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467B1 -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467B1
KR101501467B1 KR1020080096557A KR20080096557A KR101501467B1 KR 101501467 B1 KR101501467 B1 KR 101501467B1 KR 1020080096557 A KR1020080096557 A KR 1020080096557A KR 20080096557 A KR20080096557 A KR 20080096557A KR 101501467 B1 KR101501467 B1 KR 10150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eveloper
mux
developer supply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299A (ko
Inventor
정수영
박상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467B1/ko
Priority to US12/485,982 priority patent/US8116639B2/en
Publication of KR2010003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299A/ko
Priority to US13/346,224 priority patent/US8606125B2/en
Priority to US14/046,175 priority patent/US87746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연결 가능한 먹스,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먹스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각각에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풀업 저항 및 먹스를 디스에이블시킨 상태에서, 풀업 저항과 연결 라인으로부터 연결 신호를 검출하여 연결 신호의 값에 따라 초기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CPU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별도의 감지 센서 없이도 현상제 공급기 장착 상태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현상제 공급기, 연결 라인, 연결 신호

Description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image forming device for checking a connecting state of a developing uni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 또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점차 개선된 성능의 컴퓨터 및 주변 기기의 개발이 활발화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화상형성장치가 있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란 텍스트나 이미지 화상을 용지나 기록 매체 상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 예로는,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복사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들 중 둘 이상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비한 복합기도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도트 방식, 잉크젯 방식, 전자 사진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전자 사진 방식에서는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화상형성잡에 이용한다. 현상제는 소모성이므로, 일정 수명 이상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고갈될 수 밖에 없다. 사용자는 현상제가 고갈되면,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기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현상제가 고갈될 때까지는 화상형성장치 보급 초기에 제공된 초기 현상제 공급기를 사용할 수 있다. 초기 현상제 공급기는, 교체용으로 판매되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와 달리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전자 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현상기는, 데베 유닛(Deve Unit)과, 그 데베 유닛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기, 즉, 바틀(bottle)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틀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라도 데베 유닛 내부에 현상제가 남아 있다면, 일정 매수 내에서 화상형성잡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베 유닛 내의 현상제가 고갈될 때까지는 현상제 공급기가 정상적으로 장착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정상적으로 사용된 이후, 교체용으로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아닌 비정품 현상제 공급기를 사용할 여지가 있다. 이는 화상형성장치의 오동작 및 고장을 유발 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교체용 현상제 공급기에 CRUM 유닛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교체용 현상제 공급기의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이용하여, 초기 현상제 공급기 또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연결 가능한 먹스,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상기 먹스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각각에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풀업 저항 및 상기 먹스를 디스에이블시킨 상태에서, 상기 풀업 저항과 상기 연결 라인으로부터 연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연결 신호의 값에 따라 초기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CPU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PU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PU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먹스를 인에이블시켜, 상기 먹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가 CRUM 유닛을 구비하였는지 체크하며,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지 않으면 에러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러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 그라운드 포트, 상기 연결 포트와 그라운드 포트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라인은 SCL(Serial Clock line)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상제 공급기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보드와 시리얼 클럭 라인(Serial Clock Line)을 통해 연결되는 SCL 포트, 그라운드 포트 및, 상기 SCL 포트 및 상기 그라운드 포트 사이를 직렬 연결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연결 가능한 먹스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 라인으로부터 연결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연결 신호의 값에 따라 초기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 단계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먹스를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상기 먹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가 CRUM 유닛을 구비하였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지 않으면 에러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초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연결 라인이 연결되는 연결 포트, 그라운드 포트, 상기 연결 포트와 그라운드 포트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라인은 SCL(Serial Clock Line)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에는 각각 기 설정된 크기의 풀업 저항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공급기(110), 먹스(120), CPU(130), 풀업 저항(140)을 포함한다. 도 1의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현상제 공급기(110)는 화상형성잡에 사용되는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현상기(미도시)에 제공한다. 현상기는 현상제 공급기(110)로부터 제공된 현상제를 감광체(미도시) 표면에 형성된 잠상(latent image)에 부착시킨다. 잠상에 부착된 현상제는 전사기(미도시)에 의해 용지 측으로 전사되어, 화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방식 및 구조는 통상의 전자 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현상제 공급기(110)는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C(Cyan), M(Magenta), Y(Yellow), K(Black) 컬러마다 하나씩 구현될 수도 있다.
