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049B1 -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049B1
KR101503049B1 KR20140161294A KR20140161294A KR101503049B1 KR 101503049 B1 KR101503049 B1 KR 101503049B1 KR 20140161294 A KR20140161294 A KR 20140161294A KR 20140161294 A KR20140161294 A KR 20140161294A KR 101503049 B1 KR101503049 B1 KR 10150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over
cover
exhaust pipe
fixing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석
김원표
이도민
박찬수
김진용
박홍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정공
Priority to KR2014016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01N13/10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2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heat or sound protection, e.g. using a shield or specially shaped outer surface of exhaus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한 형상으로 밴딩된 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된 단열재를 감싼 상태로 박막 금속시트의 커버를 연소, 변색, 탄화 및 변형 등의 용접불량이 없고 단열재의 외부 누출없이 용접할 수 있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he exhaust pipe}
본 발명은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한 형상으로 밴딩된 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된 단열재를 감싼 상태로 박막 금속시트의 커버를 연소, 변색, 탄화 및 변형 등의 용접불량이 없고 단열재의 외부 누출없이 용접할 수 있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이나 버스 등과 같은 중대형 상용차량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에서는 연료의 연소시 많은 양의 유해 미립자가 배출되는데, 차량용 내연기관에서 분사된 연료가 피스톤의 압축으로 인한 온도상승으로 자기 착화를 일으켜 연소되는 과정에서 불완전연소에 따른 각종 입자상 물질, 질소산화물, 미연소된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많은 양의 유해가스가 발생되며, 상기와 같이 내연기관의 연소과정에서 불완전연소된 유해가스는 엔진에 접속된 복수개의 분기관들이 하나로 합쳐지는 배기다기관과 배기파이프를 거쳐 머플러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 등에 유입되어 기관지염이나 폐암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CNG나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공해 방지를 위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 엔진 자체에서 유해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는 전처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엔진의 배기다기관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파이프에는 별도의 후처리 장치로서 각종 매연저감장치가 연결장착되어 배기가스 중 유해가스의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매연저감장치로는 매연여과장치(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와 디젤산화촉매장치(DOC : Diesel Oxidation Catalyst)와 선별적탈질촉매장치(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등이 있으며, 상기 매연여과장치(DPF)는 입자상물질(PM)을 포집하여 연소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입자상물질을 80% 이상 제거할 수 있고, 디젤산화촉매장치(DOC)는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을 백금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 환원시켜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70% 이상의 제거효율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선별적탈질촉매장치(SCR)는 별도의 요소용액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요소용액을 산화제로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도록 되어 있다.
디젤산화촉매장치, 선별적탈질촉매장치 등의 촉매컨버터는 배기파이프를 통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촉매에 의해 무해한 성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촉매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라 필터링 효율이 크게 좌우되게 된다. 일반적인 디젤엔진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250~300℃이나 촉매가 최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온도는 이보다 높게 된다. 이 배기가스가 배기파이프를 통하여 촉매컨버터에 유입되게 될 때 배기파이프이 공기중에 노출됨에 따라 열손실이 발생되어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 중 하나로서, 촉매컨버터 내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연료를 공급하고 배기가스의 열원에 의해 가열 및 연소되도록 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촉매가 작용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복잡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배기가스가 배기파이프를 통해 촉매컨버터 내로 유입되게 될 때 배기파이프에서 열손실이 발생되게 되면 일반적으로 디젤엔진에서 발생되는 경유매연을 제거하는 촉매의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엔진으로부터 촉매컨버터까지의 배기파이프 표면에 단열재를 사용하여 열손실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종래에 사용된 대부분의 배기파이프의 단열방법은 유리섬유와 같은 단열테이프를 배기파이프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여 고정하는 형태가 이용되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열테이프로 배기파이프의 외부를 둘러싸게 되므로 단열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되며, 단열테이프를 둘러싸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단열테이프는 유리질이 포함되어 있어 단열테이프 설치시에 신체와의 접촉이나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로 흡입될 수 있는 등 인체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기관용 단열재 체결구조가 특허문헌 0001로 제안된 바 있다. 위 배기관용 단열재 체결구조는 촉매컨버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구와 연결되는 배기관의 외부를 감싸며, 외피는 방수천으로 되고 내피는 내열천으로 되며 내부는 내열섬유로 된 단열부와, 상기 단열부의 양측단을 서로 체결하여 밀봉시키는 체결수단과, 상기 단열부의 외피 내측에 수용되고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고정용 클램프와, 상기 단열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외피에 수용되는 침수방지 조임부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이 용이하고 장착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방수 기능이 있는 등의 이점이 있으나, 고정용 클램프로 고정하더라도 단열부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여 단열효과가 좋지 못하여 열손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여 촉매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상품성이 좋지 못하다.
