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685B1 - 컵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컵 적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6685B1 KR101706685B1 KR1020150038849A KR20150038849A KR101706685B1 KR 101706685 B1 KR101706685 B1 KR 101706685B1 KR 1020150038849 A KR1020150038849 A KR 1020150038849A KR 20150038849 A KR20150038849 A KR 20150038849A KR 101706685 B1 KR101706685 B1 KR 101706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conveying
- cups
- stacked
- convey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일정량의 개수로 포개서 적재함에 있어서 이송되는 컵이 겹쳐지면서 포개질 때 컵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올바르게 포개져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컵 적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이송시키며, 이송되는 컵들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컵 정렬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컵 이송부;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컵이 포개져 적재되는 컵 적재부; 및 상기 컵 적재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적재부에 포개진 컵을 배출시키는 컵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컵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일정량의 개수로 단위 포장할 때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컵들을 자동으로 포개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컵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용기와 같은 일회용 컵을 일정량의 개수로 포개어 단위 포장함에 있어서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자동으로 포개서 적재해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성형 제작된 컵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포개서 적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작업은 단순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싫증을 내거나 지치게 될 뿐만 아니라 컵을 포장하기 위하여 정렬하는 시간과 인원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시간적인 면에서나 비용적인 면에서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일정량의 개수로 포개서 적재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지만, 컵들을 적재시 재질 관계상 접촉마찰력이 크므로 서로 간에 정확히 맞춰지지 않을 경우 컵과 컵 사이가 들뜨거나 완전히 포개어지지 않고 삐뚤어지게 포개지면서 적재가 되어 작업자가 기계 가동을 중단하고 적재를 하거나 혹은 일정량의 개수로 단위포장하기 전에 인위적으로 다시 한번 적재를 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함과 함께 노동력이 소요되는 등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일정량의 개수로 포개서 적재함에 있어서 이송되는 컵이 겹쳐지면서 포개질 때 컵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올바르게 포개져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컵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이송시키며, 이송되는 컵들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컵 정렬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컵 이송부;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컵이 포개져 적재되는 컵 적재부; 및 상기 컵 적재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적재부에 포개진 컵을 배출시키는 컵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이송부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공급하는 컵 공급관의 토출측과 연결되어 컵의 이송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튜브 형상을 갖는 컵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정렬이송수단은, 상기 컵 이송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관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상부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컵 이송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관의 하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하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하부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컨베이어부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부가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 및 하측을 쳐줌으로써 컵들은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컨베이어부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부 보다 회전 속도가 더 빠르게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을 하측보다 더 빠르게 쳐줌으로써 컵의 후단부 하측을 상기 이송관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컵들은 서로 간에 정확하게 포개지면서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컨베이어부는, 상기 컵 이송관의 인입구와 토출구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롤러; 한 쌍의 상기 상부 컨베이어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고, 상기 컵 이송관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상부 컨베이어벨트; 및 한 쌍의 상기 상부 컨베이어롤러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상부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컨베이어부는, 상기 컵 이송관의 인입구와 토출구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컨베이어롤러; 한 쌍의 상기 하부 컨베이어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고, 상기 컵 이송관의 하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하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하부 컨베이어벨트; 및 한 쌍의 상기 하부 컨베이어롤러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하부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적재부는,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부로부터 토출되는 컵이 포개져 적재될 수 있도록 컵 적재구간의 측벽을 형성하는 컵 적재프레임; 및 상기 컵 적재프레임의 컵 적재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컵 적재프레임에 포개져 적재되는 컵을 적정개수의 단위개체로 이격시키는 컵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이격부는, 상기 컵 적재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컵 적재프레임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로드바; 상기 로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로드바를 따라 상기 컵 적재프레임의 컵 적재구간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컵 적재프레임에 포개져 적재되는 컵을 적정개수의 단위개체로 이격시키는 이격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컵 적재장치는, 상기 컵 이송부와 상기 컵 적재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컵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컵이 상기 컵 적재부에 적정개수만큼 포개져 적재되면 상기 컵 이송부로부터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되는 컵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컵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차단부는,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구를 가로지르도록 전후진되면서 토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차단판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적재부에서 컵 적재가 완료되어 상기 컵 배출부를 통해 컵이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차단판이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구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컵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은 상기 차단판에 의해 상기 컵 이송부의 내부에서 포개지며, 컵 배출이 완료되어 상기 컵 배출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차단된 토출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차단판에 의해 포개진 컵들이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되면서 포개져 적재된다.
