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214B1 -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214B1
KR101499214B1 KR1020120147396A KR20120147396A KR101499214B1 KR 101499214 B1 KR101499214 B1 KR 101499214B1 KR 1020120147396 A KR1020120147396 A KR 1020120147396A KR 20120147396 A KR20120147396 A KR 20120147396A KR 101499214 B1 KR101499214 B1 KR 10149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vibration
total weight
amount
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243A (ko
Inventor
서재식
양경모
서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2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구동계에 사용되는 방진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ENB(ethylidene norborn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에 가황제로 황 또는 과산화물을 사용하고, 충진제로 입자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카본블랙 및 탄소나노튜브가 특정 함량으로 포함되어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되고 분위기 온도 하에서 모듈러스의 변화율이 적은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Rubber composition improving heat-resisting and vibration-proof}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ENB(ethylidene norborn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에 가황제로 황 또는 과산화물을 사용하고, 충진제로 입자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카본블랙 및 탄소나노튜브가 특정 함량으로 포함되어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자동차 회사들은 연비 개선을 위해 차체의 경량화 및 소형화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동시에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파워트레인(Power train)의 고출력화에 관련된 기술도 발전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차 엔진의 출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이전세대의 엔진 출력보다 월등히 증가하였으며, 차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일반화됨에 따라 높은 출력의 엔진으로부터 나오는 진동 및 소음은 소형화 및 경량화된 차체에 쉽게 전달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차 회사들은 소형화 및 경량화된 자동차 부품 자체의 내진동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상기 내진동 성능의 향상은 이른바 감성(感性)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되었으며,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 되었다. 또한, 진동 및 소음관련 소비자 불만 사례가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어, 자동차 제조 회사는 진동 및 소음의 저감에 대한 기술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 구성품 간의 연결부나 구동되는 운동부를 지지하는 부위에 방진고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방진고무는 외부에서 가해지거나 운동으로 인하여 발생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즉, 차량의 방진 고무는 엔진 및 구동축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반복적인 피로에 대해 내구성능을 가져야 한다. 또한, 고온의 엔진룸 주변에 장착되므로 내열성능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방진 고무 소재의 경우, 방진특성이 온도의 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주어 분위기 온도 하에서 높은 모듈러스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초기 셋팅된 충격량 값보다 너무 과다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대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충격이 차체를 통하여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온도의존성이 낮으면서 동시에, 방진특성이 우수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구동계에 사용되는 방진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EPDM 고무에 특정 성분 및 함량의 가교제 및 충진제를 혼합하여 우수한 내열성 및 분위기 온도 하에서 모듈러스의 변화율이 적은 EPDM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은, 원료고무, 충진제,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리덴 노르본엔(ethylidene norbornen)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리덴 노르본엔이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 내지 6 중량% 포함되고,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렌이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50 내지 7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이며, 상기 카본블랙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화제는 산화아연(ZnO) 또는 스테아린산(Staric acid)이며, 상기 산화아연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고, 상기 스테아린산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0.9 내지 1.2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화방지제는 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1.9 내지 2.2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공유는 나프텐오일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가교제는 다이큐밀퍼옥사이드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특정 성분 및 함량의 가교제와 여러 종류의 충진제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함으로써, 구성 성분의 배합을 변경하여 고무 조성물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고 진동 감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됨에 따라 승차감이 향상되며, 이에 따른 차량의 감성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내열성이 우수하고 넓은 온도 영역에서 모듈러스의 변화율을 낮게 함으로써 자동차의 구동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구동계 뿐만 아니라 진동 전달을 방지하고자 하는 다양한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은, 원료고무, 충진제,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리덴 노르본엔(ethylidene norbornen, ENB)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PD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EPDM 고무에 충진제로 여러 종류의 카본블랙과 탄소나노튜브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고, 가교제로 황 또는 DCP를 사용한 EPDM 고무를 이용한 구동계 방진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가교제와 충진제의 비율이 특정한 함량을 포함하여 내열성 및 방진특성을 향상되도록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EPDM 소재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동시에 넓은 영역의 온도에서 모듈러스의 변화율이 적은 EPDM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리덴 노르본엔이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 내지 6 중량% 포함되고,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렌이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50 내지 7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첨가되는 가황제로 황 또는 과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이며, 상기 카본블랙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카본블랙 및 탄소나노튜브가 특정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충진제를 사용함으로써, 방진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각의 조성물들이 최적의 배합비율로 조성되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는 동시에 분위기 온도 하 모듈러스의 변화율이 적은 EPDM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에는 앞서 설명한 원료고무 및 충진제 이외에도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가교제 등이 사용되며, 일반적인 방진 고무 조성물에서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ed) 또는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thiuram Disulfide) 등의 촉진제가 사용되었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활성화제는 산화아연(ZnO) 또는 스테아린산(Staric acid)이며, 상기 산화아연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고, 상기 스테아린산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0.9 내지 1.2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화방지제는 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1.9 내지 2.2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공유는 나프텐오일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가교제는 다이큐밀퍼옥사이드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은 원료고무, 충진제,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가교제 등이 사용되는데, 각각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다양하게 변화하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원료고무로 에틸리덴 노르본엔(ethylidene norbornen, ENB)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PDM)을 사용하였는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ENB 는 4.7 중량% 포함되고, 에틸렌은 57.5 중량% 포함된 제품(금호폴리켐, KEP-2320 EPDM)을 사용하였다.