공개특허 제2007-0067883호(2007.06.2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으로 밴딩된 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된 단열재를 감싼 상태로 박막 금속시트의 커버를 연소, 변색, 탄화 및 변형 등의 용접불량이 없고 단열재의 외부 누출없이 용접할 수 있어 단열효과 우수하여 촉매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는 등 상품성이 우수한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배기파이프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단열재를 감싸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 박막 금속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단열재를 커버링하는 일측 커버와 타측커버를 얻는 단계와;
c)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를 상기 단열재를 커버링하도록 상기 단열재 상에 밀착고정하는 단계와;
d)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가접하는 단계와;
e)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전체면에 접지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심(seam)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박막 금속시트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박막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b)단계에는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테두리 부분을 엠보싱 패턴이 제거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를 커버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 상에 밀착고정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커버 고정지그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전단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단 고정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일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타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타측 고정블럭과, 상기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를 상기 단열재에 밀착고정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커버 고정지그의 일측 고정블럭과 타측 고정블럭에 스폿용접장치의 접지전극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커버 고정지그에 의해 상기 단열재에 밀착고정된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용접전극으로 스폿용접하여 가접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e)단계는 커버 접지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를 밀착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의 전체면에 접지하는 접지단계와;
상기 커버 접지고정지그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심용접장치의 회전전극을 이용하여 심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 접지고정지그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전단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단 고정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일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타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타측 고정블럭과, 상기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에 밀착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고정블록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에는 심용접장치의 접지전극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의 양단부를 상기 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은 일정한 형상으로 밴딩된 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된 단열재를 감싼 상태로 박막 금속시트의 커버를 연소, 변색, 탄화 및 변형 등의 용접불량이 없고 단열재의 외부 누출없이 용접할 수 있어 단열효과 우수하여 촉매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는 등 상품성이 우수한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을 제조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트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배기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단열층이 형성된 배기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박막 금속시트를 이용하여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박막 금속시트를 이용하여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커버 고정지그의 평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커버 고정지그의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배기파이프를 커버 고정지그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이동부재에 의해 일측 고정블럭 및 타측 고정블럭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단열층에 밀착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의 중첩부분을 가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커버 접지고정지그에 가접된 배기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심용접장치에 의해 일측 커버와 타측 커버의 중첩부분을 심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회전 용접전극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심용접이 완료된 배기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을 제조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트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은 크게 단열층 형성단계(S1), 커버 성형단계(S2), 커버 밀착고정단계(S3), 가접단계(S4) 및 심(seam)용접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층 형성단계(S1)는 배기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전체 또는 일부분에 단열재를 감싸 단열층(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2는 배기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단열층이 형성된 배기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배기파이프(10)는 적용되는 차량의 구조에 따라 직선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2와 같이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는 등 그 구조 및 형상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전단 플랜지(110) 및 후단 플랜지(130)가 각 형성되어있다.
상기 단열층(20)은 상기 배기파이프(10)의 구조 및 특성에 따라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3과 같이 일부분에 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20)을 형성하는 단열재는 유리섬유, 세라믹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박막 금속시트를 이용하여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박막 금속시트를 이용하여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 성형단계(S2)는 박막 금속시트(31)를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단열층(20)을 커버링하는 도 4와 같은 일측 커버(310)와 타측 커버(320)를 얻는 단계이다.