본 발명의 컵 적재장치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일정량의 개수로 포개서 적재함에 있어서 이송되는 컵이 겹쳐지면서 포개질 때 컵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올바르게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적재 및 포장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하며, 별도의 정렬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포장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줄여주고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상부 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컵 이송부의 평면도.
도 6은 하부 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컵 이송부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적재부 및 컵 배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적재부 및 컵 배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의 컵 이송 및 적재과정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A부분의 확대도로서, 컵 이송부에 구비된 컵 정렬이송수단에 의해 컵이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이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의 컵 배출과정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상부 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컵 이송부의 평면도.
도 6은 하부 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컵 이송부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적재부 및 컵 배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적재부 및 컵 배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의 컵 이송 및 적재과정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A부분의 확대도로서, 컵 이송부에 구비된 컵 정렬이송수단에 의해 컵이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이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의 컵 배출과정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10)을 이송시키는 컵 이송부(100)와, 컵 이송부(100)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컵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컵(10)이 포개져 적재되는 컵 적재부(200)와, 컵 이송부(100)와 컵 적재부(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컵 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되는 컵(10)이 컵 적재부(200)에 적정개수만큼 포개져 적재되면 컵 이송부(100)로부터 컵 적재부(200)로 이송되는 컵(10)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컵 차단부(300)와, 컵 적재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컵 적재부(200)에 포개진 컵(1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컵 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컵 적재장치는 컵라면 용기와 같은 일회용 컵을 일정량의 개수로 포개어 단위 포장함에 있어서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10)들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림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포개져 적재되도록 하며,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11)의 상단 입구측에 접이식 덮개부(13)가 형성된 컵 케이스 형상의 일회용 컵(10)들을 자동으로 정렬하면서 포개어 적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상부 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컵 이송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하부 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컵 이송부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이송부(100)는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10)을 컵 적재부(2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송 프레임(110), 컵 이송관(120) 및 컵 정렬이송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프레임(110)은 다수 개의 프레임으로 제작된 사각형 프레임 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 프레임(110)은 전면에 성형된 컵(10)을 고압의 에어에 의해 공급하는 컵 공급관(20, 도 10 참조)이 연결될 수 있도록 컵 공급관 연결구(111)가 원형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컵 공급관(20)의 단부는 컵 공급관 연결구(111)를 통과하여 후술할 컵 이송관(120)의 인입구측과 연결된다.
컵 이송관(120)은 이송 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컵 공급관(20)의 토출측과 연결되어 컵(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된다. 컵 이송관(120)은 원형의 아크릴 튜브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컵 이송관(120)은 내부 공간을 통해 컵(10)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컵 이송관(120)의 내경을 컵(10)의 외경과 대략 일치되거나 컵(10)의 외경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 이송관(120)은 상면과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상면 개구부(121)와 하면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컵 이송관(120)은 컵(10)을 이송하는 고압의 에어가 상면 개구부(121) 및 하면 개구부(12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컵 이송관(120)의 일측에는 컵 이송관(120)을 통해 이송되는 컵(10)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14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 이송관(120)의 중간부위에 카운터(140)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컵 이송관(120)의 인입구측 또는 토출구측에 카운터(1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컵 정렬이송수단(130)은 컵 이송관(120)을 통해 이송되는 컵(10)들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후술할 컵 적재부(2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컵 정렬이송수단(130)은 상부 컨베이어부(131) 및 하부 컨베이어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컨베이어부(131)는 컵 이송관(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컵 이송관(120)의 상면 개구부(121)를 통해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상측(10a)과 접촉하면서 컵(10)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상부 컨베이어부(131)는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 및 상부 구동모터(131c)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는 컵 이송관(120)의 인입구와 토출구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의 회전축은 컵 이송관(120)의 길이방향, 즉 컵(10)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는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는 무한궤도 벨트의 하면이 컵 이송관(120)의 상면 개구부(121)를 통해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상측(10a)과 접촉하면서 컵(10)을 자동으로 정렬하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또한,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의 사이에 벨트지지롤러(131d)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구동모터(131c)는 모터회전축이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 중 어느 하나의 롤러회전축과 축결합되어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를 회전 구동시킨다.
