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762B1 -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762B1
KR101499762B1 KR20130108533A KR20130108533A KR101499762B1 KR 101499762 B1 KR101499762 B1 KR 101499762B1 KR 20130108533 A KR20130108533 A KR 20130108533A KR 20130108533 A KR20130108533 A KR 20130108533A KR 101499762 B1 KR101499762 B1 KR 10149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side outer
roof panel
outer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설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3010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강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의 양 측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보강 부재의 상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루프 패널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팅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상의 미려함과 차체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특히, 전기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한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Vehicle upper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팅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과 보강 부재를 결합할 수 있고, 외관상의 미려함과 차체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특히, 전기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한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보강 부재에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루프 패널을 결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32682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 상부의 일부를 도시한 지지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루프패널(20), 사이드 인너패널(40), 사이드 아웃터패널(10) 및 보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이드 인너패널(40)과 사이드 이웃터패널(10)의 상하부는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폐단면을 이루고, 상기 폐단면을 이루는 사이드 인너패널(40)과 사이드 아웃터패널(10)의 내부에는 복합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30)가 구비된다. 보강부재(30)는 사이드 인너패널(40)과 사이드 아웃터패널(10)의 상하 접합부(51,52)에 스폿 용접되어 접합되고, 폐단면을 지나는 그 도중이 사이드 아웃터패널(10)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제1보강재(32)와, 일단이 제1리인포스(32)에 스폿 용접되고 타단이 사이드 인너패널(40)을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도중이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2보강재(34)와, 일단이 제2보강재(34)의 절곡부에 CO2 용접되고 타단이 제1보강재(32)를 접촉 지지하는 제3 보강재(36)와, 제1보강재(32)에 프로젝션 용접되고 제2보강재(34)의 일단과 사이드 인너패널(40)을 관통하는 제4보강재(38)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보강 부재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접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차체의 경량화가 중요한 전기자동차 등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제작 시에 대형 금형 설비 및 대형 도장 설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보강 부재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접합부를 감추기 인해 별도로 몰딩 등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루프 패널을 보강 부재와 용접으로 접합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이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보강 부재에 결합 되어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팅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외관상의 미려함과 차체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특히, 전기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한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보강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의 양 측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보강 부재의 상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루프 패널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루프 패널의 테두리 측 내면에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루프 패널에는 상기 보강 부재와 볼팅으로 결합 되는 볼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와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에서 볼트로 체결되되, 상기 루프 패널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볼팅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보강 부재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루프 패널의 전방 측과 좌우 측에 설치되며, 상기 루프 패널의 좌우 측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보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가 삽입되어 볼트로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루프 패널의 내면에 고정되는 두 플랜지부와, 상기 두 플랜지부의 마주하는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두 지지부와, 상기 두 지지부의 전방 측 끝단을 잇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와 상기 루프 패널 사이는 상하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루프 패널에는 상기 보강 부재와 본딩으로 결합 되는 본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루프 패널에는 상기 보강 부재 및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의 실링을 위한 매스틱 실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보강 부재의 양 측면에 본딩 및 볼팅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를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로 덮어 상기 보강 부재의 상면에 본딩 및 볼팅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또는 상기 루프 패널의 본딩이 경화된 후,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또는 상기 루프 패널에 볼팅 된 볼트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은 루프 패널의 내면에 고정 브라켓을 설치하여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팅부를 루프 패널이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루프 패널과 보강 부재를 결합하므로 외관상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은 절연성 및 NVH(Noise Vibration Harness) 특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루프 패널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제작하기 때문에 어퍼바디의 성능이 향상되며, 특히, 차체의 경량화가 중요한 전기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루프 패널을 도장 후, 모듈 형태로 공급하는 생산 구조의 도입이 가능하게 되어 금형 설비 및 도장 설비를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루프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은 볼팅 및 본딩으로 루프 패널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보강 부재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용접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분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은 볼팅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몰딩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바디 상부의 일부를 도시한 지지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 상의 본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 상의 볼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W-W 부분에 보강 부재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도 4의 X-X 부분에 보강 부재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루프 패널 상의 본딩부 및 매스틱 실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루프 패널 상의 볼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루프 패널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보강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7의 X-X 부분에 보강 부재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12는 도 7의 Y-Y 부분에 보강 부재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13은 도 7의 Z-Z 부분에 보강 부재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 상의 본딩부(202, 204, 206, 208, 212, 214, 216, 218, 222, 224)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 상의 볼팅부(232, 234, 236, 238, 242, 246)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W-W 부분에 보강 부재(100)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4의 X-X 부분에 보강 부재(100)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루프 패널(300) 상의 본딩부(302, 304) 및 매스틱 실러부(312, 314, 316)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루프 패널(300) 상의 볼팅부(322)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루프 패널(300)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35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보강 부재(1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의 X-X 부분에 보강 부재(100)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12는 도 7의 Y-Y 부분에 보강 부재(100)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7의 Z-Z 부분에 보강 부재(100)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보강 부재(100)와, 보강 부재(100)의 양 측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보강 부재(100)의 상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300)을 포함하되, 루프 패널(30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 일부를 덮는 것을 포함한다.
