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606B1 -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606B1
KR101496606B1 KR1020137022832A KR20137022832A KR101496606B1 KR 101496606 B1 KR101496606 B1 KR 101496606B1 KR 1020137022832 A KR1020137022832 A KR 1020137022832A KR 20137022832 A KR20137022832 A KR 20137022832A KR 101496606 B1 KR101496606 B1 KR 10149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ble
link block
bus bar
terminal boar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978A (ko
Inventor
나오토 타구치
마사루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01H85/10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with constriction for localised f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01H85/11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with applied local area of a metal which, on melting, forms a eutectic with the main material of the fusible member, i.e. M-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7Fus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버스바(10)는 그 각각의 가용성 부재(13)를 통해서 전원측 단자기판에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측 단자기판(12)을 함께 일체로 결합하여 포함하고, 가용성 부재들의 형상은 통일되어 있고, 전류 흐름 방향으로 가용성 부재의 중간부에 가연결점이 설정되고, 상호 인접하는 가용성 부재들의 가연결점이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15)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BUS BAR FOR FORMING FUSIBLE LINK BLOCK CIRCUIT, FUSIBLE LINK BL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SIBLE LINK BLOCK}
본 발명은 주로 차량용 배터리와 부하측 기기 간에 개재되는 가용성 링크 블럭(fusible link bloc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bus bar)(또는 줄여서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가용성 링크 블럭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부하에 접속된 복수의 분기회로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분기회로는 휴즈를 사용하여 보호된다. 이 경우, 전원측 단자기판(전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단자기판에 해당)으로부터 각각 휴즈 기능을 충족하는 가용성 부재를 경유하고, 다시 복수로 분기하는 부하측 단자기판(전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단자기판에 해당) 까지에 걸쳐 이루어지는 회로가 프레스 가공된 버스바로 제조되고, 그 필요한 부분 만큼만 수지 하우징으로 덮어서, 이 회로가 블럭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은 그 종래 기술의 일예를 도시한다. 즉, 도 5는 종래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한 이후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 가용성 링크 블럭의 버스바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버스바를 수지 하우징과 함께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한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정면도이다.
이 가용성 링크 블럭은 회로 형성용 부재로서의 버스바(10)와, 이 버스바(110)의 외주 등을 부분적으로 덮은 수지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버스바(110)는 배터리에 접속되는 전원측 단자기판(111)과, 해당 가용성 부재(113)(전류 흐름 단면적, 즉 통전 단면적을 감소시켜 주울열에 의해 용융되기 쉽게 제조된 부분)를 통해 전원측 단자기판(111)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부하측 단자기판(11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분기회로를 포함한 버스바(110)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용성 부재(113)를 일체적으로 집약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바(110)를 매우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버스바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버스바(11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고, 수지 하우징(120)을 인서트 성형하여 이 수지 하우징(120)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는 예비성형된 수지 하우징에 버스바(110)를 압입하여 수지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각 가용성 부재(113)는 전류의 흐름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저융점금속 배치부(114)를 포함하며, 가용성 부재(113)의 용융특성의 안정화를 실현하기 위해, 그 배치부(114)에 주석합금 등의 저융점금속 칩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용성 부재의 중앙에 저융점금속이 배치된 실예가 특허문헌 2 또는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가용성 부재(113)에 저융점금속이 장착된 버스바(110)의 경우, 소정 전류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대전류가 흐를 때, 저융점금속이 용융되고, 또한, 이 저융점금속과 가용성 부재(113)가 공정화(共晶化)되어 큰 저항값의 합금층을 형성하고, 그 결과 통전에 의한 발열을 촉진하여 가용성 부재(113)를 용융시킨다. 이와 같이 용융된 가용성 부재(113)로 인해 부하측 설비에 공급되는 잉여전류가 차단된다. 가용성 부재(113)의 용융는 저융점금속 배치부(114)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서 발생한다. 용융부분을 결정하기 위해, 저융점금속 배치부(114)의 근방에 존재하는 가용성 부재(13) 상에는 가용성 부재(113)의 국부의 폭을 감소시켜 생성된 협폭부(113a)가 버스바(110)의 프레스 가공단계에 형성된다. 협폭부(113a)는 가용성 부재(13)의 용융특성에 영향을 주는 저항값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진 부분이지만, 감소된 재료폭으로 인해 강도가 낮기 때문에, 외력이 부여될 경우 가용성 부재(113)는 쉽게 변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일형 부품으로서 버스바(110)를 취급하는 단계에서 가용성 부재(11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인접하는 2개의 부하측 단자기판(112)을 조인트 리브(115)로 상호 연결한다. 조인트 리브(115)는 단일 부품으로서 취급되는 단계에서는 절단하지 않고 남겨두지만, 수지 하우징(120)의 성형 전에 또는 수지 하우징(120)에 버스바(110)를 압입 하기 전에 절단된다. 또한, 절단공정 외에도 완성된 제품 단계에서는 확실하게 조인트 리브(115)가 절단되어야 하므로 부차적 공정으로서 조인트 리브(115)의 절단확인 공정이 제공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4-127698호 일본특허공개 제2010-27545호 일본특허공개 제2004-127701호
