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468B1 - 승강식 컵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컵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468B1
KR101502468B1 KR20140036257A KR20140036257A KR101502468B1 KR 101502468 B1 KR101502468 B1 KR 101502468B1 KR 20140036257 A KR20140036257 A KR 20140036257A KR 20140036257 A KR20140036257 A KR 20140036257A KR 101502468 B1 KR101502468 B1 KR 10150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oading
discharge
cups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학
Original Assignee
현진제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진제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진제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36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65G57/22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컵을 포개어 적재할 때 컵을 손상 없이 적재할 수 있는 컵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 최상측 부분의 찍힘 자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적재되도록 하여, 뚜껑을 컵에 접착했을 때 찍힘 자국 부분으로의 누설로 인해 내용물의 변질 현상이 생기는 불량 컵이 되지 않는 안정된 승강식 컵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승강식 컵 적재장치는, 성형이 완료된 컵을 이송해주는 컵 이송부; 컵 이송부으로부터 공급되는 컵이 낙하하면서 포개지도록 이루어지며, 컵 이송부의 토출측 하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컵이 안착되는 안착대가 구비되는 컵 적재부; 컵 적재부에서 포개진 컵을 외부로 배출하는 컵 배출부; 및 컵 이송부에 설치되어 컵의 이송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컵 적재부로 컵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는 낙하 차단부;를 포함하며, 컵의 낙하 초기 안착대는 상승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컵이 적재되기 시작하며, 컵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안착대는 하강한다.

Description

승강식 컵 적재장치{CUP ACCUMULATOR}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컵을 포개어 적재할 때 컵을 손상 없이 적재할 수 있는 컵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 최상측 부분의 찍힘 자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적재되도록 하여, 뚜껑을 컵에 접착했을 때 찍힘 자국 부분으로의 누설로 인해 내용물의 변질 현상이 생기는 불량 컵이 되지 않는 안정된 승강식 컵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성형 제작이 완료된 컵은 아크릴 튜브 등을 이용하여 포장실 등의 먼 거리를 이송한 후 수직으로 낙하시켜 복수 개의 컵들을 포개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높은 곳에서 낙하되어 먼저 적재되어 있는 컵의 위에 포개지게 될 때, 컵의 상측 부분이 부딪쳐 그 충격으로 컵 상부의 두껑을 접착할 면에 홈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홈은 추후 내용물을 충진한 후 뚜껑을 접착했을 때 공기가 누출되어 내용물을 상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26645호(2013.11.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20584호(2004.03.0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이 적재되는 안착대의 높이를 최대한 높여 떨어지는 컵과의 간격을 최소화함에 따라 컵 끼리 부딪히는 충격도 없도록 하여 결국, 컵의 상측 면에 손상이 생기지 않는 양호한 승강식 컵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승강식 컵 적재장치는, 성형이 완료된 컵을 이송해주는 컵 이송부; 컵 이송부으로부터 공급되는 컵이 낙하하면서 포개지도록 이루어지며, 컵 이송부의 토출측 하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컵이 안착되는 안착대가 구비되는 컵 적재부; 컵 적재부에서 포개진 컵을 외부로 배출하는 컵 배출부; 및 컵 이송부에 설치되어 컵의 이송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컵 적재부로 컵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는 낙하 차단부;를 포함하며, 컵의 낙하 초기 안착대는 상승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컵이 적재되기 시작하며, 컵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안착대는 하강한다.
본 발명 승강식 컵 적재장치는, 컵 적재부에 구비되어 포개지는 컵에 진동을 가해 컵이 안정적으로 포개지도록 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한다.
컵 적재부는, 컵 이송부의 토출측 하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컵의 낙하경로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컵이 포개어지는 컵 적재구간; 컵 적재구간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대; 및 컵 적재구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개지는 컵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컵 배출부는, 컵 적재구간의 측면 일부를 형성하되 다른 부분과 분리되며 하단부가 컵 적재구간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컵 적재구간의 바깥쪽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적재가 완료된 컵이 그 내측면에 놓여지도록 이루어진 배출대; 및 배출대의 회동을 조절하고, 회동되는 배출대를 지지하는 배출대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낙하 차단부는 컵 이송부의 토출경로를 차단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되, 차단판은 토출통로를 가로지도록 전후진되면서 통로를 차단하거나 토출통로 내에서 회동 방식에 의해 작동하면서 통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컵 적재부에서의 컵 적재가 완료되어 컵 배출부를 통해 컵이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차단판이 토출경로를 차단하게 되고 컵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은 차단판에 의해 낙하가 방지된 상태에서 포개지며, 컵 배출이 완료되어 컵 배출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막혔던 토출경로가 열리면서 차단판에 의해 낙하가 방지된 상태로 포개진 컵들이 컵 적재부로 낙하된다.
