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507B1 -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507B1
KR100998507B1 KR1020080115505A KR20080115505A KR100998507B1 KR 100998507 B1 KR100998507 B1 KR 100998507B1 KR 1020080115505 A KR1020080115505 A KR 1020080115505A KR 20080115505 A KR20080115505 A KR 20080115505A KR 100998507 B1 KR100998507 B1 KR 10099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carrier
wrapping
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620A (ko
Inventor
황정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스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스크
Priority to KR102008011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5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39Arrangements for mounting catalyst support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02Metallic plates or honeycombs, e.g. superposed or rolled-up corrugated or otherwise deformed sheet metal
    • F01N2330/04Methods of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매연을 정화처리하는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제조시 상기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촉매담체의 외측 둘레면을 금속판으로 된 아웃플레이트로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후방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된 후방몸체와 상기 후방몸체의 상면부에 수평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지지판으로 되어 있는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상부지지판의 전방 상면부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한쌍의 당김실린더와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의 실린더축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가운데부분에 끼움체결된 한쌍의 상부고정구로 이루어진 상부당김부와,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가운데부분에 원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고리형상으로 말려있으며 상부는 상기 상부당김부에 설치된 한쌍의 상부고정구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전방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하부고정구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는 랩핑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담체랩핑장치, 매연저감촉매조립체, 베이스몸체부, 상부당김부, 랩핑부재

Description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A wrapping device of an catalyst assembly reducing exhaust gas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매연을 정화처리하는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제조시 상기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촉매담체의 외측 둘레면을 금속판으로 된 아웃플레이트로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wrapping)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후방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된 후방몸체와 상기 후방몸체의 상면부에 수평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지지판으로 되어 있는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상부지지판의 전방 상면부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한쌍의 당김실린더와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의 실린더축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가운데부분에 끼움체결된 한쌍의 상부고정구로 이루어진 상부당김부와,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가운데부분에 원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고리형상으로 말려있으며 상부는 상기 상부당김부에 설치된 한쌍의 상부고정구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고 하 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전방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하부고정구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는 랩핑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랩핑부재의 내측에는 통상의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외측 둘레면을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상부당김부의 상승작동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랩핑부재가 조여지면서 상기 촉매담체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원형을 이루면서 밀착되어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에서는 연료의 연소시 많은 양의 유해 미립자가 배출되게 되는데, 차량용 내연기관에서 분사된 연료가 피스톤의 압축으로 인한 온도상승으로 자기 착화를 일으켜 연소되는 과정에서 불완전연소에 따른 각종 입자상 물질, 질소산화물, 미연소된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많은 양의 유해가스(매연)가 발생되며, 상기와 같이 내연기관의 연소과정에서 불완전연소된 유해가스(매연)는 내연기관의 배기파이프를 거쳐 머플러(muffler)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인체 등에 유입되어 기관지염이나 폐암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휘발유나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공해 방지를 위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 엔진 자체에서 유해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는 전처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엔진의 배기다기관이나 배기파이프에 별도의 후처리 