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56B1 -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 Google Patents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456B1
KR100736456B1 KR1020050074422A KR20050074422A KR100736456B1 KR 100736456 B1 KR100736456 B1 KR 100736456B1 KR 1020050074422 A KR1020050074422 A KR 1020050074422A KR 20050074422 A KR20050074422 A KR 20050074422A KR 100736456 B1 KR100736456 B1 KR 10073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lucopyranoside
ethanol
dihydroxyphenyl
ced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440A (ko
Inventor
조영미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이
Priority to KR102005007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4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18A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17/06Benzopyran radicals
    • C07H17/065Benzo[b]pyrans
    • C07H17/07Benzo[b]pyran-4-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지닌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들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당뇨병, 비만, 암, 동맥경화, 류마티스 및 고혈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노화관련 질환 치료에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피부미백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후피향나무, 부탄올, 항산화, 피부미백

Description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제{New compounds isolated from leaves of Ternstroemia japonica and antioxidant using the same}
도 1은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2a 및 도 2b는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나타내며,
도 3은 후피향나무 열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되며, 노화관련 질환 치료에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피부미백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규 화합물 및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이물질 또는 UV 조사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정상 또는 병리적 세포대사에서 발생한다. 인체가 호흡 및 연소를 위하여 산소를 사용할 때, 분자상 산소가 자유라디칼과 쉽게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O2 - ), 과산화수소(H2O2), 히드록시 라디칼(·OH), 일중항 산소(1O2), 알킬 라디칼(R0·), 퍼옥시 라디칼(R00·)을 포함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퍼옥시니트리트(ONOO-)를 포함하는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을 생성한다. 이러한 ROS 및 RNS는 뛰어난 산화제 및 질화제로 작용하여 인체 내의 주요 구성성분들 예를들어, 지질, 단백질, 핵산 및 DNA를 손상시켜 많은 기관에서 염증이나 병변을 일으킨다.
특히, 현대인의 질병 중 약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활성종들은 암,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증, 파킨슨병, 동맥경화증, 류마티성 관절염, 알레르기 등과 같은 질환의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종 관련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활성산소 제거작용을 갖는 효소, 예를들면,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테이즈(superoxide dimutase, SOD)를 투여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SOD는 생체내 반감기(half-life)가 극히 짧기 때문에 대량으로 투여해야 하고 이러한 효소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항원성을 가지며, 장기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쇼크(anaphylaxis shock)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며, 게다가 경구투여로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량의 경구투여로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장기간 복용하여도 특별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활성종 제거제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피향나무로부터 항산화 성분을 찾아내던 중,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들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 활성을 지닌 신규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는 수소,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2
또는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3
이고,
R4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4
이며, 이때 R5 내지 R7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5
상기 식에서,
R8 내지 R9는 수소;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람노오스; 또는 크실로오스가 결합된 글루코오스이며, R10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학식 1에 해당되는 화합물은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4-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3-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6-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4-히드록시페닐)-에탄올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4-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2-(2,4,5-트리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또는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3-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사용한다.
또, 화학식 2에 해당되는 화합물은 캠페롤 3-O-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 3-O-β-D-크실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실 캠페롤 4'-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쿼세틴 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쿼세틴 3-O-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 및 쿼세틴 3-O-α-L-람노피라노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화합물들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피향나무의 잎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n-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부탄올 추출물을 전개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 토그래피로 분획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분획을 HPLC로 정제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동정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동정된 화합물은 전체 ROS 생성 억제, 히드록시 라디칼 생성 억제, 퍼옥시니트리트 생성 억제 등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당뇨병, 비만, 암, 동맥경화증, 류마티성 관절염 또는 고혈압과 같은 노화관련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탄올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탈크(talc) 등과 같은 활택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liquid paraffin)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올리브 오일(olive oil)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ethyl oleate)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상기 약학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부탄올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10-50 mg/kg이고,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5-25 mg/kg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단,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과 이로부터 동정된 화합물의 독성실험 결과, 50% 치사량(LD50)이 각각 5 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명되어 그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동정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화장료조성물은 상기 약학조성물에 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동정된 화합 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동정된 화합물을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약학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화합물 동정
원료식물인 후피향나무는 2003년 2월 부산에서 수집하였고, 부산대학교 임광 식 교수에 의해 확인되었다. 표본종은 부산대학교 천연물화학실에 보관해 두었다.