컵 이송부의 토출측 및 컵 적재부에는 컵이 이송되고 적재되는 과정에서 그 통로 상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공기 소통공간이 구비된다.
컵 이송부의 토출 토출통로와 컵 적재부에 형성되는 컵 적재구간의 측면은 복수 개의 로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형태이며, 로드 사이로 공기가 소통된다.
본 발명 승강식 컵 적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컵의 낙하 초기 안착대는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컵이 적재되기 시작하며, 컵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안착대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컵의 낙하거리를 짧게 유지하도록 하여 컵이 낙하하여 포개질 때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함에 따라 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컵 상부에서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컵 상부에 뚜껑을 접착할 때 접착부분에서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가 소통될 염려가 없으며 컵에 담긴 내용물이 상할 염려가 없다.
둘째, 컵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진동부를 이용해 컵으로 상하방향 진동을 가해줌으로써, 적재되는 컵이 바르게 적재될 수 있다.
셋째, 적재된 컵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낙하 차단부를 이용해 컵의 토출을 정지시킴으로써, 적재된 컵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컵의 토출을 정지시키기 위한 차단판이 전후진 방식에 의해 작동하므로 컵의 토출정지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컵 토출이 정지되더라도 컵 이송부 내에서의 이송을 계속되며 이송되는 컵이 차단판에 계속해서 포개지도록 이루어지므로, 컵 배출 완료 후 컵의 적재를 재개하게 되면 적재된 컵이 한꺼번에 낙하하게 되어, 컵 이송 및 연속 적재 작업이 멈춤 없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컵 적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외곽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안착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컵이 적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은 안착대가 하강한 상태에서 컵이 적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안착대가 하강한 상태에서 진동부와 겹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컵 이송부로부터의 컵 토출이 정지되고 적재된 컵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컵 토출 정지를 위해 낙하 차단부가 작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배출된 컵이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승강식 컵 적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컵 적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외곽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컵 적재장치는, 컵 이송부(100), 컵 적재부(200), 컵 배출부(300) 및 낙하 차단부(400)를 포함한다.
컵 이송부(100)는 고압의 에어로 컵을 컵 적재부(200)로 이송하는 것으로, 통로의 측벽이 막힌 형태의 초기 구간(110)과, 통로의 측벽이 개방된 형태의 토출 구간(120)으로 구분된다.
초기 구간(110)은 아크릴 튜브로 제작되어 고압의 에어에 의해 컵이 이송될 때 에어가 측벽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컵의 이송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 구간에서는 컵이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이송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컵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에어의 손실이 없어야 한다.
토출 구간(120)에서는 컵을 이송해주는 에어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컵의 이송속도를 줄여준다. 즉, 토출 구간(120)은 아래를 향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고압의 에어로 컵을 계속해서 밀어주게 되면 컵의 토출 속도가 너무 빨라 컵 적재부(200)에서 컵이 포개지는 과정에서 컵 끼리 충돌할 때 컵이 찌그러질 염려가 크다. 따라서, 토출 구간(120)에서는 에어로 컵을 밀어주는 형태가 아니라 관성에 의해 컵이 이송되도록 하여 토출 속도를 줄이게 된다. 이를 위해 토출 구간(120)의 측벽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측벽로드(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벽로드(121) 사이에 에어의 외부 배출을 위한 에어 소통공간이 형성된다.