상기 박막 금속시트(31)로서는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박막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외관이 미려한 배기파이프(10)를 제조하기 위해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박막시트(31a)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스테인레스 박막시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밴딩된 배기파이프(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할 경우 스테인레스 재질의 특성상 주름이 필연적으로 형성되어 외관품질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박막시트(31a)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 성형단계(S2)는 도 5와 같이 박막 금속시트(31)를 준비하는 단계(도 5의 a)와, 상기 박막 금속시트(31)를 일정한 형상으로 트리밍하는 단계(도 5의 b)와, 트리밍된 박막 금속시트(32)를 단열층(20)이 형성된 배기파이프(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와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일측 커버(310)와 타측 커버(320)를 얻는 단계(도 5의 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박막시트(31a)를 사용할 경우 심(seam)용접단계(S5)에서의 용접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의 테두리부분에 엠보싱 패턴을 제거, 즉 표면이 평평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의 중첩되는 부분이 포함되는 테두리부분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서 가접 및 심(seam)용접시 단열재의 외부 누출없이 균일하게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박막시트(31a)를 이용하여 일측 커버(310) 및 타측 커버(320)를 프레스 성형하는 방법은 도 6과 같이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박막시트(31a)를 준비하는 단계(도 6의 a)와, 상기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박막시트(31a)를 일정한 형태로 트리밍하는 단계(도 6의 b)와, 트리밍된 박막 금속시트(32a)의 테두리 부분의 엠보싱 패턴이 제거되도록 평평하게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와(32c), 상기 테두리 부분에 엠보싱 패턴이 제거된 박막 금속시트(33a)를 단열층(20)이 형성된 배기파이프(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와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일측 커버(310a)와 타측 커버(320a)를 얻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박막시트(31a)를 일정한 형태로 트리밍할 동시에 테두리부분을 평평하게 프레스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커버 고정지그의 평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커버 고정지그의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밀착고정단계(S3)는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외주면에 감싼 상태로 배치된 단열층(20)에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를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열층(20)에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를 커버 고정지그(40)를 이용하여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고정지그(40)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접지전극(910)이 연결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 고정지그(4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베이스판(410)과, 전단 고정부(420), 후단 고정부(430), 일측 고정블럭(440), 타측 고정블럭(450) 및 이동부재(460a, 46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파이프(10)가 일직선 상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하나의 커버 고정지그(40)를 이용하여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의 중첩된 부분, 즉 상측 중첩부 및 하측 중첩부를 모두 고정하여 가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기파이프(10)가 일정한 형상으로 밴딩되어 이루어진 경우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320)의 중첩된 부분 중 상측 중첩부를 가접하기 위한 제1 커버 고정지그와 하측 중첩부를 가접하기 위한 제2 커버 고정지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고정지그로 상기 상측 중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10)를 고정하여 스폿용접 등으로 가접한 후 상기 하측 중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하측 중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 커버 고정지그에 상기 배기파이프(10)를 고정하여 가접한다. 상기 제2 커버 고정지그는 상기 제1 커버 고정지그와 대칭되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1 커버 고정지그에 한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1 커버 고정지그를 이하 커버 고정지그로 약칭한다.
상기 전단 고정부(420)는 상기 베이스판(410)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부에 형성된 전단 플랜지(110)가 고정된다. 상기 전단 고정부(420)는 상기 베이스판(410)의 전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측 지지대(422)와, 상기 전측 지지대(422)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 플랜지(110)의 하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424a)이 형성되는 전측 고정부재(424)로 구성된다.