보강 부재(100)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이 먼저 결합 되고, 그 상부 면에 루프 패널(300)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 일부를 덮으며 결합 된다.
보강 부재(100)는 차체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차체의 강성을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보강 부재(100)는 제1보강재(102), 제2보강재(104), 제3보강재(106), 제4보강재(108), 제5보강재(112), 제6보강재(114), 제7보강재(116), 제8보강재(118), 제9보강재(122), 제10보강재(124), 제11보강재(126)를 포함한다.
제1보강재(102)는 루프 사이드 레일이라고도 불리며, 좌우 측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2보강재(104)는 프론트 필라 어퍼라고도 불리며, 제1보강재(102)의 전방 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3보강재(106)는 프론트 필라 로어라고도 불리며, 제2보강재(104)의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4보강재(108)는 사이드 실이라고도 불리며, 제3보강재(106)의 하단에서 후방 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5보강재(112)는 센터 필러라고도 불리며, 제1보강재(102)의 중앙 부근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4보강재(108)와 만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6보강재(114)는 리어 휠 하우스라고도 불리며, 제4보강재(108)의 후방 측 끝단에서 아치 형태로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7보강재(116)는 리어 필러라고도 불리며, 제6보강재(114)의 후방 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보강재(102)의 후방 측 끝단과 만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8보강재(118)는 제7보강재(116)의 중앙 부근에서 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5보강재(112)와 만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보강재(102), 제2보강재(104), 제3보강재(106), 제4보강재(108), 제5보강재(112), 제6보강재(114), 제7보강재(116), 제8보강재(118)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어 보강 부재(100)의 양 측면을 이룬다.
제9보강재(122)는 루프 프론트 레일이라고도 불리며, 좌측에 형성된 제1보강재(102)와 제2보강재(104)가 만나는 부분에서 우측에 형성된 제1보강재(102)와 제2보강재(104)가 만나는 부분까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9보강재(122)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져 있다.
제10보강재(124)는 루프 리어 레일이라고도 불리며, 좌측에 형성된 제1보강재(102)와 제7보강재(116)가 만나는 부분에서 우측에 형성된 제1보강재(102)와 제7보강재(116)가 만나는 부분까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1보강재(126)는 루프 센터 레일이라고도 불리며, 좌우 측에 형성된 제1보강재(102)의 중앙 부근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100)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이 결합 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보강 부재(100)의 양 측면에 결합하기 전에 원하는 색상으로 도장하여 제작될 수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플라스틱 소재이기 때문에 차체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체의 경량화가 중요한 전기자동차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에는 보강 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본딩부(202, 204, 206, 208, 212, 214, 216, 218, 222, 224)가 형성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본딩부(202, 204, 206, 208, 212, 214, 216, 218, 222, 224)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루프 레일부 상의 본딩부(202),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6), 프론트 필라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8),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2),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본딩부(214),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6), 리어 휠 아치부 상의 본딩부(218), 리어 필라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22), 쿼터 글래스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24)를 포함한다.
루프 레일부 상의 본딩부(202)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상단 내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1보강재(102)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과 유사한 형상이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도어가 장착되는 부분의 둘레 내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1보강재(102)와 제3보강재(106)와 제4보강재(108)와 제5보강재(112)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6)는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의 사선 부분 전방에 나란히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2보강재(104)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프론트 필라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8)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내면 전방 중앙 부근에서 하부 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고,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6)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3보강재(106)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2)는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와 프론트 필라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8) 사이 내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두 군데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제3보강재(106)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본딩부(214)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하단 내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제4보강재(108)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6)는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의 후방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제5보강재(112)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리어 휠 아치부 상의 본딩부(218)는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본딩부(214)의 후방 끝단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제6보강재(114)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리어 필라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22)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맨 후방 측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고, 루프 레일부 상의 본딩부(202)와 리어 휠 아치부 상의 본딩부(218) 사이에 위치하며, 제7보강재(116)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쿼터 글래스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24)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과 유사한 형상이고, 쿼터 글래스가 장착되는 둘레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제1보강재(102)와 제5보강재(112)와 제7보강재(116)와 제8보강재(118)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각각의 본딩부(202, 204, 206, 208, 212, 214, 216, 218, 222, 224)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내면에 형성되며, 본드가 도포되어 보강 부재(100) 측면의 대응되는 부분과 결합 된다.
