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628B1 -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628B1
KR101495628B1 KR1020137015188A KR20137015188A KR101495628B1 KR 101495628 B1 KR101495628 B1 KR 101495628B1 KR 1020137015188 A KR1020137015188 A KR 1020137015188A KR 20137015188 A KR20137015188 A KR 20137015188A KR 101495628 B1 KR101495628 B1 KR 10149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process
roller
shaping
forming
shor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638A (ko
Inventor
모리야스 야마구치
시게오 오카모토
테루노부 요시미츠
야스타카 요시이
요이치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9L-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단변(短邊) 단부(端部) 성형 장치는, 부등변 산형강의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부등변 산형강(200)의 단변(201)의 단부(201b)를, 외주면(21)에 형성한 성형부(22) 상(上)을 그의 둘레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당해 성형부(22)에 의해 압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롤러(20)를 갖고, 성형부(22)는, 성형 롤러(20)의 외주면(21)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성형 롤러(20)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22a)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직선 형상의 부위(22b)는, 원호 형상의 부위(22a)에 있어서의 상기 인접하는 단부(22c)의 접선(t)과 일치한다.

Description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OLDING SHORT-SIDE END OF UNEQUAL ANGLE STEEL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조선용에 많이 사용되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unequal leg and thickness angle steel) 등의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短邊)의 단부(端部)를 성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조선용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은, 열간 압연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가열 공정에서 소재가 되는 강편을 가열하고, 그 후, 조(粗)압연 공정 및 중간 압연 공정에서 각각의 압연기로 복수 패스의 성형 압연을 행하여, 산형에 가까운 단면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마무리 압연 공정에서, 1패스의 성형 압연을 행하여,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도 9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200)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200)은, 단변(플랜지;flange)(201)과 장변(長邊)(웹;web)(202)으로 이루어지며, 단면(斷面)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 단변은, 장변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이러한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200)에 대하여 도장을 행하는 경우, 단변(201)의 단부(201b)의 단면(端面;201b1)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도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도 10a 및 도 10b는, 단변의 단부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0a(원으로 둘러싼 부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201)에 있어서, 단면(201b1)과 외측면(201a)이 불연속이 되어 에지가 성형되면, 도장시에 도장 얼룩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단변(201) 및 장변(202)의 외측면(201a, 202a)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굽힘부(203)의 외측부(203a)를 통하여 단변(201) 및 장변(202)에 있어서 인접하는 측면이다.
이러한 도장 얼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0b(원으로 둘러싼 부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201)에 있어서, 단면(201b1)과 외측면(201a)이 매끄럽게 이어져 에지의 성형이 억제되는 것(바람직하게는 에지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산형강 제품에 대해서는, 단변의 단부의 형상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단변의 단부의 에지의 허용량이 엄격한 제품은, 손질 라인으로 보내, 냉간에서 에지를 허용량 이하로 하기 위해, 단변의 단부에 대하여 전체 길이에 걸쳐 그라인더 등의 기계에 의한 손질이 행해지고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귀형 돌기 성형 방법과 같이, 냉간 공정에 있어서 연삭 가공에 의해, 귀형 돌기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9018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에지를 제거하기 위해, 연삭 헤드나 단부 위치를 검출하는 컨트롤러를 갖는 대대적인 장치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단변의 단면의 에지를 매끄럽게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부등변 산형강의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의 단부를, 성형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한 성형부 상(上)을 그의 둘레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당해 성형부에 의해 압압(押壓)하여 성형하고 있으며,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 롤러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는, 상기 원호 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이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상기 성형 롤러로의 안내를,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장변의 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성형 롤러에 의한 상기 단변의 단부의 성형을 행하기 전부터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이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부등변 산형강의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의 단부를, 외주면에 형성한 성형부 상(上)을 그의 둘레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당해 성형부에 의해 압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갖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 롤러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는, 상기 원호 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장변의 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상기 성형 롤러로의 안내를 행하는 안내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 롤러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성형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직선 형상의 부위가, 원호 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과 일치하는 성형부를 갖는 성형 롤러를,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단변의 단부에 압압하여 성형하는 것만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단변의 단면의 에지를 매끄럽게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단변 단부 성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성형 롤러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 롤러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단변 단부 성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열간 압연 설비에 의한 열간 압연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단변 단부 성형 장치에 의한 단변의 단부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로 장변의 단부를 구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성형 롤러로 단변의 단부를 구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단변의 단부가, 성형 롤러에 대하여 구속되면서 통과할 때에, 성형부의 원호부 및 평면부에 합치한 형상이 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성형 롤러의 원호부만으로 단변의 단부를 성형한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성형 롤러의 상방 부위가 단변의 외측면에 접촉해 버리는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단변의 단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단면과 외측면이 불연속이 되어 에지가 성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단변의 단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단면과 외측면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구성)
본 실시 형태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단변의 단부 성형 장치(이하, 단순히 단변 단부 성형 장치라고 함)이다.