장치로서 매연저감장치가 장착되어 배기가스 중 유해가스의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매연저감장치로는 매연여과장치(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와 디젤산화촉매장치(DOC : Diesel Oxidation Catalyst)와 선별적탈질촉매장치(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등이 있으며, 상기 매연여과장치(DPF)는 입자상물질(PM)을 포집하여 연소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입자상물질을 80% 이상 제거할 수 있고, 디젤산화촉매장치(DOC)는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을 백금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 환원시켜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70% 이상의 제거효율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선별적탈질촉매장치는 별도의 요소용액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요소용액을 산화제로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매연저감장치 중 디젤산화촉매장치나 선별적탈질촉매장치의 내부에는 각각의 매연저감촉매조립체가 장착되어 촉매담체에 의한 매연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촉매담체에서 매연을 정화처리하도록 되어 있는 종래의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A')의 제조시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많은 통기공(50')이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공(50')에는 각 매연저감장치의 용도에 맞게 바나듐, 제올라이트, 백금, 팔라듐 등의 각종 촉매물질이 선택적으로 코팅처리된 세라믹 또는 금속재질의 원통형 촉매담체(27')를 구비하고, 상 기 촉매담체(27')의 외측 둘레면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섬유재질 등으로 된 매트(mat) 형상의 내부완충재(25')를 감싸 고정하여 외부로부터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켜 촉매담체(2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내부완충재(25')의 외측 둘레면에는 장방형의 긴 금속판형상으로 된 아웃플레이트(26')를 원통형으로 감싸 상기 내부완충재(25') 및 촉매담체(27')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서로 맞닿는 아웃플레이트(26')의 양끝단을 용접부착하여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A')를 완성하게 되는데, 상기 아웃플레이트(26')를 감싸 고정하는 과정에서 종래에는 장방형의 긴 판형상으로 된 아웃플레이트(26')를 원통형으로 말아 느슨하게 감싼 상태에서 그 외주면에 금속재 와이어 등을 감고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금속재 와이어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아웃플레이트(26')가 외주면을 감싸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금속재 와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웃플레이트(26')의 전체면을 일정한 힘으로 균일하게 조여주지 못하여 일부에만 과도한 힘이 가해져 내부의 촉매담체(27')가 일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아웃플레이트(26')가 정원(正圓)을 형성하지 못하고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선단부와 종단부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어 통상의 매연저감장치 내부에 매연저감촉매조립체(A')를 조립시 원통형으로 된 매연저감장치케이싱 내부에 매연저감촉매조립체(A')가 들어가지 않아 조립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내부완충재(25')도 균일하게 압착되지 않고 일부는 과압착되고 일부는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어 매연저감촉매조립체(A')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 일부가 상기 내부완충재(25')의 들뜬 틈새사이를 통해 정화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쌍의 당김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상부당김부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랩핑부재가 통상의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일정한 힘으로 조여주어 상기 촉매담체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정확한 정원(正圓)을 이루면서 균일하고 견고하게 밀착되어 랩핑되도록 하며, 기계식으로 작동되어 작업공정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후방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된 후방몸체와 상기 후방몸체의 상면부에 수평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지지판으로 되어 있는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상부지지판의 전방 상면부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한쌍의 당김실린더와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의 실린더축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가운데부분에 끼움체결된 한쌍의 상부고정구로 이루어진 상부당김부와,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가운데부분에 원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고리형상으로 말려있으며 상부는 상기 상부당김 부에 설치된 한쌍의 상부고정구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전방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하부고정구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는 랩핑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랩핑부재의 내측에는 통상의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외측 둘레면을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상부당김부의 상승작동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랩핑부재가 조여지면서 상기 촉매담체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원형을 이루면서 밀착되어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당김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상부당김부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랩핑부재가 통상의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일정한 힘으로 조여주어 상기 