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379B1 - 운반 장치의 발판 유닛을 위한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 발판 유닛 및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의 발판 유닛을 위한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 발판 유닛 및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379B1
KR101495379B1 KR1020107007026A KR20107007026A KR101495379B1 KR 101495379 B1 KR101495379 B1 KR 101495379B1 KR 1020107007026 A KR1020107007026 A KR 1020107007026A KR 20107007026 A KR20107007026 A KR 20107007026A KR 101495379 B1 KR101495379 B1 KR 10149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tal sheet
support
members
che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104A (ko
Inventor
미하엘 마타이즐
토마스 일레디츠
토마스 노바첵
하랄트 괴즐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6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계단 지지부 (17) 또는 판 지지부는, 발판 요소 (9) 를 수용하는 평면 (E3) 을 함께 형성하는 후방 교차부재 (22) 및 전방 교차부재 (24) 를 포함한다. 2 개의 외측 계단 치크 (20.1, 20.2) 가 있으며, 교차부재 (22, 24) 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계단 치크 중 하나 (20.1) 는 오른쪽에 배열되고, 계단 치크 중 하나 (20.2) 는 왼쪽에 배열된다. 2 개의 교차부재 (22, 24) 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부터 제조되고, 하중지탱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계단 치크 (20.1, 20.2) 또는 판 치크에 용접되거나 합쳐지거나 리벳연결되거나 스크류고정되거나 접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클린치연결된다. 교차부재 (22, 24) 의 그 단부에서의 높이 (H2) 는 교차부재 (22, 24) 의 그 중심에서의 높이 (H3) 보다 작고, 그 결과 교차부재 (22, 24) 는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운반 장치의 발판 유닛을 위한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 발판 유닛 및 운반 장치{STEP SUPPORT OR PLATE SUPPORT FOR TREAD UNITS OF A CONVEYING DEVICE, TREAD UNITS AND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운반 장치의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 발판 유닛 예컨대 이러한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를 가지는 계단 또는 판, 및 이러한 발판 유닛을 가지는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송 장치라고도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운반 장치는, 복수의 발판 유닛, 즉 무단 컨베이어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계단 또는 이동식 보도 판을 가지는 승강기 및 이동식 보도이다. 운반 장치의 이용자는, 운반 장치가 이동 또는 전진하는 방향과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발판 표면 위에 서있거나 발판 유닛 위에서 걷는다.
승강기의 경우에 발판 유닛은 승강기 계단 (이하, 계단이라 함) 을 형성하고, 이동식 보도의 경우에 발판 유닛은 이동식 보도 판 (이하, 판이라 함) 을 형성한다. 승강기는, 비교적 큰 경사각으로, 연속하는 층과 같은 높이방향의 큰 거리를 잇는다. 그에 반해, 이동식 보도는 수평하거나 약간 경사지게 배열되지만, 일반적으로 승강기보다 경사각이 더 작다.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운반 장치는 계단 체인 또는 판 체인으로서 구성된 구동 열을 포함한다. 간략화를 위해, 구동 열만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구동 열은 운송 방향으로 계단 또는 판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되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른바 계단 롤러 또는 판 롤러 (안내 롤러, 체인 롤러) 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 구동 열에 제공된다. 이 안내 롤러는 전용 또는 제공된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구른다. 운반 장치의 단부 영역에는, 구동 트레인이, 안내 롤러에 의해, 편향 휠 (또는 체인 휠) 주위에 배열되어 있고 방향 변화를 실행한다. 또한, 드래그 롤러 대신 슬라이드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드 요소 또는 회전가능 요소 (안내 롤러) 가 상기와 같이 구동 열로서 작용하는 계단 체인 또는 판 체인에 직접 체결된다.
계단 체인 또는 판 체인에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요소 또는 회전가능 요소를 포함하여 계단 체인 또는 판 체인 이외에, 드래그 롤러로 불리며 별도의 안내 레일을 따라 구르는 2 개의 추가의 롤러가 각각의 계단 또는 판을 위해 요구된다.