도 1은, 마무리 압연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마무리 압연 장치(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단변 단부 성형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 단부 성형 장치(10)는, 단변 출측 가이드(11), 장변 출측 가이드(12), 성형 롤러(에지 성형 롤러, 성형 롤)(20) 및, 가이드 롤러(30)를 갖는다.
단변 출측 가이드(11) 및 장변 출측 가이드(12)는, 마무리 압연 공정(마무리 압연 장치(100))의 출측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마무리 압연 공정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단변 및 장변을 각각 가이드한다.
성형 롤러(20)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단변의 단부를 성형한다. 성형 롤러(20)는, 단변 출측 가이드(11)에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incorporation)되어 있다. 여기에서, 성형 롤러(20)는, 회전축을 수직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성형 롤러(20)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롤러(20)는, 외주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근방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작아져 가도록 축경(縮徑)하고 있다(잘록해지고 있다). 이 성형 롤러(20)에 있어서, 외주면(21)의 축경 부위의 하단부는, 단변의 단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22)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성형 롤러(20)의 하단부(24)는, 축경 부위의 하단부(성형부(22))에 대하여 확경(擴徑)하여, 대략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하단부(24)는, 회전축(O)을 향하여 점차 두께가 증가하여, 그의 상면(24a)이 경사져 있다.
성형부(22)는, 단변의 단부를 성형하기 위해, 큰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성형부(22)는, 성형 롤러(20)의 외주면(21)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성형 롤러(20)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외주면(21)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이하, 원호부라고 함)(22a)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선 형상의 부위(이하, 평면부라고 함)(22b)는, 원호부(22a)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부(22c)의 접선(t)과 일치한다.
여기에서, 원호부(22a)는, 성형하는 단변의 단면(201b1)이 소망하는 형상이 되도록 미리 결정된 반경을 갖는다. 또한, 평면부(22b)는, 후술하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구속 자세에 있어서의 단변(단변의 외측면(201a))의 경사 각도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미리 결정된 구배(각도)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부(22b)에 있어서, 원호부(22a)의 상단(22c)에 대한 근방 부위(하부 부위)(22b1)는, 단변의 단부의 성형에 실제로 기여하는 부위가 되고, 그 외의 부위(상방 부위)(22b2)는, 단변의 단부의 성형에는 실제로 기여하지 않고, 여유를 갖고 형성된 부위가 된다.
또한, 성형 롤러(20)의 축경 부위에 있어서의 성형부(22)에 인접하는 상방 부위(평면부(22b)에 인접하는 상방 부위)는, 미리 결정된 구배(각도)를 갖고 형성된 릴리프부(relief portion;23)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리 결정된 구배란, 단변의 단부를 성형할 때에 당해 단변의 외측면에 릴리프부(23)가 접촉하지 않도록 릴리프각(relief angle)을 가진 구배이다.
이상과 같이, 성형 롤러(20)의 외주면에는, 원호부(22a), 평면부(22b) 및, 릴리프부(23)와 같이, 크게 나누어 3개의 상이한 축경부(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롤러(30)는, 성형 롤러(20)가 단변의 단부를 성형할 때의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롤러(30)는, 성형 롤러(20)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되도록 장변 출측 가이드(12)에 조립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30)는, 장변 출측 가이드(12)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롤러(30)는, 회전축을 수직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변 출측 가이드(12)에 가이드 롤러(30)가 조립됨으로써, 이 가이드 롤러(30)와 성형 롤러(20)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형상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가이드 롤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30)는, 외주가 상하단 각각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지름이 점차 작아져 가도록 축경되어, 대략 장구형 또는 모래시계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가이드 롤러(30)는, 하측의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부위(31)의 외주면(31a)으로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장변의 단부를 구속(지지)하고,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을 가이드한다.
