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845B1 - 경사면 운전을 보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경사면 운전을 보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845B1
KR101499845B1 KR1020107000138A KR20107000138A KR101499845B1 KR 101499845 B1 KR101499845 B1 KR 101499845B1 KR 1020107000138 A KR1020107000138 A KR 1020107000138A KR 20107000138 A KR20107000138 A KR 20107000138A KR 101499845 B1 KR101499845 B1 KR 101499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te
vehicle
seuil
slope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738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데스프리슈
알레상드로 몽티
리샤르 포탱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4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including control of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18Hill h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4Clutch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6Ratio select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을 위한 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클러치를 이용해 구동 바퀴들에 연결된 자동 추진 장치 그룹 및 자동 주차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일정한 물리적 매개변수들이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들을 근거로, 사용자 및 자동차가 출발할 준비가 되었다고 추정되는 상태에 해당하는 경사 특성(θp en te) 저장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면 운전을 보조하는 방법{Method providing assistance with hill starts}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을 위한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수동 또는 자동 기어박스(gearbox)를 가진 자동차의 경사면 출발을 돕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떤 자동차에 대해서는, 제작자들이 자동 주차 브레이크를 제안한다.
이 자동 주차 브레이크는 전통적인 주차 브레이크 해결책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높기 때문에 고객에게 더 가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해야 한다.
이 시스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제작자들은 여기에 경사면에서의 운전 보조, 특히 경사면에서의 출발(또는 시작) 보조 기능을 결합시키는데, 그 원리는 엔진에 의해 구동 바퀴로 전달된 우력이 경사면의 경사의 영향을 상쇄할 만큼 충분해지자마자 비구동 바퀴들에 대한 제동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영국 특허 GB 2 376 990은 이 관점에서 수동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위한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모듈을 제안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가속장치 페달의 포지티브 이동을 보여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클러치 페달의 위치가 릭킹 포인트(licking point)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신호를 받았을 때 주차 브레이크에 가해진 힘을 완화하는 것이다. 장치가 브레이크를 완화하는 순간은 클러치 페달을 누르는 속도, 맞물려진 속도의 비율, 자동차 사용자가 위치한 경사에 동등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 장치는, 예를 들어 승객의 움직임 또는 출발 시 자동차의 흔들림 때문에 발생하는, 정지 시 차체의 흔들림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
사실, 우력이 바퀴에 가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움직임이 브레이크에 의해 방해를 받는 한 바퀴들은 고정되어 있어, 제동장치를 늦추기 전에, 자동차는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클러치로 전달되는 계산된 우력이 경사 센서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에 의해 왜곡되기 때문에, 자동차가 늦게 출발하는 해로운 결과가 초래된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해, 센서의 잡음 및 고주파수 성분을 여과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저역 필터가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전달된 우력의 산정이 정확하지 않다면 이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차체의 흔들림에 민감하지 않은 경사면 운전을 위한 보조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선행 기술의 단점들에 대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 또는 자동 기어박스를 갖추고 있는 자동차에 적용 가능한 경사면 운전을 위한 보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클러치를 이용하여 구동 바퀴들에 연결된 자동 추진 장치 그룹 및 자동 주차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을 위한 보조 방법을 제안하는데,
이는 자동차의 일정한 물리적 매개변수들이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들을 근거로, 사용자 및 자동차가 출발할 준비가 되었다고 추정되는 상태에 해당하는 경사 특성을 메모리에 저장하라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몇몇 측면은 다음과 같다:
- 일정 매개변수들은:
자동차의 속도,
자동차의 정지 시간,
기어 비율의 체결,
가속 페달의 위치 및,
그룹의 회전 각속도이며,
