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836B1 -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836B1
KR101500836B1 KR1020130058387A KR20130058387A KR101500836B1 KR 101500836 B1 KR101500836 B1 KR 101500836B1 KR 1020130058387 A KR1020130058387 A KR 1020130058387A KR 20130058387 A KR20130058387 A KR 20130058387A KR 101500836 B1 KR101500836 B1 KR 10150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oak
extract
volatile fraction
vola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640A (ko
Inventor
양재경
정지영
김지수
하시영
하영래
남정빈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8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은 참나무 분획 중 특정 분획을 특정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서 탁월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천연수목자원 유래의 안전한 물질이므로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나, 당뇨병 개선용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lex extract of Quercus variabilis fraction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생체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β세포의 파괴 혹은 기능저하로 인해 인슐린 분비의 저하 및 유전적 요인이나 비만에 의해 조직내 인슐린 수용체의 거부반응으로 혈당이 조직으로 운반되지 않고 소변을 통해 배설되는 대사성 질환으로 고혈당, 고당뇨를 주요 특징으로 한다.
당뇨가 유발되면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상태가 교란되어 탄수화물 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지질대사 등 생체 내 대사 조절기능에 이상이 생겨 여러 가지 대사질환이 나타나게 되며, 당뇨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모세혈관의 상피 세포막의 비후가 일어나 순환기계 등에 많은 합병증의 유발이 문제시되고 있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이며, 치료 방법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제 1형 및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구혈당강하제로,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제제 및 비구아니드(biguanide) 제제가 있으며,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는 섭취한 식이 중의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및 혈중 인슐린의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는 고인슐린혈증이나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고,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키며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글루카곤-유사-펩티드-1(glucagon-like peptide-1)의 소장에서의 분비를 촉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는 아카보스(acarbose), 보길리보스 (voglibose) 및 미글리톨(miglitol) 등이 있으나,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를 장기간 복용한 경우 일부 환자에 있어서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417287호에 헛개나무의 저급 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또는 그로부터분리된 다당체 물질을 함유하는 당뇨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천연수목자원 유래의 항당뇨 추출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수목자원 유래의 항당뇨 추출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참나무의 특정 분획물의 복합 추출물이 탁월한 항당뇨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당뇨 활성을 갖는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분획 70 내지 90 중량% 및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비휘발성 분획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휘발성 분획 및 비휘발성 분획이 참나무를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과 비휘발성 분획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분획 70 내지 90 중량% 및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비휘발성 분획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로서, 상기 휘발성 분획 및 비휘발성 분획이 참나무를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과 비휘발성 분획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분획 70 내지 90 중량% 및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비휘발성 분획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개선용 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휘발성 분획 및 비휘발성 분획이 참나무를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과 비휘발성 분획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휘발성 분획 및 비휘발성 분획이 참나무를 190 내지 25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 kgf/cm2의 압력으로 2 내지 30분 동안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75 내지 85℃의 온도, 진공 하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과 비휘발성 분획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은 참나무 분획 중 특정 분획을 특정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서 탁월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천연수목자원 유래의 안전한 물질이므로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나, 당뇨병 개선용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얻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분획 70 내지 90 중량% 및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비휘발성 분획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휘발성 분획 및 비휘발성 분획이 참나무를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과 비휘발성 분획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휘발성 분획 및 비휘발성 분획이 참나무를 190 내지 25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 kgf/cm2의 압력으로 2 내지 30분 동안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75 내지 85℃의 온도, 진공 하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과 비휘발성 분획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은 상기 함량 범위에서 탁월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분획 70 중량% 및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비휘발성 분획 30 중량%일 때 가장 탁월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상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당뇨병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국소 투여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 중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제, 로션제, 연고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인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당뇨병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식품에 첨가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20 중량%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음료에 첨가할 경우에는 100 mL를 기준으로 0.1 내지 100 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L의 함량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은 천연수목자원 유래 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참나무 분획 추출물 제조
추출재료는 25 kgf/cm2의 압력에서 15분간 250℃의 스팀으로 처리한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목재칩(5cm X 5cm X 0.5cm)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목재칩 10 kg에 200 L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 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3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분리하여 0.45㎛ 멤브레인 필터(Sartorius®, Germany)로 여과하여 노란색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을 얻었다. 그후 상기 제1액상 추출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투명한 휘발성 분획(Fraction 2)과 갈색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을 각각 얻었다. 그리고, 상기 원심분리 후 잔사에 에탄올 4000 mL를 첨가하여 추출한 후, 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분리하여 자주색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을 얻었다.
