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813B1 -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813B1
KR101495813B1 KR20130072068A KR20130072068A KR101495813B1 KR 101495813 B1 KR101495813 B1 KR 101495813B1 KR 20130072068 A KR20130072068 A KR 20130072068A KR 20130072068 A KR20130072068 A KR 20130072068A KR 101495813 B1 KR101495813 B1 KR 10149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value
illuminance
mode
lamp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111A (ko
Inventor
이상수
김요한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8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7Tunnels 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 범위가 다른 두 개의 조도 센서에 의한 이중 조도를 이용하여 차량이 터널로 진입했는지 고가 밑 등과 같은 광량 교번 도로를 지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터널에 있는지 광량 교번 도로에 있는지에 따라 라이트의 자동 구동 지연시간을 달리하여 구동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대역의 광량을 측정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터널과 광량 교번 도로를 구분하고, 구분된 도로에 따라 지연시간을 달리함으로써 터널에서는 램프의 빠른 점등으로 운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광량 교번 도로에서는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의 빈번한 교번 동작을 방지하여 램프 및 램프 구동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light using dual illumination sensor}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 범위가 다른 두 개의 조도 센서에 의한 이중 조도를 이용하여 차량이 터널로 진입했는지 고가 밑 등과 같은 광량 교번 도로를 지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터널에 있는지 광량 교번 도로에 있는지에 따라 라이트의 점등 및 소등 지연시간을 달리하여 구동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어두운 곳을 밝혀주는 헤드라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 자동차들은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헤드라이트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통상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는 전면 유리 상단부 등에 구성되는 조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광량(조도)이 기준치 미만인 상태에서 일정 지연시간(Delay time) 이상이 유지되면 터널 및 밤으로 인식하여 라이트를 점등하고, 측정되는 광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일정 지연시간을 초과하면 다시 라이트를 자동으로 소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터널 진입 및 진출 시 일정 지연시간(통상 2.5초) 후에 라이트가 점등 및 소등되므로 운전자가 터널 진입 후 일정 시간을 어둡게 주행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터널을 나와서도 상기 지연시간 후에 라이트가 소등되므로 불필요하게 라이트를 켜 놓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다고 하여 지연시간을 1초 이하로 줄이는 경우, 터널 진입 시 빠른 점등으로 운전자의 불편함은 해소될 수 있으나, 어둡고 밝은 곳이 빈번하게 교번하는 고가 밑 등과 같은 도로(이하 "광량 교번 도로"라 함)를 주행하는 경우 램프가 빈번하게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램프의 빈번한 점등 및 소등의 교번은 램프를 파손시키거나 회로에 무리를 주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348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범위가 다른 두 개의 조도 센서에 의한 이중 조도를 이용하여 차량이 터널로 진입했는지 고가 밑 등과 같은 광량 교번 도로를 지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터널에 있는지 광량 교번 도로에 있는지에 따라 라이트의 점등 및 소등 지연시간을 달리하여 구동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는: 제1측정 대역의 조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1조도 측정부; 제2측정 대역의 조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2조도 측정부; 차량의 램프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여 상기 램프를 점등 및 소등하는 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1조도 측정부 및 제2조도 측정부를 통해 제1조도 값 및 제2조도 값을 측정하고, 제1조도 값과 제2조도 값에 따라 차량이 터널에 진입했는지 광량 교번 도로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조도 값보다 크다면 상기 차량이 광량 교번 도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광량 교번 도로 모드를 설정한 후 제2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조도 값보다 작다면 상기 차량이 터널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터널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2지연시간보다 짧은 제1지연시간 후에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크면 램프가 점등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램프가 소등 상태이면 램프 소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도 값이 상기 제1기준 조도 값보다 큰 상태에서 램프가 점등 상태이면 현재 모드가 터널 모드인지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터널 모드이면 상기 제1지연시간 후 상기 램프를 소등하고, 광량 교번 모드이면 상기 제2지연시간 후 상기 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량 교번 도로 모드 및 터널 모드에서 측정된 제1조도 값이 소등 기준 조도 값 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큰 경우에만 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방법은: 제1측정 대역의 제1조도 값을 측정하는 제1조도 측정 과정; 제2측정 대역의 제2조도 값을 측정하는 제2조도 측정 과정; 및 상기 측정된 제1 및 제2 조도 값에 따라 차량이 터널에 진입했는지 광량 교번 도로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은,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조도 값보다 큰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인지 제1조도 값이 상기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상기 제2기준 조도 값보다 작은 터널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단계;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광량 교번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광량 교번 모드에서 제2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하는 광량 교번 도로 점등 단계; 및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터널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널 모드에서 상기 제2지연시간보다 짧은 제1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하는 터널 모드 점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은, 상기 제1조도 값이 상기 제1기준 조도 값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일반 모드 판단 단계; 및 상기 일반 모드 판단 단계에서 램프가 점등 상태인지 소등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램프 점소등 판단 단계; 램프가 소등 상태이면 램프 소등 상태를 유지하는 일반 모드 유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이전 상태가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인지 터널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천이 판단 단계; 및 상기 이전 모드가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이면 상기 제2지연시간 후 램프를 소등하고, 상기 이전 모드가 터널 모드이면 상기 제1지연시간 후 램프를 소등하는 램프 소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량 측정 대역이 다른 두 개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터널과 광량 교번 도로를 구분하고, 구분된 도로에 따라 지연시간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터널에서는 램프의 빠른 점등으로 운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광량 교번 도로에서는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의 빈번한 교번 동작을 방지하여 램프 및 램프 구동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도 센서들의 조도 측정 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 조도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이중 조도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도 센서들의 조도 측정 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도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는 제어부(10), 광량 측정부(20), 라이트 구동부(30)와 램프(31, 32)를 포함한다.