촉매담체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정확한 정원(正圓)을 이루면서 균일하고 견고하게 밀착되어 랩핑될 수 있으며, 수작업식이 아닌 기계식으로 작동되어 작업공정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완성된 매연저감촉매조립체가 찌그러지거나 정원을 형성하지 않고 틀어지게 성형된 불량제품의 생산이 거의 없어 후속공정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1)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매연을 정화처리하는 매연저감촉매조립체(A)의 제조시 상기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촉매담체(27)의 외측 둘레면을 금속판으로 된 아웃플레이트(26)로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wrapping)하는 장치로서, 하부몸체(3)와 상기 하부몸체(3)의 후방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된 후방몸체(4)와 상기 후방몸체(4)의 상면부에 수평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3)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지지판(5)으로 되어 있는 베이스몸체부(2)와, 상기 상부지지판(5)의 전방 상면부에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와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의 실린더축(16a)(16b)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수평대(17)와 상기 수평대(17)의 가운데부분에 끼움체결된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로 이루어진 상부당김부(14)와,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가운데부분에 원형의 공간부(29)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고리형상으로 말려있으며 상부는 상기 상부당김부(14)에 설치된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몸체(3)의 전방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하부고정구(9)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는 랩핑부재(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는 도 1, 2,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때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지면위에 고정설치되면서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높이를 지닌 직육면체형으로 된 하부몸체(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3)의 후방 상면부에는 수직상방으로 후방몸체(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몸체(4)의 상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3)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된 상부지지판(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판(5)의 좌우양측면에는 수직하방으로 측면고정판(6a)(6b)이 고정 부착되어 있되 상기 측면고정판(6a)(6b)의 후방은 후방몸체(4)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하단부는 하부몸체(3)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어 상기 상부지지판(5)과 측면고정판(6a)(6b) 사이에 상기 상부당김부(14)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3)의 상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랩핑부재(24)의 랩핑판(28)이 안착되는 받침부재(7)가 고정 설치되어 있되 상기 받침부재(7)의 상면부는 가운데부분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착홈(8)이 형성되어 있어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랩핑판(28)의 하부가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3)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7)가 설치된 부분의 전방 상면부에 하부고정구(9)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상기 랩핑부재(24)의 하부가 착탈식으로 조립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고정구(9)는 상부 가 운데부분에 삽입요홈(1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랩핑부재(24)의 하부끝단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하부고정봉(34)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구(9)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는 삽입요홈(10)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하부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고정봉(34)에는 하부체결공(11)과 부합되는 위치에 하부관통공(35)이 천공되어 있어 통상의 고정핀(12a)이 상기 하부체결공(11)과 하부관통공(35)을 통해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고정구(9)에 랩핑부재(24)의 하부고정봉(34)이 착탈식으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고정판(6a)(6b)은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내측면에 각각 가이드요홈부재(13a)(13b)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요홈부재(13a)(13b)의 내측에는 상부당김부(14)에 구비된 수평대(17)의 좌우양측끝단이 삽입 개재(介在)되어 있어 상기 당김실린더(15a)(15b)의 작동에 따라 수평대(17)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작동되게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당김부(14)는 도 1 내지 3,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부(2)의 상부지지판(5)과 측면고정판(6a)(6b) 사이에 설치되어 랩핑부재(24)를 상부쪽으로 당겨 조여지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상부지지판(5)의 전방 상면부에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는 동시에 상하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실린더축(16a)(16b)이 상부지지판(5)을 수직하방으로 관통한 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축(16a)(16b)의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좌측의 실린더축(16a)과 우측의 실린더축(16b)을 연결하는 수평대(17)가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평대(17)가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 