<실시예 2> 참나무 분획 추출물의 성분 분석
1. 휘발성 화합물 분석
Head space용 10 mL 바이알에 실시예 1에서 준비한 각 분획 1 mL를 넣어주고 15분간 가열한 후 GC/MS에 Head space autosampler (Varian, USA)을 장착해서 분석하였다.
이때, GC/MS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컬럼 : DB-5MS (30 m x 0.25 mm i.d., 0.25 ㎛)
- 인젝터 온도 : 250℃
- 캐리어 가스 : 헬륨, 0.8 mL/min
- 스플리트 비율(Split ratio) = 1 : 20
- 오븐 온도 : 40℃에서 5분 유지 후 5℃/min 속도로 250℃까지 상승, 250℃에서 10분 동안 유지
- GC-MS 라이브러리 :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그 결과,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에는 21종의 물질이 존재하며(표 1) 페트라데칸(Fetradecane)은 32.4%, 아크릴산의 보닐 에스테르와 아세트산은 각각 21.7%, 18.8%의 함량을 나타내어, 다른 물질에 비하여 이 세가지 물질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헥사데칸은 4.9%, 퓨란-2-카복스알데히드는 4.3% 그리고 1,2,3-트리클로로헵타클로로부탄은 2.4%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0.5% 내지 1.8%의 수준으로 소량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때, RT는 Retention time(min)을 의미한다.
No RTa 화합물 화학식 함량, %
1 2.232 Acetic acid C2H4O2 18.8
2 7.002 Furfural C5H4O2 4.3
3 7.579 2-Furanmethanol C5H6O2 -
4 9.882 Ocimenyl acetate C12H18O2 0.7
5 10.002 Linalyl propionate C13H22O2 1.2
6 10.103 Methanesulfonic acid CH4O3S 1.0
7 11.457 Decane C10H22 0.7
8 12.545 Butane C4H10 1.0
9 13.83 Endo-borneol C10H18O 0.7
10 14.133 6-Dodecanone C12H24O 0.6
11 14.234 Benzoic acid C7H6O2 0.5
12 15.640 Isobornyl thiocyanoacetate C13H19NO2S 0.6
13 16.534 2-Hexadecanol C16H34O 0.9
14 16.724 1,2,3-trichloroheptachlorobutane C4Cl3F7 2.4
15 16.886 Bornyl ester of acrylic acid C13H20O2 21.7
16 17.059 Ethanol C2H6O 1.8
17 17.251 Pentadecane C15H32 1.6
18 18.653 Octadecane C18H38 1.3
19 18.857 Hexadecane C16H32 4.9
20 19.177 Tetradecane C14H30 32.4
21 19.563 Heptadecane C17H36 -
22 20.498 1-Heptacosanol C27H56O 0.7
23 22.723 3,4-Dimethoxy-dl-phenylalanine C11H15NO4 2.1
합계 100
휘발성 분획(Fraction 2)에는 14종의 물질이 존재하며(표 2), 퍼퓨랄이 6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아크릴산 보닐 에스테르와 페트라데칸은 각각 9.9%, 9.5%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0.3% 내지 5.0%의 수준으로 소량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No RTa 화합물 화학식 함량, %
1 2.232 Acetic acid C2H4O2 1.2
2 7.002 Furfural C5H4O2 65.2
3 7.579 2-Furanmethanol C5H6O2 -
4 9.882 Ocimenyl acetate C12H18O2 -
5 10.002 Linalyl propionate C13H22O2 5.0
6 10.103 Methanesulfonic acid CH4O3S -
7 11.457 Decane C10H22 -
8 12.545 Butane C4H10 0.5
9 13.830 Endo-borneol C10H18O -
10 14.133 6-Dodecanone C12H24O -
11 14.234 Benzoic acid C7H6O2 -
12 15.640 Isobornyl thiocyanoacetate C13H19NO2S -
13 16.534 2-Hexadecanol C16H34O 0.6
14 16.724 1,2,3-trichloroheptachlorobutane C4Cl3F7 1.2
15 16.886 Bornyl ester of acrylic acid C13H20O2 9.9
16 17.059 Ethanol C2H6O 1.1
17 17.251 Pentadecane C15H32 0.8
18 18.653 Octadecane C18H38 0.6
19 18.857 Hexadecane C16H32 2.4
20 19.177 Tetradecane C14H30 9.5
21 19.563 Heptadecane C17H36 -
22 20.498 1-Heptacosanol C27H56O 0.3
23 22.723 3,4-Dimethoxy-dl-phenylalanine C11H15NO4 1.7