후피향나무의 신선한 잎(1.8 kg)을 환류하에서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메탄올 추출물(140 g)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그 잔류물을 물로 현탁시켰다. 그 현탁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n-BuOH로 추출하여 30 g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27 g의 n-BuOH 분획을 얻었다. n-BuOH 추출물의 일부(11.7 g)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Merck Silica gel 60, 0.063-0.200 mm)로 정제하여 분획 1 내지 29를 얻었다. 이때, 전개액으로 CH2Cl2-MeOH(10:1→7:1→5:1), CH2Cl2-MeOH-H2O(7:3:1,lower phase→65:35:10,lower phase→6:4:1) 및 100% 메탄올의 단계별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상기 얻어진 분획 5 내지 7을 합하고, 세파덱스 LH20 컬럼에서 MPLC를 하여 B5-1 ∼ B5-10과 같은 10개의 분획을 얻었다. B5-4 분획을 40% 메탄올(1% HAc)을 이용하여 C18 HPLC를 수행하여 화합물 1(1.7 mg, t R 14분), 화합물 2(8.3 mg, t R 23분), 화합물 3(3.6 mg, t R 32분), 화합물 4(14 mg, t R 20분), 화합물 5(5.9 mg, t R 28분) 및 화합물 7(5.4 mg, t R 35분)을 얻었다. B5-2 분획을 50% 메탄올을 이용하여 C18 HPLC로 분리한 분획인 B5-2-2 분획을 다시 45% 메탄올로 분리하여 화합물 6(0.2 mg, t R 14분), 화합물 8(0.4 mg, t R 30분) 및 화합물 16(0.6 mg, t R 18분)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분획 8 ∼ 11을 합하고, 세파덱스 LH20 컬럼에서 MPLC를 하여 B8-1 내지 B8-27과 같은 27개의 분획을 얻었다. B8-7 분획을 40% 메탄올을 이용하여 C18 HPLC를 수행하여 화합물 1(14 mg, t R 13분), 화합물 2(124 mg, t R 23분), 화합물 5(6 mg, t R 27분), 화합물 7(3 mg, t R 38분), 화합물 9(2.4 mg, t R 19분) 및 화합물 15(6 mg, t R 31분)를 얻었다. B8-20 분획으로부터 화합물 10(12 mg), B8-21 분획으로부터 화합물 12 및 13의 혼합물(19 mg) 및 B8-23 분획으로부터 화합물 14(13 mg)을 각각 얻었다.
분획 24를 세파덱스 LH20 컬럼에 적용한 후, 57% 메탄올로 C18 HPLC를 수행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1(9.8 mg, t R 14분)을 얻었다.
이때, HPLC는 YMC J'sphere ODS-H80 (JH323, 250 x 10 mm I.D., S-4 ㎛, 8 nm)를 지닌 LKB Bromma 2248 HPLC Pump를 이용하였고, 분당 1 ml의 속도로 흘려주면서 JASCO RI-1530 검출기로 확인하였다.
상기 얻어진 화합물들의 NMR 스펙트럼은 Varian UNITY INOVA 500 (500 MHz) 및 Bruker AC 200 (200 MHz)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화학적 시프트는 내부표준물질로 사용된 테트라메틸실란(TMS)에 대한 δ값(ppm)으로 나타내었으며, FABMS 데이터는 JEOL JMS 110/110 측정기로 기록되었다. 또, IR 스펙트럼은 KBr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JASCO FT/IR-410으로 기록되었다. 각 화합물에 대한 NMR 결과는 하기와 같고, 각 화합물의 구조식은 도 2a 및 도 2b와 같다.
1) 페놀성 글리코사이드계 화합물
i) 화합물 1 :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6.68(1H, d, J=2.0 Hz, H-2'), 6.66(1H, d, J=8.5 Hz, H-5'), 6.55(1H, dd, J=8.5, 2.0 Hz, H-6'), 4.28(1H, d, J=8.0 Hz, H-1), 4.02(1H, dt, J=10, 8.0 Hz, H-8'a), 3.86(1H, dd, J=12, 1.5 Hz, H-6a), 3.69(1H, m, 8'b), 3.66(1H, m, 6b), 3.24-3.36(3H, m, H-3, 4, 5), 3.17(1H, t-like, H-2), 2.77(2H, m, H-7'); 13C-NMR (50 MHz, CD3OD) δ 146.1 (C-4'), 144.7 (C-3'), 131.5 (C-1'), 121.2 (C-6'), 117.1 (C-5'), 116.3 (C-2'), 104.4 (C-1), 78.1 (C-3), 77.9 (C-5), 75.1 (C-2), 72.1 (C-8'), 71.6 (C-4), 62.8 (C-6), 36.6 (C-7').