상기 설명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조인트 리브(115)가 협폭부(113a)와 관련이 없는 위치[부하측 단자기판(12)]에 설치(설정)되기 때문에, 협폭부(113a)용 프레스 가공부와, 조인트 리브(115)용 프레스 가공부가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금형에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조인트 리브(115)용 프레스 가공부에 대해서는 통일된 형상을 사용하는 것에 문제가 없으나, 협폭부(113a)용 프레스 가공부는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정격으로도 칭함)이 변경될 때마다, 프레스 금형의 형상을 변경해야 하며, 그 결과 프레스 금형의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환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용성 부재의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변경이 발생하지 않는 한, 프레스 금형의 형상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서 통일된 형상의 금형을 사용할 수 있어 그 생산성(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을 통해 달성된다.
(1)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로서, 상기 회로 형성용 버스바는: 상류측 단자기판과;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의 하류에 위치하고 가용성 부재를 통해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에 접속될 수 있는 하류측 단자기판;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가용성 부재의 중간부에 가연결점(임시연결점)이 설정되고; 상기 가연결점과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 또는 상기 하류측 단자기판이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상기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형성용 버스바.
(2)가용성 링크 블럭으로서: 상류측 단자기판과,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의 하류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으로부터 분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가용성 부재를 통해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에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하류측 단자기판을 일체로 포함하는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부재들의 형상은 통일되어 있고; 상기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가용성 부재들의 중간부에 가연결점이 설정되어 있고; 상호 인접하는 가용성 부재들의 상기 가연결점이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상기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링크 블럭.
(3) 상기 구성(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가용성 부재의 중앙에 저융점금속이 배치되고; 상기 가연결점은 상기 저융점금속의 배치부의 근방에 설정되고; 상기 상호 인접하는 상기 가용성 부재들의 가연결점이 상기 조인트 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링크 블럭.
(4)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하는 프레스 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에서 제작된 상기 회로 형성용 버스바에 수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수지 하우징의 윈도우부에 상기 가용성 부재를 대면시키는 하우징 조립 공정과; 상기 하우징 조립공정 이후에 상기 수지 하우징의 윈도우부를 통해서 절단공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용성 부재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조인트 리브를 절단하여, 상기 가용성 부재로부터 상기 하류측 단자기판까지의 범위에 걸친 상기 가용성 링크 블럭의 부분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시키는 절단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
상기 구성 (1)의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단일부품으로 취급하는 단계에서, 상류측 단자기판에 가용성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하류측 단자기판이 상류측 단자기판이나 하류측 단자기판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독립하여 존재하면, 외력으로 인해 강도가 약한 부분을 형성하는 가용성 부재가 변형되며, 그 결과 버스바의 전체적인 배치관계에 혼란(또는 무질서)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구성 (1)의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에 있어서는, 가용성 부재가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를 통해 상류측 단자기판 또는 하류측 단자기판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기인하여 가용성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가능한 크게 억제할 수 있어 전체적인 배치관계에 대해 혼란(또는 무질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공정에서, 조인트 리브를 절단할 경우, 각 가용성 부재의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치수를 절단공구인 펀치의 위치나 치수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치수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회로 형성용 버스바의 프레스 공정이 아니라, 후공정인 절단공정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프레스 금형을 가용성 부재의 상이한 용융특성들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프레스 금형의 통일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공정 이후에 펀치 공정과 같은 절단 공정에서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이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스 공정에서 가용성 부재의 형상을 표준화하는 한편, 후공정인 절단공정에서 용융특성이 다른 가용성 부재의 변형을 다수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공정 이전의 버스바의 중간재고를 크게 감축할 수 있다.