합계 100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에는 21종의 물질이 존재하며(표 3), 페트라데칸은 24.8%, 아크릴산 보닐 에스테르는 23.3%, 아세트산은 21.5%의 함량을 나타내어, 다른 물질에 비하여 이 세가지 물질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퓨란-2-카복스알데히드는 9.1%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0.3% 내지 3.5%의 수준으로 소량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No RTa 화합물 화학식 함량, %
1 2.232 Acetic acid C2H4O2 21.5
2 7.002 Furfural C5H4O2 9.1
3 7.579 2-Furanmethanol C5H6O2 -
4 9.882 Ocimenyl acetate C12H18O2 2.0
5 10.002 Linalyl propionate C13H22O2 2.0
6 10.103 Methanesulfonic acid CH4O3S 2.6
7 11.457 Decane C10H22 0.6
8 12.545 Butane C4H10 1.0
9 13.83 Endo-borneol C10H18O 0.5
10 14.133 6-Dodecanone C12H24O 0.4
11 14.234 Benzoic acid C7H6O2 0.4
12 15.64 Isobornyl thiocyanoacetate C13H19NO2S 0.6
13 16.534 2-Hexadecanol C16H34O 0.7
14 16.724 1,2,3-trichloroheptachlorobutane C4Cl3F7 3.5
15 16.886 Bornyl ester of acrylic acid C13H20O2 23.3
16 17.059 Ethanol C2H6O 1.0
17 17.251 Pentadecane C15H32 0.3
18 18.653 Octadecane C18H38 1.7
19 18.857 Hexadecane C16H32 2.3
20 19.177 Tetradecane C14H30 24.8
21 19.563 Heptadecane C17H36 -
22 20.498 1-Heptacosanol C27H56O 0.7
23 22.723 3,4-Dimethoxy-dl-phenylalanine C11H15NO4 1.0
합계 100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에는 17종의 물질이 존재하며(표 4), 에탄올은 15.17%, 메틸 2-클로로-2-메틸프로피오네이트 13.4%의 함량을 나타내어, 다른 물질에 비하여 이 두가지 물질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E-1-메톡시-7-메틸-1,6-옥트디엔은 8.58%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0.3% 내지 3.5%의 수준으로 소량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No RTa 화합물 화학식 함량, %
1 1.799 Ethyl 2-chloropropionate C5H9ClO2 13.4
2 2.324 Ethanol CH3CH2OH 15.2
3 2.488 Geraniol C10H18O 8.6
4 3.484 Methanamine,N
-(1-methylbutylidene)-
C6H13N 6.8
5 4.248 4-fluoropiperidine C5H10FN 4.4
6 4.751 Ibuprofen C13H18O2 4.6
7 5.537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ol C9H19NO 2.9
8 5.923 Decanal, O-methyloxime C11H23NO 7.1
9 7.142 3-Hydroxy-3-phenylvaleric acid C11H14O3 5.7
10 7.500 α-pinene C10H16 4.2
11 10.228 Phenyl isobutyrate C10H12O2 3.5
12 13.872 Thiophene-2-acetic acid, cyclobutylester C12H16O2S 3.0
13 14.723 Divinylmethyl(chloromethyl)silane C6H11ClSi 3.8
14 15.932 3-bicyclo[2.2.1]heptanyloxy-dimethyl-prop-2-enylsilane C12H22OSi 3.5
15 16.083 1-(3,4-Methylenedioxybenzylidene)semicarbazide C9H9N3O3 3.1
16 23.609 2-[(3R)-quinuclidin-3-yl]-3H-benzo[g]isoindol-1-one C19H20N2O 4.9
17 25.080 6-Oxtadecanone C18H36O 5.5
합계 100
따라서,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 휘발성 분획(Fraction 2) 및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물질로는 테트라데칸과 아크릴산 보닐 에스테르가 있으며, 그 중 테트라데칸은 알칸 계열 화합물로서 파라핀 왁스의 제조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며,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에서 32.4%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크릴산 보닐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유도체로서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에서 23.3%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 및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아세트산은 살균능력이 있는 중요한 카르복시산의 하나로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에 21.5%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퍼퓨랄은 특수한 냄새를 가진 기름 모양의 액체 형태를 띤 헤테로고리알데히이드의 한 종류로 휘발성 분획(Fraction 2)에 65.2%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며, 나일론 합성이나 살충제에 사용된다.