또한, 각각의 본딩부(202, 204, 206, 208, 212, 214, 216, 218, 222, 224)는 보강 부재(100)의 좌측면에 결합 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내면과 보강 부재(100)의 우측면에 결합 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내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에는 보강 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볼팅부(232, 234, 236, 238, 242, 244)가 형성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볼팅부(232, 234, 236, 238, 242, 246)는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4), 도어 체커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6),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볼팅부(238),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42), 리어 필라 플랜지부 상의 볼팅부(244)를 포함한다.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상단 전후방 측에 두 군데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보강재(102)에 볼팅으로 결합 된다.
두 군데의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 사이에는 후술할 루프 패널(300)의 고정 브라켓(350)과 대응하여 체결되는 다섯 군데의 결합부(250)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50)는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4)는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2)와 동일한 위치에 두 군데 형성되고, 제3보강재(106)에 볼팅으로 결합 된다..
도어 체커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6)는 두 군데에 형성된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4) 사이에 형성되고, 제3보강재(106)에 볼팅으로 결합 된다..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볼팅부(238)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하단 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섯 군데 형성되고, 제4보강재(108)에 볼팅으로 결합 된다.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42)는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6)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5보강재(112)에 볼팅으로 결합 된다.
리어 필라 플랜지부 상의 볼팅부(244)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맨 후방 측에 상하로 이격되어 두 군데 형성되고, 제7보강재(116)에 볼팅으로 결합 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각각의 볼팅부(232, 234, 236, 238, 242, 246) 및 각각의 볼팅부(232, 234, 236, 238, 242, 246)의 위치와 대응되는 보강 부재(100)의 측면은 볼트(388) 및 너트(399)로 체결되고, 이로 인해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보강 부재(100)가 결합 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각각의 볼팅부(232, 234, 236, 238, 242, 246)는 보강 부재(100)의 좌측면에 결합 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내면과 보강 부재(100)의 우측면에 결합 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내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각각의 볼팅부(232, 234, 236, 238, 242, 246) 중,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4)와 도어 체커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6)와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42)에 체결되는 볼트(388) 및 너트(399)는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2),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본딩부(216)에 도포 된 본드가 경화하고 난 뒤, 제거된다.
그 이유는 도어(미도시)의 장착 시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4)와 도어 체커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6)와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42)에 체결되는 볼트(388) 및 너트(399)가 도어(미도시)의 개폐에 방해가 되는 등의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맨 상부에 위치하고,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401)와, 제1절곡부(401)의 우측 끝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더욱 경사지게 형성되며,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제2절곡부(402)와, 제2절곡부(402)의 우측 끝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절곡부(403)와, 제3절곡부(403)의 좌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4절곡부(404)를 포함한다.
제1보강재(102)는, 제1절곡부(401)의 하부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5절곡부(405)와, 제5절곡부(405)의 우측 끝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더욱 경사지게 형성되며,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제6절곡부(406)와, 제6절곡부(406)의 우측 끝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7절곡부(407)와, 제7절곡부(407)의 좌측 끝단에서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8절곡부(408)를 포함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제1보강재(102)의 맨 우측 면을 둘러싸고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제1보강재(102)의 맨 우측 면은 대략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이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루프 레일부 상의 본딩부(202)는 제2절곡부(402)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루프 레일부 상의 본딩부(202)는 제1보강재(102)의 제6절곡부(406)의 일부와 접촉하여 본딩으로 결합 된다.
제1보강재(102)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루프 레일부 상의 본딩부(202) 중앙 부근에는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가 위치한 채 볼트(388)와 너트(399)로 체결되어 제1보강재(102)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볼트(388)는 제2절곡부(402), 제6절곡부(406) 순으로 삽입되어 제6절곡부(406)의 좌측 면에 형성되는 너트(399)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388)의 헤드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는 제1보강재(102)의 제8절곡부(408)의 일부와 접촉하여 본딩으로 결합 된다.