또한, 가용성 부재의 위치에 조인트 리브가 배치되므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수지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이나 압입(가압식 삽입)에 의해 조립할 때에 수지 하우징의 윈도우부에 조인트 리브의 절단 예정부를 대면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수지 하우징에 조립한 이후의 단계에서, 조인트 리브를 절단하는 절단공정을 실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작공정의 종반까지 조인트 리브에 의한 연결기능을 잔류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수지 하우징에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확실하게 고정할 때까지 가용성 부재의 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가용성 링크 블럭의 품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 (2)의 가용성 링크 블럭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단일부품으로 취급하는 단계에서, 상류측 단자기판에 가용성 부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하류측 단자기판이 각각 상호 분리된 형태로 독립하여 존재하면, 외력에 기인하여 강도가 약한 부분을 형성하는 가용성 부재가 변형되어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전체적인 배치관계에 혼란(또는 무질서)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구성 (2)의 가용성 링크 블럭에 있어서는, 각각의 가용성 부재가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기인하여 가용성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가능한 크게 억제할 수 있어 전체적인 배치관계에 혼란(또는 무질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공정인 절단공정에서 조인트 리브를 절단할 경우, 가용성 부재의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치수를 절단공구인 펀치의 위치나 치수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치수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회로 형성용 버스바의 프레스 공정이 아니라, 후공정인 절단공정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형에 있어서 그 가용성 부재의 가공부 치수를 표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스 공정 이후에 시행하는 절단공정에서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공정에서 가용성 부재의 형상을 표준화하는 한편, 후공정인 절단공정에서 용융특성이 다른 많은 가용성 부재의 변형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공정 이전의 중간재고를 크게 감축할 수 있다.
또한, 가용성 부재의 위치에 조인트 리브가 위치하므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수지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이나 압입(가압식 삽입) 등에 의해 조립할 때에 수지 하우징의 윈도우부에 조인트 리브의 절단 예정부를 대면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수지 하우징에 조립한 이후의 단계에서 조인트 리브를 절단하는 절단공정을 실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작공정의 종반까지 조인트 리브에 의한 연결기능을 잔류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수지 하우징에 의해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확실하게 고정할 때까지 가용성 부재의 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가용성 링크 블럭의 품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 (3)의 가용성 링크 블럭에 따르면, 가용성 부재의 중앙에 저융점금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가용성 부재에 형성된 저융점금속 배치부의 근방에 조인트 리브를 연결하였기 때문에, 저융점금속 배치부 근방에 존재하는 가용성 부재의 폭치수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저항값, 즉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 (4)의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절단공구의 위치나 치수에 따라서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회로 형성용 버스바의 프레스 공정이 아니라 후공정인 절단공정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할 때 사용되는 금형의 치수를 표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수지 하우징에 조립하는 하우징 조립공정 이후의 단계에서, 절단공구에 의한 조인트 리브의 절단을 실시하기 때문에,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작공정의 종반까지 조인트 리브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능을 잔류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수지 하우징에 의해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확실하게 고정할 때까지 가용성 부재의 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가용성 링크 블럭의 품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 형성용 버스바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수지 하우징을 일체로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조인트 리브에 절단공정을 시행하고, 각 부하측 회로를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시켜 가용성 링크 블럭을 완성시킨 상태를 도시한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각각 상기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여 가용성 부재의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을 Ha, Hb, 및 Hc로 변화시킨 예들을 도시한 가용성 링크 블럭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한 이후의 형상을 도시한 종래의 가용성 링크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회로 형성용 버스바의 가용성 부재에서 저융점금속 배치부에 저융점 금속 칩(주석합금 칩)이 배치되어 포위된 상태를 도시한 종래의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로 형성용 바스바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수지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종래의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용성 링크 블럭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된 회로 형성을 위한 버스바(이하 "회로 형성용 버스바")(10)와, 이 버스바(10)가 금형에 셋팅(배치)된 이후, 버스바(10)의 외주 등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인서트 성형되는 수지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10)는 배터리에 접속되는 전원측 단자기판(11)과, 전원측 단자기판(11)으로부터 분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 가용성 부재(13)(통전 단면적이 감소되어 주울열에 의해 용이하게 용융되는 부분)를 통해 전원측 단자기판(11)에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측 단자기판(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측 단자기판(11)은 전류 흐름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단자기판에 해당하고, 부하측 단자기판(12)은 전류 흐름 방향에서 상류측 단자기판의 하류에 각각 위치하는 하류측 단자기판에 해당한다.