- 자동차의 일정한 매개변수들이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들은 동시에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속도는, 정의된 정지 시간 이상의 시간부터는 정의된 최저 속도 이하여야 하며,
기어 비율은 체결되어야 하며,
가속장치 페달은 정의된 쓰레숄드 위치(threshold position) 이하의 위치(θacc)까지 눌려져야 하며,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의 회전 각속도는 최소 회전 각속도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클러치 페달이 일정 쓰레숄드 위치 이상의 위치까지 눌렸을 때, 조건들은 충족되며,
-브레이크의 완화는 경사 특성 저장 명령이 생성되는 단계가 되어야만 이행되며,
- 브레이크의 완화는 클러치에 전달되는 우력이 이른바 전달된 출발 쓰레숄드 우력에 이를 때에만 이행되며,
- 전달된 출발 우력은 기록된 경사 특성에 따라 추산되거나 계산되며,
- 출발 쓰레숄드 우력은:
만일 기록된 경사 특성이 포지티브(positive)이거나 0 이고 전진이 체결되었거나,
기록된 경사가 네거티브(negative)이거나 0 이고 후진이 체결되었다면, 0 이고,
만일 기록된 경사 특성이 엄밀하게 포지티브이고 전진이 체결되었거나,
기록된 경사가 엄밀하게 네거티브이고 후진이 체결되었다면,
m×g×sin(θpente)×r(b)×ρroues 이며,
여기서 - m은 자동차의 질량,
- g는 중력,
- θpente는 경사 특성,
- r(b)는 기어 레버의 위치(b)에 해당하는 체결된 기어 비율,
- ρroues는 부하 상태인 자동차 바퀴의 반경이며,
- 가속 페달의 쓰레숄드 위치는 가속장치 페달의 맵핑(mapping)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클러치를 이용하여 구동 바퀴에 연결된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경사면 운전 보조 장치를 제안하는데, 본 장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완화 제어 수단들과, 경사 센서와, 자동차의 속도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기어박스에 의해 체결된 기어를 탐지하고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가속장치 페달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필요한 경우, 클러치 페달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계산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들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에서의 운전을 위한 보조 방법 적용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에서의 운전을 위한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자동차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경사면에서 자동차가 정차후 다시 출발할 때 운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이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제공된 첨부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드러날 것이며, 여기서: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기능적 구조를 나타내며,
-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동 기어박스를 갖춘 자동차의 바퀴로
전달된 우력을 산정하는 자동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며,
- 도 3은 자동차와 사용자가 출발할 준비가 된 상황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된 자동장치를 나타내며,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에서의 출발을 위한 보조 방법 원리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에서의 출발을 위한 보조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는 자동 추진 장치 그룹과, 자동 주차 브레이크(5)와, 자동차의 나머지 부분(6)으로부터 오는 신호가 통과하는 버스(bus, 4)와, 자동 추진 장치 그룹 제어 계산기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4)는 바람직하게 기준 CANTM(Control Area Network; 제어 영역 네트워크) 버스이다.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은, 이용자(수동 기어 자동차의 경우)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자동 기어가 장착된 자동차의 경우) 제어될 수 있는 기어박스 및 클러치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장치에 의해 구동 바퀴들에 연결된 열기관으로 구성된다.
변형예로서,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은 열기관과 함께 또는 열기관 없이 하나 또는 다수의 전자 기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경사면에서의 출발을 위한 보조 장치는 마찬가지로 버스(4)에 연결된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제어 계산기(1)와 협력한다.
제어 계산기(1)는,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 주차 브레이크(5)를 조이고 늦추는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는데, 상기 자동 주차 브레이크(5) 명령들은 엄밀하게 말해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연결 라인에 대해 생성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 계산기(1)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상태 정보들을 버스(4)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도 갖추고 있다.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제어 계산기(1)는 적절한 라인에 의해 경사 센서(2)에 연결된다. 다른 형태의 실시 형태에서, 만일 경사면의 경사에 대한 정보가 버스(4)에서 사용 가능하다면, 경사 센서(2)는 버스(4)를 통과하는 데이터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동일한 수단으로 대체된다.
자동차가 경사면에서 멈췄을 때, 경사 센서(2)는 자동차가 멈춰있는 (마찬가지로 경사의 특성적 표현에 의해 표시될) 경사면 기울기의 대표 신호를 제공한다.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제어 계산기(1)가 조임 명령을 생성하면, 자동 주차 브레이크(5)가 조여지도록 브레이크의 유압 부분들이 디스크들을 조인다.