먹스(120)는 CPU(130)와 현상제 공급기(110)사이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CPU(13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및 클럭 신호등을 멀티플렉싱하여, 현상제 공급기(11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현상제 공급기(110)가 적절한 시간에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CPU(130)는 먹스(120)를 통해 현상제 공급기(110)와 연결된다. 일 예로, CPU(130)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상제 공급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I2C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라인인 SDL(Serial Data Line), 클럭 라인인 SCL(Serial Clock Line)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칩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한편, CPU(130)는 먹스(120)와 현상제 공급기(110) 사이의 연결 라인으로부터 연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값에 따라 현상제 공급기(110)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제작자에 의해 출시 당시에 제공되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110)는 먹스(120)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포트와, 그라운드 포트를 구비한다. 이 경우, 연결 포트와 그라운드 포트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수백 Ω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저항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기(110)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바이어스 전원(Vcc)과 연결 노드 사이의 풀업 저항(140)과, 현상제 공급기(100)의 저항 성분에 의해 전압 분배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CPU(130)에서는 로우 값의 연결 신호가 검출된다.
반면, 현상제 공급기(110)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교체된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 라인의 일 단이 오픈 상태가 되므로, 바이어스 전원(Vcc)을 통해 유입되는 전류는 풀업 저항(140)을 통해 CPU(130)로 바로 제공된다. 따라서, CPU(130)에서는 하이 값의 연결 신호가 검출된다.
즉, CPU(130)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신호가 검출되면, 초기 현상제 공급기(11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하이 값을 가지는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초기 현상제 공급기(11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CPU(130)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11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라면, 추후에 사용자가 잡 코맨드를 입력할 때 정상적으로 화상형성잡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여러 구성유닛들을 제어한다.
반면, CPU(130)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11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은 경우라면, 이러한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기 자체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외에, 초기 현상제 공급기(110)가 아닌 교체된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연결된 경우에도, 하이 값을 가지는 연결 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CPU(130)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한번 더 체크하여 줄 수도 있다.
즉,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의 경우 CRUM 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CPU(130)는 연결 라인을 통해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로 퀘어리를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는 액크(Ack) 신호가 수신되면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에 사용자가 잡 코맨드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화상형성잡을 실행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기(11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 은, 화상형성장치의 파워가 온되거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구비된 커버(cover) 등이 오픈/클로즈 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현상기(160-1 ~ 160-4), 먹스(120), 풀업 저항(140-1 ~ 140-4, 141), CPU(130),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각 현상기(160-1 ~ 160-4)는 분리형으로 구현되어 각각의 현상제 공급기(110-1 ~ 110-4)를 구비한다. 즉, 각 현상기(160-1 ~ 160-4)는, 데베 유닛(Deve Unit)과, 그 데베 유닛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현상제 공급기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바틀(bottle)이 될 수 있다.
또한, CPU(130)와 각 현상기(160-1 ~ 160-4)는 I2C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도 2에서 CPU(130) 및 먹스(140)는 하나의 제어 보드 상에 집적될 수 있다.
각 현상기(160-1 ~ 160-4)는 먹스(120)와 연결라인(SCL1 ~ SCL4)을 통해 연결되며, CPU(130)는 각 연결라인과 연결되어 연결 신호(Detect 1 ~ Detect 4)를 검출한다. 각 연결 라인 상에서 연결 신호가 검출되는 노드(a, b, c, d)에는 각각 풀업 저항(140-1 ~ 140-4)이 연결된다. 풀업 저항(140-1 ~ 140-4)은 바이어스 전원(3.3v)와 연결 노드(a, b, c, d)를 각각 연결한다. 도 2에서는 4.7kΩ 크기의 풀업 저항이 사용되었으나, 그 크기는 현상기의 구동 전압 및 바이어스 전원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CPU(130)는 먹스(120)와 SCL라인 및 인히빗 라인 등을 통해 연결된다. SCL 라인에는 바이어스 전원을 풀업하기 위한 또 다른 풀업 저항(141)이 연결될 수 있다.
인히빗 라인은 먹스(120)를 디스에이블/인에이블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라인이다. CPU(130)는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조건(즉, 파워 온 또는 커버 개폐)이 발생하면, 자신의 SCL 포트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연결 노드를 통해 입력되는 연결 신호(Detect 1 ~ Detect 4)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먹스(120)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CPU(13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신호의 크기에 따라 각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현상제 공급기(110-1 ~ 110-4)의 장착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全) 연결 라인에서 로우 값의 연결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CPU(130)는 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 명령을 대기하게 된다.
반면, 하이 값의 연결 신호가 검출된 연결라인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CPU(130)는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현상기에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a 노드에서 검출된 연결 신호 Detect 1의 값이 하이라면, CPU(130)는 제1 연결 라인(SCL1)을 통해 퀘어리를 전송하고, 그에 대응되는 Ack가 제1 연결 라인(SCL1) 상에서 수신되면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연결된 상태로 판단한다.