또한, 충진제는 카본블랙을 사용하였는데, 다양한 종류의 카본블랙 중 블랙펄(CABOT社, BP120)을 사용하며 특히 EPDM 100 중량부에 대한 20 중량부를 사용하였고, 활성화제로는 산화아연(ZnO) 및 스테아린산(Steric acid)을 사용하며 특히 EPDM 100 중량부에 대한 산화하연 5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1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노화방지제로 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2,2,4-trimethyl-1,2-dihydroquinoline)을 사용하는데 EPDM 100 중량부에 대한 2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가공유로 나프텐오일을 EPDM 100 중량부에 대한 50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가교제로 다이큐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를 EPDM 100 중량부에 대한 5 중량부를 각각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촉진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원료고무,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가교제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충진제는 위의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카본블랙 중 블랙펄 20 중량부와 CNT(탄소 나노튜브)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원료고무,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가교제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충진제는 위의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카본블랙 중 블랙펄 15 중량부와 또다른 카본블랙인 HAF(High abrasion furnace)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원료고무는 원료고무로 에틸리덴 노르본엔(ethylidene norbornen, ENB)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PDM)을 사용하였는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ENB 는 4.5 중량% 포함되고, 에틸렌은 51.0 중량% 포함된 제품(금호폴리켐, KEP-7141 EPDM)을 사용하였고, 충진제는 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사용하였으며,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가교제는 실시예 1과 같다.
구분 배합물 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원료고무 EPDM A 100 100 100 - - -
EPDM B - - - 100 - -
NR - - - - 100 60
IIR 40
충진제 카본블랙 A - - 10 10 45 40
카본블랙 B 20 20 15 15 - -
CNT - 20 - - - -
활성화제 ZnO 5 5 5 5 8 8
Stearic acid 1 1 1 1 2 2
노화방지제 TMQ 2 2 2 2 2 2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 - - - 2 2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 - - - 2 2
2-메르캅토 벤지미다졸 - - - - 1.5 1.5
Sunnoc - - - - 2 2
가공유 N-2 50 50 50 50 - -
가교제 S - - - - 0.5 0.4
DCP 5 5 5 5 - -
촉진제 DM - - - - 1.5 1.5
TT - - - - 1.5 1.5
EPDM A: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금호폴리켐, KEP-2320
EPDM B: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금호폴리켐, KEP-7141
NR : 천연고무, 금호폴리켐, SMR CV60
IIR : isobutylene-isoprene rubber, 금호폴리켐, BR-IIR 2244
카본블랙 A; HAF, 동양제철화학, N330
카본블랙 B: 블랙 펄, CABOT, BP120
CNT: 탄소나노튜브, JEIO
ZnO: 산화아연, SBC
Staric acid: 스테아린산, Natoleo
TMQ: 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RT Vanderbilt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Crompton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Crompton
2-메르캅토 벤지미다졸, Qingdao rubber chemical
Sunnoc : 선녹왁스, 용진유화
N-2: 나프텐오일, 미창석유공업
S: 황, 미원화학
DCP: 다이큐밀퍼옥사이드, NOF
DM :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 Crompton
TT :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동양제철화학
위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고무시편 및 제품에 대한 물성을 다음과 같은 항목들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평가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경도(Hs) 48 60 44 40 50 46
인장강도(kgf/cm2) 80 66 95 78 201 185
신율(%) 676 442 891 894 670 710
노화 후
변화율
경도 (△Hs) +4 +4 +6 +5 측정불가 측정불가
인장강도 -12 -8 -6 -8 측정불가 측정불가
신율 -13 -14 -7 -10 측정불가 측정불가
분위기온도 모듈러스 변화율(%) -20℃ 253 223 176 161 189 342
2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9 59 50 54 51 43
손실계수 0.10 0.12 0.12 0.14 0.05 0.18
*노화 후 변화율 : 130℃ x 240시간 열 노화 후 물성 측정 결과
위 실험에서는, 방진고무 조성물의 경도 측정은 KS M 6784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방진고무 조성물의 인장강도 및 신율의 측정은 KS M 6782에 따라 아령형 3호로 수행하였다. 다이나믹 댐퍼 고무의 노화물성 평가는 130℃에서 240 시간 노화 후 물성변화를 기록하였다. 방진고무 조성물의 손실계수는 DMTA 장비를 이용하여 -70℃ 에서 120℃까지 승온하면서, 정변형(Static strain) 3%, 동변형(Dynamic strain) 0.1% 의 조건으로 가진하여 나타난 값을 기록하였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료의 경도, 인장강도, 신율의 경우 비교예와 상이한 수준이나, 실시예 4에서 분위기온도 모듈러스 변화율이 가장 낮았고 노화 후 변화율 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노화 후 물성 변화율은 130℃에서 240시간 열 노화 후 측정시 시험편이 파괴되어 측정할 수 없었으나, 본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는 우수한 물성 변화율을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인 방진 고무 조성물에 따르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모듈러스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우수한 손실계수를 확보하여 반대되는 두 성질을 극복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활용하여 온도의존성이 낮은 방진고무에 적용함으로써 내열성 및 방진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3)

  1.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충진제, 활성화제, 노화방지제, 가공유 및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리덴 노르본엔(ethylidene norbornen)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이고,