일정간격으로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대(17)의 가운데부분에는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가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각 상부고정구(18a)(18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형상으로 된 한쌍의 수직대(19a)(19b)가 전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의 상부는 상부체결핀(20a)(20b)이 일체로 관통체결되어 있으며 하부는 연결편(21a)(21b)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가운데부분에 관통부(22a)(22b)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관통부(22a)(22b)에 수평대(17)가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가 각각 수평대(17)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대(17)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위치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 사이의 간격은 조립설치되는 상기 랩핑부재(24)의 폭에 맞추어 자유롭게 위치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는 연결편(21a)(21b)으로 연결된 부분의 하부에 상부체결공(23a)(23b)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각각 한쌍으로 된 수직대(19a)(19b) 사이의 하부에는 상기 랩핑부재(24)의 상부끝단에 일체로 고정부착된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에는 상부관통공(33a)(33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에 각각 천공된 상부체결공(23a)(23b)과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관통공(33a)(33b)이 서로 부합되게 위치되고 통상의 고정핀(12b)(12c)으로 상기 상부체결공(23a)(23b)과 상부관통공(33a)(33b)을 통해 관통체결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 하부에 랩핑부재(24)의 상부고정블럭(32)이 착탈식으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랩핑부재(24)는 도 1, 2, 4,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27)가 내측의 공간부(29)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당김부(14)의 상승작동에 의해 조여지면서 상기 촉매담체(27)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정원(正圓)을 이루면서 밀착되어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wrapping)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랩핑부재(24)는 전체적으로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가운데부분에 원형의 공간부(29)가 형성되도록 측면에서 볼 때 "
Figure 112008079955478-pat00001
"과 같은 형상으로 말려있되, 가운데부분에는 전방 일부가 개방된 소정의 직경을 지닌 고리형상의 랩핑판(2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랩핑판(28)의 내측에 원형의 공간부(29)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랩핑판(28)은 하부몸체(3)의 가운데부분에 설치된 받침부재(7)의 안착홈(8)에 안착되어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랩핑판(28)의 개방된 전방 하부끝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상방으로 나란히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랩핑판(28)의 개방된 전방 상부끝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방으로 나란히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하부고정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하부고정대(31)는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 사이를 각각 통과하여 서로 크로스(cross)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가 상부쪽으로 당겨질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부분에 일체로 연결된 고리형상의 랩핑판(28)이 조여지면서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내측 공간부(29)에 수용되는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27)를 정원(正圓)을 형성한 상태로 균일하고 일정하게 조여주도록 되어 있고 상부당김대(30)로부터의 당겨지는 힘이 해제된 경우에는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원상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는 상부끝단에 장방형의 금속판으로 된 상부고정블럭(32)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각 상부당김대(30)의 상부끝단이 상부고정블럭(32)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는 상부당김부(14)의 상부고정구(18a)(18b)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수직대(19a)(19b) 사이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에는 상부관통공(33a)(33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 하부에 천공된 상부체결공(23a)(23b)과 부합되게 위치된 상태 에서 통상의 고정핀(12b)(12c)으로 상기 상부체결공(23a)(23b)과 상부관통공(33a)(33b)을 통해 관통체결하여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 하부에 랩핑부재(24)의 상부고정블럭(32)이 착탈식으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하부고정대(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끝단에 봉형상의 하부고정봉(34)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각 하부고정대(31)의 하부끝단이 하부고정봉(34)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봉(34)은 하부몸체(3)의 전방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하부고정구(9)에 착탈식으로 조립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고정봉(34)의 하부는 하부고정구(9)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삽입요홈(10)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고정봉(34)의 하부에는 하부관통공(35)이 수평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하부고정구(9)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하부체결공(11)과 