전원측 단자기판(11)은 전원측에 설치된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멍(11a)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하측 단자기판(12)은 부하측에 설치된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멍(12a)을 포함한다. 이들 접속구멍(11a, 12a)이 배치된 부분이나 가용성 부재(13)가 설치된 (버스바의) 부분은 수지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부하측 단자기판(12)의 접속구멍(12a)이 설치된 부분은 각각 수지 하우징(20)의 제1윈도우부(22)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가용성 부재(13)가 설치된 부분은 각각 수지 하우징(20)의 제2윈도우부(21)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부하측 단자기판(12) 및 가용성 부재(13)는 일열로 배치되고, 각 가용성 부재(13)의 형상은 동일형상으로 통일되어 있다. 각 가용성 부재(13)는 전류의 흐름방향에서 그 중간부에 위치한 가연결점(또는 임시 연결점)을 포함하는 한편, 인접하는 가용성 부재(13)의 가연결점들은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1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원측 단자기판(11)의 L자형 굴곡부에 인접하는 가용성 부재(13)의 가연결점과 전원측 단자기판(11)도 역시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1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리브(15)는 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가용성 부재(13)는 저융점금속 배치부(14)와 주석합금 칩(부호 생략)을 포함하며, 저융점금속 배치부(14)는 전류의 흐름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주석합금 칩은 각 배치부(14)에 저융점금속 칩으로서 코킹 또는 용접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가용성 부재(13)의 가연결점은 저융점금속 배치부(14)의 상류측의 근방에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용성 링크 블럭을 제조하는 경우, 먼저, 프레스 공정에서, 도 1에 도시한 형상의 버스바(10)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하고, 저융점금속 배치부(14)에 저융점금속 칩이 장착된다. 다음에, 프레스 공정으로 제작된 버스바(10)에 수지 하우징(20)을 일체화하기 위해, 하우징 조립공정에서 성형금형에 버스바(10)를 세팅시킨 상태로 수지 하우징(20)을 인서트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하우징(20)의 제2윈도우부(21)에 가용성 부재(13)를 대면시킨다. 다음에, 절단공정인 펀치공정에서, 수지 하우징(20)의 제2윈도우부(21)를 통해 절단공구인 펀치(17)을 삽입하여, 가용성 부재(13)의 폭을 조절하면서 조인트 리브(15)를 절단하고, 가용성 부재(13)로부터 부하측 단자기판(12)까지에 걸쳐있는 가용성 링크 블럭의 범위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에 도시한 가용성 링크 블럭을 제작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조인트 리브(15)의 절단부분(절단부위)을 부호 16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조인트 리브(15)를 펀치(17)로 절단할 때,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17)의 위치나 형상을 조절하여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치수를 Ha, Hb, Hc(여기서, Hb < Ha < Hc)와 같이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가용성 부재(13)의 용융 특성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폭치수 Ha는 일반 정격전류에 적용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Hb는 저정격전류의 경우에 해당하며, Hc는 고정격전류의 경우에 해당된다. 도 3에서 좌로부터 우로 배열하는 3개의 가용성 부재(13)에 있어서, 도면 중 좌측의 가용성 부재는 일반정격전류용(폭치수 Ha)이고, 중앙의 가용성 부재는 저정격전류용(폭치수 Hb)이고, 우측의 가용성 부재는 고정격전류용(폭치수 Hc)이다.