(작용, 효과 등)
도 4는, 단변 단부 성형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열간 압연 설비에 의한 열간 압연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간 압연 공정은, 가열 공정(스텝 S1), 조압연 공정(스텝 S2), 중간 압연 공정(스텝 S3) 및, 마무리 압연 공정(스텝 S4)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간 압연 공정 중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 공정(스텝 S4) 후에 단변의 단부 성형(스텝 S5)을 실시한다.
 열간 압연 공정에서는, 가열 공정(스텝 S1)에서 소재가 되는 강편을 가열하고, 그 후, 조압연 공정(스텝 S2) 및 중간 압연 공정(스텝 S3)에서 각각의 압연기로 복수 패스의 성형 압연을 행하여, 산형에 가까운 단면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마무리 압연 공정(스텝 S4, 도 1에 나타내는 마무리 압연 장치(100))에서, 1패스의 성형 압연을 행하여,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성형 압연에서는, 주로 공형(孔型) 롤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마무리 압연 공정(스텝 S4) 후, 단변 단부 성형 장치(10)에 의해 단변의 단부를 성형한다(스텝 S5).
도 5a 및 도 5b는, 단변 단부 성형 장치(10)에 의한 단변의 단부의 성형 공정(스텝 S5)을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가이드 롤러(30)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200)의 장변(202)의 단면(202b)(특히 단면(202b1))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단변 출측 가이드(11) 및 장변 출측 가이드(12)에 의한 가이드도 도와,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200)의 장변(202)이 구속된다. 이 결과, 단변(201)의 패스 라인이 결정된다. 즉, 가이드 롤러(30)가 장변(202)의 단부(202b)를 구속함으로써, 단변(201)의 단부(201b)의 패스 라인이 결정된다.
그 후,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스 라인이 반송되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200)은, 단변(201)의 단부(201b)가, 가이드 롤러(30)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는 성형 롤러(20)에 의해 구속되게 된다. 즉,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은, 장변(202)의 단부(202b)가 가이드 롤러(30)에 의해 구속됨과 함께, 단변(201)의 단부(201b)가 성형 롤러(20)에 구속되게 된다.
그리고, 단변(201)의 단부(201b)가 성형 롤러(20)에 대하여 구속되면서 통과할 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201)의 단부(201b)는, 성형 롤러(20)의 원호부(22a) 및 평면부(22b)로 이루어지는 성형부(22)에 의해 압압되기 때문에, 원호부(22a) 및 평면부(22b)(구체적으로는 그의 하부 부위(22b1))에 합치한 형상이 된다. 즉, 단변(201)의 단면(201b1)은, 전체 길이에 있어서, R면으로서 성형되고, 그 R면에 있어서의 외측면(201a)에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이 당해 외측면(201a)과 일치하게 된다. 즉, 단변(201)의 단면(201b1)은, 전체 길이에 걸쳐 에지가 발생하지 않고 매끄러운 형상이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 롤러(20)에 대하여 반송로 상류측에 가이드 롤러(30)를 배치하고 있다. 즉,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200)의 성형 롤러(20)로의 안내를, 성형 롤러(20)에 의한 단변의 단부의 성형을 행하기 전부터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성형 롤러(20)에 대하여 반송로 하류측에 가이드 롤러(30)를 배치해 버리면,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패스 라인이 불안정해져, 단부의 성형 공정에서는, 단변의 단부를 안정되게 성형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 롤러(20)에 대하여 반송로 상류측에 가이드 롤러(30)를 배치함으로써, 단변의 단부를 안정되게 성형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 롤러(20)에 있어서, 릴리프부(23)는, 단변의 외측면에 대하여 릴리프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성형 롤러(20)의 상방 부위와 단변의 외측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단변의 단부의 성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자들은, 단변의 단부의 에지가 열간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열간 압연 공정 내에 단변의 단부의 성형 공정을 끼워 넣음으로써, 즉, 열간 압연 공정의 일환으로서, 마무리 압연 성형 후에 계속하여 단변의 단부를 성형하도록 함으로써, 에지의 발생을 효율 좋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압연 후의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압연 재료 온도는 700℃∼800℃ 정도이기 때문에, 성형 롤러(20)와 단변의 단면이 접하는 정도로, 충분히 매끄러운 단면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대한 비교예(본 실시 형태와 같은 전술의 구성을 갖지 않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성형 롤러(20)의 원호부(22a)만으로 단변(201)의 단부(201b)를 성형한 경우이다. 이 경우, 단변(201)의 단부(201b)에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에지가 발생해 버린다.
