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411B1 -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 Google Patents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411B1
KR101503411B1 KR1020130085230A KR20130085230A KR101503411B1 KR 101503411 B1 KR101503411 B1 KR 101503411B1 KR 1020130085230 A KR1020130085230 A KR 1020130085230A KR 20130085230 A KR20130085230 A KR 20130085230A KR 101503411 B1 KR101503411 B1 KR 10150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height
housing
height adjust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346A (ko
Inventor
김해정
정선우
Original Assignee
김해정
정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정, 정선우 filed Critical 김해정
Priority to KR102013008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4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와 화로세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석쇠와; 상측에 상기 석쇠가 놓여 지지되고, 양측 밑면에서 각각 하방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제1높이조절부재와 제2높이조절부재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석쇠틀; 재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재구멍이 형성된 받침판이 수용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와 제2높이조절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이 구비되며, 상측에 상기 석쇠틀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부에서 형성된 다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화력을 조절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석쇠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조리물이 타지 않도록 하거나 서서히 익히기 용이하다.

Description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Brazier Set for Adjusting Grill Height}
본 발명은 화로 및 화로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로 는 내부에 숯불 또는 연탄, 가스 등의 열원을 수용하여, 상기 화로세트의 상부에 석쇠를 놓고 상기 석쇠의 상부에 놓여진 음식물을 굽기 위한 도구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의 종래기술은 숯불 고기구이용으로 사용되는 화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하부몸체(1)에 숯불을 수용하고, 상기 하부몸체(1)에 형성된 단턱에 숯불판(11)을 얹으며, 상기 하부몸체(1)의 상부에 상부구이판(20)을 고정하여 상기 숯불판(11)과 상부구이판(20)에 각각 고기를 놓아 익혀 먹을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화력의 조절을 위해서는 상기 상부구이판(20)과 숯불판(11)을 모두 들어올려 숯불을 더하거나 빼내야 하므로, 상기 상부구이판(20)과 숯불판(11)을 들어올릴 때 음식물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연소된 재가 바람에 흩날려 음식물을 오염시키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KR 10-2012-0121957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쇠틀을 하우징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음식물과 열원의 거리를 조절하는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쇠승강부의 지지봉에 설치된 고정부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음식물과 열원의 거리를 조절하는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는 석쇠와; 상측에 상기 석쇠가 놓여 지지되고, 양측 밑면에서 각각 하방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제1높이조절부재와 제2높이조절부재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석쇠틀; 재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재구멍이 형성된 받침판이 수용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와 제2높이조절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이 구비되며, 상측에 상기 석쇠틀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부에서 형성된 다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조절관과 제2높이조절관에는 상기 제1거치홈과 교차되게 비스듬한 상방으로 제2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거치홈에서 슬라이딩하는 지지손잡이가 상기 제1거치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석쇠틀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에 있어서, 재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재구멍이 형성된 받침판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부에서 형성된 다리;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석쇠승강부가 구비되되, 상기 석쇠승강부는, 막대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세워지고 외주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 및 조리기구가 설치될 수 있는 걸이홈 또는 걸이구멍이 형성되고, 일단이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는 걸이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 상기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타단에 형성된 손잡이부; 반원형상으로 상기 설치부와 손잡이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봉을 감싸며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돌부가 형성된 제1훅; 및 상기 제1훅의 하방에서 상기 제1훅과 마주보며 상기 지지봉을 감싸는 반원형상의 제2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석쇠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조리물이 타지 않도록 하거나 서서히 익히기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로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로세트에 석쇠승강부가 더 구비된 사시도.
도 5는 도 3 내지 도 4의 석쇠승강부의 고정부가 지지봉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4의 석쇠승강부의 고정부가 지지봉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는 석쇠(100)와, 석쇠틀(200), 하우징(300) 및 다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석쇠(10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고, 양단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로 형성된 손잡이(110)가 구비된다.
