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79B1 - 꼬치 구이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꼬치 구이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79B1
KR102071679B1 KR1020180132982A KR20180132982A KR102071679B1 KR 102071679 B1 KR102071679 B1 KR 102071679B1 KR 1020180132982 A KR1020180132982 A KR 1020180132982A KR 20180132982 A KR20180132982 A KR 20180132982A KR 102071679 B1 KR102071679 B1 KR 10207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skewer
skewers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호
Original Assignee
조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호 filed Critical 조은호
Priority to KR102018013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 구이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지지구를 통해 꼬치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꼬치 구이 요리가 어디서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꼬치의 길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꼬치에 적용할 수 있는 꼬치 구이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꼬치의 양쪽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하나의 금속판을 일정각도로 구부려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으로 분할 형성하고,상기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끝 부분에는 꼬치를 지지해줄 수 있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꼬치 구이용 지지구{holder for skewers food}
본 발명은 꼬치 구이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지지구를 통해 꼬치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꼬치 구이 요리가 어디서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꼬치의 길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꼬치에 적용할 수 있는 꼬치 구이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 구이는 막대형상의 꼬치에 각종 육류 및 해산물 야채를 끼워서 불에 익힌 요리로서, 꼬치 구이를 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열을 가하면서 꼬치를 지지해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꼬치 구이를 위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00340호(꼬치 자동구이기), 등록특허 제10-1744439호(높낮이 조절가능한 꼬치 구이장치), 공개특허 제10-2018-0054047호(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등록특허 제10-1522827호(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에는 꼬치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자동으로 꼬치를 회전시켜 꼬치 구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꼬치를 자동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구성이 포함되어야 하고, 꼬치를 지지해주는 부분이 하나의 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고, 꼬치를 가열하는 부분이 장치의 규격에 맞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꼬치를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구의 형상을 휴대가 간편한 형태로 한 쌍으로 구성하여 사용시 간편하게 설치하고 다수의 꼬치를 올려놓고 꼬치 구이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구이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꼬치 구이용 지지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꼬치의 양쪽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하나의 금속판을 일정각도로 구부려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으로 분할 형성하고,상기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끝 부분에는 꼬치를 지지해줄 수 있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각도는 20 내지 70도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홈은 하나의 일자(一)홈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홈은 반원형의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꼬치 구이용 지지구는 복잡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져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올려놓는 형태로 설치가 되기 때문에 화로, 석쇠, 불판, 테이블 등 다양한 위치에 사용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고, 지지구의 간격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꼬치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꼬치 구이용 지지구에 꼬치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꼬치 구이용 지지구를 석쇠 위에 올려논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의 거치홈이 형태가 일자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의 거치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반원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구를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구 상부에 불판 또는 석쇠를 올려놓은 형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구에 관통구멍을 더 형성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통구멍을 통해 열기가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꼬치 구이용 지지구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꼬치(S)의 양쪽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지지구(10)는 평평한 부분에 올려놓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화로, 석쇠 및 불판위에 올려놓거나, 버너가 매립설치된 테이블의 위에 올려놓는 형태로 장소와 적용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꼬치(S)의 길이에 맞게 지지구(10)의 간격을 즉각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꼬치(S)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지구(10)는 하나의 금속판을 일정각도로 구부려 절곡부(100)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으로 분할 형성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판(200) 및 제2지지판(300)의 끝 부분에는 꼬치(S)를 지지해줄 수 있는 거치홈(4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어느 지지판을 특정하지 않고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판은 꼬치(S)를 지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지지판은 화로나 석쇠 및 불판 위에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100)의 안쪽 각도(A)는 20 내지 70도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절곡부(100)의 각도가 너무 클 경우, 무게중심이 절곡부(100)가 형성된 전방으로 집중되어 넘어질 우려가 있고, 절곡부(100)의 각도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거치홈(400)에 올려진 꼬치(S)가 불에 가까워져 타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거치홈(400)은 제1지지판(200) 또는 제2지지판(300) 중에서 한군데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에 각각 형성되어 방향에 관계없이 양쪽 모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거치홈(400)의 형상은 2가지의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거치홈(400)의 제1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일자(一)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홈(400)의 형상이 일자(一)홈 형태가 될 경우는 거치홈(400)에 올려진 여러개의 꼬치(S) 간격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고 다량의 꼬치(S)를 올려놓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거치홈(400)의 형상에 따른 제2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의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홈(400)의 형상이 단일로 형성되지 않고 다수의 반원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꼬치(S)가 각각의 반원홈 마다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꼬치(S)가 흐트러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거치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거치홈(400)의 바람직한 형태는 하나의 지지구(10)에 제1실시예의 거치홈(400)과 제2실시예의 거치홈(400)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1지지판(200)의 거치홈(400)은 하나의 일자홈으로 형성하고, 제2지지판(300)의 거치홈(400)은 복수의 반원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 또는 꼬치(S)의 크기 및 수량에 따라 제1지지판(200)의 거치홈(400)과 제2지지판(300)의 거치홈(400)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지구(10)는 막대형태의 꼬치(S)를 올려놓는 것 말고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쇠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갖는 조리도구를 올려놓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할 경우 석쇠 위에 있는 고기가 화로 또는 버너의 화염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불에 타지 않고 따듯한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지구(10)는 거치된 부분에 근접한 고기는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에 의해 열기가 막혀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덜 익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에 각각 다수의 관통구멍(500)을 형성하여 하부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관통구멍(500)을 통해 꼬치(S)의 고기로 용이하게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관통구멍(500)을 통해 거치된 부분과 근접한 부분도 고르게 익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500)은 다수배열된 형태로 형성되되,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의 관통구멍(500)을 통해 열기전달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의 관통구멍(500)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S : 꼬치
10 : 지지구
100 : 절곡부
200 : 제1지지판
300 : 제2지지판
400 : 거치홈
500 : 관통구멍