제1절곡부(401)와 제5절곡부(405)의 사이 및 제3절곡부(403)와 제7절곡부(407)의 사이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 충돌 시에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맨 상부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9절곡부(411)와, 제9절곡부(411)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된 제10절곡부(412)와, 제10절곡부(412)의 우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계단처럼 단차 지게 형성되는 제11절곡부(413)와, 제11절곡부(413)의 우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12절곡부(414)와, 제12절곡부(414)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제13절곡부(415)를 포함한다.
제4보강재(108)는, 제9절곡부(41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4절곡부(416)와, 제14절곡부(416)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된 제15절곡부(417)와, 제15절곡부(417)의 우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16절곡부(418)와, 제16절곡부(418)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된 제17절곡부(419)와, 제17절곡부(419)의 우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18절곡부(421)와, 제18절곡부(421)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제19절곡부(422)를 포함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제4보강재(108)의 맨 우측 면을 둘러싸고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제4보강재(108)의 맨 우측 면은 대략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이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본딩부(214)는 제13절곡부(415)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본딩부(214)는 제4보강재(108)의 제19절곡부(422)의 일부와 접촉하여 본딩으로 결합 된다.
제4보강재(108)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본딩부(214) 중앙 부근에는 사이드 실 하부 상의 볼팅부(238)가 위치한 채 볼트(388)와 너트(399)로 체결되어 제4보강재(108)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볼트(388)는 제13절곡부(415), 제19절곡부(422) 순으로 삽입되어 제19절곡부(422)의 상면에 형성되는 너트(399)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388)의 헤드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는 제4보강재(108)의 제14절곡부(416) 및 제15절곡부(417)의 일부와 접촉하여 본딩으로 결합 된다.
제9절곡부(411)와 제14절곡부(416)의 사이 및 제11절곡부(413)와 제16절곡부(418)의 사이 및 제11절곡부(413)와 제17절곡부(419)의 사이 및 제12절곡부(414)와 제18절곡부(421)의 사이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 충돌 시에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패널(30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이 결합 된 보강 부재(100)의 상면에 결합 된다.
루프 패널(30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 일부를 덮으며 결합 되는데, 이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에 형성되는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 및 결합부(250)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루프 패널(30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보강 부재(100)의 상면에 결합 하기 전에 원하는 색상으로 도장하여 제작될 수 있다.
루프 패널(300)은 플라스틱 소재이기 때문에 차체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체의 경량화가 중요한 전기자동차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루프 패널(300)에는 보강 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 브라켓(350) 및 본딩부(302,304)와, 보강 부재(100) 및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의 실링을 위한 매스틱 실러부(312, 314, 316, 317, 318)가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350)은 루프 패널(300)의 테두리 측 내면에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350)은 루프 패널(300)의 전방 측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2개가 설치되고, 루프 패널(300)의 좌측과 우측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5개가 각각 설치된다.
고정 브라켓(350)은 플랜지부(352)와, 지지부(354)와, 수평부(356)와, 삽입공(358)을 포함한다.
플랜지부(352)는 루프 패널(300)의 내면에 두 개가 이격되어 고정된다.
두 플랜지(352)는 같은 형상이다.
두 플랜지부(352)는 서로 나란히 위치하며,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지지부(354)는 각각의 플랜지부(352)의 마주하는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라운드 지게 절곡된 부분이다.
지지부(354)는 플랜지부(352)와 마찬가지로 두 개가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이격되어 있다.
수평부(356)는 두 지지부(354)의 전방 측 끝단을 잇는 부분이다.
수평부(356)는 플랜지부(352)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루프 패널(300)의 내면과 마주한다.
수평부(356)의 중앙에는 삽입공(358)이 형성된다.
삽입공(358)은 보강 부재(100),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 루프 패널(300) 간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고정 브라켓(350)의 두 지지부(354) 사이는 상하로 개방되어 있고, 루프 패널(300)과 루프 패널(300)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356) 사이는 상하로 개방되어 있고, 고정 프라켓(350)의 수평부(356)와 루프 패널(300)은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로 개방되어 있다는 말은 상하로 뚫려 있다는 말이다.
이로 인해 고정 브라켓(350)에 보강 부재(100)를 결합하거나 고정 브라켓(350)에 보강 부재(100) 및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을 결합할 때, 수평부의 후면 쪽에 너트(399)를 두고 볼트(388)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여기서 너트(388)는 브라켓(350)을 루프 패널(300)의 내면에 결합하기 전 수평부(356)에 미리 용접 등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루프 패널(30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350)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루프 패널(30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35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결합부(25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한다.