ii) 화합물 2: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ㅇ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UV λmax(MeOH) nm: 228 (logε, 3.42), 280 (2.38); IR νmax cm-1: 3737, 3610, 2919, 2854, 1739, 1690, 1646, 1515, 1457, 794, 671; HRFAB-MS m/z 489.1373 [M + Na]+ (calcd for C22H26O11Na, 489.1373); 1H-NMR (500 MHz, CD3OD) δ 6.75 (1H, d, J=2.0 Hz, H-2"), 6.70 (1H, d, J=8.0 Hz, H-5"), 6.66 (1H, d, J=8.5 Hz, H-5'), 6.62 (1H, d, J=2.0 Hz, H-2'), 6.59 (H, dd, J=8.0, 2.0 Hz, H-6"), 6.49 (1H, dd, J=8.5, 2.0 Hz, H-6'), 4.69 (1H, dd, J=9.0, 7.5 Hz, H-2), 4.39 (1H, d, J=7.5 Hz, H-1), 3.90 (1H, dt, J=9.5, 7.5 Hz, H-8'a), 3.86 (1H, dd, J=12, 2.0 Hz, H-6a), 3.67 (1H, dd, J=12, 6.0 Hz, H-6b), 3.50 (1H, m, H-3), 3.47 (1H, dt, J=9.5, 7.5 Hz, H-8'b), 3.44-3.55 (2H, H-7"), 3.30 (1H, H-4), 3.27 (1H, m, H-5), 2.54 (2H, t, J=7.5 Hz, H-7'); 13C-NMR (125 MHz, CD3OD) δ 172.0 (C-8"), 145.0 (C-4"), 144.8 (C-3'), 144.2 (C-3"), 143.4 (C-4'), 130.4 (C-1'), 125.9 (C-1"), 120.7 (C-6"), 120.2 (C-6'), 116.5 (C-2"), 116.0 (C-5"), 115.1 (C-2'), 115.1 (C-5'), 101.0 (C-1), 76.8 (C-5), 74.9 (C-3), 74.3 (C-2), 70.7 (C-8'), 70.5 (C-4), 61.4 (C-6), 40.4 (C-7"), 35.1 (C-7').
iii) 화합물 3: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4-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f)-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7.09 (2H, d, J=8.5 Hz, H-2", 6"), 6.74 (2H, d, J=8.5 Hz, H-3", 5"), 6.68 (1H, d, J=8.5 Hz, H-5'), 6.63 (1H, d, J=2.0 Hz, H-2'), 6.51 (1H, dd, J=8.5, 2.0 Hz, H-6'), 4.71 (1H, dd, J=10, 8.0 Hz, H-2), 4.41 (1H, d, J=8.0 Hz, H-1), 3.94 (1H, m, H-8'a), 3.87 (1H, dd, J=12, 2.0 Hz, H-6a), 3.71 (1H, m, H-6b), 3.48-3.56 (4H, m, H-3, 8'b, 7"), 3.33-3.41 (2H, m, H-4, 5), 2.57 (2H, m, H-7'); 13C-NMR (125 MHz, CD3OD) δ 171.9 (C-8"), 156.2 (C-4"), 143.4 (C-3'), 130.3 (C-4'), 130.3 (C-1"), 125.2 (C-2"), 120.4 (C-6"), 120.1 (C-1'), 116.1 (C-6'), 115.9 (C-2'), 115.1 (C-5'), 115.1 (C-3"), 115.0 (C-5"), 101.0 (C-1), 76.9 (C-5), 74.9 (C-3), 74.3 (C-2), 70.6 (C-8'), 70.6 (C-4), 61.5 (C-6), 40.1 (C-7"), 35.3 (C-7').
iv) 화합물 4: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3-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6.77 (1H, d, J=2.0 Hz, H-2"), 6.71 (1H, d, J=8.0 Hz, H-5"), 6.70 (1H, d, J=2.0 Hz, H-2'), 6.68 (1H, d, J=8.0 Hz, H-5'), 6.62 (1H, dd, J=8.0, 2.0 Hz, H-6"), 6.57 (1H, dd, J=8.0, 2.0 Hz, H-6'), 4.97 (1H, m, H-3), 4.39 (1H, d, J=8.0 Hz, H-1), 4.04 (1H, m, H-8'a), 3.87 (1H, dd, J=12, 2.0 Hz, H-6a), 3.72 (1H, m, H-8'b), 3.69 (1H, m, H-6b), 3.59 (2H, s, H-7"), 3.48 (1H, m, H-4), 3.34 (1H, m, H-5), 3.32 (1H, m, H-2), 2.79 (1H, m, H-7'); 13C-NMR (125 MHz, CD3OD) δ 172.6 (C-8"), 144.9 (C-4"), 144.9 (C-3'), 144.1 (C-3"), 143.4 (C-4'), 130.2 (C-1'), 125.2 (C-1"), 120.7 (C-6"), 120.0 (C-6'), 116.5 (C-2"), 115.9 (C-5"), 115.1 (C-2'), 115.0 (C-5'), 103.1 (C-1), 78.1 (C-3), 76.6 (C-2), 72.3 (C-5), 71.1 (C-8'), 68.6 (C-4), 61.2 (C-6), 40.3 (C-7"), 35.5 (C-7').