역으로,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제어 계산기(1)가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완화 명령을 생성하면, 브레이크의 유압 부분들은 늦춰진다.
게다가, (경사면에서 혹은 평지에서의) 출발 상황에서, 자동차의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은, 클러치가 활성화되었느냐 아니냐에 따라 그리고 클러치 위치에 의존하는 부분에 따라 바퀴로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은 우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다음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원리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의 완화의 한 조건, 특히 사용자 및 자동차가 출발할 준비가 되었을 때 측정된 경사 특성 및 클러치에 전달된 우력(CT)의 함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조건은, 경사의 영향이 구동 우력에 의해 균형을 이루는, 일정 쓰레숄드가 초과되는 즉시 출발 상황에 자동차가 있게 되도록 결정된다.
출발을 위해서, 경사면에 정차된 자동차는 지면의 당기는 힘에 기인하는 경사의 영향을 극복해야 한다.
이러한 경사의 영향은 경사 특성 및 자동차의 질량에 따라 결정되며, 그 값은 다음과 같다.
m×g×sin(θpente)
여기서, m은 자동차의 질량이며,
g는 중력,
θ pente 는 경사 특성이다.
자동차가 출발(즉, 경사면에서의 출발)하도록 하기 위해 바퀴의 운동학적 연결에 의해 클러치에 전달되어야 하는 최소 우력(CT_seuil)은 따라서 최소한
CT_seuil = m×g×sin(θpente)×r(b)×ρroues
와 같으며
여기서, r(b)는 기어 레버의 위치(b)에 해당하는, 체결된 기어의 비율이고, ρ roues 는 부하 상태인 자동차 바퀴들의 반경이다.
이 우력(CT_seuil)은 출발 쓰레숄드 우력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략은 이러한 관계의 이용에 기초한다.
특히, 본 전략은 클러치에 전달된 우력(CT)이 출발 쓰레숄드 우력(CT _ seuil) 이상일 때 정지 상태의 출발 단계에서 자동 주차 브레이크(5)를 완화하는 것이다.
수동 기어박스를 위해서는, 전달된 우력(CT)이 프랑스 특허 출원 FR 2 828 450에 의해 설명된 것과 같은 (수동 기어를 위해, 첨부된 도 2에 의해 묘사되었으며 본 설명서에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자동장치 에 의해 측정되며, 자동 그리고/또는 로봇화된 기어박스를 위해서는, 알려진 기술에 따라 우력 변환기에 의해 계산되고 전달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출발 알고리즘의 작용 원리를 설명할 것이다.
본 알고리즘은 전달되는 우력(CT)의 추정 또는 계산을 이용하며 운전자의 의지를 해석한다.
출발 시에 자동차는 굽힘의 힘을 받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경사 특성에 관하여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출발 쓰레숄드 우력(CT_seuil)의 추정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자동차와 그 사용자가 출발할 준비가 되는 순간을 탐지하여, 그 순간에 해당하는 경사 특성을 동결한다.
특성의 동결은 그 순간에 해당하는 경사 특성(θpente)의 값을 저장 수단들을 통해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순간의 탐지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장치의 도움으로 구현되는데, 이 것은 서로 구별되며 연속적인 네 개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제 1 상태(10)에서는, 자동차의 속도(v)가 정의된 최저 속도(vmin) 이상이다. 따라서 자동장치는 자동차가 작동한다고 생각한다.
제 2 상태(20)에서는, 일정한 시간(Δtarret)동안 자동차의 속도(v)가 최저 속도(vmin) 이하이다. 따라서 자동장치는 자동차가 정지 상태에 있다고 (또는 최소한 자동차가 막 경사면 운전을 수행하려 한다고) 여긴다.
만일 제 2 상태에서 일정 시간(Δtarret)동안 속도(v)가 최저 속도(vmin) 이상이 되면, 자동장치는 처음의 제 1 상태(10)로 돌아간다.