도 8은, 성형 롤러(20)의 상방 부위(25)가 단변(201)의 외측면(201a)에 접촉해 버리는 경우이다. 이 경우, 성형 롤러(20)의 성형부(22)의 형상을 설령 단부에 에지가 발생하지 않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했다고 해도, 그러한 접촉에 의해 소망하는 단면 형상이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가이드 롤러(30)는 안내부를 실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본 실시 형태는,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에 한정되지 않고, 단변의 두께와 장변의 두께가 동일한 부등변 산형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변 단부 성형 장치를 마무리 압연 장치의 후단에 설치했지만, 그것이 곤란한 경우 등에서는, 중간 압연 공정의 공형(孔型)의 출측에 설치해도 좋고, 이러한 경우라도, 마무리 압연 장치의 후단에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형강은 단변 및 장변의 외측면(201a, 202a)을 상방으로 하여 열간 압연하기 때문에, 이상의 예에서는 단변 단부 성형 장치(10)를 도 1에 나타내는 방향에 설치하고 있지만, 압연되는 산형강의 방향에 따라서 단변 단부 성형 장치(10)가 설치되는 방향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은 자유이다.
실시예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장변 치수가 350㎜, 단변 치수가 100㎜인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성형 방법에 의해 단변의 단부를 성형했다.
그 결과, 에지의 허용량이 엄격한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 제품을 제조할 때, 손질 라인에 보내는 일 없이, 전체 길이에 걸쳐 에지를 허용량 이하로 할 수 있었다.
10 : 단변 단부 성형 장치
11 : 단변 출측 가이드
12 : 장변 출측 가이드
20 : 성형 롤러
21 : 외주면
22 : 성형부
22a : 원호부
22b : 평면부
30 : 가이드 롤러

Claims (4)

  1. 부등변 산형강의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短邊)의 단부(端部)를, 성형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한 성형부 상(上)을 그의 둘레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당해 성형부에 의해 압압하여 성형하고 있으며,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 롤러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는, 상기 원호 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과 일치하고,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상방 부위는, 미리 결정된 구배를 갖고 형성된 릴리프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2. 부등변 산형강의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의 단부를, 성형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한 성형부 상을 그의 둘레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당해 성형부에 의해 압압하여 성형하고 있으며,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 롤러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는, 상기 원호 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과 일치하고,
    상기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상기 성형 롤러로의 안내를,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장변(長邊)의 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성형 롤러에 의한 상기 단변의 단부의 성형을 행하기 전부터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3. 부등변 산형강의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의 단부를, 외주면에 형성한 성형부 상을 그의 둘레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당해 성형부에 의해 압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갖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 롤러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는, 상기 원호 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과 일치하고,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상방 부위는, 미리 결정된 구배를 갖고 형성된 릴리프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장치.
  4. 부등변 산형강의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의 단부를, 외주면에 형성한 성형부 상을 그의 둘레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당해 성형부에 의해 압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갖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 롤러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을 따르는 형상이, 원호 형상 및 당해 원호 형상의 부위에 인접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며,
    상기 직선 형상의 부위는, 상기 원호 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부의 접선과 일치하고,
    상기 중간 압연 공정 또는 마무리 압연 공정을 거친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장변의 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부등변 산형강의 상기 성형 롤러로의 안내를 행하는 안내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장치.