광량 측정부(20)는 본 발명에 따라 측정 대역이 다른 제1조도 측정부(21)와 제2조도 측정부(22)를 포함한다. 제1조도 측정부(21)는 제1측정 대역의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2조도 측정부(22)는 제2측정 대역의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일예로, 상기 제1측정 대역은 도 3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0룩스(LUX)~5000룩스(LUX)가 될 수 있고, 제2측정 대역은 도 3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0룩스 ~대략 100룩스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트 구동부(30)는 램프들(31, 32)과 연결되고,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램프들(31, 32)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램프를 점등하거나 소등 한다.
제어부(10)는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11)를 포함하며, 상기 광량 측정부(20)로부터 측정된 제1조도 신호 및 제2조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1조도 신호 및 제2조도 신호의 조도 값에 따라 지연시간을 달리하여 램프들(31, 32)을 점등 및 소등하도록 라이트 구동부(3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0)는 시동이 켜지면 광량 측정부(20)를 통해 조도 측정을 개시한다(S211).
광량 측정부(20)의 제1조도 측정부(21) 및 제2조도 측정부(22)로부터 제1조도 신호 및 제2조도 신호가 입력되기 시작하면 제어부(10)는 제1조도 신호의 조도 값(이하 "제1조도 값"이라 함)이 제1기준 조도 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S213). 일예로, 상기 제1기준 조도 값은 상기 측정 대역이 1300룩스(LUX)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 결과, 측정된 제1조도 값이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으면 제어부(10)는 제2조도 측정부(22)에서 측정된 제2조도 신호의 조도 값(이하 "제2조도 값"이라 함)이 제2기준 조도 값보다 큰지를 검사한다(S215). 상기 제2기준 조도 값은 상기 제2 측정 대역인 0룩스 ~100룩스 사이의 값이 될 것이며, 제2조도 측정부(22)의 측정 대역 내에서 대략 100룩스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터널과 광량 교번 도로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통계적으로 터널이 더 어둡고 광량 교번 도로가 상대적으로 밝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검사 결과 제2조도 값이 제2기준 조도 값보다 크다면, 제어부(10)는 광량 교번 도로 모드를 설정하고(S221), 제2지연시간 후 라이트 구동부(30)를 제어하여 램프(31, 32)를 점등시킨다(S223). 물론, 상기 제2지연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제1조도 값이 제1기준 조도 값을 초과하면 광량 교번 도로 모드는 해제되고 S213 이후 과정을 다시 수행할 것이다. 상기 제2 지연시간은 2.5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상기 제2조도 값이 제2기준 조도 값보다 작으면 제어부(10)는 터널 모드를 설정하고(S217), 제1 지연시간 후 라이트 구동부(30)를 제어하여 램프(31, 32)를 점등시킨다(S219). 상기 제1 지연시간은 1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조도 값이 제1기준 조도 값보다 큰 일반 모드인 경우, 제어부(10)는 라이트 구동부(30)를 통해 램프(31, 32)가 점등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25).
판단 결과 램프(31, 32)가 점등 상태이면 제어부(10)는 현재 모드가 터널 모드인지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29).
현재 모드가 터널 모드이면 제어부(10)는 제1지연시간 후 라이트 구동부(30)를 제어하여 램프(31, 32)를 소등시키고(S231),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이면 제2지연시간 후 라이트 구동부(30)를 제어하여 램프(31, 32)를 소등시킨다(S223).
반면, 램프가 점등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10)는 램프 소등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S227).