과거에는, 계단 또는 판이 본질적으로 매우 안정적이어야 하고 비틀림 강성이 있어야 했기 때문에, 이 계단 또는 판은 생산 또는 주조하기가 비교적 복잡했고 비용도 많이 들었다. 또한, 계단 또는 판은 안전하고, 조용하며 흔들림없는 운행을 보장하기 위해서 고도의 정확도로 만들어져야 했다. 각각의 계단 또는 각각의 판의 본질적인 요소는 본질적으로 하중을 지탱하는 견고한 기능을 가지는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이다. 지지부는 매우 안정적이고, 강하고, 비틀림 강성이 있으며 경량이어야 하며, 이는 높은 수준의 재료 지출 또는 재료 소비 및 처리 비용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 생산 비용을 들게 한다.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의 중량을 어떻게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이미 이루어졌다.
DE 2051802 A1 에는 발포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계단 지지부를 생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실제로 경량이지만, 안정적이지 않고 장기간의 내구성도 없다.
GB 2216825 에 따르면, 판 지지부는 3 개의 앵글 스트립이 제공되는 4 개의 금속 앵글 철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계단을 위해 제공되는 것은 단지 3 개의 앵글 스트립과 2 개의 계단 치크 (cheek) 뿐이다. 이 금속 앵글 철 또는 금속 스트립은 두꺼우며 따라서 무겁다.
또한, JP 08-245152 A 에 따르면, 계단 치크와 협력작용하는 중실 금속 앵글 철 형태의 2 개의 교차 부재가 계단 지지부로서 제공된다.
DD 69443 은 측방 치크가 전방 부품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승강기를 위한 계단에 관한 것이다. 전방 부품은 그 후 라이저 요소에 의해 가려진다. 발판 요소를 위한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발판 판이 이 기울어진 요소에 놓인다. 전체적으로, 여기서는 매우 더 중실인 판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JP 10-45365 에는 중실 금속 앵글 철로 구성되는 지지부가 또한 기재되어 있다.
특히, 운반 장치의 더 경제적인 초기 설치를 위해 계단 및 판을 향상된 요소로 대체하면서도, 운행 원활성, 이동 특성, 안정성, 견고성 및 신뢰성뿐만 아니라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요구가 있다. 또한, 생산 공정은 간단해지고 빨라져야 한다. 또한,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아 운행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와 같다:
- 모든 요구 프로파일을 충족시키고, 안전하고 조용하며 흔들림없는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고장이 잘 나지 않고 긴 주행 시간 또는 고도의 사용수명을 보장하며, 부가적으로는 재료 사용 또는 재료 소비가 가능한 적으면서도, 도입부에서 설명한 종류의 운반 장치를 위한 더 경제적인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를 만드는 것;
- 안전하고 조용하며 흔들림없는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고장이 잘 나지 않으며, 고도의 사용수명 또는 긴 주행 시간을 보장하는, 도입부에서 설명한 종류의 더 경제적인 운반 장치를 만드는 것.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 및 청구항 7 의 특징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 (계단 지지 구조체, 계단 지지 프레임) 또는 판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발판 요소의 아래에, 그리고 계단의 경우에는 라이저 요소의 뒤에 배열된다.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는, 발판 요소의 수용을 위한 평면을 규정하거나 형성하는 전방 교차 부재 및 후방 교차 부재 또는 후방 교차 브리지 (bridge) 를 포함한다. 발판 요소는 운반 장치에 의해 운송되는 탑승자 또는 이동자를 위한 발판 계단 또는 발판 판의 역할을 한다. 2 개의 외측 계단 치크 또는 판 치크가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에 제공되며, 교차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계단 치크 또는 판 치크 중 하나는 오른쪽에 배열되고, 계단 치크 또는 판 치크 중 하나는 왼쪽에 배열된다. 계단 치크 또는 판 치크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2 개의 교차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심 종방향 버팀대 (중심 부재 또는 중심 버팀대 또는 텐션 버팀대) 가 제공될 수 있다. 종방향 버팀대는 2 개의 교차 부재를 연결한다. 교차 부재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만들어지며, 계단 치크 또는 판 치크에 용접되거나, 연결되거나, 리벳연결되거나, 스크류연결되거나, 클린치연결되거나 또는 접착식으로 결합되어 하중지탱 프레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 부재의 그 단부에서의 높이가 교차 부재의 그 중심에서의 높이보다 작아, 교차 부재는 불룩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 부재의 그 중심에서의 높이는 교차 부재의 그 단부에서의 높이의 적어도 1.5 배이고 최대 2 배이어서, 하중하의 교차 부재에서 균일한 응력 분포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그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심에서 기계적인 안정성이 가장 높고, 기계적인 안정성이 덜 요구되는 가장자리에서는 높이가 더 낮기 때문에 중량이 줄어든다. 이와 같이, 중량이 실질적으로 덜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에 의해서도, 공지된 두껍고 무거운 금속 시트 앵글 철의 안정성에 도달하는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 및 운반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이 독립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다.