속도(v), 시간(t), 가속장치 페달의 위치(θacc)(이 위치는 예를 들어 페달 눌림의 백분율로 제공될 수 있다),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의 회전 각속도(ω)의 물리적인 매개변수들이 일정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면, 자동장치는 운전자 및 자동차가 출발할 준비가 되었다고 예측한다. 따라서 자동장치는 매개변수들이 상기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상태에 해당하는 경사 특성(θpente)을 저장하라는 명령을 생성시키고 제 3 상태(30)로 넘어간다. 제 1 상태(20)에서 제 3 상태(30)로의 이행은 저장이 실행된 경우에만 실행될 수 있다.
저장 명령의 생성을 위해서는, 단순한 메커니즘《Sample and Hold》(즉 견본추출 및 폐색 메커니즘)이면 충분하다. 앞으로 기록된 이 특성을 참조 기호 θp en te_ store로 표시할 것이다.
상기 매개변수들이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들은, 자동차의 속도(v)가 시간 Δtarret 이상의 시간(t)부터 최저 속도(vmin) 이하이고, 기어의 비율이 체결되고, 자동차의 사용자가 가속장치 페달을 일정한 쓰레숄드 위치(θacc _ seuil) 이하의 위치(θacc)까지 누르고,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의 회전 각속도(ω)가 최저 회전 각속도(ωmin) 이상인 것이다.
유리하게는, θacc _ seuil는 기록된 경사 특성 값(θpente _ store)과 회전 각속도(ω)에 따라 달라진다. 이 값은, 예를 들어, 가속장치의 맵핑(mapping;catographie)에 의해 제공된 가장 적은 값일 수 있다.
수동 기어박스의 경우, 자동차 및 사용자가 출발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예측하기 위한 추가 조건은 클러치 페달이 일정한 위치(θacc _ seuil) 이상의 위치(θemb)(이 위치는 예를 들어 페달 눌림의 백분율로 제공될 수 있다)까지 눌렸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자동차의 속도(v), 시간(t), 기어의 체결, 가속 페달의 위치(θacc),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의 회전 각속도(ω), 필요한 경우, 클러치 페달의 위치(θemb)에 대한 조건들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자동장치는 제 2 상태(20)에 머무른다.
만일 시간(t), 기어의 체결, 가속 페달의 위치(θacc),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의 회전 각속도(ω), 필요한 경우, 클러치 페달의 위치(θemb)에 대한 조건들 중 하나라도 더 이상 충족되지 않으면, 자동장치는 제 2 상태(20)로 되돌아간다.
만일 자동차의 속도(v)가 최저 속도(vmin) 이상이 되면, 자동장치는 제 1 상태(10)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평지에서 삼색 신호등에서 정지했을 때, 이런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발하기 위해 보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발을 위해 계산된 최저 우력(CT_seuil)은 더 이상 경사 센서에 의해 전달된 특성에 따라서가 아니라, 기록된 상기 정보(θpente _ store)에 따라 추산된다.
따라서 출발을 위한 쓰레숄드 우력(CT_seuil)은 다음 값을 갖는다:
■ 만일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 _ store)이 포지티브이거나 제로이고 후진이 체결되거나,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 _ store)이 네거티브이거나 제로이고 전진이 체결되면 0 이고,
■ 만일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 _ store)이 엄밀하게 포지티브이고 전진이 체결되거나,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 _ store)이 엄밀하게 네거티브이고 후진이 체결되면 m.g.sin(θ pente ).r(b).ρ roues 이다.
Figure 112014100564791-pct00001
출발 쓰레숄드 우력(CT_seuil)의 이러한 정의는 사용자가 경사의 내려가는 방향으로 출발하려 하는 경우 상기 쓰레숄드 우력(CT_seuil)을 제로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만일 (프랑스 특허 출원 FR 2 828 450의 방법에 따라 추정되거나 기어박스의 우력 변환기에 의해 계산된) 클러치에 전달된 우력(CT)이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_store)에 대한 정보에 따라 계산된 출발 우력(CT _ seuil) 이상이거나 동일하고, 속도, 시간(t), 기어의 체결, 가속 페달의 위치(θacc),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의 회전 속도(ω)와, 필요한 경우, 클러치 페달의 위치(θemb)에 대한 조건들이 여전히 만족되고 있다면, 자동장치는 제 4 상태(40)로 들어간다.