Claims (4)

  1. 한 쌍으로 구비되어 꼬치(S)의 양쪽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지지구(10)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0)는;
    하나의 금속판을 일정각도로 구부려 절곡부(100)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판(200) 및 제2지지판(300)의 끝 부분에는 꼬치(S)를 지지해줄 수 있는 거치홈(40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판(200)의 거치홈(400)은 제1지지판의 길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도록 하나의 일자(一)홈 형태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판(300)의 거치홈은 반원형의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00)는 항상 하면에 위치하여,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은 이용자를 향하여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며,
    한 쌍의 지지구 중 어느 하나의 지지구의 거치홈(400)과 다른 하나의 지지구의 거치홈(400) 사이에 꼬치 구이가 거치되도록 하고,
    제1지지판(200)과 제2지지판(300)에 각각 다수의 관통구멍(500)을 형성하여 하부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관통구멍(500)을 통해 꼬치(S)의 고기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용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00)의 각도(A)는 20 내지 70도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용 지지구.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2982A 2018-11-01 2018-11-01 꼬치 구이용 지지구 KR10207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82A KR102071679B1 (ko) 2018-11-01 2018-11-01 꼬치 구이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82A KR102071679B1 (ko) 2018-11-01 2018-11-01 꼬치 구이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679B1 true KR102071679B1 (ko) 2020-01-30

Family

ID=6932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982A KR102071679B1 (ko) 2018-11-01 2018-11-01 꼬치 구이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3525U (ko) * 1985-02-26 1986-09-04
JP2004081662A (ja) * 2002-08-28 2004-03-18 Masayoshi Horimoto 串焼料理器
JP3109091U (ja) * 2004-11-30 2005-05-12 株式会社スクラム バーベキュースタンド
US7000529B2 (en) * 2002-08-06 2006-02-21 Fred S. Sculuca Skewer holder
JP3167908U (ja) * 2011-02-04 2011-05-26 マルカ株式会社 串焼き物保持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3525U (ko) * 1985-02-26 1986-09-04
US7000529B2 (en) * 2002-08-06 2006-02-21 Fred S. Sculuca Skewer holder
JP2004081662A (ja) * 2002-08-28 2004-03-18 Masayoshi Horimoto 串焼料理器
JP3109091U (ja) * 2004-11-30 2005-05-12 株式会社スクラム バーベキュースタンド
JP3167908U (ja) * 2011-02-04 2011-05-26 マルカ株式会社 串焼き物保持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09091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9235A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20150313408A1 (en) Mojoe griddle
US20130104744A1 (en) Satay grill rack
US11083333B2 (en) Apparatus for open heat source grilling
US20170007071A1 (en) Multi-zone spit-rotisserie device for meat roasting and grilling
KR102071679B1 (ko) 꼬치 구이용 지지구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160088058A (ko) 직화 구이장치
KR20130026378A (ko) 꼬치 유지구
JP2007301327A (ja) 焼き物調理器
KR101139008B1 (ko) 업소용 고기 구이기
KR200497835Y1 (ko) 구이용 불판
KR101503411B1 (ko) 석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 및 화로세트
KR200474594Y1 (ko) 구이용 불판
KR101495738B1 (ko) 구이 장치
KR102265119B1 (ko) 다용도 접이식 발열 장치
US20060124567A1 (en) Perfect cook Shish-Ka-Bob rack and skewer device
KR20070082496A (ko) 구이기에 적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열 유도반사체
KR20090098054A (ko) 회전형 육류구이판
KR101390772B1 (ko) 숯불구이 장치
KR102286120B1 (ko) 조리용 구이판
KR20110053511A (ko) 카본튜브램프를 이용한 바비큐 장치
KR101694887B1 (ko) 휴대용 접이식 구이기
KR200475644Y1 (ko)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그릴용 받침대
KR200318182Y1 (ko) 석쇠 기능을 가진 삼발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