실시형태로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은 부분적으로 잘린 승강기 형태의 운반 장치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운반 장치의 일부 영역 A 를 확대도로 도시한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를 가지는 완전한 계단을 아래에서 바라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를 가지는 완전한 계단을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바라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는 후방 상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 본 계단의 계단 지지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 는 계단 또는 판의 지지부 또는 계단 지지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의 중심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의,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는 전방 교차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의,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는 후방 교차 부재 또는 교차 브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의,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는 중심 종방향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는 내부에서 바라 본 계단 치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 는 외부에서 바라 본 계단 치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c 는 계단 치크의 요소가 용접된 후, 내부에서 바라 본 계단 치크의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d 는 내부에서 바라 본 계단 치크의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a 는 체결 요소가 용접되거나 적소에 접착되거나 또는 끼워진 후, 내부에서 바라 본 본 발명에 따른 계단의 딥드로잉된 라이저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b 는 체결 요소가 용접되거나 적소에 접착되거나 또는 끼워진 후, 아래에서 바라 본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또는 판의 딥드로잉된 발판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a 는 사용될 수 있는 제 1 신속작용 체결체를 도시한다.
도 8b 는 사용될 수 있는 제 2 신속작용 체결체를 도시한다.
도 8c 는 사용될 수 있는 그립 링을 도시한다.
도 8d 는 사용될 수 있는 클램핑 와셔를 도시한다.
도 9 는 계단이 상이한 하중을 받고 있을 때 계단 지지부의 응력의 계산을 도시한다.
도 10 은 위에서 바라 본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지지부를 가지는 완전한 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 은 아래에서 바라 본 상기 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 는 위에서 비스듬하게 바라 본 계단의 판 지지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 은 상기 판 지지부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14 는 상기 판 지지부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15 는 상기 판 지지부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16 은 마감 판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7 은 내부에서 바라 본 판 치크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8 은 외부에서 바라 본 상기 판 치크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 에 도시된 운반 장치 (1) 는 아래 레벨 (E1) 을 위 레벨 (E2) 에 연결시키는 승강기이다. 운반 장치 (1) 는 옆 난간 (4) 및 기부 판 (3) 및 구동 열을 가지는 무단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체인 롤러를 가지는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또는 계단 체인 (15) 이 계단 (2) 을 운동 상태로 하기 위해 구동 열 (도 3b 참조) 로서 사용된다.
또한, 무단 핸드레일 (10) 이 제공된다. 핸드레일 (10) 은 구동 열 또는 체인 열 및 계단 (2) 또는 판에 대해 고정된 관계로 또는 약간 앞에 있는 (lead) 상태로 이동한다. 지지 구조체 또는 새시를 도면부호 7 로 나타내고, 운반 장치 (1) 의 기부 판을 도면 부호 3 으로 나타낸다.