상기 버스바(10)에 따르면, 다음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버스바(10)를 단일부품으로서 취급하는 단계에서, 전원측 단자기판(11)에 가용성 부재(13)를 통해서 접속된 부하측 단자기판(12)이 타 기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면, 외력의 영향에 의해 강도가 약한 가용성 부재(13)가 변형하여 전체의 배치관계가 혼란(무질서)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의 버스바(10)에 따르면, 가용성 부재(13)가 후공정인 펀치 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15)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는 한편, 전원측 단자기판(1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기인하여 가용성 부재(13)가 변형하는 것을 가능한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버스바의 전체적 배치관계의 혼란(무질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펀치 공정에서 조인트 리브(15)를 절단할 경우, 가용성 부재(13)의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치수를 절단공구인 펀치(17)의 위치나 펀치(17)의 치수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협폭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치수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가용성 부재(13)의 용융특성을 버스바(10)의 프레스 공정이 아니라 후공정인 펀치 공정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10)를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을 가용성 부재(13)의 상이한 용융특성들에 따라서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프레스 금형들을 통일할 수 있다. 또는, 프레스 금형의 가용성 부재용 가공부의 치수를 통일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공정 이후에 시행하는 펀치 공정에서 가용성 부재(13)의 용융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공정에서 가용성 부재(13)의 형상을 표준화하면서, 후공정, 즉 펀치공정에서 용융특성이 상이한 가용성 부재(13)의 변형을 다수 제작할 수 있다. 그 결과, 펀치공정 이전에 가용성 부재의 중간재고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용성 부재(13)의 위치에 조인트 리브(15)가 배치되므로, 버스바(10)를 수지 하우징(20)에 인서트 성형이나 압입(가압식 삽입) 등에 의해 조립할 경우, 수지 하우징(20)의 제2윈도우부(21)에 조인트 리브(15)의 절단 예정부를 대면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버스바(10)를 수지 하우징(20)에 조립하는 하우징 조립 공정 이후의 단계에서 조인트 리브(15)를 절단하는 펀치 공정을 실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작공정 종반까지 조인트 리브(15)에 의한 연결기능을 변경없이 잔류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수지 하우징(20)에 버스바(10)를 확실하게 고정할 때까지 가용성 부재(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가용성 링크 블럭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용성 부재(13)의 중앙에 저융점금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용성 부재(13)의 용융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가용성 부재(13)에 형성된 저융점금속 배치부(14)의 근방에 조인트 리브(15)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저융점금속 배치부(14)의 근방에 존재하는 가용성 부재(13)의 폭치수로 결정되는 저항값, 즉 가용성 부재(13)의 용융특성은 조인트 리브(15)의 절단위치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개수, 배치부(위),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으면,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가용성 부재(13) 중 하나를 이것에 인접하는 전원측 단자기판(11)에 조인트 리브(15)를 통해서 연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가용성 부재(13)에 인접하는 기판이 부하측 단자기판(12)인 경우, 가용성 부재(13)를 조인트 리브(15)를 통해 이러한 부하측 단자기판(12)에 역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용성 부재(13) 및 복수의 부하측 단자기판(12)을 이용한 일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단일의 가용성 부재(13) 및 이것에 연결된 단일의 부하측 단자기판(12)을 이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는 단일의 가용성 부재(13)에 형성된 가연결점과 전원측 단자기판(11) 또는 부하측 단자기판(12)을 조인트 리브(15)를 통해서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융점금속 칩이 가용성 부재(13)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저융점 금속 칩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출원은 2011. 03. 31.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출원공개 제2011-079573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가용성 부재의 협폭부 이외의 타 부분이 변경되지 않는 한, 프레스 금형의 형상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이 통일된 형상의 금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가용성 링크 블럭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버스바(회로 형성용 버스바)
11. 전원측 단자기판(상류측 단자기판)
12. 부하측 단자기판(하류측 단자기판)
13. 가용성 부재
14. 저융점 금속 배치부
15. 조인트 리브
17. 펀치(절단공구)
20. 수지 하우징
21. 제2윈도우부(윈도우부)

Claims (4)

  1. 가용성 링크 블럭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로 형성용 버스바로서, 상기 회로 형성용 버스바는:
    상류측 단자기판과;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의 하류에 위치하고 가용성 부재를 통해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에 접속될 수 있는 하류측 단자기판;
    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가용성 부재의 중간부에 가연결점이 설정되고;
    상기 가연결점과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 또는 상기 하류측 단자기판이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상기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형성용 버스바.