특히,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루프 패널의 결합 시, 루프 패널(30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결합부(250)는 서로 맞닿는다.
고정 브라켓(350)은 루프 패널(300)의 내측에서 보강 부재(100)와 볼트(388)로 체결된다.
고정 브라켓(350)이 루프 패널(300)의 내측에서 보강 부재(100)와 볼트(388)로 체결되는 이유는 루프 패널(300) 외부로 체결된 볼트(388)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제공하게 하기 위함이다.
루프 패널(300)의 전방 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 브라켓(350)은 보강 부재(100)와 볼트(388)로 체결된다.
루프 패널(30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350)은 보강 부재(100)와의 사이에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결합부(250)를 두고 볼트(388)로 체결된다.
이러한 이유는 보강 부재(100)의 제1보강재(102)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가 볼팅으로 결합 되면, 그 외측으로 볼팅 된 볼트(388)의 일부분이 튀어 나와 외관상 미려함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튀어나온 볼트(388)의 일부분을 루프 패널(300)로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루프 패널(30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350)은 보강 부재(100)와의 사이에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결합부(250)를 두고 볼트(388)로 체결되는 것이다.
각각의 고정 브라켓(350)은 각 위치에 대응하는 보강 부재(100) 및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볼팅으로 결합 되어, 보강 부재(100)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루프 패널(300) 간의 고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고정 브라켓(350)의 간격 및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루프 패널(300)의 본딩부(302, 304)는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302)와 루프 리어 레일 매칭부 상의 본딩부(304)를 포함한다.
루프 패널(300)의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302)는 루프 패널(300)의 전방 측 끝단 부근 내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9보강재(122)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루프 패널(300)의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302)는 루프 패널(300)의 전방 측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350)의 전방 측에 형성된다.
루프 리어 레일 매칭부 상의 본딩부(304)는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 끝단 부근 내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10보강재(124)에 본딩으로 결합 된다.
매스틱 실러부(312, 314, 316)는 루프 패널(300)의 좌측, 우측, 후방 측 내면에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루프 패널(300)의 좌측에 형성된 매스틱 실러부(312)는 루프 패널(300)의 좌측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350)의 우측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고, 루프 패널(300)의 우측에 형성된 매스틱 실러부(314)는 루프 패널(300)의 우측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350)의 좌측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고,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에 형성된 매스틱 실러부(316)는 루프 리어 레일 매칭부 상의 본딩부(304)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한다.
매스틱 실러부(317, 318)는 제9보강재(122)와 제11보강재(126)의 상면과 대응하는 루프 패널(300)의 내면에도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매스틱 실러부(312, 314, 316, 317, 318)는 매스틱 실러로 루프 패널(300)과 보강 부재(100) 사이 또는 루프 패널(300)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 사이 등을 실링 및 코팅하기 위한 부분이다.
루프 패널(300)에는 보강 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볼팅부(322)가 형성되고, 이는 테일케이트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322)이다
테일케이트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322)는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 끝단 부근 좌우 측에 이격되어 두 군데 형성되고, 제10보강재(124)에 볼팅으로 결합 된다.
테일케이트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322)에 체결되는 볼트(388) 및 너트(399)는 루프 리어 레일 매칭부 상의 본딩부(304)에 도포 된 본드가 경화하고 난 뒤, 제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패널(300)은, 맨 상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0절곡부(431)와, 제20절곡부(431)의 우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우측으로 다소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1절곡부(432)와, 제21절곡부(432)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라운드 지게 절곡되어 우측 일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2절곡부(433)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우측이라 함은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을 의미한다.
제10보강재(124)는, 제20절곡부(4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3절곡부(435)와, 제24절곡부(435)의 우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라운드 지게 절곡된 제24절곡부(436)와, 제26절곡부(437)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라운드 지게 절곡된 제25절곡부(437)와, 제25절곡부(437)의 우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V'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26절곡부(434)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우측이라 함은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을 의미한다.
루프 패널(300)은 제10보강재(124)의 상부에 위치한다.