v) 화합물 5: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6-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HRFAB-MS m/z 489.1370 [M + Na]+ (calcd for C22H26O11Na, 489.1373); 1H-NMR (500 MHz, CD3OD) δ 6.71 (1H, d, J=2.0 Hz, H-2"), 6.68 (1H, d, J=2.0 Hz, H-2'), 6.67 (1H, d, J=7.5 Hz, H-5"), 6.65 (1H, d, J=7.5 Hz, H-5'), 6.56 (1H, dd, J=7.5, 2.0 Hz, H-6"), 6.55 (1H, dd, J=7.5, 2.0 Hz, H-6'), 4.42 (1H, dd, J=12, 2.0 Hz, H-6a), 4.24 (1H, d, J=7.5 Hz, H-1), 4.20 (1H, dd, J=12, 6.0 Hz, H-6b), 3.88 (1H, dt, J=9.5, 7.5 Hz, H-8'a), 3.62 (1H, dt, J=9.5, 7.5 Hz, H-8'b), 3.45 (2H, s, H-7"), 3.42 (1H, m, H-5), 3.30 (1H, H-3), 3.26 (1H, d, J=10 Hz, H-4), 3.16 (1H, dd, J=8.5, 7.5 Hz, H-2), 2.75 (2H, t, J=7.5 Hz, H-7'); 13C-NMR (125 MHz, CD3OD) δ 172.8 (C-8"), 145.1 (C-4"), 144.9 (C-3'), 144.3 (C-3"), 143.5 (C-4'), 130.5 (C-1'), 125.7 (C-1"), 120.6 (C-6"), 120.1 (C-6'), 116.3 (C-2"), 116.0 (C-5"), 115.2 (C-2'), 115.2 (C-5'), 70.9 (C-8'), 40.2 (C-7"), 35.4 (C-7'), 103.2 (C-1), 76.8 (C-3), 74.2 (C-5), 73.8 (C-2), 70.5 (C-4), 63.8 (C-6).
vi) 화합물 6: 2-(4-히드록시페닐)-에탄올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7.07 (2H, d, J=8.5 Hz, H-2', 6'), 6.69 (2H, d, J=8.5 Hz, H-3', 5'), 4.29 (1H, d, J=8.0 Hz, H-1), 4.03 (1H, m, H-8'a), 3.86 (1H, dd, J=12.5, 2.0 Hz, H-6a), 3.65-3.69 (3H, m, H-6b, 8'b, 4), 3.30-3.35 (2H, m, H-3, 5), 3.18 (1H, dd, J=9.5, 8.0 Hz, H-2), 2.84 (2H, m, H-7').
vii) 화합물 7: 2-(4-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 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HRFAB-MS m/z 473.1424 [M + Na]+ (calcd for C22H26O10Na, 473.1424); 1H-NMR (500 MHz, CD3OD) δ 6.97 (2H, d, J=8.5 Hz, H-2', 6'), 6.75 (1H, d, J=2.0 Hz, H-2"), 6.69 (1H, d, J=8.5 Hz, H-5"), 6.67 (2H, d, J=8.5 Hz, H-3', 5'), 6.58 (1H, dd, J=8.5 Hz, 2.0 Hz, H-6"), 4.68 (1H, d, J=8.0 Hz, H-1), 4.38 (1H, dd, J=10, 8.0 Hz, H-2), 3.91 (1H, dt, J=9.5, 7.0 Hz, H-8'a), 3.85 (1H, dd, J=12, 2.0 Hz, H-6a), 3.66 (1H, dd, J=12, 6.0 Hz, H-6b), 3.50 (1H, m, H-3), 3.48 (1H, m, H-8'b), 3.42-3.50 (2H, H-7"), 3.34 (1H, t, J=10 Hz, H-4), 3.26 (1H, m, H-5), 2.57 (2H, t, J=7.0 Hz, H-7'); 13C-NMR (50 MHz, CD3OD) δ 173.0 (C-8"), 156.7 (C-4'), 146.2 (C-3"), 145.4 (C-4"), 131.1 (C-1'), 131.0 (C-2'), 130.8 (C-6'), 127.0 (C-1"), 121.8 (C-6"), 117.6 (C-2"), 116.2 (C-5"), 116.1 (C-3'), 116.1 (C-5'), 102.2 (C-1), 78.0 (C-5), 76.1 (C-3), 75.4 (C-2), 71.9 (C-8'), 71.7 (C-4), 62.6 (C-6), 41.6 (C-7"), 36.1 (C-7').
viii) 화합물 8: 2,4,5-트리메톡시벤조일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6.72 (1H, s, H-6'), 6.66 (1H, s, H-3'), 4.29 (1H, d, J=6.5 Hz, H-1), 3.92 (1H, dm, J=9.0 Hz, H-2), 3.86 (3H, s, -OCH 3), 3.85 (6H, s, -OCH 3), 3.78 (1H, dm, J=12.5 Hz, H-6a), 3.67 (1H, m, H-6b), 3.14-3.41 (3H, m, H-3, 4, 5).
ix) 화합물 9: 2-(2,4,5-트리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 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6.83 (1H, s, H-6'), 6.78 (1H, d, J=8.0 Hz, H-5"), 6.66 (1H, dd, J=8.0, 2.0 Hz, H-6"), 6.46 (1H, d, J=2.0 Hz, H-2"), 6.43 (1H, s, H-3'), 4.58 (1H, dd, J=9.0, 8.0 Hz, H-2), 4.31 (1H, d, J=8.0 Hz, H-1), 4.09 (1H, dm, J=10 Hz, H-8'a), 3.88 (1H, dd, J=12, 2.0 Hz, H-6a), 3.79 (1H, dm, J=10 Hz, H-8'b), 3.68 (1H, dd, J=12, 6.0 Hz, H-6b), 3.55 (1H, d, J=14 Hz, H-7"a), 3.29-3.43 (4H, m, H-3, 4, 5, 7"b), 2.70 (1H, m, H-7'a), 2.60 (1H, m, H-7'b).