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은 폭쇄처리 된 참나무를 열수추출 한 다음 잔사를 에탄올로 다시 추출한 것이어서 추출시 사용된 용제인 에탄올 함량이 1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6%의 함량을 나타내는 제라니올은 모노테르페노이드의 일종으로 향료로 화장품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2. 고형분 함량 분석
실시예 1에서 준비한 각 분획 1 mL를 전건 컨테이너에 넣고 105℃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고, 건조 후 컨테이너를 방랭시킨 다음 무게를 측정하고 다음 계산식에 대입하여 고형분 함량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고형분 함량 (g/mL) = [전건 컨테이너 중량(g) + 시료 중량(g)] - 전건 컨테이너 중량(g)
그 결과, 다음 표 5와 같이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의 고형분 함량이 12.4g/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휘발성 분획(Fraction 2)의 고형분 함량은 0.1g/L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료 고형분 함량, g/L
Fraction 1 5.5
Fraction 2 0.1
Fraction 3 12.4
Fraction 4 3.6
3. 탄수화물 함량 분석
실시예 1에서 준비한 각 분획 10 mL에 72% H2SO4 3 mL를 첨가 후 증류수 79 mL, 이노시톨 용액(20 mg/mL) 5 mL를 첨가하여 121 ± 3 ℃ 오토클레이브에서 1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켰다. 가수분해 후 20 분 동안 방치한 후 필터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사용하여 탄수화물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탄수화물 함량 분석을 위한 가수분해물의 전처리는 ASTM E1821 - 96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GC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 컬럼 : DB-225 (15 m x 250 ㎛ i.d., 0.25 ㎛)
- 인젝션 부피 : 2㎕
- 인젝터 온도 : 200 ℃
- 검출기 온도 : 250 ℃
- 캐리어 가스 : 헬륨, 0.9mL/min
- 스플리트 비율(Split ratio) = 1 : 30
- 오븐 온도 : 190 ℃에서 1분 유지 후 10 ℃/min 속도로 220 ℃까지 상승, 220 ℃에서 10 분 동안 유지
그 결과, 다음 표 6과 같이 각 분획에 대한 탄수화물 함량 결과를 확인하였다. 즉,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은 5종류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자실로스와 글루코스의 함량이 16.2g, 12.5g을 나타내었으며 아라비노스는 0.9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의 총 탄수화물 함량은 34.9%를 나타내었다. 휘발성 분획(Fraction 2)은 폭쇄처리 한 참나무 열수 추출물의 액상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휘발 성분을 수집한 부분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없었다.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은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을 농축하여 얻어진 비휘발성 물질로 5종류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자실로스와 글루코스의 함량이 31.7g, 23.5g을 나타내었으며 아라비노스는 2.2%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의 총 탄수화물 함량은 68.0%로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의 2배 정도의 탄수화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은 2종류의 화합물 즉, 아라비노스와 자실로스를 1.4g, 0.3g 포함하며, 총 탄수화물 함량은 1.7g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탄수화물의 함량이 검출되지 않은 휘발성 분획(Fraction 2)이 항당뇨 유효 추출물 후보로 판단되었다.