이 제 4 상태(40)에서는, 출발의 조건들이 충족되는데, 이는 결정된 제 2 시간(Δtcommande) 보다 짧은 시간(t)부터 시작된다 (t<Δtcommande).
출발 조건들을 통해, 여기서 자동장치가 자동차와 사용자가 출발할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하게 되는 조건들이 이해되는데, 본 조건은 전달된 우력에 근거를 둔다: CT ≥ CT _ seuil.
자동장치가 제 4 상태(40)로 들어갈 때, 제어 계산기(1)가 자동 주차 브레이크(5)의 완화를 명령한다. 따라서 t=t4가 얻어지며, 여기서 t4는 자동장치가 제 4 상태(40)로 들어갈 때의 시간에 해당한다.
정해진 제 2 시간 후에(즉 t - t4 > Δtcommande일 때), 자동장치는 상태 1 로 돌아가 시간을 제로로 재초기화한다.
이론적인 출발 순간에, 즉, 사용자 및 자동차가 출발할 준비가 되고, 클러치로 전달된 우력(CT)이 출발 우력(CT _ seuil) 이상이거나 동일한 순간에, 엔진에 의해 제공된 우력은 적어도 클러치에 의해 전달된 우력(CT) 이상이어야 한다.
사실, 반대의 경우, 자동차는 엔진이 꺼질 위험이 매우 높다.
자동차의 모든 엔진 정지를 피하기 위해서는:
- 사용자가 가속하거나,
- 엔진의 회전속도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우력을 발생시킬 만큼 충분해야한다.
첫 번째 조건은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사용자의 개입을 피하기 위해, 가속장치 페달의 맵핑이 이행된다.
경사 및 맵핑된 엔진 회전속도 모두를 위해, 가속장치 페달의 최소 위치(θacc_seuil)가 측정되는데, 이는 엔진을 꺼뜨리지 않고 출발할 수 있도록 엔진의 회전속도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우력을 발생시킬 만큼 충분해지는 데 필요하다.
이 맵핑은 트랙에서의 시험을 통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1. 제어 계산기 2. 경사 센서
4. 버스(bus) 5. 자동 주차 브레이크

Claims (11)

  1. 클러치를 이용하여 구동 바퀴들에 연결된 자동 추진 장치 그룹 및 자동 주차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을 위한 보조 방법으로서,
    자동차의 일정한 물리적 매개변수들이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들을 근거로, 사용자 및 자동차가 출발할 준비가 되었다고 추정되는 상태에 해당하는 경사 특성(θpente)을 메모리에 저장하라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한 물리적 매개변수들은:
    자동차의 속도(v),
    자동차의 정지 시간(t),
    기어 비율의 체결,
    가속 페달의 위치(θacc) 및,
    그룹의 회전 각속도(ω)이고,
    자동차의 일정한 물리적 매개변수들이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들은 동시에:
    자동차의 속도(v)는, 정의된 정지 시간(Δtarret) 이상의 시간(t)부터는 정의된 최저 속도(vmin) 이하여야 하며,
    기어 비율은 체결되어야 하며,
    가속장치 페달은 정의된 쓰레숄드 위치(threshold position; θacc_seuil) 이하의 위치(θacc)까지 눌려져야 하며,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의 회전 각속도(ω)는 최소 회전 각속도(ωmin) 이상이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물리적 매개변수들이 충족시켜야 할 조건이 충족되고, 또한 클러치 페달이 일정 쓰레숄드 위치(θemb_seuil) 이상의 위치(θemb)까지 눌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완화는, 경사 특성(θpente) 저장 명령이 생성되는 단계가 되어야만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완화는, 클러치에 전달되는 우력(CT)이 이른바 전달된 출발 쓰레숄드 우력(CT_seuil)에 이를 때에만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전달된 출발 우력(CT_seuil)이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_store)에 따라 추산되거나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출발 쓰레숄드 우력(CT_seuil)의 값이;
    만일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_store)이 포지티브(positive)이거나 0 이고 전진이 체결되었거나, 기록된 경사(θpente_store)가 네거티브(negative)이거나 0 이고 후진이 체결되었다면, 0 이고,
    만일 기록된 경사 특성(θpente_store)이 엄밀하게 포지티브이고 전진이 체결되었거나, 기록된 경사(θpente_store)가 엄밀하게 네거티브이고 후진이 체결되었다면, m×g×sin(θpente)×r(b)×ρroues 이며,
    여기서 m은 자동차의 질량,
    g는 중력,
    θpente는 경사 특성,
    r(b)는 기어 레버의 위치(b)에 해당하는 체결된 기어 비율,
    ρroues는 부하 상태인 자동차 바퀴의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가속 페달의 쓰레숄드 위치(θacc_seuil)가 가속장치 페달의 맵핑(mapping;catographie)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10. 클러치를 이용하여 구동 바퀴에 연결된 자동 추진 장치 그룹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경사면 운전 보조 장치로서, 본 장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5)와, 브레이크 완화 제어 수단들과, 경사 센서와, 자동차의 속도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기어박스에 의해 체결된 기어를 탐지하고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가속장치 페달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필요한 경우, 클러치 페달의 위치(θemb)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과, 계산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들이 제 1 항에 따른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방법 적용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장치.