컵 적재부(200)는 컵 이송부(100)의 토출측 하방에 설치되어 컵 이송부(100)로부터 토출되는 컵이 수직으로 낙하하면서 정해진 개수로 포개지도록 이루어진다. 컵 적재부(200)는 컵 적재구간(210), 안착대(220), 진동부(230) 및 외곽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컵 적재구간(210)은 컵 이송부(100)의 토출측 하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컵의 낙하경로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컵이 포개어지면서 적재된다. 컵 적재구간(210)의 측벽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측벽로드(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대(220)는 컵 적재구간(210)를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컵이 안착된다. 안착대(220)는, 외곽 프레임(24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221)와, 지지부(221)에 연장되며 컵 적재구간(210) 내에 위치되어 그 상면에 컵이 안착되되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안착로드(222)를 포함한다. 안착로드(222)는 컵 적재구간(210)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로드(211) 사이에 삽입되어 승강된다. 안착대(220)의 승강은 에어실린더 등의 작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진동부(230)는 컵 적재구간(2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되는 컵을 상하로 진동시킴으로써 적재되는 컵이 삐뚤어지지 않고 올바로 적재되도록 한다. 진동부(230)의 상하 진동은 솔레노이드 등의 작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외곽 프레임(240)은 컵 적재구간(210)의 바깥쪽에서 컵 적재구간(210)을 감싸듯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 안착대(2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컵 배출부(300)는 컵 적재부(200)에 포개진 컵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컵 적재구간(210)의 측면 일부를 구성하는 후술할 배출대(310)와, 배출대(31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동을 조절하는 배출대 회동수단(320)을 포함한다. 배출대(310)의 하단부는 컵 적재구간(210)의 하방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배출대 회동수단(320)으로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낙하 차단부(400)는 컵 이송부(100)의 토출 구간(120)에 설치되어 컵의 이송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컵 적재부(200)로 컵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3은 안착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컵이 적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은 안착대가 하강한 상태에서 컵이 적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안착대가 하강한 상태에서 진동부와 겹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컵 이송부(100)의 토출구간으로부터 토출되어 낙하하는 컵이 컵 적재부(200)를 구성하는 컵 적재구간(210)의 하부까지 낙하하게 되면 낙하거리가 길어져 컵이 포개질 때 그 충격이 커진다. 컵이 포개지면서 충격이 커지면 컵의 일부가 찌그러지는 등 파손의 염려가 그만큼 커진다. 종이컵의 경우 찌그러지면 손쉽게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지만, 알루미늄 컵의 경우 찌그러지게 되면 원상태로 복구하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컵라면용 컵의 경우 컵의 입구가 찌그러지면 입구에 필름으로 된 뚜껑을 접착할 때 접착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컵의 낙하 초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220)가 컵 이송부(100)의 토출측에 근접되게 상승함으로써, 컵의 낙하거리를 짧게 유지한다. 즉, 안착대(220)가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면에 컵이 적재되면 컵의 낙하거리가 짧기 때문에 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착대(2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컵을 계속 적재할 수 없기 때문에 컵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안착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세팅한 수량의 컵이 적재될 때까지 하강한다. 안착대(220)가 하강한 상태라도 안착대(2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적재된 컵의 높이만큼 컵의 낙하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착대(2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안착대(2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안착로드(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230)의 바깥쪽으로 겹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적재된 컵 중 최하부에 위치된 컵은 진동부(230)의 상면에 접촉된다. 진동부(230)는 상하로 진동하기 때문에 상하 진동이 컵으로 그대로 전달되면서 상하로 포개지는 컵들이 삐뚤어지지 않고 올바르게 적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안착대(220)에 진동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착대(2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컵이 적재되는 과정에서도 적재되는 컵에 진동이 가해져 컵이 올바르게 적재될 수 있다.
도 6은 컵 이송부로부터의 컵 토출이 정지되고 적재된 컵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컵 토출 정지를 위해 낙하 차단부가 작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배출된 컵이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컵 배출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컵 적재구간(210)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되 다른 부분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하단부가 컵 적재구간(210)의 하방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배출대(310)와, 배출대(31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배출대 회동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대(310)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측벽로드로 구성된다. 배출대(310)의 내측면은 배출대(310)가 아래로 회동할 때 포개진 컵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낙하 차단부(400)는 컵 이송부(100)의 토출 구간(120)에 설치되어 토출 구간(120)으로부터의 컵 토출을 차단하는 것으로, 토출 구간(120)의 양쪽에서 토출 구간(120)을 가로지르며 전후진하면서 토출경로를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판(410), 및 토출 구간(1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며 차단판(410)을 전후진시키는 차단판 구동수단(420)을 포함한다. 차단판 구동수단(420)으로는 에어에 의해 차단판(410)을 전후진시키도록 에어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단판은 스윙방식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컵 배출부(300) 및 낙하 차단부(400)의 작동을 통해 적재된 컵을 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컵 적재부(200)에서의 컵 적재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 차단부(400)의 차단판 구동수단(420)이 작동하여 차단판(410)이 전진함으로써 토출 구간(120)의 토출경로가 차단되어 컵 적재부(200)로의 컵 토출이 일시 정지된다. 컵 적재부(200)로의 컵 토출은 차단되더라도 컵 이송부(100) 내에서의 컵 이송을 계속해서 진행되며 이송되는 컵은 차단판(410) 위에 포개진다.