KR1020137015188A 2011-01-17 2012-01-16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KR101495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06687 2011-01-17
JP2011006687 2011-01-17
PCT/JP2012/050668 WO2012140923A1 (ja) 2011-01-17 2012-01-16 不等辺山形鋼の短辺端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638A KR20130086638A (ko) 2013-08-02
KR101495628B1 true KR101495628B1 (ko) 2015-02-25

Family

ID=4684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188A KR101495628B1 (ko) 2011-01-17 2012-01-16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84498B2 (ko)
KR (1) KR101495628B1 (ko)
CN (1) CN103249501B (ko)
WO (1) WO2012140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8677B2 (ja) * 2013-10-18 2017-07-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不等辺山形鋼の短辺端部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CN109530430B (zh) * 2018-11-21 2020-10-27 重庆高科异型材制造有限公司 一种测深尺的生产工艺
CN111318572B (zh) * 2018-12-13 2022-04-05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角钢轧制孔型制作方法
WO2020137317A1 (ja) * 2018-12-27 2020-07-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不等辺山形鋼の長辺先端面成形装置、長辺先端面成形方法、及び製造方法、並びに熱間仕上圧延設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8401U (ja) * 1983-12-27 1985-07-23 日本鋼管株式会社 山形鋼足先部成形用4軸圧延機
JPH0332401A (ja) * 1989-06-28 1991-02-13 Aichi Steel Works Ltd アングル材の製造方法
JP2001198782A (ja) 2000-01-21 2001-07-24 Nkk Corp 形鋼のカエリ状突起物のオンライン除去装置
JP2004202514A (ja) 2002-12-24 2004-07-22 Daido Steel Co Ltd 山形鋼の圧延方法及び圧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13135Y (zh) * 2005-07-26 2006-09-06 武汉钢铁(集团)公司 新型轧钢机立辊
JP4890325B2 (ja) * 2007-03-30 2012-03-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38150C (zh) * 2007-05-29 2009-09-09 上海佳冷型钢有限公司 J字形冷弯型钢结构及轧制工艺
CN101214514B (zh) * 2008-01-02 2010-12-08 嘉兴市华杰机械有限公司 角钢制造方法
CN101349380B (zh) * 2008-09-03 2010-11-10 天津天重中直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冷弯j型钢及其制造方法
CN201493525U (zh) * 2009-07-27 2010-06-02 浙江吉利汽车有限公司 一种焊接机器人电极头的修磨刀片
CN201579368U (zh) * 2009-12-22 2010-09-15 江阴振宏重型锻造有限公司 轮缘异形环锻件工装的主轧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8401U (ja) * 1983-12-27 1985-07-23 日本鋼管株式会社 山形鋼足先部成形用4軸圧延機
JPH0332401A (ja) * 1989-06-28 1991-02-13 Aichi Steel Works Ltd アングル材の製造方法
JP2001198782A (ja) 2000-01-21 2001-07-24 Nkk Corp 形鋼のカエリ状突起物のオンライン除去装置
JP2004202514A (ja) 2002-12-24 2004-07-22 Daido Steel Co Ltd 山形鋼の圧延方法及び圧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61841A (ja) 2012-08-30
WO2012140923A1 (ja) 2012-10-18
CN103249501B (zh) 2015-09-02
CN103249501A (zh) 2013-08-14
JP5884498B2 (ja) 2016-03-15
KR20130086638A (ko) 201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628B1 (ko) 부등변 산형강의 단변 단부의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US9333699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ngitudinally stretching a film web
SK8208Y1 (sk) Zariadenie na bočné vedenie kovových pásov a spôsob bočného vedenia kovových pásov
JP6269608B2 (ja) H形鋼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KR101643274B1 (ko) 부등변 부등후 산형강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EP2478976B1 (en) Slit band plate meandering preventing device
US88072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casting of a metal band
KR19990023733A (ko) 스트립 압연용 압연대
CN106273398B (zh) 卷筒材制造方法以及卷筒材
US11559835B2 (e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ing device
EP2517800B1 (en) Skew prevention device for slit band plates
JP6287868B2 (ja) 形鋼用矯正装置および形鋼の製造方法
WO2019106785A1 (ja) 金属板の板反り矯正装置及び金属板の連続めっき処理設備
CN110064660B (zh) 一种控制钢卷塔形的方法
JP2011167708A (ja) スリット帯板の蛇行防止装置
JP4059737B2 (ja) ロール曲げ成形方法及びロール曲げ成形装置
JP6052128B2 (ja) 蛇行制御装置および蛇行制御方法
US8631925B1 (en) Adjusting mechanism for rolls on a roll stand assembly
KR101332780B1 (ko) 무구동 각도 교정기
JP3705147B2 (ja) 高温鋼板の冷却装置と方法
JP2010247178A (ja) 金属板の圧延反り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TWI413556B (zh) 熱軋的冷卻裝置及冷卻方法
KR101443083B1 (ko) 소재 권취장치
JP2023050748A (ja) 鋼帯尾端部の巻取装置及び方法並びに鋼帯の連続処理設備
JP4324046B2 (ja) 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