상기 설명에서는 램프의 점등 기준치와 소등 기준치가 제1기준 조도 값으로 동일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소등 기준 조도 값을 상기 제1기준 조도 값과 달리하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기준 조도 값은 1300룩스로 설정하고, 소등 기준 조도 값은 3000룩스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제어부 11: 타이머
20: 광량 측정부 21: 제1조도 측정부
22: 제2조도 측정부 30: 라이트 구동부
31, 32: 램프

Claims (9)

  1. 제1측정 대역의 조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1조도 측정부;
    제2측정 대역의 조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2조도 측정부;
    차량의 램프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여 상기 램프를 점등 및 소등하는 라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1조도 측정부 및 제2조도 측정부를 통해 제1조도 값 및 제2조도 값을 측정하고, 제1조도 값과 제2조도 값에 따라 차량이 터널에 진입했는지 광량 교번 도로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조도 값보다 크다면 상기 차량이 광량 교번 도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광량 교번 도로 모드를 설정한 후 제2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조도 값보다 작다면 상기 차량이 터널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터널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2지연시간보다 짧은 제1지연시간 후에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크면 램프가 점등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램프가 소등 상태이면 램프 소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도 값이 상기 제1기준 조도 값보다 큰 상태에서 램프가 점등 상태이면 현재 모드가 터널 모드인지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터널 모드이면 상기 제1지연시간 후 상기 램프를 소등하고, 광량 교번 모드이면 상기 제2지연시간 후 상기 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량 교번 도로 모드 및 터널 모드에서 측정된 제1조도 값이 소등 기준 조도 값 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큰 경우에만 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6. 제1측정 대역의 제1조도 값을 측정하는 제1조도 측정 과정;
    제2측정 대역의 제2조도 값을 측정하는 제2조도 측정 과정; 및
    상기 측정된 제1 및 제2 조도 값에 따라 차량이 터널에 진입했는지 광량 교번 도로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라이트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은,
    상기 제1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조도 값보다 큰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인지 제1조도 값이 상기 제1기준 조도 값보다 작고, 제2조도 값이 상기 제2기준 조도 값보다 작은 터널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단계;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광량 교번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광량 교번 모드에서 제2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하는 광량 교번 도로 점등 단계; 및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터널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널 모드에서 상기 제2지연시간보다 짧은 제1지연시간 후 램프를 점등하는 터널 모드 점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은,
    상기 제1조도 값이 상기 제1기준 조도 값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일반 모드 판단 단계;
    상기 일반 모드 판단 단계에서 램프가 점등 상태인지 소등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램프 점소등 판단 단계; 및
    램프가 소등 상태이면 램프 소등 상태를 유지하는 일반 모드 유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지연 램프 제어 과정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이전 상태가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인지 터널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천이 판단 단계; 및
    상기 이전 모드가 광량 교번 도로 모드이면 상기 제2지연시간 후 램프를 소등하고, 상기 이전 모드가 터널 모드이면 상기 제1지연시간 후 램프를 소등하는 램프 소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방법.
KR20130072068A 2013-06-24 2013-06-24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95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068A KR101495813B1 (ko) 2013-06-24 2013-06-24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068A KR101495813B1 (ko) 2013-06-24 2013-06-24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11A KR20150000111A (ko) 2015-01-02
KR101495813B1 true KR101495813B1 (ko) 2015-02-25

Family

ID=5247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2068A KR101495813B1 (ko) 2013-06-24 2013-06-24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970B1 (ko) 2015-03-30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빛 감지에 따른 공조 및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D863324S1 (en) 2018-01-04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577U (ja) * 1993-02-12 1994-08-30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灯火器の自動点滅装置
JP2002036946A (ja) * 2000-07-28 2002-02-06 Futaba Auto Denki Shokai:Kk 車両用ヘッドライトの自動切替装置
KR20030017864A (ko) * 2001-08-23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 조도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577U (ja) * 1993-02-12 1994-08-30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灯火器の自動点滅装置
JP2002036946A (ja) * 2000-07-28 2002-02-06 Futaba Auto Denki Shokai:Kk 車両用ヘッドライトの自動切替装置
KR20030017864A (ko) * 2001-08-23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 조도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11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003B1 (ko) Iot형 터널 조명 제어 방법
KR101993999B1 (ko) 터널 조명 제어 방법
KR101495813B1 (ko) 이중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94001B1 (ko) 터널내 온도에 의한 램프 색상 제어방법
KR101994002B1 (ko) 터널 조명 모듈 제어 방법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JP5637927B2 (ja) 車両用点灯制御装置
KR102213684B1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KR20120138946A (ko) 엘이디 센서등
JP2015056256A (ja) 車両用灯火器の自動点滅装置
TW201605671A (zh) 智慧型大燈切換系統
JP6295830B2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070104738A (ko) 주변 밝기 및 차간 거리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91029B1 (ko) 포지셔닝 램프를 이용한 안내 방법
KR20110073960A (ko) 차량의 안개등 제어 방법
KR1016161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0103279A (ja) 車両の灯火類制御装置
KR20190079814A (ko) 터널 조명 모듈 제어 시스템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20110076480A (ko) 차량용 램프의 점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71022Y1 (ko) 긴급자동차 경광등의 차속감응 제어장치
JP5555562B2 (ja) ライトの点消灯制御装置
KR100276224B1 (ko) 조도가 자동 조절되는 후진등
KR101406383B1 (ko) 차량용 리어램프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60722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