루프 패널(300)의 루프 리어 레일 매칭부 상의 본딩부(304)는 제22절곡부(433)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루프 패널(300)의 루프 리어 레일 매칭부 상의 본딩부(304)는 제10보강재(124)의 제25절곡부(437) 및 제26절곡부(434)의 일부에 접촉하여 본딩으로 결합 된다.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에 형성된 매스틱 실러부(316)는 루프 패널(300)의 제20절곡부(431)의 이면에 형성된다.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에 형성된 매스틱 실러부(316)는 제10보강재(124)의 제23절곡부(435) 상면 일부에 접촉하여, 매스틱 실러로 실링 및 코팅되는 부분이다.
루프 패널(300)의 제21절곡부(432)와 제10보강재(124)의 제24절곡부(436)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 충돌 시에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패널(300)은, 맨 좌측에서 우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7절곡부(441)와, 제27절곡부(441)의 우측 끝단에서 제27절곡부(441)보다 우측 상방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된 제28절곡부(442)와, 제28절곡부(442)의 상단에서 제28절곡부(442)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우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29절곡부(443)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우측이라 함은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을 말한다.
제9보강재(122)는 여러 굴곡을 가지고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의 좌우 양끝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여기서 좌측이라 함은 루프 패널(300)의 전방 측, 우측이라 함은 루프 패널(300)의 후방 측을 말한다.
제9보강재(122)의 우측 일정 위치에는 볼트(388)의 삽입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루프 패널(300)은 제9보강재(122)의 상부에 위치한다.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302)는 제27절곡부(441)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302)는 제9보강재(122)의 좌측 끝부분에 접촉하여 본딩으로 결합 된다.
제29절곡부(443)의 중앙 우측 이면에는 고정 브라켓(350)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350)의 플랜지부(352)는 제29절곡부(443)의 하면에 위치하여 결합 되고,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356)는 제29절곡부(443)와 이격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356) 하면에는 제9보강재(122)의 우측 상부면 일부가 접촉하여 볼트(388)와 너트(399)로 체결된다.
볼트(388)는 제9보강재(122)와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356) 순으로 삽입되어 너트(399)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388)의 헤드 부분은 제9보강재(122)의 하면에 위치하여, 루프 패널(300)의 상부, 즉, 루프 패널(3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루프 패널(300)의 제29절곡부(443)와 제9보강재(122)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 충돌 시에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루프 패널(300)과 제9보강재(122)는 윈드쉴드 글래스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30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 서로 접촉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패널(300)은, 맨 상부에 위치하고,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우측 끝단 측이 상측으로 라운드 지게 절곡된 제30절곡부(451)와,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고, 제30절곡부(451)의 우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우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31절곡부(452)와, 제31절곡부(452)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32절곡부(453)를 포함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제30절곡부(451)의 하부에 형성되며,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3절곡부(454)와,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고, 제33절곡부(454)의 우측 끝단에서 제33절곡부(454)보다 더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34절곡부(455)와, 제34절곡부(455)의 하단에서 제34절곡부(455)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우측 하방으로 라운드 지게 절곡된 제35절곡부(456)와, 제35절곡부(456)의 우측 끝단에서 제35절곡부(456)보다 더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36절곡부(457)와, 제36절곡부(457)의 하단에서 좌측 하방으로 절곡된 제37절곡부(458)와, 제37절곡부(458)의 좌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굴곡을 가지며 형성되는 제38절곡부(459)를 포함한다.
제1보강재(102)는 좌측부(461)와 우측부(462)를 포함한다.
우측부(462)의 중앙 부근에는 볼트(388)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좌측부(461)의 중앙 부근에는 볼트(388)를 고정 브라켓에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볼트(388)의 헤드부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좌측에는 제1보강재(102)가 위치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제1보강재(102)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대략적인 형상은 제1보강재(102)는 우측부(462)의 형상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제31절곡부(452)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루프 패널(300) 사이에 지지브라켓(350)이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루프 패널(300)의 제30절곡부(451), 제31절곡부(452), 제32절곡부(453)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제33절곡부(454), 제34절곡부(455), 제35절곡부(456), 제36절곡부(457)를 덮고 있어서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제33절곡부(454), 제34절곡부(455), 제35절곡부(456), 제36절곡부(45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제32절곡부(453)의 좌측 끝에는 제37절곡부(458)의 우측 끝부분이 위치하고, 제32절곡부(453)와 제37절곡부(458)는 대략 'ㅡ'자와 같이 나란히 위치한다.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제38절곡부(459) 하부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어 오프닝 플랜지부 상의 본딩부(204)는 제1보강재(102)의 맨 우측면에 접촉하여 본딩으로 결합 된다.