하부 컨베이어부(132)는 컵 이송관(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컵 이송관(120)의 하면 개구부(122)를 통해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하측(10b)과 접촉하면서 컵(10)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하부 컨베이어부(132)는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 및 하부 구동모터(132c)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는 컵 이송관(120)의 인입구와 토출구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때,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의 회전축은 컵 이송관(120)의 길이방향, 즉 컵(10)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컵 이송관(120)의 토출구측에 설치되는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는 상부 컨베이어롤러(131a)보다는 컵 이송관(120)의 토출구로부터 컵 이송방향으로 더 많이 이격되게 설치되어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가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보다 컵 이송부(100)의 토출구로부터 컵 적재부(200)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는 한 쌍의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는 무한궤도 벨트의 상면이 컵 이송관(120)의 하면 개구부(122)를 통해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하측(10b)과 접촉하면서 컵(10)을 자동으로 정렬하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또한,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는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보다 컵 이송부(100)의 토출구로부터 컵 적재부(200)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의 사이에 벨트지지롤러(132d)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구동모터(132c)는 모터회전축이 한 쌍의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 중 어느 하나의 롤러회전축과 축결합되어 하부 컨베이어롤러(132a)를 회전 구동시킨다.
상부 컨베이어부(131)와 하부 컨베이어부(132)는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상측(10a) 및 하측(10b)을 쳐줌으로써 컵(10)들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올바르게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컵 적재부(200)로 이송되도록 한다. 특히, 상부 컨베이어부(131)는 하부 컨베이어부(132) 보다 컨베이어벨트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르게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상측(10a)을 둘레부 하측(10b)보다 더 빠르게 쳐줌으로써 컵(10)의 후단부 하측을 컵 이송관(120)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약간 이격되도록 하여 컵(10)들은 서로 간에 정확하게 포개지면서 컵 적재부(20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적재부 및 컵 배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컵 적재장치의 컵 적재부 및 컵 배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적재부(200)는 컵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컵(10)을 포개어 적재하는 역할을 하며, 컵 적재프레임(210) 및 컵 이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컵 적재프레임(210)은 컵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컵(10)이 포개져 적재될 수 있도록 컵 이송관(120)의 토출구측과 연결되도록 베이스 프레임(50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컵 적재프레임(210)은 내부에서 컵 이송부(100)로부터 토출되는 컵(10)이 포개져 적재될 수 있도록 컵 적재구간(210a)의 측벽을 형성하며, 컵 적재구간(210a)의 측벽은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측벽로드(211)로 구성될 수 있다.
컵 이격부(220)는 컵 적재프레임(210)의 컵 적재구간(210a)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컵 적재프레임(210)에 포개져 적재되는 컵(10)을 단위포장이 용이하도록 적정개수의 단위개체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컵 이격부(220)는 컵 적재프레임(210)의 상부에 이동가이드로드(222)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컵 적재프레임(21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로드바(221)와, 로드바(2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223)와, 로드바(221)를 따라 컵 적재프레임(210)의 컵 적재구간(210a)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컵 적재프레임(210)에 포개져 적재되는 컵(10)을 적정개수의 단위개체로 이격시키는 ㄱ 자 형상의 이격그리퍼(225)로 구성될 수 있다.