2)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i) 화합물 10: 캠페롤 3-O-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 brown powder; UV λmax (MeOH) nm : 347 (logε 4.39) and 266 (4.47) nm; 1H-NMR (500 MHz, CD3OD) δ 8.08 (2H, d, J=9.0 Hz, H-2', H-6'), 6.87 (2H, J=9.0 Hz, H-3', H-5'), 6.39 (1H, d, J=2.0 Hz, H-8), 6.19 (1H, d, J=2.0 Hz, H-6), 5.13 (1H, d, J=8.0 Hz, H-1"), 3.41-3.82 (5H, m, H-2", 3", 4", 5", 6"); 13C-NMR (125 MHz, DMSO-d 6) δ 178.2 (C-4), 165.2 (C-7), 161.9 (C-5), 160.7 (C-4'), 157.1 (C-9), 157.0 (C- 2), 133.9 (C-3), 131.7 (C-2'), 131.7 (C-6'), 121.6 (C-1'), 116.0 (C-3'), 116.0 (C-5'), 104.5 (C-10), 102.4 (C-1"), 99.5 (C-6), 94.4 (C-8), 76.5 (C-5"), 73.8 (C-3"), 71.9 (C-2"), 68.6 (C-4"), 60.9 (C-6").
ii) 화합물 11: 3-O-β-D-크실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실 캠페롤 4'-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brown powder; UV λmax(MeOH) nm: 343 (logε, 4.35), 304 (4.34), 267 (4.57) nm; LRESI-MS m/z 743 [M + H]+ (calcd for C32H39O20, 743); 1H-NMR (500 MHz, CD3OD) δ 8.13 (2H, d, J=9.0 Hz, H-2', 6'), 6.89 (2H, d, J=9.0 Hz, H-3', 5'), 6.40 (1H, d, J=2.0 Hz, H-8), 6.19 (1H, d, J=2.0 Hz, H-6), 5.30 (1H, d, J=7.5 Hz, glc H-1''), 4.80 (1H, xyl H-1'''), 4.15 (1H, d, J=7.5 Hz, glc H-1''''), 3.41-3.82 (m, H-2''-6'', 2'''-5''', 2''''-6''''); 13C-NMR (50 MHz, CD3OD) δ 179.7 (C-4), 166.3 (C-4), 161.5 (C-5), 158.5 (C-4'), 158.5 (C-9), 158.4 (C-2), 135.0 (C-3), 132.4 (C-2', 6'), 122.7 (C-1'), 116.3 (C-3', 5'), 105.6 (C-1'''), 105.4 (C-10), 104.3 (C-1''''), 101.3 (C-6), 100.1 (C-1''), 94.9 (C-8), 80.1 (C-2''), 77.8 (C-3''), 77.6 (C-5''''), 77.0 (C-3''''), 75.7 (C-5''), 75.0 (C-3'''), 74.9 (C-2''''), 74.8 (C-2'''), 71.5 (C-4'''), 71.0 (C-4''''), 70.1 (C-4''), 68.7 (C-5'''), 66.6 (C-6''''), 62.6 (C-6'').
iii) 화합물 12: 쿼세틴 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brown powder; 1H-NMR (500 MHz, CD3OD) δ 7.70 (1H, d, J=2.0 Hz, H-2'), 7.58 (1H, dd, J=8.0, 2.0 Hz, H-6'), 6.85 (1H, d, J=8.0 Hz, H-5'), 6.39 (1H, d, J=2.0 Hz, H-8), 6.19 (1H, d, J=2.0 Hz, H-6), 5.24 (1H, d, J=7.5 Hz, H-1"), 3.40∼3.85 (5H, m, H-2", 3", 4", 5", 6"). 13C-NMR (125 MHz, DMSO-d 6) δ 178.1 (C-4), 165.0 (C-7), 161.9 (C-5), 157.0 (C-9), 156.9 (C-2), 149.2 (C-3'), 145.5 (C-4'), 134.1 (C-3), 122.7 (C-1'), 121.8 (C-6'), 116.6 (C-5'), 115.9 (C-2'), 104.5 (C-10), 101.5 (C-1"), 99.4 (C-6), 94.2 (C-8), 78.2 (C-5"), 77.2 (C-3"), 74.8 (C-2"), 70.6 (C-4"), 61.6 (C-6").