상기 전측 고정부재(424)의 고정홈(424a)은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 플랜지(11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 고정부(430)는 상기 베이스판(410)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의 후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배기파이프(10)의 후단부에는 후단 플랜지(130)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후단 고정부(430)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후측 지지대(432)와, 상기 후측 지지대(432)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0)의 후단 플랜지(130)의 하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434a)이 형성되는 후측 고정부재(4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측 고정부재(434)의 고정홈(434a)은 상기 전측 고정부재(424)와 동일하게 상기 배기파이프(10)의 후단 플랜지(13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 플랜지(110) 및 후단 플랜지(130)가 상기 전측 고정부재(424)의 고정홈(424a) 및 상기 후측 고정부재(434)의 고정홈(434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킨 후 상기 배기파이프(10)를 하강시키면,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 플랜지(110)와 후단 플랜지(130)는 상기 전측 고정부재(424)의 고정홈(424a) 및 상기 후측 고정부재(434)의 고정홈(434a)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판(410)의 상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470)이 구비된다. 도 8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470)이 3개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은 상기 가이드레일(470)의 일측에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일측 커버(31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442)이 구비되고, 스폿용접장치의 접지전극(910)과 연결된다.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은 상기 상기 가이드레일(470)의 타측에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타측 커버(32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452)이 구비되고 상기 스폿용접장치의 접지전극(91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460a, 460b)는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와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를 상기 단열층에 밀착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레일(470)의 일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이 구비되는 일측 이동지지대(445)와, 상기 가이드레일(470)의 타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이 구비되는 타측 이동지지대(45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460a, 460b)는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 및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을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하나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7과 같이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일 이동시키기 위한 일측 실린더(460a)와,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을 이동시키기 위한 타측 실린더(460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열층(20)의 두께가 단열재의 특성 상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지 못하고,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 및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단열층(2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 및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455)가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을 각각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레일(470)을 상기 베이스판(410)에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 배치하는 것이 좋고, 도 7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470)이 3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3개의 상기 가이드레일(470)에는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 및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455)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3개의 일측 이동지지대(445) 중 제1 일측 이동지지대(445a)는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의 전측부를 탄성지지하고, 제2 일측 이동지지대(445b)는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의 중간부를 탄성지지하며, 제3 일측 이동지지대(445c)는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의 후측부를 탄성지지한다. 또한 상기 3개의 타측 이동지지대(455) 중 제1 타측 이동지지대(455a)는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의 전측부를 탄성지지하고, 제2 타측 이동지지대(455)b는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의 중간부를 탄성지지하며, 제3 타측 이동지지대(455c)는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의 후측부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의 상부에는 관통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와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47)이 게재된다. 그리고 볼트부재(448)가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의 관통공(446)과 상기 압축 스프링(447)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태로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은 상기 압축 스프링(447)에 의해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의 상부에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455)의 상부에 관통공(456)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455)와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57)이 게재되며, 볼트부재(458)가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455)의 관통공(456)과 상기 압축스프링(457)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태로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은 상기 압축 스프링(457)에 의해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455)의 상부에 탄성지지된다.
도 9는 배기파이프를 커버 고정지그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이동부재에 의해 일측 고정블럭 및 타측 고정블럭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를 단열층에 밀착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일측 커버 및 타측 커버의 중첩부분을 가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 플랜지(110) 및 후단 플랜지(130)를 상기 커버 고정지그(40)의 전단 고정부(420) 및 후단 고정부(430)에 각각 삽입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파이프(10)의 단열층(20)의 일측부 및 타측부를 도 10과 같이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로 커버링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고정지그(40)의 이동부재(460a, 460b)를 구동시켜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 및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을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는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 및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0)의 단열층(20) 상에 밀착고정된다.
한편,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은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 및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455)에 각각 탄성지지됨에 따라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를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이동부재(460a, 460b)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의 사이에는 가접공간(490)이 구비되고, 도 11과 같이 상기 가접공간을 통해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스폿용접장치의 용접전극을 이용하여 가접(495)한다.
상기 일측 고정블럭(440)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450)에 상기 스폿용접장치의 접지전극(910)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의 전체면을 접지할 수 있어 스폿용접시 연소, 변색, 탄화 등이 발생하지 않는 등 가접품질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2는 커버 접지고정지그에 가접된 배기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심용접장치에 의해 일측 커버와 타측 커버의 중첩부분을 심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회전 용접전극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심용접이 완료된 배기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심(seam)용접단계(S5)는 상기 배기파이프(10)의 단열층(20)을 커버링한 상태에서 가접된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의 중첩된 부분을 심(seam)용접하는 단계이다. 이때 심용접시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의 중첩부분에 연소, 변색 및 탄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의 전체면에 접지전극(620)이 연결된 상태로 심용접한다.
이때 상기 배기파이프(10)의 단열층(20)을 커버링한 상태에서 가접된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를 도 13과 같이 커버 접지고정지그(50)에 의해 밀착고정한다.