하부관통공(35)이 부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통상의 고정핀(12a)으로 상기 하부체결공(11)과 하부관통공(35)을 통해 관통체결하여 상기 하부고정구(9)에 랩핑부재(24)의 하부고정봉(34)이 착탈식으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당김부(14)의 작동에 의해 랩핑부재(24)의 상부당김대(30)가 상부쪽으로 당겨질 경우 하부고정봉(34)은 하부고정구(9)에 고정체결되어 있어 랩핑부재(24)의 하부고정대(31)는 고정지지된 상태로 유지되고 가운데부분에 일체로 연결형성된 랩핑판(28)은 상부에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원형을 유지하면서 조여져 원통형 촉매담체(27)를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싼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의 외측 둘레면을 랩핑판(28)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가압하여 상기 촉매담체(27)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이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랩핑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랩핑부재(24)는 랩핑판(28)의 직경과 폭이 다양하게 형성된 서로 다른 치수의 랩핑부재(24)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어 상기 랩핑판(28)의 내측 공간부(29)에 수용되는 촉매담체(27)의 직경과 폭에 따라 이에 알맞는 것을 선택하여 상기 상부당김부(14)와 하부몸체(3) 사이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부몸체(3)의 상면부에는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촉매담체(27)를 랩핑부재(24)의 랩핑판(28) 내측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한 담체투입부(36)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담체투입부(36)는 도 1, 2,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3)의 상면부 우측끝단에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부착된 수직받침판(3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받침판(37)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장방형 긴 판형상의 수평받침판(38)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위치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받침판(38)의 상부에는 장방형의 긴 판형상으로 된 높이조절판(39)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하 나란히 이격설치되어 있되, 상기 높이조절판(39)의 좌측끝단은 상기 랩핑판(28)이 안착되는 받침부재(7)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근접위치되어 상기 수평받침 판(38)의 좌측끝단보다 좌측방향으로 좀더 돌출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그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수직지지봉(40)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수직지지봉(40)의 하부는 하부몸체(3)의 우측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지지봉삽입구(41)에 삽입 개재(介在)되어 있어 상하 수직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판(39)의 하면부 좌우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봉(42a)(42b)이 수직하방으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42a)(42b)은 하부에 위치된 수평받침판(38)를 관통한 상태로 삽입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받침판(37)이 위치된 부분과 일정간격 이격된 우측에는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43)이 수직상방으로 수평받침판(38)을 관통한 상태로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나사봉(43)의 상부끝단은 높이조절판(39)의 하면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결합체결되어 있어 상기 나사봉(43)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핸들부(44)의 정역회전시 상기 수평받침판(38)을 관통한 상태로 나사체결된 나사봉(43)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높이조절판(39)이 수직지지봉(40)과 가이드봉(42a)(42b)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판(39)은 상면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한쌍의 가이드레일(45a)(45b)이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45a)(45b)에는 담체투입수단(47)의 하면부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블럭(46a)(46b)이 가이드결합되어 있어 상기 담체투입수단(47)이 가이드레일(45a)(45b)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담체투입수단(47)은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된 하면판의 전후양측끝단에는 수직상방으로 가이드판(48a)(48b)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48a)(48b)의 상부는 각각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각 가이드판(48a)(48b)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49a)(49b)가 가이드판(48a)(48b)의 상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담체투입수단(47) 위에 올려진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촉매담체(27)가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롤러(49a)(49b)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담체투입부(36)를 이용하여 촉매담체(27) 등을 랩핑부재(24)에 투입하는 경우에는 랩핑부재(24)의 직경 등에 따라 높이조절판(39)의 높낮이를 알맞게 조절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체투입수단(47)을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시켜 랩핑부재(24)의 랩핑판(28)과 근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촉매담체(27)를 담체투입수단(47) 위에 올려놓고 상기 촉매담체(27) 등을 랩핑판(28)의 공간부(29)쪽으로 밀어 넣어주면 상기 가이드롤러(49a)(49b)에 의해 구름이동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랩핑판(28)의 공간부(29) 내측에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담체랩핑장치(1)를 