루프 패널(300)의 좌측에 형성된 매스틱 실러부(312)는 루프 패널(300)의 제30절곡부(451)의 이면에 형성된다.
루프 패널(300)의 좌측에 형성된 매스틱 실러부(312)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제33절곡부(454) 상면 일부에 접촉하여, 매스틱 실러로 실링 및 코팅되는 부분이다.
제31절곡부(452)와 제34절곡부(455)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제31절곡부(452)의 이면 중앙 부근에는 고정 브라켓(350)이 설치된다.
고정 브라켓(350)의 플랜지부(352)는 제31절곡부(452)의 하면에 위치하여 결합 되고,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356)는 제31절곡부(452)와 이격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356) 좌측면에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제34절곡부(455)의 우측면 일부가 접촉하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제34절곡부(455)의 좌측면에는 제1보강재(102)의 우측부(462) 우측면이 접촉하여 볼트(388)와 너트(399)로 체결된다.
볼트(388)는 제1보강재(102)의 우측부(462) 우측면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제34절곡부(455)와 고정 브라켓(350)의 수평부(356) 순으로 삽입되어 너트(399)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388)의 헤드 부분은 제1보강재(102)의 우측부(462) 좌측면에 위치하여, 루프 패널(300)의 상부, 즉, 루프 패널(3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루프 패널(300)의 제30절곡부(451), 제31절곡부(452), 제32절곡부(453)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제33절곡부(454), 제34절곡부(455), 제35절곡부(456), 제36절곡부(457)를 덮고 있어서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제33절곡부(454), 제34절곡부(455), 제35절곡부(456), 제36절곡부(45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31절곡부(452)와 제34절곡부(455)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 역시 루프 패널(300)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도 5에서 설명되었던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는 제31절곡부(452)와 제34절곡부(455)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에서 체결되는 볼트(388) 및 너트(399)는 루프 패널(300)의 제31절곡부(452) 이면 내측에 위치하여 루프 패널(300)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루프 레일부 상의 볼팅부(232)가 루프 패널(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별도의 몰딩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보강 부재(100)가 형성된다.
다음,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을 보강 부재(100)의 양 측면에 본딩 및 볼팅하는 단계(S10)를 가진다.
이때,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이미 도장 공정을 거쳐 색상이 함유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 일부를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300)로 덮어 보강 부재(100)의 상면에 본딩 및 볼팅하는 단계(S20)를 가진다.
이때, 루프 패널(30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과 마찬가지로 이미 도장 공정을 거쳐 색상이 함유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 상부와 보강 부재(100)의 상부를 체결한 볼트(388)는 루프 패널(300)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다음,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 또는 루프 패널(300)의 본딩이 경화된 후,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 또는 루프 패널(300)에 볼팅 된 볼트(388)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S30)를 가진다.
여기서, 제거되는 볼트(388)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의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4)와 도어 체커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36)와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242)와 루프 패널(300)의 테일케이트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322)에 체결되는 볼트(388)임이 바람직하고, 이 볼트(388)들과 체결되는 너트(399)들도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루프 패널(300)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00)은 절연성 및 NVH(Noise Vibration Harness) 특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예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어퍼바디는 특히, 전기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보강 부재 102 : 제1보강재
104 : 제2보강재 106 : 제3보강재
108 : 제4보강재 112 : 제5보강재
114 : 제6보강재 116 : 제7보강재
118 : 제8보강재 122 : 제9보강재
124 : 제10보강재 126 : 제11보강재
200 : 사이드 아우터 패널
202,204,206,208,212,214,216,218,222,224 :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본딩부
232,234,236,238,242,244 :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볼팅부
250 : 결합부 300 : 루프 패널
302,304 : 루프 패널의 본딩부
312,314,316,317,318 : 루프 패널의 매스틱 실러부
322 : 루프 패널의 볼팅부 350 : 고정 브라켓
352 : 플랜지부 354 : 지지부
356 : 수평부 358 : 삽입공
388 : 볼트 399 : 너트

Claims (8)

  1. 좌측부와 우측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 부재;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부재의 양 측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
    상기 보강 부재의 상면에 결합 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
    상기 루프 패널의 테두리 측 내면의 전방 측과 좌우 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루프 패널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를 덮고,
    상기 루프 패널의 좌우 측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보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가 삽입되어 볼트로 함께 체결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루프 패널의 내면에 고정되는 두 플랜지부;
    상기 두 플랜지부의 마주하는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두 지지부;
    상기 두 지지부의 전방 측 끝단을 잇고, 상기 루프 패널과 이격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되,
    상기 루프 패널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기 수평부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기 결합부가 서로 맞닿고, 볼트의 헤드 부분이 제1보강재의 상기 우측부 좌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퍼바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루프 패널에는 상기 보강 부재와 볼팅으로 결합 되는 볼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와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에서 볼트로 체결되되,
    상기 루프 패널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볼팅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보강 부재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퍼바디.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상기 루프 패널 사이는 상하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퍼바디.