  11. 제 1 항에 따른 자동차의 경사면 운전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자동차.
KR1020107000138A 2007-07-06 2008-04-22 경사면 운전을 보조하는 방법 KR101499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6319 2007-07-06
FR0756319A FR2918336B1 (fr) 2007-07-06 2007-07-06 Procede d'assistance aux manoeuvres en cote.
PCT/FR2008/050721 WO2009007553A1 (fr) 2007-07-06 2008-04-22 Procede d'assistance aux manoeuvres en co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738A KR20100041738A (ko) 2010-04-22
KR101499845B1 true KR101499845B1 (ko) 2015-03-10

Family

ID=3873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138A KR101499845B1 (ko) 2007-07-06 2008-04-22 경사면 운전을 보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47475B2 (ko)
EP (1) EP2162336B1 (ko)
JP (1) JP5538216B2 (ko)
KR (1) KR101499845B1 (ko)
CN (1) CN101687511B (ko)
FR (1) FR2918336B1 (ko)
RU (1) RU2470810C2 (ko)
WO (1) WO2009007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3416A1 (de) * 2010-08-04 2012-02-09 Voith Patent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nfahrhilfe eines Kraftfahrzeugs
JP5293722B2 (ja) * 2010-10-22 2013-09-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坂道発進補助制御装置
KR101251529B1 (ko) * 2011-10-04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등판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84149B1 (ko) * 2012-10-23 2019-05-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듀얼클러치 트랜스미션이 구비된 차량의 전자 제어식 유압 브레이크 제어 방법
CN103802832A (zh) * 2012-11-12 2014-05-21 奥托立夫开发公司 坡道起步辅助方法
DE102013104601A1 (de) * 2013-05-06 2014-11-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hindern eines Wegrollens eines stillstehenden Fahrzeugs
KR101655642B1 (ko) * 2015-01-05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의 키스포인트 학습 방법
CN105599769B (zh) * 2016-01-11 2019-06-11 蓝科华骋河北新能源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辅助起步的方法
FR3075958B1 (fr) * 2017-12-21 2019-11-22 Renault S.A.S Systeme de calcul du couple minimum a la roue d'un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de determination de l'instant de leve de pied de l'accelerateur utilisant un tel systeme de calcul.