시료 탄수화물 조성, g/100g
아라비노스 자실로스 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합계
Fraction 1 0.9 16.2 2.6 2.7 12.5 34.9
Fraction 2 - - - - - -
Fraction 3 2.2 31.7 5.3 5.3 23.5 68.0
Fraction 4 1.4 0.3 - - - 1.7
4. 무기물 함량 분석
전건한 도가니에 실시예 1에서 준비한 각 분획 2 g을 정칭하여 넣고, 600 ± 25 ℃의 전기로에서 완전히 탄화시켰다. 상기 도가니를 2분간 석면판 위에서 방열한 후 데시케이터에서 방냉하였다. 5 % H2O2를 일정량 첨가하여 다시 여러 번 강열 및 방냉을 반복하여 무기물 함량을 측정한 후 수식[W / S × 100, 여기에서 W : 탄화 후 시료중량 (g), S : 투입된 시료중량 (g)]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7과 같이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의 무기물 함량이 0.018%로 나타났고, 휘발성 분획(Fraction 2)은 휘발성분으로 무기물 함량이 0.00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의 무기물 함량은 0.020%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의 무기물 함량은 0.013% 으로 나타났다.
시료 무기물 함량, %
Fraction 1 0.018
Fraction 2 0.005
Fraction 3 0.020
Fraction 4 0.013
5. 폴리페놀 함량 분석
시험관에 실시예 1에서 준비한 각 분획 30 ㎕, 증류수 3 mL과 Folin-ciocalteu 시약 100 ㎕를 투입하고 5분 동안 반응시키고, 5분 경과 후 20 % Na2Co3 300 ㎕를 각각의 시험관에 넣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UV-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다음 수학식을 통해 총 폴리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총 폴리페놀 함량(%) = (시료 흡광도 + 0.0348) / 0.008
그 결과, 다음 표 8과 같이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이 2989.8 mg/L의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이 1844.8 mg/L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휘발성 분획(Fraction 2)는 91.4 mg/L로 가장 낮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폴리페놀은 항산화제의 일종이며, 항산화제가 당뇨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분획이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일 것으로 판단되며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이 항당뇨 유효 추출물 후보로 판단된다.
시료 총 폴리페놀 함량, mg/L
Fraction 1 1271.8
Fraction 2 91.4
Fraction 3 2989.8
Fraction 4 1844.8
6. 유기산 함량 분석
실시예 1에서 준비한 각 분획 1 mL에 증류수 3 mL, Folin-Ciocalteu 시약 2N 1 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20% Na2CO3 1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물은 UV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6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유기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한 유기산은 바닐린산, 페룰산 및 신남산이며, 바닐린산은 산화물에 의해 산화되거나 부식성의 융해작용을 받은 바닐린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희고 냄새없는 침상의 물질이며, 페룰산은 식물의 세포벽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으로 활성산소를 중화하는 항산화 작용 및 혈당강하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는 물질이고, 신남산은 대표적인 방향족 불포화 카복실산의 하나로, 페닐기와 카복시기가 이중결합에 대하여 반대쪽에 있는 트랜스형과 같은 쪽에 있는 시스형의 이성질체가 있는 물질이다.
그 결과, 다음 표 9와 같이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은 바닐린산 1.8 g/L, 페룰산 1.5 g/L, 신남산 1.8 g/L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휘발성 분획(Fraction 2)은 바닐린산 0.1 g/L, 페룰산 0.1 g/L, 신남산 0.1 g/L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은 바닐린산 2.9 g/L, 페룰산 2.5 g/L, 신남산 3.0 g/L로 다른 분획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은 바닐린산 2.1 g/L, 페룰산 1.7 g/L, 신남산 2.1 g/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작용 및 혈당강하 작용을 하는 페룰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분획은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으로 나타났다.
시료 유기산, g/L
바닐린산 페룰산 신남산
Fraction 1 1.8 1.5 1.8
Fraction 2 0.1 0.1 0.1
Fraction 3 2.9 2.5 3.0
Fraction 4 2.1 1.7 2.1
<실시예 3> 동물모델을 이용한 유효추출물의 항당뇨 실험
1.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저해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분획 5 ㎕와 50 ㎕ α-글루코시다제를 혼합한 후 5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Anthos®, Austria)로 405 nm에서 1차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50 ㎕ 기질(p-니트로페닐-α-D-글루코사이드)을 혼합한 후 5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Anthos®, Austria)로 405 nm에서 2차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10과 같이 휘발성 분획(Fraction 2)이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보다 훨씬 강한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가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보다 약 3배 강한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5 mg/ml의 아카보즈를 10㎕ 사용하였을 때 활성저해 수치를 나타내었다.