컵 차단부(300)는 컵 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되는 컵(10)이 컵 적재부(200)에 적정개수만큼 포개져 적재되면 컵 이송부(100)로부터 컵 적재부(200)로 이송되는 컵(10)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컵 차단부(300)는 컵 이송부(100)와 컵 적재부(200)의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컵 차단부(300)는 컵 이송부(100)의 토출측 또는 컵 적재부(200)의 인입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컵 차단부(300)는 컵 이송부(100)의 토출구를 가로지르도록 전후진되면서 토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310)과, 차단판(310)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차단판 구동수단(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단판 구동수단(320)으로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어에 의해 차단판(310)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공압실린더, 예컨대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판(310)을 전후진시키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단판(310)을 스윙방식에 의해 회전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컵 적재부(200)에서 컵 적재가 완료되어 후술할 컵 배출부(400)를 통해 컵(10)이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차단판(310)이 전진 이동하여 컵 이송부(100)의 토출구를 차단하게 되고, 컵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컵(10)은 차단판(310)에 의해 컵 이송부(100)의 내부에서 포개지며, 컵 배출이 완료되어 컵 배출부(40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차단판(310)이 후진 이동하여 차단된 토출구가 개방되면서 차단판(310)에 의해 포개진 컵(10)들이 컵 적재부(200)로 이송되면서 포개져 적재된다.
컵 배출부(400)는 컵 적재부(200)에 포개져 적재된 컵(10)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컵 적재구간(210a)의 측면 일부를 구성하는 배출대(410, 도 12 참조)와, 배출대(41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동을 조절하는 배출대 구동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대(410)의 하단부는 컵 적재프레임(210)의 하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411)로 결합된다. 배출대 구동수단(420)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어에 의해 배출대(410)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공압실린더, 예컨대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의 컵 이송 및 적재과정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A부분의 확대도로서, 컵 이송부에 구비된 컵 정렬이송수단에 의해 컵이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이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적재장치의 컵 배출과정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미도시)에서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10)이 별도의 공급장치(미도시), 예컨대 고압 에어장치에 의해 컵 공급관(20)을 통해 컵 이송관(120)의 인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와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가 회전하면서 컵(10)을 인입구측의 반대방향인 토출구측으로 밀어 이송시킨다.
이때,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는 무한궤도 벨트의 하면이 컵 이송관(120)의 상면 개구부(121)를 통해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상측(10a)과 접촉하면서 컵(10)을 자동으로 정렬하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고,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는 무한궤도 벨트의 상면이 컵 이송관(120)의 하면 개구부(122)를 통해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하측(10b)과 접촉하면서 컵(10)을 자동으로 정렬하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이처럼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와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는 회전하면서 컵(10)의 둘레부 상측(10a)과 둘레부 하측(10b)을 쳐줌으로써 컵(10)들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올바르게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컵 적재부(200)로 이송되도록 한다.
특히, 상부 컨베이어벨트(131b)의 회전속도(V1)를 하부 컨베이어벨트(132b)의 회전속도(V2) 보다 더 빠르게 회전시켜 이송되는 컵(10)의 둘레부 상측(10a)을 둘레부 하측(10b)보다 더 빠르게 쳐줌으로써 컵(10)의 후단부 하측(10c)을 컵 이송관(120)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약간 이격된 상태로 이송시켜 컵(10) 서로 간에 포개짐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컵(10)들은 서로 간에 삐뚤어지거나 회전이 없이 올바르게 포개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컵 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되는 컵(10)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컵 적재부(200)에 포개어져 적재된다. 이어서, 컵 적재부(200)에서의 적정개수만큼 컵 적재가 완료되면, 컵 차단부(300)의 차단판 구동수단(320)이 작동하여 차단판(310)을 전진시켜 컵 이송관(120)의 토출구를 차단함으로써 컵 적재부(200)로의 컵 토출이 일시 정지된다. 이때, 컵 적재부(200)로의 컵 토출을 차단되더라도 컵 이송부(100) 내에서의 컵 이송은 계속해서 진행되며 이송되는 컵(10)들은 차단판(310)에 의해 포개진다.
컵 토출이 정지되면, 컵 적재부(200)로 토출된 컵(10)들은 이격그리퍼(225)에 의해 적정개수의 단위개체로 이격되어 컵 적재프레임(210)의 단부에 포개져 적재된다.
컵 적재가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대 회동수단(420)이 작동하여 배출대(410)를 바깥쪽으로 회동시켜 적재된 컵(10)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컵(10)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적재된 컵(10)은 배출대(410)의 내측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회동하여 가로로 길게 배출된다. 이때, 배출대(410)에 놓여진 상태로 배출되는 컵(10)은 후속공정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500)에 형성된 경사판(430)을 따라 흘러내린다.