반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Ack가 수신되지 않으면, CPU(130)는 제1 현상기(160-1)에는 어떠한 현상제 공급기도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하여 에러 상태임을 알린다.
이상과 같이, 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잡이 수행되면, 현상제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Deve 유닛 내의 현상제 만으로 잡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Deve 유닛 내에서 마찰 부하가 증가하여 토크가 증가하고, 그 결과로 소음 및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현상 롤러 표면과 닥터 블레이드(Dr. Blade) 사이에서 필름 현상이 생겨, 현상 롤러 표면에 토너층이 잘 형성되지 않고, 닥터 블레이드의 접촉면에서 마찰열에 의해 토너가 녹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감광체 측에서도, 토너의 윤활 능력이 떨어져서, 클리닝 블레이드와의 사이에서 마찰 부하가 커지게 되어 블레이드가 뒤집히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SCL 라인 상에서 연결 신호를 검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즉, SCL 라인 이외에 현상제 공급기와 CPU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이 있는 경우, 그 라인에 풀업 저항 및 검출 라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현상제 공급기 내부 구성 및 그 장착 상태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는 제1 연결 라인 을 통해 연결된 제1 현상제 공급기(110-1)만을 도시하였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 현상제 공급기(110-1)는 연결 포트(111-1), 그라운드 포트(112-1)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저항(113-1)을 포함한다. 연결 포트(111-1)는 먹스(120)와의 사이에서 제1 연결라인(SCL1)이 연결되는 포트이다. 그라운드 포트(112-1)는 접지 전극이 연결되는 포트이다.
도 3에 따르면, 먹스(120)는 디스에이블 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어, 오픈 상태가 된다. 이 경우, a 노드에는 제1 현상제 공급기(110-1)가 가지는 저항과 풀업 저항 4.7k에 의해 전압 분배가 이루어져 바이어스 전압 3.3v가 분압된 크기의 전위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 신호(Detect 1)이 로우 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도 4에서와 같이, 제1 현상제 공급기(110-1)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으면, a 노드와 제1 현상제 공급기(110-1) 사이가 오픈된다. 따라서, 풀업 저항으로 인해, 바이어스 전원의 전류가 모두 제1 현상제 공급기(110-1)로 유입되므로, 제1 연결 신호(Detect 1)이 하이 값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제1 현상제 공급기(110-1)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 하더라도 연결 포트(111-1)와 그라운드 포트(112-1) 사이를 연결하는 저항(113-1)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즉,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 또는 비 정품 초기화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된 경우에는 도 4와 동일하게 바이어스 전원의 전류가 모두 제1 현상제 공급기(110-1) 측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제1 연결 신호(Detect 1)이 하이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CPU(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CRUM 구비 여부를 체 크하여,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연결된 상태인지를 재차 확인하고,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로 판단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파워가 온되거나, 커버가 개폐되는 경우에 먹스를 디스에이블(S510)시키고, 연결라인으로부터 검출되는 연결 신호가 하이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하이 값이라면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며(S530), 판단 결과가 로우 값이라면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된 상태라고 판단한다(S540).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된 경우라면, 이후에 사용자 코맨드가 입력될 때 그 사용자 코맨드에 따라 화상 형성 잡을 실행한다. 반면,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 장착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먹스를 디스에이블시킨 상태에서(S610), 연결신호를 체크하여(S620), 그 값이 로우이면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S630).
반면, 그 값이 하이이면 먹스를 다시 인에이블시킨 후(S640), 연결 라인을 통해 현상제 공급기에 장착된 CRUM 유닛이 체크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50).
확인 결과, CRUM 유닛이 체크되면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S660), 체크되지 않으면 에러 상태로 판단한다(S670).
에러 상태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초기 현상제 공급기나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후의 사용자 코맨드 입력을 대기하여, 그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CRUM 유닛을 구비하지 않은 초기 현상제 공급기에 대해서도, 별도의 감지 센서 없이 그 장착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현상제 공급기 없이 동작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화상형성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및 도 4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 장착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현상제 공급기 120 : 먹스
130 : CPU 140 : 풀업 저항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연결 가능한 먹스;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상기 먹스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각각에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풀업 저항; 및,
    상기 먹스를 디스에이블시킨 상태에서, 상기 풀업 저항과 상기 연결 라인으로부터 연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연결 신호의 값에 따라 초기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CPU;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 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먹스를 인에이블시켜, 상기 먹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가 CRUM 유닛을 구비하였는지 체크하며,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지 않으면 에러 상태로 판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에러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연결 포트, 그라운드 포트, 상기 연결 포트와 그라운드 포트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SCL(Serial Clock l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보드의 멀티플렉서와 시리얼 클럭 라인(Serial Clock Line)을 통해 연결되는 SCL 포트;
    그라운드 포트; 및,
    상기 SCL 포트 및 상기 그라운드 포트 사이를 직렬 연결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기.