시료 아카보즈 농도 (㎕ or mg/ml)
5 10 20 30
Fraction 1 23.45±0.04 24.2±0.03 48.0±0.09 78.7±0.17 94.1±0.00
Fraction 2 15.80±0.03 28.2±0.06 94.5±0.04 96.9±0.03 97.4±0.01
Fraction 3 15.76±0.02 33.1±0.12 41.9±0.05 62.3±0.14 75.2±0.07
Fraction 4 16.52±0.03 5.6±0.02 9.1±0.01 16.5±0.02 23.7±0.01
2. SD 랫트를 이용한 제1형 당뇨병 동물 실험
실험동물로서 생후 8주령의 웅성 Sprague-Dawley(SD)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전일 12시간 공복시킨 실험동물에 스트렙토조톡신(Streptozotoxin)을 0.1 M 구연산 완충액(pH 4.6)에 용해시켜 60 mg/kg으로 복강 주사하였다. 스트렙토조톡신 투여 48시간 후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 350 mg/dL 이상 유지되는 것을 당뇨가 유도된 것이라 판단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된 당뇨 랫트에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과 휘발성 분획(Fraction 2)을 각각 랫트 당 0.1 ml로,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과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을 각각 랫트 당 200 mg/kg으로 경구투여 하였고, 대조군으로 메트포르민 500 mg/kg을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 후 30, 60, 120, 180분 간격으로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의 변화(mg/dl)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11과 같이 모든 분획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혈당량을 나타내었다.
Sample 0 min 30 min 60 min 120 min 180 min
Control 0 243 322 217 139
Fraction 1 0 28 245 165 64
Fraction 2 0 175 269 200 98
Fraction 3 0 138 172 171 94
Fraction 4 0 104 138 91 44
Metformin 0 147 138 40 -17
<실시예 4>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분획인 제1액상 추출물(Fraction 1), 휘발성 분획(Fraction 2),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 및 제2액상 추출물(Fraction 4)을 다양한 함량 비율로 혼합시킨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여 다음 각각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관련 실험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별 혼합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각 분획별 혼합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다음 표 12와 같이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던 휘발성 분획(Fraction 2)은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을 혼합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졌다.
시료 (혼합비율, 중량비) 총 폴리페놀 함량, mg/L
Fraction 1 : Fraction 3 (1 : 1) 3127.8
Fraction 2 : Fraction 3 (1 : 1) 3011.8
Fraction 2 : Fraction 4 (1 : 1) 1899.2
Fraction 3 : Fraction 4 (1 : 1) 3254.3
2.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별 혼합에 따른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 효과
각 분획별 혼합에 따른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율을 검토한 결과, 다음 표 13과 같이 휘발성 분획(Fraction 2)과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의 혼합물에서 가장 높은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시료 (혼합비율, 중량비) 농도 (㎕ or mg/ml)
5 10 20 30
Fraction 1 : Fraction 3 (1 : 1) 26.0 43.0 60.1 84.1
Fraction 2 : Fraction 3 (1 : 1) 31.0 70.2 78.2 89.3
Fraction 2 : Fraction 4 (1 : 1) 14.2 45.8 53.3 58.6
Fraction 3 : Fraction 4 (1 : 1) 18.1 23.3 40.2 48.3
그리고,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는 휘발성 분획(Fraction 2)과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의 혼합비율에 따른 농도별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율을 검토한 결과, 다음 표 14와 같이 휘발성 분획(Fraction 2)과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을 7 : 3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시료 (Fraction 2 : Fraction 3, 중량비) 농도 (㎕ or mg/ml)
5 10 20 30
1 : 9 21.8 49.4 64.4 84.1
3 : 7 23.6 51.4 68.7 87.8
7 : 3 31.8 71.1 83.1 94.0
9 : 1 28.8 62.2 79.4 92.0
<실시예 5> 독성 실험
앞서 가장 탁월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낸 휘발성 분획(Fraction 2)과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ICR 마우스(8-9 주령, 25±3 g)를 10시간 절식시킨 후, 암컷과 수컷 각각 10마리씩에 상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각각 500, 1000, 1500 mg/kg의 농도로 1회 경구 투여하였고, 14일 동안 일반 증상 및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부검하여 혈액,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하에서 휘발성 분획(Fraction 2)과 비휘발성 분획(Fraction 3)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양한 처방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처방예 1> 약학조성물의 처방예
<처방예 1-1> 정제의 제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50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2> 연고제의 제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30mg, PEG-4000 250mg, PEG-400 650mg, 백색바셀린 10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1.44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8mg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통상의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3> 액제의 제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3,000mg, 디솔비톨액(70%) 40,000mg, 수크랄로스 30mg, 아세설팜칼륨 60mg, 프로필렌글리콜 1,000mg, 폴리옥시40하이드로게네티드 카스터오일 500mg, 솔빈산칼륨 130mg, 염화나트륨 25mg, 구연산 58mg, 튜티후루티향 26mg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100ml의 액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2> 기능성 식품의 처방예
<처방예 2-1> 건강식품의 제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2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2-2> 건강음료의 제조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20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하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분획물 70 내지 90 중량% 및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비휘발성 분획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참나무 분획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로서,
