축수처리장치
JP357224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15012021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6080077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WO2020203987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278182B1 (ko) 공기조화기
JP5507160B2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KR20100044000A (ko) 공기 조화기
JP201603817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70934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