  2. 가용성 링크 블럭으로서:
    상류측 단자기판과,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의 하류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으로부터 분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가용성 부재를 통해 상기 상류측 단자기판에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하류측 단자기판을 일체로 포함하는 회로 형성용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부재들의 형상은 통일되어 있고;
    상기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가용성 부재들의 중간부에 가연결점이 설정되어 있고;
    상호 인접하는 가용성 부재들의 상기 가연결점이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조인트 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후공정에서 절단되는 상기 조인트 리브의 절단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용성 부재의 용융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링크 블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흐름 방향으로 상기 가용성 부재의 중앙에 저융점금속이 배치되고;
    상기 가연결점은 저융점금속 배치부의 근방에 설정되고;
    상기 상호 인접하는 상기 가용성 부재들의 가연결점이 상기 조인트 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링크 블럭.
  4.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항에 따른 회로 형성용 버스바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하는 프레스 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에서 제작된 상기 회로 형성용 버스바에 수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수지 하우징의 윈도우부에 상기 가용성 부재를 대면시키는 하우징 조립 공정과;
    상기 하우징 조립공정 이후에 상기 수지 하우징의 윈도우부를 통해서 절단공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용성 부재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조인트 리브를 절단하여, 상기 가용성 부재로부터 상기 하류측 단자기판까지의 범위에 걸친 상기 가용성 링크 블럭의 부분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시키는 절단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
KR1020137022832A 2011-03-31 2012-03-27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 KR101496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9573 2011-03-31
JP2011079573A JP5682067B2 (ja) 2011-03-31 2011-03-31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の回路構成用バスバー、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および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の製造方法
PCT/JP2012/058011 WO2012133459A1 (ja) 2011-03-31 2012-03-27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の回路構成用バスバー、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および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978A KR20130126978A (ko) 2013-11-21
KR101496606B1 true KR101496606B1 (ko) 2015-02-26

Family

ID=4693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832A KR101496606B1 (ko) 2011-03-31 2012-03-27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16584A1 (ko)
JP (1) JP5682067B2 (ko)
KR (1) KR101496606B1 (ko)
CN (1) CN103415906B (ko)
DE (1) DE112012001481T5 (ko)
WO (1) WO20121334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785A (ko) 2015-09-15 2017-03-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KR20170002450U (ko) 2015-12-29 2017-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2672B2 (ja) * 2010-07-29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006134B2 (ja) * 2013-02-08 2016-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続部材
JP6255158B2 (ja) * 2013-02-12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
US9462702B2 (en) * 2014-09-05 2016-10-04 Lear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box
JP6209558B2 (ja) * 2015-05-29 2017-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444188B1 (ko) 2015-12-15 2022-09-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JP6360092B2 (ja) * 2016-03-18 2018-07-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接続モジュール、電池接続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電池パック、および保護部材
JP6340029B2 (ja) * 2016-04-06 2018-06-06 太平洋精工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11095468B (zh) 2017-09-08 2022-04-12 力特保险丝公司 低轮廓集成熔断器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0347A (ja) 1999-12-03 2001-06-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2008226743A (ja) 2007-03-15 2008-09-25 Taiheiyo Seiko Kk 車両用多連型ヒューズ装置