상기 커버 접지고정지그(50)는 상기 커버 고정지그(40)와 구성 및 구조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 접지고정지그(50)는 베이스판(510)과, 상기 베이스판(510)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전단 고정부(미도시)와, 상기 베이스판(410)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단 고정부(미도시)와,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일측 커버(310)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일측 접지고정블럭(540)과, 상기 배기파이프(10)의 타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타측 커버(320)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타측 접지고정블럭(550)과, 상기 일측 접지고정블럭(540)과 상기 타측 접지고정블럭(550)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를 상기 단열층에 밀착고정시키는 이동부재(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재(560)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2와 같이 하나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일측 접지고정블럭(540)과 상기 타측 접지고정블럭(550)을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2개의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일측 접지고정블럭(540)과 상기 타측 접지고정블럭(550)에는 심용접장치(60)의 접지전극(620)이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판(510)의 상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57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570)의 일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일측 접지고정블럭(540)이 구비되는 일측 이동지지대(545)와, 상기 가이드레일(570)의 타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타측 접지고정블럭(550)이 구비되는 타측 이동지지대(55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일측 접지고정블럭(540) 및 상기 타측 접지고정블럭(550)으로 상기 일측 커버(310) 및 상기 타측 커버(320)를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일측 접지고정블럭(540)은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545)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타측 접지고정블럭(550)은 상기 타측 이동지지대(555)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는 상기 커버 고정지그(40)의 일측 고정블럭(440)과 상기 일측 이동지지대(445)와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 접지고정지그(50)에 의해 밀착 고정된 상기 배기파이프(10)의 일측 커버(310) 및 타측 커버(320)의 중첩부분을 도 14와 같이 상기 심용접장치(60)의 회전 용접전극(610)으로 심용접한다.
그리고 상기 심용접장치(60)의 회전 용접전극(610)은 심용접장치(60)의 다관절 암(미도시)의 이동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 용접전극(610)을 이용하여 박막 금속시트(31)로 이루어진 상기 일측 커버(310)와 상기 타측 커버(320)의 중첩부분을 심용접할 때 연소, 변색 및 탄화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14와 같이 별도의 구동부재로 상기 심용접장치(60)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재(650)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회전 용접전극(61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기어(640)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배기파이프,
20: 단열층,
310: 일측커버,
320: 타측커버,
40: 커버고정지그,
50: 커버 접지고정지그,
60: 심용접장치.

Claims (10)

  1. a) 배기파이프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단열재를 감싸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 박막 금속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단열재를 커버링하는 일측 커버와 타측커버를 얻는 단계와;
    c)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를 커버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 상에 밀착고정하는 단계와;
    d)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가접하는 단계와;
    e)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전체면에 접지전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심(seam)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고정지그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전단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단 고정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일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타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타측 고정블럭과, 상기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를 상기 단열재에 밀착고정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금속시트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박막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는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테두리 부분을 엠보싱 패턴이 제거되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고정지그의 일측 고정블럭과 타측 고정블럭에 스폿용접장치의 접지전극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커버 고정지그에 의해 상기 단열재에 밀착고정된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용접전극으로 스폿용접하여 가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6. a) 배기파이프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단열재를 감싸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 박막 금속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단열재를 커버링하는 일측 커버와 타측커버를 얻는 단계와;
    c)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를 커버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 상에 밀착고정하는 단계와;
    d)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가접하는 단계와;