상기 석쇠틀(200)은 개구된 상태로 개구부에 상기 석쇠(100)가 놓여져 상기 석쇠(100)를 지지하고, 상기 석쇠(100)의 모양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쇠(100)는 상기 손잡이(110)가 석쇠틀(200)의 상방에 걸림으로써 상기 석쇠틀(200)의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석쇠특(200)의 내측에 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석쇠를 받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석쇠틀(200)의 양단의 각각에는 높이조절부재(210, 220)가 하방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높이조절부재(210, 220)는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로 구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에는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수개의 제1거치홈(230)이 하방으로 경사지게(예컨대, 바닥으로부터 30° ∼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닥으로부터 45°)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측에 상기 석쇠틀(200)이 설치되어 지지되고, 다수개의 재구멍(311)이 형성된 받침판(310)이 수용되며, 상기 받침판(310)의 상부에 열원(예컨대, 숯, 연탄, 가스 등)이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하방으로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받침판(310)은 상기 하우징(300) 내부의 정해진 깊이에 위치하여 그보다 더 하방으로 진입할 수 없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의 양측부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10, 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높이조절관(320, 3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210, 220)가 상기 높이조절관(320, 330)에 각각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높이조절관(320, 330)은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에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가 각각 삽입되고 상하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두 개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관(320, 330)은 상기 높이조절부재(210, 2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210, 220)가 상기 높이조절관(320, 330)의 내부에서 유격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에는 각각 상기 높이조절부재(210, 220)의 제1거치홈(230)과 교차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예컨대, 바닥으로부터 30° ∼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닥으로부터 45°)으로 제2거치홈(3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거치홈(340)에 지지손잡이(350)의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한다.
상기 지지 손잡이(340)는 구부러진 막대형상으로 상기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을 각각 둘러싸며 양단이 상기 제2거치홈(340)에 삽입된 상태로 비스듬하게 슬라이딩한다.
한편 상기 지지손잡이(350)는 상기 제2거치홈(34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홈(2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석쇠틀(200)을 지지한다.
상기 다리(400)는 상기 하우징(300)의 어느 일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0)을 바닥으로부터 정해진 높이만큼 이격시킨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는 상기 하우징(300)의 일부에 하방을 향하여 다리(400)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에 석쇠승강부(500)가 설치된다.
상기 석쇠승강부(500)는 지지봉(510)과 고정부재(520) 및 걸이부재(5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510)은 막대형상으로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에 세워지고 외주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5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20)는 상기 지지봉(510)에 설치되며, 한 개가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20)는 일단에 설치부(521)가 형성되어 걸이부재(530) 또는 석쇠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521)에 걸이부재(530) 또는 석쇠 등이 설치되는 수단으로 일반 또는 당업계에서 공개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2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522)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설치부(521)와 손잡이부(522) 사이에 제1훅(523)과 제2훅(525)이 마주보며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훅(523)은 반원형상으로 상기 지지봉(510)을 감싸며 돌부(524)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524)는 상기 구멍(511)에 삽입된다.
상기 제2훅(525)도 역시 반원형상으로 상기 제1훅(523)의 하방에서 상기 제1훅(523)과 마주보며 상기 지지봉(510)을 감싼다.
상기 설치부(521)에 걸이부재(530) 또는 석쇠 등이 설치되므로 전방으로 무게가 실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돌부(524)가 상기 구멍(511)에 삽입된 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므로 상기 고정부재(520)는 상기 지지봉(510)에 고정되기 위하여 별도의 탄성을 이용한 고정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걸이부재(530)는 조리기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에 움푹파인 걸이홈(531) 또는 걸이구멍(532)이 다수개 형성되고, 일단이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520)의 일단과 연결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원하는 상기 걸이홈(531) 또는 걸이구멍(532)을 선택하여 체인을 걸고 상기 체인 양단에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를 매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다리(400)가 바닥에 닿도록 화로를 세운다.