운반 장치 (1) 의 무단 컨베이어는 실질적으로 복수의 발판 유닛 (계단 (2)) 및 2 개의 옆으로 배열된 구동 열 또는 계단 체인 (15) 을 포함하며, 이 2 개의 옆으로 배열된 구동 열 또는 계단 체인 (15) 사이에 계단 (2) 이 배열되고 이것과 계단 (2) 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및 추가로, 무단 컨베이어는 구동장치 (도시 생략), 및 운반 장치 (1) 의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편향 수단 (12) 및 하부 편향 수단 (13) 을 포함한다. 계단 (2) 은 발판 요소 (9) (발판 표면) 를 구비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2) 은 아래 레벨 (E1) 의 영역에 배치되는 하부 편향 수단 (13) 으로부터 위 레벨 (E2) 의 영역에 배치되는 상부 편향 수단 (12) 으로 비스듬하게 위로 운행된다. 하부 편향 수단 (13) 으로부터 상부 편향 수단 (12) 에 이르는 이 영역에서는, 계단 (2) 의 발판 표면 (9) 이 위쪽을 향하고 따라서 사람을 받아들여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 영역을 운반 영역 또는 전방 운행 영역이라 한다. 상부 편향 수단으로부터 하부 편향 수단 (13) 으로의 계단 (2) 의 복귀 안내는 여기서는 복귀 운행 영역 (11) 이라고 하는 복귀 안내 영역에서 일어난다. 이 복귀 운행 영역 (11) 은 상기 전방 운행 영역 아래에 배치된다. 복귀 안내 동안, 즉 복귀 운행 영역 (11) 에서, 발판 표면 (9) 을 가지는 계단 (2) 은 하방향으로 "매달린다".
도 2 및 도 3a 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통상적인 계단 지지부 대신에 딥드로잉된 요소의 계단 지지부 (17) 를 포함하는 계단 (2) 이 이용된다. 대응하는 계단 지지부 (17) 의 예가 도 3a 내지 도 7b 로부터 명확하다.
지지부 또는 계단 지지부 (17) 는 특히 안내 롤러 (6) (드래그 롤러라고도 함) 가 체결되어 있는 2 개의 옆 계단 치크 (cheek) (20) 를 포함한다. 이 드래그 롤러 (6) 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 와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반 장치 (1) 의 무단 컨베이어가 운동 상태에 있을 때 전방 운행 영역에서 제 1 안내 레일 (5.1) 을 따라 이동하거나 구르도록 구성된다. 본 관계에 있어서, 제 1 안내 레일 (5.1) 은 그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전방 운행 안내 레일이라고도 한다. 체인 롤러 (16) (도 2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가 배치되어 있는 계단 체인 (15) 의 진로 또는 위치는 도 2 에서 선 (8) 으로만 나타낸다. 계단 체인 (15) 및 거기에 배치된 체인 롤러 (16) 의 배열에 대한 상세사항은 도 3b 에서 명확하다.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는 이 도시에서 특히 쉽게 식별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사항 및 특징을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한다. 2 개의 옆 계단 치크 (20.1, 20.2)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한 지지부 또는 계단 지지부 (17) 의 사시도가 도 4a 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 방향으로 볼 때, 계단 (2) 이 레벨 (E1) 로부터 레벨 (E2) 로 이동하는 경우, 계단 치크 (20.1) 는 발판 요소 (9) 의 오른쪽에 배열되고 계단 치크 (20.2) 는 발판 요소의 왼쪽에 배열된다.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는 드래그 롤러 (6.1, 6.2) 및 체인 축 또는 체인 핀 축 (21.1, 21.2) 을 구비한다. 계단 치크 (20.1 및 20.2) 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홈 (29), 예컨대 통로가 존재한다. 또한, 각각의 계단 치크 (20.1 또는 20.2) 는 딥드로잉 동안 형성되는 금속 시트 경계부 (26) (금속 시트 칼라, 금속 시트 벽, 금속 시트 가장자리) 를 구비한다 (예컨대, 도 6a 내지 도 6d 참조). 이 금속 시트 경계부 (26) 는 계단 치크 (20.1) 및 계단 치크 (20.2) 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금속 시트 경계부 (26) 는 반드시 전체 계단 치크 (20.1 또는 20.2) 주위에 배열될 필요는 없다. 또한, 금속 시트 경계부 (26) 는 부분적으로만 또는 구간별로만 존재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d 에서 주변 금속 시트 경계부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계단 (2) 의 계단 지지부 (17) 의 추가의 상세사항을 도 4a 에서 볼 수 있다. 계단 지지부 (17) 는, 또한 예컨대 상기 계단 치크 (20.1 및 20.2) 이외에, 전방 교차 부재 (24), 후방 교차 부재 (22) 및 중심 종방향 부재 (23) (중간 부재 또는 중심 부재) 를 포함한다. 이 부재 (22, 23, 24) 는 본 발명에 따라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재 및 계단 치크는 함께 계단의 지지부 또는 이른바 지지 구조체 또는 지지 프레임을 형성한다.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는 계단 지지부 (17) 에 또는 계단 지지부 (17) 상에 체결된다. 이 요소 (9 및 14) 를 체결하기 위한 한가지 가능성이 도 7a 및 도 7b 에 도시되어 있다.