컵 배출이 완료되면, 배출대 회동수단(420)의 작동으로 배출대(410)는 상승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차단판 구동수단(320)의 작동으로 차단판(310)이 후진하여 컵 이송관(120)의 토출구를 개방하게 되고, 토출구가 개방됨으로써 컵 이송관(120)의 내부에서 포개졌던 컵(10)이 컵 이송관(120)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어 컵 적재부(200)에 적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10)을 일정량의 개수로 포개서 적재함에 있어서 이송되는 컵(10)이 겹쳐지면서 포개질 때 컵(10)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올바르게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적재 및 포장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하며, 별도의 정렬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포장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줄여주고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컵 이송부 110 : 이송 프레임
120 : 컵 이송관 130 : 컵 정렬이송수단
131 : 상부 컨베이어부 132 : 하부 컨베이어부
140 : 카운터 200 : 컵 적재부
210 : 컵 적재프레임 220 : 컵 이격부
221 : 로드바 223 : 구동실린더
225 : 이격그리퍼 300 : 컵 차단부
310 : 차단판 320 : 차단판 구동수단
400 : 컵 배출부 410 : 배출대
420 : 배출대 구동수단 500 : 베이스 프레임
120 : 컵 이송관 130 : 컵 정렬이송수단
131 : 상부 컨베이어부 132 : 하부 컨베이어부
140 : 카운터 200 : 컵 적재부
210 : 컵 적재프레임 220 : 컵 이격부
221 : 로드바 223 : 구동실린더
225 : 이격그리퍼 300 : 컵 차단부
310 : 차단판 320 : 차단판 구동수단
400 : 컵 배출부 410 : 배출대
420 : 배출대 구동수단 500 : 베이스 프레임
Claims (11)
- 성형 제작이 완성된 컵을 공급하는 컵 공급관의 토출측과 연결되어 컵의 이송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튜브 형상을 갖는 컵 이송관과, 이송되는 컵들이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컵 정렬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컵 이송부;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컵이 포개져 적재되는 컵 적재부; 및
상기 컵 적재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적재부에 포개진 컵을 배출시키는 컵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 정렬이송수단은,
상기 컵 이송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관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상부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컵 이송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관의 하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하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하부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컨베이어부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부가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 및 하측을 쳐줌으로써 컵들은 서로 간에 걸리거나 삐뚤어짐 및 회전이 없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부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부 보다 회전 속도가 더 빠르게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을 하측보다 더 빠르게 쳐줌으로써 컵의 후단부 하측을 상기 이송관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컵들은 서로 간에 정확하게 포개지면서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적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부는,
상기 컵 이송관의 인입구와 토출구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롤러;
한 쌍의 상기 상부 컨베이어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고, 상기 컵 이송관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상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자동으로 정렬하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상부 컨베이어벨트; 및
한 쌍의 상기 상부 컨베이어롤러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상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컵 적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베이어부는,
상기 컵 이송관의 인입구와 토출구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컨베이어롤러;
한 쌍의 상기 하부 컨베이어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고, 상기 컵 이송관의 하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의 둘레부 하측과 접촉하면서 컵을 자동으로 정렬하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하부 컨베이어벨트; 및
한 쌍의 상기 하부 컨베이어롤러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하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컵 적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적재부는,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부로부터 토출되는 컵이 포개져 적재될 수 있도록 컵 적재구간의 측벽을 형성하는 컵 적재프레임; 및
상기 컵 적재프레임의 컵 적재구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컵 적재프레임에 포개져 적재되는 컵을 적정개수의 단위개체로 이격시키는 컵 이격부를 포함하는 컵 적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이격부는,
상기 컵 적재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컵 적재프레임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로드바;