사용하여 원통형 촉매담체(27)의 외측 둘레면 을 금속판으로 된 아웃플레이트(26)로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wrapping)하여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A)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통형 촉매담체(27)의 외측 둘레면에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를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감싼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몸체부(2)와 상부당김부(14) 사이에 조립설치된 랩핑부재(24)의 직경 등에 맞추어 담체투입부(36)에 구비된 높이조절판(39)의 높낮이를 알맞게 조절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체투입수단(47)을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시켜 랩핑부재(24)의 랩핑판(28)과 근접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담체투입수단(47) 위에 상기 촉매담체(27) 등을 올려놓고 랩핑판(28)의 공간부(29)쪽으로 밀어 넣어주면 담체투입수단(47)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9a)(49b)에 의해 구름이동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랩핑판(28)의 공간부(29) 내측에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27)가 투입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당김부(14)에 구비된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를 상승작동시켜 랩핑부재(24)의 상부당김대(30)가 상부쪽으로 당겨질 경우 랩핑부재(24)의 하부고정봉(34)은 하부몸체(3)의 하부고정구(9)에 고정체결되어 있어 랩핑부재(24)의 하부고정대(31)는 고정지지된 상태로 유지되고 가운데부분에 일체로 연결형성된 랩핑판(28)은 상부에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정원(正圓)을 유지하면서 점차적으로 조여져 원통형 촉매담체(27)를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싼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의 외측 둘레면을 랩핑판(28)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가압하여 상기 촉매담체(27)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 레이트(26)이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랩핑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당김부(14)에 구비된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가 하강작동되면 탄성복원력이 강한 금속재질로 된 랩핑부재(24)가 점점 벌어져 그 직경이 커지면서 원상태로 복원되고 외주면에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랩핑된 촉매담체(27)를 담체투입부(36)쪽으로 밀어 랩핑판(28)의 공간부(29)로부터 회수한 다음 상기 촉매담체(27)의 외주면에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된 아웃플레이트(26)의 양끝단 사이를 용접하여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A)를 완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에서 랩핑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상부당김부에서 한쌍의 상부고정구가 수평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랩핑부재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담체투입부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담체투입부를 통해 외측 둘레면에 통상의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를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감싼 원통형 촉매담체가 랩핑부재의 랩핑판 내측으로 투입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랩핑부재 내측에 외측 둘레면에 통상의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를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감싼 원통형 촉매담체가 투입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상부당김부에 구비된 한쌍의 당김실린더가 상승작동되어 랩핑부재의 랩핑판이 조여지면서 촉매담체 외주면에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균일하고 견고하게 랩핑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랩핑장치의 상부당김부에 구비된 한쌍의 당김실린더가 하강작동되면서 랩핑부재의 랩핑판이 원상복원되어 외주면에 내부완충재와 아웃플레이트가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랩핑된 촉매담체가 담체투입부를 통해 회수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10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사시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담체랩핑장치 2. 베이스몸체부
3. 하부몸체 4. 후방몸체
5. 상부지지판 6a, 6b. 측면고정판
7. 받침부재 8. 안착홈
9. 하부고정구 10. 삽입요홈
11. 하부체결공 12a, 12b, 12c. 고정핀
13a, 13b. 가이드요홈부재 14. 상부당김부
15a, 15b. 당김실린더 16a, 16b. 실린더축
17. 수평대 18a, 18b. 상부고정구
19a, 19b. 수직대 20a, 20b. 상부체결핀
21a, 21b. 연결편 22a, 22b. 관통부
23a, 23b. 상부체결공 24. 랩핑부재
25, 25'. 내부완충재 26, 26'. 아웃플레이트
27, 27'. 담체촉매 28. 랩핑판
29. 공간부 30. 상부당김대
31. 하부고정대 32. 상부고정블럭
33a, 33b. 상부관통공 34. 하부고정봉
35. 하부관통공 36. 담체투입부
37. 수직받침판 38. 수평받침판
39.높이조절판 40. 수직지지봉
41. 지지봉삽입구 42a, 42b. 가이드봉
43. 나사봉 44. 핸들부
45a, 45b. 가이드레일 46a, 46b. 가이드블럭
47. 담체투입수단 48a, 48b. 가이드판
49a, 49b. 가이드롤러 50'. 통기공
A, A'. 매연저감촉매조립체

Claims (10)