컵 토출이 정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대 회동수단(320)이 작동하여 배출대(310)를 바깥쪽으로 회동시켜 적재된 컵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컵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적재된 컵은 배출대(310)의 내측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회동하여 가로로 길게 배출된다. 배출대(310)에 놓여진 상태로 배출되는 컵은 후속공정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프레임(240) 바깥에 형성된 경사면(330)을 따라 흘러내린다.
한편, 컵 적재부(200)를 구성하는 진동부(230)는 배출대(31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배출대(310)와 함께 회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적재된 컵은 안착대(220)뿐만 아니라 진동부(230)의 상면에도 동시에 안착되기 때문에 진동부(230)가 배출대(310)와 함께 회동하면, 그 위에 안착된 컵이 자동으로 배출대(310)의 내측면에 놓여져 회동하게 된다.
배출대(310)가 완전 회동하여 그 내측면에 놓여진 컵이 경사면(330) 쪽으로 흘러내리게 되면, 배출대 회동수단(320)의 작동으로 배출대(310)는 상승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배출대(310)와 함께 진동부(230)도 원상태로 복귀된다. 진동부(230)는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안착대(220)를 구성하는 두 안착로드(222) 사이에 놓여지게 된다.
배출대(310) 및 진동부(23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차단판 구동수단(420)의 작동으로 차단판(410)이 후진하여 토출 구간(120)의 토출경로가 열리게 되며, 토출경로 내에서 포개졌던 컵이 컵 적재부(200)로 낙하한다. 이 때, 컵 적재부(200)의 안착대(220)가 승강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컵이 낙하하게 되면 안착대(220)에 닿게 되는 최하단의 컵이 자중으로 인한 낙하충격으로 컵 상면이 주저 않는 불량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안착대(200)에 완충패드 등을 부착하여 충격을 감소시키려 해도 불량현상이 완전 해소되지 못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컵 적재부(200)의 안착대(2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컵이 낙하하여 안착되면 상기와 같은 불량현상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승강식 컵 적재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00 : 컵 이송부 110 : 초기 구간
120 : 토출 구간 200 : 컵 차단부
210 : 컵 적재구간 220 : 안착대
221 : 지지부 222 : 안착로드
230 : 진동부 240 : 외곽 프레임
300 : 컵 배출부 310 : 배출대
320 : 배출대 회동수단 330 : 경사면
400 : 낙하 차단부 410 : 차단판
420 : 차단판 구동수단

Claims (8)

  1. 성형이 완료된 컵을 이송해주는 컵 이송부;
    상기 컵 이송부으로부터 공급되는 컵이 낙하하면서 포개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 하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컵이 안착되는 안착대가 구비되는 컵 적재부;
    상기 컵 적재부에서 포개진 컵을 외부로 배출하는 컵 배출부; 및
    상기 컵 이송부에 설치되어 컵의 이송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컵 적재부로 컵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는 낙하 차단부;를 포함하며,
    컵의 낙하 초기 상기 안착대는 상승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컵이 적재되기 시작하며, 컵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착대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적재부에 구비되어 포개지는 컵에 진동을 가해 컵이 안정적으로 포개지도록 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적재부는,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 하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컵의 낙하경로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컵이 포개어지는 컵 적재구간;
    상기 컵 적재구간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안착대; 및
    상기 컵 적재구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개지는 컵에 진동을 가하는 상기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 배출부는,
    상기 컵 적재구간의 측면 일부를 형성하되 다른 부분과 분리되며 하단부가 상기 컵 적재구간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컵 적재구간의 바깥쪽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적재가 완료된 컵이 그 내측면에 놓여지도록 이루어진 배출대; 및
    상기 배출대의 회동을 조절하고, 회동되는 배출대를 지지하는 배출대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차단부는 컵 이송부의 토출경로를 차단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되, 차단판은 토출통로를 가로지도록 전후진되면서 통로를 차단하거나 토출통로 내에서 회동 방식에 의해 작동하면서 통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컵 적재부에서의 컵 적재가 완료되어 컵 배출부를 통해 컵이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차단판이 토출경로를 차단하게 되고 컵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은 차단판에 의해 낙하가 방지된 상태에서 포개지며, 컵 배출이 완료되어 컵 배출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막혔던 토출경로가 열리면서 차단판에 의해 낙하가 방지된 상태로 포개진 컵들이 컵 적재부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 및 상기 컵 적재부에는 컵이 이송되고 적재되는 과정에서 그 통로 상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공기 소통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 토출통로와 컵 적재부에 형성되는 컵 적재구간의 측면은 복수 개의 로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형태이며, 로드 사이로 공기가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컵 적재장치.