  6.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루프 패널에는 상기 보강 부재와 본딩으로 결합 되는 본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퍼바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패널에는 상기 보강 부재 및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의 실링을 위한 매스틱 실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퍼바디.
  8. 플라스틱 소재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보강 부재의 양 측면에 본딩 및 볼팅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상부 일부를 테두리 측 내면의 전방 측과 좌우 측에 고정 브라켓이 설치된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 패널로 덮어 상기 보강 부재의 상면에 본딩 및 볼팅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또는 상기 루프 패널의 본딩이 경화된 후,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또는 상기 루프 패널에 볼팅 된 볼트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볼팅 된 볼트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제거되는 볼트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도어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 도어 체커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 도어 래치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 및 상기 루프 패널의 테일케이트 힌지 마운팅부 상의 볼팅부 중의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퍼바디의 제조방법.
KR20130108533A 2013-09-10 2013-09-10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149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533A KR101499762B1 (ko) 2013-09-10 2013-09-10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533A KR101499762B1 (ko) 2013-09-10 2013-09-10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762B1 true KR101499762B1 (ko) 2015-03-09

Family

ID=5302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533A KR101499762B1 (ko) 2013-09-10 2013-09-10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504A (zh) * 2018-12-11 2019-03-01 北京致程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塑料部件的固定组件及具有该固定组件的车辆
JP2019077435A (ja) * 2017-09-15 2019-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ノラマルーフ補強材の強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083U (ko) * 1984-09-21 1986-04-17
JPS63162637U (ko) * 1987-04-15 1988-10-24
KR19980031330A (ko) * 1996-10-31 1998-07-25 김영귀 1박스 밴 차량의 백패널 취부구조
JP2011105102A (ja) * 2009-11-16 2011-06-02 Honda Motor Co Ltd 車体パネル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083U (ko) * 1984-09-21 1986-04-17
JPS63162637U (ko) * 1987-04-15 1988-10-24
KR19980031330A (ko) * 1996-10-31 1998-07-25 김영귀 1박스 밴 차량의 백패널 취부구조
JP2011105102A (ja) * 2009-11-16 2011-06-02 Honda Motor Co Ltd 車体パネルの接合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7435A (ja) * 2017-09-15 2019-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ノラマルーフ補強材の強化
JP7001567B2 (ja) 2017-09-15 2022-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ノラマルーフ補強材の強化
CN109398504A (zh) * 2018-12-11 2019-03-01 北京致程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塑料部件的固定组件及具有该固定组件的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84380B (zh) 电动汽车
US9359016B2 (en) Cabin for work vehicles
JP6794942B2 (ja) ピラー骨格構造及び車体モジュール構造
US10017213B2 (en) Vehicle pan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le panel structure
JP2004156770A (ja) 外側リブを備える軽量構成部材
JP2008062696A (ja) 車体外板の補剛構造および補剛方法
EP3395654B1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KR101499762B1 (ko) 자동차용 어퍼바디 및 그 제조방법
JP5146039B2 (ja) 自動車用フロントフェンダの補強構造
JP6262871B2 (ja) 自動車車体
JP6074818B2 (ja) 自動車車体の製造方法
US3526426A (en) Vehicle body cowl-top and windshield frame structure
KR101689575B1 (ko) 후드 힌지 마운팅부의 연결 브라켓
JP5895889B2 (ja) バックドア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48464A (ja)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JP4669743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6280706B2 (ja) ドア構造
JP5628255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ハンガビーム支持構造
KR20220055949A (ko) 차체 조인트 구조
JP5974979B2 (ja) 自動車のヒンジカバー構造
JP2010221846A (ja) 車両用樹脂製パネル
JP5673076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基部周辺構造
JP2001341667A (ja) 自動車のルーフ後端部構造
CN114313025B (zh) 一种门槛梁骨架结构及门槛梁
JP7472432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パネル及び車両用サンルーフ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