그리고 석쇠틀(200)을 하우징(300)으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상기 석쇠틀(200)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에는 제1거치홈(230)이 하방을 향하여 바닥으로부터 30° ∼ 60°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닥으로부터 45°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의 양측에 마련된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에 형성된 제2거치홈(340)이 상방을 향하여 바닥으로부터 30° ∼ 60°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닥으로부터 45°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에는 각각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2거치홈(340)에는 지지손잡이(350)가 걸려있으므로, 상기 지지손잡이(350)를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상기 석쇠틀(200)이 도달하면, 상기 지지손잡이(350)를 제2거치홈(340)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지지손잡이(350)의 양단이 상기 제1거치홈(230)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석쇠틀(200)의 높이를 결정한다.
이때, 하우징(300)의 양측에 마련된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에 수용되어있던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석쇠틀(200)과 상기 하우징(300)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통해 받침판(310)을 상기 하우징(300) 내부로 수용시킨다.
상기 하우징(300)은 하방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상기 받침판(310)은 상기 하우징(300)의 정해진 깊이까지만 수용되어 더 이상 깊게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판(310)의 상면에 열원(숯 또는 연탄 등의 연소물질)을 올려놓고 불을 붙이고, 상기 받침판(310)에는 재구멍(3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원(예컨대, 숯, 연탄, 가스 등)이 연소되어 재가 되면 상기 재가 상기 재구멍(311)을 통해 하우징의 하측 상부로 쌓이게 된다.
상기 석쇠틀(200)의 상방에 상기 석쇠(100)를 올려놓고 사용자가 조리하고자하는 음식물을 올려서 조리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석쇠틀(200)을 하우징(300)으로부터 이격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화로세트의 일측에 석쇠승강부(5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석쇠승강부(500)의 지지봉(510)을 상기 화로세트의 일측에 세운상태로 바닥에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고정부재(52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520)는 일단에 설치부(521)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522)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521)와 손잡이부(522) 사이에 제1훅(523)과 제2훅(525)이 형성된다.
상기 제1훅(523)과 제2훅(525)은 상기 지지봉(510)을 감싸는 반원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훅(523)에는 상기 지지봉(51)을 향하여 돌부(5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훅(523)과 제2훅(525)은 상하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설치부(521)가 상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세운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520)를 상기 제1훅(523)과 제2훅(525) 사이에 상기 지지봉(510)을 끼운 후, 상기 고정부재를 다시 눕힌다.
상기 지지봉(510)에는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구멍(5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20)의 제1훅(423)에 형성된 돌부(524)가 상기 구멍(5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520)는 상기 지지봉(5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20)의 일단에 형성된 설치부(521)에 석쇠 또는 걸이부재(530)를 설치하면 무게가 앞쪽, 즉 화로세트쪽으로 쏠리므로 상기 고정부재(520)는 지지봉(51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530)의 걸이홈(531)과 걸이구멍(532)에 체인을 걸고 상기 체인의 양단에 냄비와 같은 조리도구를 연결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석쇠 110 : 석쇠손잡이
200 : 석쇠틀 210 : 제1높이조절부재
220 : 제2높이조절부재 230 : 제1거치홈
300 : 하우징 310 : 받침판
311 : 재구멍 320 : 제1높이조절관
330 : 제2높이조절관 340 : 제2거치홈
350 : 지지손잡이 400 : 다리
500 : 석쇠승강부 510 : 지지봉
511 : 구멍 520 : 고정부재
521 : 설치부 522 : 손잡이부
523 : 제1훅 524 : 돌부
525 : 제2훅
530 : 걸이부재 531 : 걸이홈
532 : 걸이구멍

Claims (4)

  1. 석쇠(100)와;
    상측에 상기 석쇠(100)가 놓여 지지되고, 양측 밑면에서 각각 하방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석쇠틀(200);
    재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재구멍(311)이 형성된 받침판(310)이 수용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이 구비되며, 상측에 상기 석쇠틀(200)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우징(300);
    상기 하우징(300)의 어느 일부에서 형성된 다리(400);
    로 구성되고,