  8.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와 연결 가능한 먹스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 라인으로부터 연결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연결 신호의 값에 따라 초기 현상제 공급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로우 값을 가지는 연결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초기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검출된 연결 신호가 로우 값이면, 상기 먹스를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상기 먹스를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먹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가 CRUM 유닛을 구비하였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CRUM 유닛을 구비하였는지 체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면 해당 연결 라인에 대응되는 레귤러 현상제 공급기가 장착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CRUM 유닛이 체크되지 않으면 에러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연결 라인이 연결되는 연결 포트, 그라운드 포트, 상기 연결 포트와 그라운드 포트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SCL(Serial Clock Line)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에는 각각 기 설정된 크기의 풀업 저항이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
KR1020080096557A 2008-10-01 2008-10-01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50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557A KR101501467B1 (ko) 2008-10-01 2008-10-01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US12/485,982 US8116639B2 (en) 2008-10-01 2009-06-17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hecking connection status of developing unit and method thereof
US13/346,224 US8606125B2 (en) 2008-10-01 2012-01-09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heck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tatus of developing unit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4/046,175 US8774647B2 (en) 2008-10-01 2013-10-04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hecking connection status of developing uni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557A KR101501467B1 (ko) 2008-10-01 2008-10-01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299A KR20100037299A (ko) 2010-04-09
KR101501467B1 true KR101501467B1 (ko) 2015-03-12

Family

ID=4205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557A KR101501467B1 (ko) 2008-10-01 2008-10-01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116639B2 (ko)
KR (1) KR101501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467B1 (ko) 2008-10-01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2002888B1 (ko) * 2013-11-05 2019-07-2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신호선 연결 상태 확인 방법
JP2017129626A (ja) * 2016-01-18 2017-07-27 株式会社リコー 着脱可能装置、電子機器及びgnd外れ検出方法
JP7439436B2 (ja) 2019-09-30 2024-0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75430B2 (ja) 2019-09-30 2023-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4169A1 (en) * 2001-05-02 2002-11-07 Oki Data Corporation Image-forming device having consumable component with internal fuse
KR100370033B1 (ko) * 2000-10-24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소자의 구동 제어회로
KR20040021521A (ko) * 2002-07-15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모품 유니트, 소모품교체 인식 시스템 및 그의 인식 방법
KR20070075102A (ko) * 2006-01-12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인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3170B1 (en) * 1999-12-08 2001-07-17 Xerox Corporation Consumable component identification and detection
US6912364B2 (en) * 2002-07-15 2005-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sumable product unit, consumable product replacement sen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01467B1 (ko) 2008-10-01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033B1 (ko) * 2000-10-24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소자의 구동 제어회로
US20020164169A1 (en) * 2001-05-02 2002-11-07 Oki Data Corporation Image-forming device having consumable component with internal fuse
KR20040021521A (ko) * 2002-07-15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모품 유니트, 소모품교체 인식 시스템 및 그의 인식 방법
KR20070075102A (ko) * 2006-01-12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인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299A (ko) 2010-04-09
US8774647B2 (en) 2014-07-08
US20140037298A1 (en) 2014-02-06
US20130011146A1 (en) 2013-01-10
US8606125B2 (en) 2013-12-10
US20100080573A1 (en) 2010-04-01
US8116639B2 (en)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1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01467B1 (ko) 현상기 장착 상태를 체크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843B1 (ko) 화상형성장치와,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방법
US80365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6012054A2 (en) Method for imaging with an imaging apparatus that facilitates the use of a starter cartridge
US7272328B2 (en) Development component detection in an electrophotographic device
EP2600203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05540B2 (ja) 出力システム、管理装置、出力装置及び出力システムの管理方法
US6912364B2 (en) Consumable product unit, consumable product replacement sen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8148385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11301871B2 (en) CRUM apparatus to extract power from clock signal having first and second periods
US10254679B2 (en) Memory control device, memor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4328B2 (ja) 画像形成装置
JP3897505B2 (ja) 異常検知システム
JP622586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セット開閉検知方法
JP200820738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56383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エラー報知方法
JP2006078912A (ja) 装着機構および装着方法
JP5063123B2 (ja) 電子装置
KR20200144354A (ko)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JP2006297698A (ja)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8605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060394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23227A (ja) 電源監視制御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21538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