KR20140036257A 2014-03-27 2014-03-27 승강식 컵 적재장치 KR10150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257A KR101502468B1 (ko) 2014-03-27 2014-03-27 승강식 컵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257A KR101502468B1 (ko) 2014-03-27 2014-03-27 승강식 컵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468B1 true KR101502468B1 (ko) 2015-03-18

Family

ID=5302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6257A KR101502468B1 (ko) 2014-03-27 2014-03-27 승강식 컵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4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86A (ko) * 2015-03-20 2016-09-28 현진제업주식회사 컵 적재장치
KR102068099B1 (ko) * 2018-10-16 2020-01-20 박정곤 플라스틱 컵 및 뚜껑의 적재 및 틸팅장치
CN111114895A (zh) * 2019-11-26 2020-05-08 芜湖市哈贝纸业有限公司 一种纸杯堆叠收集装置
KR102118202B1 (ko) 2019-02-08 2020-06-02 주식회사 달콤 컵 디스펜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934B1 (en) * 1999-04-08 2004-10-19 Fernanda Bianchi Method for packaging disposable articles for parties,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and final package obtain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934B1 (en) * 1999-04-08 2004-10-19 Fernanda Bianchi Method for packaging disposable articles for parties,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and final package obtaine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86A (ko) * 2015-03-20 2016-09-28 현진제업주식회사 컵 적재장치
KR101706685B1 (ko) 2015-03-20 2017-02-15 현진제업주식회사 컵 적재장치
KR102068099B1 (ko) * 2018-10-16 2020-01-20 박정곤 플라스틱 컵 및 뚜껑의 적재 및 틸팅장치
KR102118202B1 (ko) 2019-02-08 2020-06-02 주식회사 달콤 컵 디스펜서
CN111114895A (zh) * 2019-11-26 2020-05-08 芜湖市哈贝纸业有限公司 一种纸杯堆叠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468B1 (ko) 승강식 컵 적재장치
TW201922465A (zh) 積層製造加工槽及其積層製造設備
JP2001139148A (ja) 容器を順次荷空け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0247869A (ja) ケーサ
KR102154171B1 (ko) 분체 일괄처리 시스템
JP2008189389A (ja) 荷空け用マガジン、および、ロッド形状の製品でもって充填されたトレー、特に竪穴式トレーを荷空けするための方法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KR101931818B1 (ko) 곤포 용기, 곤포체 및 곤포 방법
JP2002240803A (ja) 農産物の計量箱詰装置
JP7294628B2 (ja)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JP6584109B2 (ja) 粉粒体の充填装置
JP2017065883A (ja) 容器供給装置
JP2017065748A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JP5935362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のバッグ収納装置
JP6228802B2 (ja) 袋状容器の充填装置、袋状容器の充填方法および袋状包装体の製造方法
JP3330986B2 (ja) 粉体の充填および回収装置
JP6567306B2 (ja) シール装置
JP2020083394A (ja) スチーム置換装置及びスチーム置換方法
JP2020164223A (ja) 容器処理装置
JP6516526B2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3081202A (ja) 粉粒体充填方法および装置
KR101964942B1 (ko) 분체형 포장대상물용 충전포장장치
JP6749615B2 (ja) 容器供給装置
JP4148467B2 (ja) 板状部材の供給装置及び排出装置
JP6433354B2 (ja) 容器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