vi) 화합물 13: 하이퍼린, 하이퍼로사이드, 쿼세틴 3-O-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 brown powder; 1H-NMR (500 MHz, CD3OD) δ 7.84 (1H, d, J=2.0 Hz, H-2'), 7.58 (1H, dd, J=8.0, 2.0 Hz, H-6'), 6.85 (1H, d, J=8.0 Hz, H-5'), 6.39 (1H, d, J=2.0 Hz, H-8), 6.19 (1H, d, J=2.0 Hz, H-6), 5.16 (1H, d, J=7.5 Hz, H-1"), 3.45-3.85 (5H, m, H-2", 3", 4", 5", 6"); 13C-NMR (125 MHz, DMSO-d 6) δ 178.1 (C-4), 165.0 (C-7), 161.9 (C-5), 157.0 (C-9), 156.9 (C-2), 149.2 (C-3'), 145.5 (C-4'), 134.1 (C-3), 122.7 (C-1'), 121.8 (C-6'), 116.6 (C-5'), 115.9 (C-2'), 104.5 (C-10), 102.5 (C-1"), 99.4 (C-6), 94.2 (C-8), 76.5 (C-5"), 73.9 (C-3"), 71.9 (C-2"), 68.6 (C-4"), 60.8 (C-6").
v) 화합물 14: 쿼시트린, 쿼세틴 3-O-α-L-람노피라노사이드, brown powder; 1H-NMR (500 MHz, CD3OD) δ 7.33 (1H, d, J=2.0 Hz, H-2'), 7.30 (1H, dd, J=8.0, 2.0 Hz, H-6'), 6.90 (1H, d, J=8.0 Hz, H-5'), 6.34 (1H, d, J=2.0 Hz, H-8), 6.18 (1H, d, J=2.0 Hz, H-6), 5.34 (1H, d, J=1.5 Hz, H-1"), 4.21 (1H, dd, J=3.3 Hz, 1.5 Hz, H-2"), 3.74 (1H, dd, J=9.5 Hz, 3.3 Hz, H-3"), 3.41 (1H, m, H-5"), 3.33 (1H, dm, J=9.5 Hz, H-4"), 0.93 (3H, d, J=6.5 Hz, H-6"); 13C-NMR (125 MHz, DMSO-d 6) δ 177.6 (C-4), 164.2 (C-7), 161.3 (C-5), 157.2 (C-2), 156.5 (C-9), 148.5 (C-4'), 145.2 (C-3'), 134.1 (C-3), 121.1 (C-6'), 120.7 (C-1'), 115.6 (C-5'), 115.4 (C-2'), 103.9 (C-10), 101.8 (C-1"), 98.8 (C-6), 93.7 (C-8), 71.2 (C-4"), 70.5 (-2"), 70.3 (C-3"), 70.0 (C-5"), 17.7 (C-6").
3) 기타 화합물
i) 화합물 15: 메틸 3,4-디히드록시페닐 에타노에이트,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6.69 (1H, d, J=2.0 Hz, H-2), 6.68 (1H, d, J=8.0 Hz, H-5), 6.55 (1H, dd, J=8.0, 2.0 Hz, H-6), 3.65 (3H, s, H-9), 3.45 (2H, s, H-7); 13C-NMR (50 MHz, CD3OD) δ 174.6 (C-8), 146.3 (C-3), 145.5 (C-4), 127.0 (C-1), 121.6 (C-6), 117.4 (C-2), 116.3 (C-5), 52.3 (C-9), 41.2 (C- 7).
ii) 화합물 16: jacaranone, yellow amorphous solid; 1H-NMR (500 MHz, CD3OD) δ 7.08 (2H, d, J=10 Hz, H-3, 5), 6.16 (2H, d, J=10 Hz, H-2, 6), 3.66 (3H, s, -COMe), 2.76 (2H, s, H-7).
< 비교예 1> 후피향나무 열매로부터 화합물 동정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후피향나무의 열매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신선한 열매의 n-부탄올 추출 분획으로부터 8개의 사포닌계 화합물(화합물 1'∼8')을 얻었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으로부터 4개의 jacaranone 유도체(화합물 9'∼12')를 얻었다. 도 3에서 후피향나무의 열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은 각각 화합물 1' 내지 12'로 표시하였다.
화합물 분리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후피향나무 열매의 n-부탄올 분획을 MeOH에 녹여 EtOAc를 적가하여 조사포닌 침전을 얻고, 그 침전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획 1-6으로 나누었다. 분획4로부터 역상 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1'-3', 7', 8'을 얻고, 분획6으로부터 역상 HPLC를 이용하여 화합물 4'-6'을 얻었다.
한편,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후피향나무 열매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CHCl3-MeOH (20:15:1)의 용매조건에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0개의 분획(분획1-분획10)으로 나누고, 분획7을 다시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획 7-1 ∼ 7-9 로 나누었다. 분획7-2를 역상 HPLC하 여 화합물 9'-11'를 얻고, 분획7-3을 역상 HPLC하여 화합물 12'를 얻었다.