CN110550031B (zh) * 2018-05-30 2020-12-0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坡道行驶控制方法及相应的电子控制单元
CN114056110B (zh) * 2020-08-04 2023-06-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坡道起步控制方法和车辆
KR20220166415A (ko) * 2021-06-10 2022-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329A (ja) * 1984-11-27 1986-06-17 Hino Motors Ltd 自動トランスミツシヨン
JPS62198530A (ja) * 1986-02-27 1987-09-02 Aisin Seiki Co Ltd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JP2007127155A (ja) * 2005-11-01 2007-05-24 Hino Motors Ltd 発進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2540A (ja) * 1986-06-12 1987-12-19 Isuzu Motors Ltd 制動力保持制御装置
JPS63112170U (ko) * 1987-01-16 1988-07-19
JP2585055B2 (ja) * 1988-04-23 1997-02-26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変速機のクリープトルク制御装置
JP2000280876A (ja) * 1999-03-30 2000-10-10 Isuzu Motors Ltd オートクラッチ車両
AU2001237228A1 (en) * 2000-02-24 2001-09-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ctuating a clutch
GB2376990B (en) 2001-06-28 2004-10-20 Ford Global Tech Inc Electric parking brake
FR2828450B1 (fr) 2001-08-07 2003-10-03 Renault Dispositif d'assistance au demarrage en cote pour vehicule automobile
US6411881B1 (en) * 2001-08-10 2002-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utral idle operation of a vehicle
DE10200783C2 (de) * 2002-01-11 2003-12-24 Audi Ag Anfahrhilfesteuerungsvorrichtung
FR2841199B1 (fr) * 2002-06-20 2004-08-27 Renault Sa Dispositif et procede de desserrage automatique du frein de parking automatique au demarrage
US7317980B2 (en) * 2002-07-30 2008-01-08 Adivics Co., Ltd. Automatic brake devic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vehicle in direction opposite to intended direction of movement of driver
DE10314998B4 (de) * 2002-11-21 2021-01-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Offsetwerts eines Längsbeschleunigungssensors
DE10303415A1 (de) * 2003-01-29 2004-08-05 Voith Turbo Gmbh & Co. Kg Verfahren zur Optimierung des Fahrverhaltens
FR2858032B1 (fr) * 2003-07-22 2006-10-27 Delphi Tech Inc Procede et un dispositif d'assistance au demarrage d'un vehicule automobile arrete sur une surface en pente
JP4515053B2 (ja) * 2003-07-23 2010-07-28 株式会社トランストロン ブレーキ液圧保持装置
JP2006306300A (ja) * 2005-04-28 2006-11-09 Hi-Lex Corporation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329A (ja) * 1984-11-27 1986-06-17 Hino Motors Ltd 自動トランスミツシヨン
JPS62198530A (ja) * 1986-02-27 1987-09-02 Aisin Seiki Co Ltd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JP2007127155A (ja) * 2005-11-01 2007-05-24 Hino Motors Ltd 発進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738A (ko) 2010-04-22
EP2162336A1 (fr) 2010-03-17
JP2010532294A (ja) 2010-10-07
CN101687511A (zh) 2010-03-31
EP2162336B1 (fr) 2017-03-29
FR2918336A1 (fr) 2009-01-09
CN101687511B (zh) 2013-05-15
RU2470810C2 (ru) 2012-12-27
FR2918336B1 (fr) 2009-10-23
WO2009007553A1 (fr) 2009-01-15
JP5538216B2 (ja) 2014-07-02
US8447475B2 (en) 2013-05-21
US20100204890A1 (en) 2010-08-12
RU2010103979A (ru) 201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845B1 (ko) 경사면 운전을 보조하는 방법
CN101678832B (zh) 用于机动车辆的斜坡起步辅助方法
KR20100046280A (ko) 자동차에 탑재된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3277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eering a vehicle toward an object during a parking operation
US20050246081A1 (en) Method and system to prevent unintended rolling of a vehicle
EP3046814B1 (en) Hill rollback speed control
US20130197731A1 (en) Hill holding control in an electric vehicle
US20130024058A1 (en) Hill start assist control method for use in hybrid electric vehicles
US8392081B2 (en) Method for assisting with hill maneuvers
KR101638533B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934626B2 (en) Brake system
GB2461150A (en) Vehicle trailer braking system
WO2013112179A1 (en) Hill holding control in an electric vehicle
KR2016014820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2007118781A (ja) 上り坂での一時停止時に後滑りを抑止される車輌
JP4534840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248330B1 (ko) 차량의 전자식 주차브레이크를 이용한 힐 홀드 장치와 그의제어 방법
CN117734452A (zh) 一种用于车辆的自适应坡道辅助控制方法和系统
CN117087443A (zh) 一种电机控制器、动力总成及车辆
CN115195677A (zh) 驻车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