    상기 휘발성 분획물 및 비휘발성 분획물이
    참나무를 190 내지 25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 kgf/cm2의 압력으로 2 내지 30분 동안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75 내지 85℃의 온도, 진공 하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물과 비휘발성 분획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4.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분획물 70 내지 90 중량% 및 참나무로부터 얻어진 비휘발성 분획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참나무 분획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로서,
    상기 휘발성 분획물 및 비휘발성 분획물이
    참나무를 190 내지 25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 kgf/cm2의 압력으로 2 내지 30분 동안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참나무에 물을 첨가하고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잔사를 제거하여 액상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추출물을 75 내지 85℃의 온도, 진공 하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농축하여 휘발성 분획물과 비휘발성 분획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20130058387A 2013-05-23 2013-05-23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0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87A KR101500836B1 (ko) 2013-05-23 2013-05-23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87A KR101500836B1 (ko) 2013-05-23 2013-05-23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40A KR20140137640A (ko) 2014-12-03
KR101500836B1 true KR101500836B1 (ko) 2015-03-10

Family

ID=5245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387A KR101500836B1 (ko) 2013-05-23 2013-05-23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95A (ko) 2017-10-13 2019-04-2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참나무 목초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200094240A (ko) 2019-01-29 2020-08-07 심재홍 참나무 수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686B1 (ko) * 2018-12-11 2020-09-2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388A (ko) * 2007-10-05 2009-04-09 (주)이원희바이오매스인스티튜트 항동맥경화 활성, 항종양 활성, 암전이 및 암화억제 활성,면역증강 활성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수목추출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388A (ko) * 2007-10-05 2009-04-09 (주)이원희바이오매스인스티튜트 항동맥경화 활성, 항종양 활성, 암전이 및 암화억제 활성,면역증강 활성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수목추출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95A (ko) 2017-10-13 2019-04-2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참나무 목초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200094240A (ko) 2019-01-29 2020-08-07 심재홍 참나무 수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40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exander‐Lindo et al. Hypoglycaemic effect of stigmast‐4‐en‐3‐one and its corresponding alcohol from the bark of Anacardium occidentale (cashew)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028970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ashew apple extract
KR101500836B1 (ko)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4516282B2 (ja) 新規なα−グルコシダ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物質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KR101717698B1 (ko) 붉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및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40107713A (ko)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KR101236588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120847B1 (en) Glechoma longituba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kidney diseases or diabetes mellitus
EP1840131B1 (en) Novel polyphenol glycoside derived from acerola
KR100979459B1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KR20090128957A (ko) 두충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고혈압 예방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100839185B1 (ko) 플랜타마조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및당뇨합병증 예방/치료용 조성물
JP2007520548A (ja) 糖尿病性合併症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0736456B1 (ko)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KR102066966B1 (ko)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95969B1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759467B1 (ko) 차가버섯 또는 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통풍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69244B1 (ko) 함초로부터 분리된 3-카페오일-4-다이하이드로카페오일퀴닉산을 함유하는 통풍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y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Analysis and the Anti-Diabetic Effect of Leaf Extracts of Symplocos cochinchinensis (Lour.) Moore ssp. Laurina (Retz.) Nooteb.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KR20200008425A (ko) 플라보노이드 8-o-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050038852A (ko)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61893B1 (ko) 잣나무 부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