< 실시예 2> 항산화 활성 검토
1) 전체 ROS 생성 억제능 측정
랫트(male Wister rat, 150-200g) 신장 호모게네이트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을 12.5 mM DCHF-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로 37℃에서 30분동안 배양하였고, 50 mM 인산완충용액(pH 7.4)이 또한 사용되었다. DHCF-DA는 세포 내로 쉽게 확산되며 세포내 에스테레이즈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환원된 비형광 화합물인 DCHF(2',7'-dichlorodihydrofluorescein)로 되는 안정한 화합물이다. 이때, DCHF가 세포내로 트랩된다. 세포 내에서 생성된 ROS는 DCHF를 고형광성 DCF(2',7'-dichlorofluorescein)으로 산화시킨다. 산화된 DCF의 형광 강도가 마이크로플레이트 형광분석기(excitation 460 nm, emission 530 nm; Bio-Tek Instruments Inc.)로 측정되었다. 이때, 트로록스(Trolox; Sigma Chemical Company)를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2) 히드록시 라디칼 생성 억제능 측정
1 mM H2O2 및 0.2 mM FeSO4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첨가하고, 37℃에서 5분동안 배양한 후, 에스테레이즈 처리된 2 μM DCHF-DA를 첨가하였다. 이때, 형광 변화는 30분동안 마이크로플레이트 형광분석기(excitation 460 nm, emission 530 nm)로 측정하였다. 이때, 트로록스(Trolox)를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3) 퍼옥시니트리트(ONOO-) 소거 활성 측정
퍼옥시니트리트(ONOO-) 소거 활성은 Kooy et al.(1994)에 의해 보고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DHR123(dihydrorhodamine123; Molecular Probes)의 산화를 모니터링하여 측정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된 5 mM DHR123을 80℃에서 스탁용액으로 저정되었다. 실험 전에는 이 용액은 얼음에 놓아두고 암실에 보관하였다. 90 mM 염화나트륨, 50 mM 인산나트륨, 5 mM 염화칼륨으로 이루어진 완충액(pH 7.4) 및 100 μM DTPA(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를 양질의 탈이온수로 준비하였다. 이때, DHR123의 최종 농도는 5 μM이었다. ONOO-(Cayman Chemicals Co.)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5분 후 최종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DHR123은 ONOO-에 의해 쉽게 산화되며, 산화된 DHR123의 최종 형광강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형광리더 FL 500(excitation 480 nm, emission 530 nm; Bio-Tex Instruments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DL-페니실라민(Sigma Chemical Company)을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피향나무 열매보다 후피향나무 잎의 항산화 활성이 훨씬 뛰어났고, 특히 후피향나무 잎의 경우 부탄올 추출물이 가장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후피향나무의 각 용매분획의 항산화 활성 비교
시료 ·OH 전체 ROS ONOO-
IC50 (㎍/ml) 평균±표준편차
EtOAc 분획[잎] 29.24 ± 0.08 > 300 30.33 ± 2.54
n-BuOH 분획[잎] 4.34 ± 0.11 38.83 ± 0.19 6.05 ± 1.05
H2O 분획[잎] 36.76 ± 0.30 > 300 59.47 ± 3.70
B8-7 분획[잎] 3.24 ± 0.03 > 300 16.00 ± 2.47
대조군 5.85 ± 0.33 34.11 ± 0.15 1.22 ± 0.05
n-BuOH 분획[열매] 23.52 ± 0.10 > 300 20.17 ± 1.38
또,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 중 화합물 8 및 16을 제외한 모든 화합물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화합물의 히드록시 라디칼 생성 억제능
시료 IC50 (μM) 평균±표준편차
화합물 1 7.01 ± 0.13
화합물 2 3.41 ± 0.09
화합물 3 4.66 ± 0.04
화합물 4 3.26 ± 0.01
화합물 5 6.50 ± 0.09
화합물 6 8.67 ± 0.05
화합물 7 4.72 ± 0.04
화합물 8 > 300
화합물 9 4.21 ± 0.02
화합물 10 6.07 ± 0.24
화합물 11 5.28 ± 0.03
화합물 12 & 13 3.74 ± 0.06
화합물 14 4.45 ± 0.01
화합물 15 3.24 ± 0.04
화합물 16 28.25 ± 0.10
트롤록스 2.83 ± 0.02
< 실시예 3>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1)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의 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5 마리씩의 동물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을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g/㎏, 3g/㎏ 및 5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2)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얻어진 화합물 2의 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5 마리씩의 동물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 2를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g/㎏, 3g/㎏ 및 5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탄올 추출물 및 화합물 2를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및 화합물 2는 랫트에서 각각 3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따라서, 경구 투여 중간치사량(LD50)은 본 발명의 부탄올 추출물 및 화합물 2 각각 3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 100.0 ㎎, 옥수수전분 90.0 ㎎, 유당 180 ㎎, 엘-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8.0 ㎎, 폴리비닐피롤리돈 5.0 ㎎ 및 에탄올 적량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습식과립법으로 과립화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 ㎎을 가하여 혼합한 후 1정이 400 ㎎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 제제예 2> 연질캅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 100.0 ㎎, 콩기름 180.0 ㎎, 황납 40.0 ㎎, 야자경화유 128.0 ㎎, 대두인지질 20.5 ㎎, 젤라틴 212.0 ㎎, 글리세린(비중 1.24) 50.0 ㎎, d-소루비톨 76.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54 ㎎,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90 ㎎, 메칠바닐린 0.56 ㎎ 및 황색 203호 적량을 약전 제제총칙중 연질캅셀의 제법에 따라 1 캅셀 중에 함유되도록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 100.0 mg, 옥수수전분 83.0 mg, 유당 175.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0 mg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1캅셀에 360 mg이 함유되도록 충전하였다.