JP2010182578A (ja) 2009-02-06 2010-08-19 Yazaki Corp ヒュー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739A (en) * 1992-02-21 1993-07-20 Littelfuse, Inc. Automotive high current fuse
JP2587911Y2 (ja) * 1993-07-07 1998-12-24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とミニヒューズ用バスバーの固定構造
JP3226001B2 (ja) * 1995-04-18 2001-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連鎖状ヒューズリンクおよびその形成方法
US5643693A (en) * 1995-10-30 1997-07-01 Yazaki Corporation Battery-mounted power distribution module
US5841338A (en) * 1996-04-17 1998-11-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use combination,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fuse circuit including the same
US5795193A (en) * 1996-10-23 1998-08-18 Yazaki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box with busbar having bolt retaining means
US6476705B1 (en) * 1996-11-22 2002-11-05 Audio Ohm Di Tonani Caterina Ecs.N.C. Current distribution device
JPH10199396A (ja) * 1997-01-13 1998-07-31 Taiheiyo Seiko Kk 多極型ヒューズ素子およびこの素子を使用した多極型ヒューズ
GB2326287B (en) * 1997-06-09 2001-10-24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Fuse assembly
JP2000164111A (ja) * 1998-03-16 2000-06-16 Yazaki Corp 自動車用大電流ヒュ―ズ
JP2000113803A (ja) * 1998-10-01 2000-04-21 Yazaki Corp 自動車用大電流ヒューズ
JP4083991B2 (ja) * 2000-02-09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4127698A (ja) * 2002-10-02 2004-04-22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04186006A (ja) * 2002-12-04 2004-07-02 Yazaki Corp ヒュージブルリンク及び該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製造方法
JP4533827B2 (ja) * 2005-09-21 2010-09-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4769621B2 (ja) * 2006-04-18 2011-09-07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載用電気接続箱に収容されるバスバー
JP4805057B2 (ja) * 2006-08-04 201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207533B2 (ja) * 2008-09-05 2013-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複合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ヒューズボ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595821B2 (ja) * 2010-07-30 2014-09-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0347A (ja) 1999-12-03 2001-06-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2008226743A (ja) 2007-03-15 2008-09-25 Taiheiyo Seiko Kk 車両用多連型ヒューズ装置
JP2010182578A (ja) 2009-02-06 2010-08-19 Yazaki Corp ヒュー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785A (ko) 2015-09-15 2017-03-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KR20170002450U (ko) 2015-12-29 2017-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15906B (zh) 2016-01-20
JP2012216337A (ja) 2012-11-08
CN103415906A (zh) 2013-11-27
KR20130126978A (ko) 2013-11-21
WO2012133459A1 (ja) 2012-10-04
JP5682067B2 (ja) 2015-03-11
US20130316584A1 (en) 2013-11-28
DE112012001481T5 (de)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606B1 (ko) 가용성 링크 블럭 회로 형성용 버스바, 가용성 링크 블럭, 및 가용성 링크 블럭의 제조방법
CN107710373B (zh) 熔丝单元及制造熔丝单元的方法
JP5852744B2 (ja) 非矩形形状を有するプロングを備えたチューニングフォーク式の電気接点
US9236724B2 (en) Busbar unit
US20130181806A1 (en) Fuse unit
JPH0230136B2 (ko)
US20140035717A1 (en) Fuse
JP4896630B2 (ja) ヒューズエレメント及びヒューズ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WO2013054731A1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2001273848A (ja) ヒューズ構造体
JP5328459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US10283308B2 (en) Busbar
KR101568179B1 (ko) 버스바 성형 다이 및 이를 이용한 버스바 제조 방법
JP3978631B2 (ja) レアショート判断機能付き多極型ヒューズ素子、同ヒューズ及び同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201106608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
WO2022054404A1 (ja) ヒューズ
JP7246097B2 (ja) 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2001286028A (ja) 大型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5603699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CN118056256A (zh) 保险丝
JP2007215373A (ja) 自動車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