    상기 충진제는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의 카본블랙 또는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의 탄소나노튜브이며,
    상기 노화방지제는 2,2,4-트리메틸-1,2-다이하이드로퀴놀린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1.9 내지 2.2 중량% 포함되고,
    상기 가공유는 나프텐오일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리덴 노르본엔이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 내지 6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고무는 에틸렌이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50 내지 7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는 산화아연(ZnO) 또는 스테아린산(Star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린산은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0.9 내지 1.2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다이큐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이며, 원료고무 전체 중량 대비 4.9 내지 5.2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13. 제 1 항, 2 항, 3 항, 7 항, 8 항, 9 항, 12 항중 어느 한 항의 방진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KR1020120147396A 2012-12-17 2012-12-17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KR10149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96A KR101499214B1 (ko) 2012-12-17 2012-12-17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96A KR101499214B1 (ko) 2012-12-17 2012-12-17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243A KR20140078243A (ko) 2014-06-25
KR101499214B1 true KR101499214B1 (ko) 2015-03-05

Family

ID=5112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396A KR101499214B1 (ko) 2012-12-17 2012-12-17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57A (ko) 2018-11-26 202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방진고무 조성물
KR102464119B1 (ko) 2022-03-25 2022-11-07 신성켐텍(주) 내열성이 우수한 드론용 방진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댐퍼부시 성형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0281A1 (fr) 2021-12-10 2023-06-16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Composition de caoutchouc antivibratoi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89A (ja) * 1999-02-04 2000-08-08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エンジンマウントインシュレータ
KR100915460B1 (ko) * 2007-09-21 2009-09-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카본블랙 나노복합재를 포함하는 블래더용고무조성물
KR20110079125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26165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이피디엠에 하이브리드 가류시스템을 적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차 엔진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689A (ja) * 1999-02-04 2000-08-08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エンジンマウントインシュレータ
KR100915460B1 (ko) * 2007-09-21 2009-09-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카본블랙 나노복합재를 포함하는 블래더용고무조성물
KR20110079125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26165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이피디엠에 하이브리드 가류시스템을 적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차 엔진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57A (ko) 2018-11-26 202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방진고무 조성물
KR102464119B1 (ko) 2022-03-25 2022-11-07 신성켐텍(주) 내열성이 우수한 드론용 방진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댐퍼부시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243A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593B1 (ko) 엔진 마운트용 방진고무 조성물
KR20130027938A (ko) 차량용 방진고무 조성물
WO2011062135A1 (ja) 防振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JP5420224B2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防振ゴ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99214B1 (ko)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KR20230123084A (ko) 피로내구성이 향상된 모터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마운트용 고무
JP3838154B2 (ja) 耐熱性防振ゴム組成物
KR101745213B1 (ko) 엔진 마운트용 방진고무 조성물
JP6283572B2 (ja) 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KR20110011010A (ko) 고댐핑성 부시 고무 조성물
CN108003396B (zh) 具有隔振和耐疲劳特性的用于橡胶衬套的组合物
JP2008007546A (ja) 防振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CN113728046B (zh) 防振橡胶组合物以及防振橡胶构件
JP2006131819A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KR20140073003A (ko) 진동감쇠형 고무 조성물
KR20230040084A (ko) 피로내구성이 향상된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KR101846707B1 (ko) 진동절연성이 향상된 방진고무 조성물 및 방진고무
KR102634353B1 (ko) 차량용 방진고무 조성물
KR20200025748A (ko) 고경도 언더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979700B2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KR100590976B1 (ko) 내열성과 내노화성이 향상된 엔진 마운트 고무 조성물
JP2013151584A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KR101280838B1 (ko) 이피디엠에 실리카를 첨가하여 동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엔진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KR101319591B1 (ko) 자동차 마운트용 방진 고무 조성물
JP2004307622A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