부재 (22, 23, 24) 및 계단 치크 (20.1, 20.2) 는 함께 용접되거나, 리벳연결되거나, 연결되거나, 스크류연결되거나, 접착되거나 또는 클린치연결된다. 이 요소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스폿 용접 또는 프로젝션 용접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여기서 명확하다: 계단 치크 (20.1, 20.2) 가 금속 시트, 강 시트, 스테인리스강 시트, 아연 시트 또는 구리 시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이 문제없이 다른 금속 시트 요소 (예컨대, 부재 (22, 23, 24)) 에 용접되거나, 리벳연결되거나, 연결되거나, 스크류연결되거나, 접착되거나 또는 클린치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용접 동안 표면 부식 방지가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스폿 용접부 또는 프로젝션 용접부를 가지는 용융아연도금판 또는 전해아연도금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반해, 알루미늄 요소의 용접, 주조 또는 다이캐스팅은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간 소모적이다. 부분적으로 실시되는 스크류에 의한 계단 지지부의 요소의 결합은 매우 복잡하며, 장기 안정성, 내구성 또는 비틀림 강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지지부 또는 계단 지지부 (17) 의 평면도가 도 4b 에 도시되어 있다. 부재 (22 및 24) 는 평면 (E3) (도 4a 참조) 에 걸쳐있다. 도 4b 에 있어서, 평면 (E3) 은 도면의 평면에 놓인다. 2 개의 부재 (22 및 24) 는 서로 평행하게 이 평면 (E3) 에 연장되어 있다. 텐션 버팀대로서의 중간 종방향 부재 (중간 부재 또는 중심 부재) (23) 가 2 개의 부재 (22 및 24) 사이에서 중심에 적소에 용접되거나, 리벳연결되거나, 연결되거나, 스크류연결되거나, 접착식으로 결합되거나, 클린치연결된다. 동적인 하중상태의 경우에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부재 (22 및 24) 에 일렬의 안전 노치 (relief notch) (18) 가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도 4b 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안전 노치 (18) 는 부재 (22 및 24) 의 킨크 영역 (kink region) 에 배치된다.
또한, 이른바 체결 영역 (19) 이 제공된다. 고립부 또는 돌출부가 부재 (22, 24) 의 금속 시트, 강 시트, 스테인리스강 시트, 아연 시트 또는 구리 시트의 체결 영역 (19) 에 형성되어 있으며 주위의 금속 시트 재료에 대해 약간 상승되어 있다.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도 7a 및 도 7b 참조) 을 끼울 수 있는 각각의 구멍이 이 체결 영역 (19) 의 각각의 중심에 제공된다. 발판 요소 (9) 는 부재 (22, 24) 에 체결되고, 라이저 요소 (14) 는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에 의해 후방 교차 부재 (22) 및 브라켓 (40) 에 체결된다 (도 3b 참조).
도 4b 의 선 A-A 를 따른 단면도가 도 4c 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계단 치크 또는 치크 (20.2) 의 내부 측면 및 다른 한편으로는 중심 종방향 부재 (23) (중간 부재 또는 중심 부재) 의 한 측면을 도 4c 에서 볼 수 있다. 종방향 부재 (23) (중간 부재 또는 중심 부재) 는 'C 구역' 을 형성하고, 이 구역의 개구부는 상방향을 향하는데, 즉 실제 종방향 부재는 평면 (E3) 에 대해 하방향으로 다소 오프셋되어 있다.