    e)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를 커버접지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 상에 밀착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의 전체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접지고정지그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일측 커버와 상기 타측 커버의 중첩된 부분을 심용접장치의 회전전극을 이용하여 심(seam)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접지고정지그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전단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단 고정부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일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타측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타측 고정블럭과, 상기 일측 고정블럭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커버 및 상기 타측 커버에 밀착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 고정블록과 상기 타측 고정블럭에는 심용접장치의 접지전극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40161294A 2014-11-19 2014-11-19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KR101503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294A KR101503049B1 (ko) 2014-11-19 2014-11-19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294A KR101503049B1 (ko) 2014-11-19 2014-11-19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049B1 true KR101503049B1 (ko) 2015-03-19

Family

ID=5302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1294A KR101503049B1 (ko) 2014-11-19 2014-11-19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0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507A (ko) * 2015-04-16 2016-10-26 김득관 히트쉴드 파이프 제조방법
KR20160128717A (ko) * 2015-04-29 2016-11-08 (주) 상봉모터스 배기관의 단열 접합 구조
KR101898861B1 (ko) 2017-12-20 2018-09-14 전진수 머플러용 판재의 자동생산 장치
KR101898860B1 (ko) 2017-12-20 2018-09-14 전진수 머플러용 판재의 경로 자동조절 및 엠보싱 장치
DE102019129382A1 (de) * 2019-10-30 2021-05-06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German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gasführenden Einheit sowie abgasführende Einh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599B2 (ja) * 1995-07-17 2000-06-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インシュレータ構造
JP2004353582A (ja) 2003-05-29 2004-12-16 Calsonic Kansei Corp 遮熱板付排気管
KR20130075008A (ko) * 2011-12-27 2013-07-05 조용석 밀폐형 단열재 및 그 단열재의 제조방법
JP2014206131A (ja) * 2013-04-15 2014-10-30 ニチアス株式会社 マフラーカッ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599B2 (ja) * 1995-07-17 2000-06-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インシュレータ構造
JP2004353582A (ja) 2003-05-29 2004-12-16 Calsonic Kansei Corp 遮熱板付排気管
KR20130075008A (ko) * 2011-12-27 2013-07-05 조용석 밀폐형 단열재 및 그 단열재의 제조방법
JP2014206131A (ja) * 2013-04-15 2014-10-30 ニチアス株式会社 マフラーカッタ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507A (ko) * 2015-04-16 2016-10-26 김득관 히트쉴드 파이프 제조방법
KR101694613B1 (ko) * 2015-04-16 2017-01-09 김득관 히트쉴드 파이프 제조방법
KR20160128717A (ko) * 2015-04-29 2016-11-08 (주) 상봉모터스 배기관의 단열 접합 구조
KR101722957B1 (ko) * 2015-04-29 2017-04-04 (주) 상봉모터스 배기관의 단열 접합 구조
KR101898861B1 (ko) 2017-12-20 2018-09-14 전진수 머플러용 판재의 자동생산 장치
KR101898860B1 (ko) 2017-12-20 2018-09-14 전진수 머플러용 판재의 경로 자동조절 및 엠보싱 장치
DE102019129382A1 (de) * 2019-10-30 2021-05-06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German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gasführenden Einheit sowie abgasführende Einhe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049B1 (ko)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JP4652553B2 (ja) 触媒コンバ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83732B1 (ko) 배기가스 정화 장치
JP4413877B2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コンバーター
AU611179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 exhaust gas
DE69517531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hitzen eines katalytischen umwandlers zum vermindern der emissionen
KR101542429B1 (ko) 배기파이프제조용 커버가접지그
KR101494608B1 (ko) 배기파이프제조용 심용접 고정지그 및 이를 구비한 배기파이프제조용 심용접장치
US20170159540A1 (en) Construction vehicle
EP1342888B1 (en) Catalytic convert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RU2006129933A (ru) Регенератор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с катализатором
KR101298151B1 (ko) 차량용 단열배기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S6239247B2 (ko)
KR100712309B1 (ko) 촉매코팅된 전기히터를 사용한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JP2002147231A (ja) 触媒コンバータ、触媒コンバータ用保持シール材
KR101418236B1 (ko) 차량용 배기파이프의 일체형 단열체 및 그 제조방법
JP4652554B2 (ja) 触媒コンバ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4608B1 (ko) 촉매 컨버터용 용접장치
KR101425876B1 (ko) 디젤엔진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200440063Y1 (ko) 차량용 분리형 매연저감장치케이스
CN210317443U (zh) 一种新型汽车尾气过滤处理装置
KR100815015B1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080016272A (ko) 내연기관의 매연저감장치
KR100998507B1 (ko)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CN211638819U (zh) 一种车用催化器隔热罩焊接夹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