< 제제예 4> 식품 및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1> 츄잉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 0.24 ∼ 0.64 %, 껌베이스 20 %, 설탕 76.36 ∼ 76.76 %, 후르츠향 1 % 및 물 2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4-2> 아이스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 0.24 ∼ 0.64 %, 유지방 10.0 %, 무지유고형분 10.8 %, 설탕 12.0 %, 물엿 3.0 %, 유화안정제(스팬,span) 0.5 %, 향료(스트로베리) 0.15 % 및 물 63.31 ∼ 62.91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4-3>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탄올 추출물 0.48 ∼ 1.28 ㎎,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및 물 200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들은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당뇨병, 비만, 암, 동맥경화, 류마티스 및 고혈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노화관련 질환 치료에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피부미백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6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는 수소,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7
    또는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8
    이고,
    R4
    Figure 112005044665789-pat00009
    이며, 이때 R5 내지 R7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4-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3-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3,4-디히드록시페닐)-에탄올 6-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4-히드록 시페닐)-에탄올 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2-(4-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2-(2,4,5-트리히드록시페닐)-에탄올 2-O-(3,4-디히드록시페닐에타노일)-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삭제
  4. 삭제
  5. 후피향나무 잎의 부탄올 추출물, 상기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동정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부탄올 추출물로부터 동정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89533154-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수소,
    Figure 112006089533154-pat00016
    또는
    Figure 112006089533154-pat00017
    이고,
    R4
    Figure 112006089533154-pat00018
    이며, 이때 R5 내지 R7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며,
    [화학식 2]
    Figure 112006089533154-pat00019
    상기 화학식 2에서,
    R8 내지 R9는 수소;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람노오스; 또는 크실로오스가 결합된 글루코오스이며, R10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임.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50074422A 2005-08-12 2005-08-12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KR10073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422A KR100736456B1 (ko) 2005-08-12 2005-08-12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422A KR100736456B1 (ko) 2005-08-12 2005-08-12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440A KR20070019440A (ko) 2007-02-15
KR100736456B1 true KR100736456B1 (ko) 2007-07-09

Family

ID=4163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422A KR100736456B1 (ko) 2005-08-12 2005-08-12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15A (ko)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37B1 (ko) * 2018-09-21 2020-03-02 (주)에이치피앤씨 후피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27092B1 (ko) * 2021-05-03 2021-11-17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아구아헤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561A (ja) * 1983-02-03 1984-08-17 Shiraimatsu Shinyaku Kk 食品の風味改良剤
JPS6041473A (ja) 1983-08-15 1985-03-05 Shiraimatsu Shinyaku Kk 抗微生物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561A (ja) * 1983-02-03 1984-08-17 Shiraimatsu Shinyaku Kk 食品の風味改良剤
JPS6041473A (ja) 1983-08-15 1985-03-05 Shiraimatsu Shinyaku Kk 抗微生物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15A (ko)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440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kozawa et al. Inhibitory effects of Luobuma tea and its components against glucose-mediated protein damage
KR101116757B1 (ko) 능실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9980702533A (ko)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제
KR20180082784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에 포함된 코디세핀의 분해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040107713A (ko)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US7090872B2 (en) Antioxidant,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osmetic and food
KR20050019830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예방용 기능성 식품
KR100736456B1 (ko)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KR100665313B1 (ko)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포함하는 감국 추출물
JP2001299305A (ja) 活性酸素消去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WO2004103988A1 (ja) 含硫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オリゴ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KR101168379B1 (ko)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풍, 고혈압 및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85829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겨우살이 추출 발효물의 제조방법
US20060104927A1 (en)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0836941B1 (ko) 차가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1662B1 (ko) 플라보노이드 8-o-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130005118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542323B1 (ko) 후박나무로부터 세포사멸 유도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JP4789453B2 (ja) アントシアニン吸収促進剤
KR20050108746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5645431B (zh) 一种组合物及其应用
KR101122297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 산화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06184B1 (ko) 우렁쉥이 껍질의 아세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콜레스테롤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