  1. 하부몸체(3)와 상기 하부몸체(3)의 후방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된 후방몸체(4)와 상기 후방몸체(4)의 상면부에 수평으로 고정부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3)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지지판(5)으로 되어 있는 베이스몸체부(2)와, 상기 상부지지판(5)의 전방 상면부에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하방으로 설치된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와 상기 한쌍의 당김실린더(15a)(15b)의 실린더축(16a)(16b)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당김실린더(15a)(15b)의 의해 승강작동되는 수평대(17)와 상기 수평대(17)의 가운데부분에 끼움체결된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로 이루어진 상부당김부(14)와, 가운데부분에 원형의 공간부(29)가 형성되도록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금속판으로 상부는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몸체(3)의 전방 상면부에 착탈식으로 조립설치되는 랩핑부재(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랩핑부재(24)의 내측에는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둘레면을 느슨하게 둘러싼 원통형의 촉매담체(27)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당김부(14)의 상승작동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랩핑부재(24)가 조여지면서 상기 촉매담체(27)의 외주면에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원형을 이루면서 밀착되게 랩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2)는 하부몸체(3)가 소정의 높이를 지닌 직육면체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판(5)의 좌우양측면에는 수직하방으로 측면고정판(6a)(6b)이 고정 부착되어 있되 상기 측면고정판(6a)(6b)의 후방은 후방몸체(4)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하단부는 하부몸체(3)의 상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어 상기 상부지지판(5)과 측면고정판(6a)(6b) 사이에 상기 상부당김부(14)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3)의 상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랩핑부재(24)의 랩핑판(28)이 안착되는 받침부재(7)가 고정 설치되어 있되 상기 받침부재(7)의 상면부는 가운데부분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착홈(8)이 형성되어 있어 고리형상으로 말려있는 랩핑판(28)의 하부가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고정판(6a)(6b)은 전방 내측면에 각각 가이드요홈부재(13a)(13b)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요홈부재(13a)(13b)의 내측에는 상부당김부(14)에 구비된 수평대(17)의 좌우양측끝단이 삽입 개재되어 있어 상기 당김실린더(15a)(15b)의 작동에 따라 수평대(17)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작동되게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는 바형상으로 된 한쌍의 수직대(19a)(19b)가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의 상부는 상부체결핀(20a)(20b)이 일체로 관통체결되어 있으며 하부는 연결편(21a)(21b)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가운데부분에 관통부(22a)(22b)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관통부(22a)(22b)에 수평대(17)가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각 상부고정구(18a)(18b)가 수평대(17)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대(17)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위치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는 연결편(21a)(21b)으로 연결된 부분의 하부에 상부체결공(23a)(23b)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각각 한쌍으로 된 수직대(19a)(19b) 사이의 하부에는 상기 랩핑부재(24)의 상부끝단에 일체로 고정부착된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에는 상부관통공(33a)(33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에 각각 천공된 상부체결공(23a)(23b)과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관통공(33a)(33b)이 서로 부합되고 통상의 고정핀(12b)(12c)이 상기 상부체결공(23a)(23b)과 상부관통공(33a)(33b)을 통해 관통체결되어 상기 한쌍의 상부고정구(18a)(18b) 하부에 랩핑부재(24)의 상부고정블럭(32)이 착탈식으로 조립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6. 제 1항이나 제 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부재(24)는 가운데부분에 전방 일부가 개방된 소정의 직경을 지닌 고리형상의 랩핑판(2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랩핑판(28)의 내측에 원형의 공간부(29)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랩핑판(28)의 개방된 전방 하부끝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상방으로 나란히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랩핑판(28)의 개방된 전방 상부끝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방으로 나란히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하부고정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하부고정대(31)는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 사이를 각각 통과하여 서로 크로스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가 상부쪽으로 당겨질 경우 가운데부분에 일체로 연결된 고리형상의 랩핑판(28)이 조여지면서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당김대(30)는 상부끝단에 장방형의 금속판으로 된 상부고정블럭(32)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각 상부당김대(30)의 상부끝단이 상부고정블럭(32)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는 상부당김부(14)의 상부고정구(18a)(18b)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수직대(19a)(19b) 사이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부고정블럭(32)의 상부에는 상부관통공(33a)(33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수직대(19a)(19b) 하부에 천공된 상부체결공(23a)(23b)과 부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통상의 고정핀(12b)(12c)이 상기 상부체결공(23a)(23b)과 상부관통공(33a)(33b)을 통해 관통체결되어 착탈식으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고정대(31)는 하부끝단에 하부고정봉(34)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각 하부고정대(31)의 하부끝단이 하부고정봉(34)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봉(34)은 하부몸체(3)의 