상기 로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로드바를 따라 상기 컵 적재프레임의 컵 적재구간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컵 적재프레임에 포개져 적재되는 컵을 적정개수의 단위개체로 이격시키는 이격그리퍼를 포함하는 컵 적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적재장치는, 상기 컵 이송부와 상기 컵 적재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컵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컵이 상기 컵 적재부에 적정개수만큼 포개져 적재되면 상기 컵 이송부로부터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되는 컵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컵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컵 적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차단부는,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구를 가로지르도록 전후진되면서 토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차단판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컵 적재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적재부에서 컵 적재가 완료되어 상기 컵 배출부를 통해 컵이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차단판이 상기 컵 이송부의 토출구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컵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컵은 상기 차단판에 의해 상기 컵 이송부의 내부에서 포개지며, 컵 배출이 완료되어 상기 컵 배출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차단된 토출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차단판에 의해 포개진 컵들이 상기 컵 적재부로 이송되면서 포개져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적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8849A KR101706685B1 (ko) | 2015-03-20 | 2015-03-20 | 컵 적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8849A KR101706685B1 (ko) | 2015-03-20 | 2015-03-20 | 컵 적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686A KR20160112686A (ko) | 2016-09-28 |
KR101706685B1 true KR101706685B1 (ko) | 2017-02-15 |
Family
ID=5710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8849A KR101706685B1 (ko) | 2015-03-20 | 2015-03-20 | 컵 적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668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52308A (zh) * | 2020-03-21 | 2020-06-09 | 温州海航机械有限公司 | 一种套杯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6713A (ja) | 2002-03-22 | 2003-10-0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紙カップ漏れ検査装置 |
KR101200248B1 (ko) | 2012-04-30 | 2012-11-09 | 현진제업주식회사 | 복합용기 제조 장치 및 방법 |
KR101502468B1 (ko) | 2014-03-27 | 2015-03-18 | 현진제업주식회사 | 승강식 컵 적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0584B1 (ko) * | 2001-12-19 | 2004-03-02 | 현진제업 주식회사 | 컵 자동정렬장치 |
KR20100125956A (ko) | 2009-05-22 | 2010-12-01 | 주식회사 제이아이엘 | 컵 자동정렬 장치 |
-
2015
- 2015-03-20 KR KR1020150038849A patent/KR1017066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6713A (ja) | 2002-03-22 | 2003-10-0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紙カップ漏れ検査装置 |
KR101200248B1 (ko) | 2012-04-30 | 2012-11-09 | 현진제업주식회사 | 복합용기 제조 장치 및 방법 |
KR101502468B1 (ko) | 2014-03-27 | 2015-03-18 | 현진제업주식회사 | 승강식 컵 적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686A (ko) | 2016-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85933B2 (en) | Valve unit for filling angular transport channels with mass flow of rod like articles | |
AU2011201660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wrapping a film around a stack of objects | |
KR101987819B1 (ko) | 용기공급장치 | |
CN210338406U (zh) | 一种全自动装箱机 | |
KR101979660B1 (ko) | 자동 포장장치 | |
US20090199512A1 (en) | Filling Unit | |
US7762759B2 (en) | Feeder device for bars and relative feeding method | |
KR101706685B1 (ko) | 컵 적재장치 | |
KR101833276B1 (ko) |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 |
WO2016044744A1 (en) | Carton form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s | |
KR20190046525A (ko) | 다양한 가공식품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운송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 | |
KR100786723B1 (ko) | 종이컵 자동 공급 시스템 | |
KR101008348B1 (ko) | 패키지 포장장치 | |
JP2004217429A (ja) | 平坦物のスタック形成装置 | |
KR101822483B1 (ko) | 사출기의 튜브 회전장치 | |
KR101192664B1 (ko) | 종이컵 자동 공급 시스템의 종이컵 이송 장치 | |
KR101855046B1 (ko) | 선형 소재의 자동 적재 장치 | |
EP2794404B1 (en) | Vertical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 |
US20090031678A1 (en) | Bag loader | |
CN104354913B (zh) | 水桶膜包装机中的输送机构 | |
JP7114419B2 (ja) | 箱詰めシステム | |
CN107235187B (zh) | 一种轴管件制袋装袋机 | |
JP2547959B2 (ja) | 開袋機 | |
JP2010132337A (ja) | 物品投入装置 | |
KR101447673B1 (ko) | 스트로 커팅 공급부를 구비하여 스트로 동봉 포장이 가능한 박스 자동포장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