    상기 석쇠틀(200)의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10)와 제2높이조절부재(220)에는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수개의 제1거치홈(230)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형성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관(320)과 제2높이조절관(330)에는 상기 제1거치홈(230)과 교차되게 상방으로 경사진 제2거치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거치홈(340)에서 슬라이딩하는 지지손잡이(350)가 상기 제1거치홈(2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석쇠틀(20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2. 삭제
  3. 재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재구멍(311)이 형성된 받침판(310)이 수용되는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의 어느 일부에서 형성된 다리(400); 및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에 석쇠승강부(500)가 구비되되,
    상기 석쇠승강부(500)는,
    막대형상으로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에 세워지고 외주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구멍(511)이 형성된 지지봉(510)과;
    상기 지지봉(5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520); 및
    조리기구가 설치될 수 있는 걸이홈(531) 또는 걸이구멍(532)이 형성되고, 일단이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520)의 일단과 연결되는 걸이부재(5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20)는
    일단에 상기 걸이부재(530)가 설치되는 설치부(521)와;
    타단에 형성된 손잡이부(522);
    반원형상으로 상기 설치부(521)와 손잡이부(522) 사이에서 상기 지지봉(510)을 감싸며 상기 구멍(511)에 삽입되는 돌부(524)가 형성된 제1훅(523); 및
    상기 제1훅(523)의 하방에서 상기 제1훅(523)과 마주보며 상기 지지봉(510)을 감싸는 반원형상의 제2훅(525);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세트.
KR1020130085230A 2013-07-19 2013-07-19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KR10150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30A KR101503411B1 (ko) 2013-07-19 2013-07-19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230A KR101503411B1 (ko) 2013-07-19 2013-07-19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46A KR20150010346A (ko) 2015-01-28
KR101503411B1 true KR101503411B1 (ko) 2015-03-17

Family

ID=5248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230A KR101503411B1 (ko) 2013-07-19 2013-07-19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07Y1 (ko) 2017-04-25 2017-09-01 고문구 석쇠 승강식 바비큐 그릴
KR102263364B1 (ko) 2020-05-22 2021-06-09 오기영 바비큐 그릴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353B1 (fr) * 2019-08-01 2022-01-28 Carrefour Barbecue comportant une grille amovible à hauteur régl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60B1 (ko) 2008-07-30 2009-05-26 김영학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110072720A (ko) * 2009-12-23 2011-06-29 전민영 그릴 높이조절가능한 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60B1 (ko) 2008-07-30 2009-05-26 김영학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110072720A (ko) * 2009-12-23 2011-06-29 전민영 그릴 높이조절가능한 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07Y1 (ko) 2017-04-25 2017-09-01 고문구 석쇠 승강식 바비큐 그릴
KR102263364B1 (ko) 2020-05-22 2021-06-09 오기영 바비큐 그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46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6112A1 (en) Outdoor cooker
KR200475082Y1 (ko) 석쇠장치
KR101503411B1 (ko)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KR101806772B1 (ko) 화로구이 장치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101839024B1 (ko)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경사형 석쇠
KR20160088058A (ko) 직화 구이장치
KR200484407Y1 (ko) 석쇠 승강식 바비큐 그릴
KR20110123917A (ko) 석쇠/꼬치구이 겸용 바비큐 그릴 장치
KR101286792B1 (ko) 구이용 테이블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100931557B1 (ko) 야외용 숯불로스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
US20020152900A1 (en) Radiant heat sausage cook plate
JP4203896B2 (ja) ガスコンロに取付可能な串焼き装置
KR20110010262U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71373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US20020179082A1 (en) Adjustable searing grate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US20150150414A1 (en) Extendable outdoor cooking grill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JP3191607U (ja) バーベキュー用コンロ
KR101390772B1 (ko) 숯불구이 장치
KR102071679B1 (ko) 꼬치 구이용 지지구
KR101870582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