전방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하부고정구(9)에 착탈식으로 조립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고정봉(34)의 하부는 하부고정구(9)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삽입요홈(10)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고정봉(34)의 하부에는 하부관통공(35)이 수평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하부고정구(9)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하부체결공(11)과 하부관통공(35)이 부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통상의 고정핀(12a)이 상기 하부체결공(11)과 하부관통공(35)을 통해 관통체결되어 상기 하부고정구(9)에 랩핑부재(24)의 하부고정봉(34)이 착탈식으로 조립체결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3)는 상면부에 담체투입부(36)가 설치되어 있어 통상의 내부완충재(25)와 아웃플레이트(26)가 외측 둘레면을 일차적으로 느슨하게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촉매담체(27)가 상기 담체투입부(36)에 의해 구름이동되면서 상기 랩핑부재(24)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랩핑판(28)의 내측 공간부(29)에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투입부(36)는 하부몸체(3)의 상면부 우측끝단에 수직상방으로 고정부착된 수직받침판(3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받침판(37)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장방형의 수평받침판(38)이 좌우방향으로 위치되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받침판(38)의 상부에는 장방형의 높이조절판(39)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하 나란히 이격설치되어 있되, 상기 높이조절판(39)은 수평받침판(38)의 상부에서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판(39)의 상면부에는 좌우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레일(45a)(45b)이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45a)(45b)에는 담체투입수단(47)의 하면부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블럭(46a)(46b)이 가이드결합되어 있어 상기 담체투 입수단(47)이 가이드레일(45a)(45b)을 따라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담체투입수단(47)은 장방형의 하면판의 전후양측끝단에 수직상방으로 가이드판(48a)(48b)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48a)(48b)의 상부는 각각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각 가이드판(48a)(48b)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49a)(49b)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KR1020080115505A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KR10099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05A KR100998507B1 (ko)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05A KR100998507B1 (ko)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20A KR20100056620A (ko) 2010-05-28
KR100998507B1 true KR100998507B1 (ko) 2010-12-07

Family

ID=4228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505A KR100998507B1 (ko)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10B1 (ko) 2013-02-19 2014-02-10 최동옥 촉매와 매트가 자동 공급되는 촉매 컨버터 제조용 랩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10B1 (ko) 2013-02-19 2014-02-10 최동옥 촉매와 매트가 자동 공급되는 촉매 컨버터 제조용 랩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20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0800B2 (en) Radial mounting for regeneration device
US6918755B1 (en) Fuel-fired burner with skewed electrode arrangement
ATE263616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verbrennungsabgasen
KR20120017018A (ko) 디젤 후처리 시스템
EP3456413A3 (en) Small pore molecular sieve supported copper catalyst durable against lean/rich aging for the reduction of nitrogen oxides
EP1921288A4 (en) METHOD FOR REGENERATING A PARTICLE FILTER
KR20120052512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EP1722087A3 (e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802157B2 (en) Diffuser plate for an exhaust aftertreatment module
US2008002875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CN104822915B (zh) 废气构件支架结构
WO2009054421A1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方法および排気浄化装置
KR101503049B1 (ko) 단열층이 커버링된 배기파이프의 제조방법
KR100998507B1 (ko)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의 담체랩핑장치
EP1884631A3 (e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11370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s
CN106460367A (zh) 工程车辆
US200801963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enerating Exhaust Treatment Devices
EP2192279A3 (de) Abgasnachbehandlungs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N104685174B (zh) 发动机装置
US9849416B2 (en) Method for cleaning exhaust filter system
US10329990B2 (en) Asymmetric catalyst cone for swirl induction of exhaust gas flow
CN210388162U (zh) 一种出气筒焊接工装
CN112424459B (zh) 车载发动机的排气结构
KR101494608B1 (ko) 배기파이프제조용 심용접 고정지그 및 이를 구비한 배기파이프제조용 심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