도 4d 는 계단 지지부 (17) 의 전면도이다. 이 도에서는, 교차 부재 (22, 24) 또는 평면 (E3) 에 대해 수직하는 옆 계단 치크 (20.1, 20.2) 를 볼 수 있다. 3 개의 체결 영역 (19) 을 도 4d 에서 볼 수 있다. 라이저 요소 (14) 는 이 3 개의 체결 영역 (19) 에 체결된다. 라이저 요소 (14) 는 하부 가장자리에서 브라켓 (40) 에 체결된다. 브라켓 (40) 은 2 개의 계단 치크 또는 치크 (20.1, 20.2) 사이에 연장되고, 체결 판 또는 브라켓 (40.1, 40.2) 에 의해 거기에 지탱된다.
종래의 계단 지지부로부터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기계적인 하중에 적합한 형상 및 두께를 가지는 요소 (예컨대, 부재 (22, 23, 24) 및 계단 치크 (20.1, 20.2)) 가 사용된다. 과거에, 예컨대 일부에서 횡 브리지라고도 하는 계단 지지부의 교차 부재 (22, 23) 는 전체 길이 (계단 폭을 말함) 에 걸쳐 단면이 일정한 간단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 부재 (22 및 24) 는 발생하는 하중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화되기 때문에, 재료가 많이 절약된다.
도 5a 및 도 5b 에서, 예컨대, 양 교차 부재 (22, 24) 는 중심쪽으로 증가하는 높이를 가진다. 그에 반해, 두 말단부에서 높이는 상당히 낮다. 부재 (24) 의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측부의 높이 (H2) 는 중심의 높이 (H3) 보다 상당히 더 작고 (도 4d 참조), H3 는 H2 의 거의 두 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재 (22, 24) 는 하방향을 향해 불룩한 형상을 가진다. 이런 형상을 통해, 기계적인 하중은 계단 (2) 또는 판의 중심에서 가장 크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또한, 이 불룩한 형상에 의해 일정한 힘 유동이 가능해지고, 응력은 균일하게 또는 일정하게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교차 부재 (22, 24) 는 '같은 강도의 부재' 로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교차 부재 (22) 및 교차 부재 (24) 에서 일정한 응력 진로 및 일정하거나 균일한 응력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긍정적인 이점은 수학적으로 증명되었고 컴퓨터에서의 유한요소법 (Finite Element Method : FEM) 모의시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도 9 는, 승강기 계단 (2) 이 0.5 kN 또는 1 kN, 2 kN, 2.5 kN 및 3 kN (위에서 아래로 도시되어 있음) 의 하중을 받을 때, 후방 교차 부재 (22) 에 형성되고 FEM 모의시험에 의해 계산된 응력은 나타낸다.
응력의 값을 상이한 해칭으로 도 9 에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도 9 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설명도에 나타나 있다.
후방 교차 부재 (22) 의 하방향을 향하는 불룩부에서 계단 (2) 의 각각의 하중상태하의 응력이 최대값이 된다는 것이 도 9 로부터 명확하다.
그러나, 이 영역에서, 계단이 3 kN 의 하중을 받는 경우에도 (도 9 의 바닥부분 참조), 응력은 결코 740 N/mm2 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 값은 강의 파단점 미만이다. 따라서, 계단은 사용된 금속 시트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안전 기준을 충족시킨다.
측면, 즉 단면에서 볼 때, 2 개의 부재 (22, 24) 는 실질적으로 L 형상이고, L 프로파일의 한 가지 (limb) 는 평면 (E3) 에 놓이고, 두 번째 가지는 평면 (E3) 에 수직한 평면에 놓인다.
비대칭 U 형상을 가지는 부재 (22, 24) 가 특히 바람직하고, U 프로파일의 하나의 옆 가지는 더 짧고, 다른 더 긴 가지는 기재된 불룩한 형상을 가진다.
양 L 형상 및 U 형상 단면은 딥드로잉에 의해 문제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딥드로잉 동안, 가능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중공 본체 또는 본체 또는 부재 또는 중공 부재 또는 브리지가 평평한 금속 시트 단면 (예컨대, 강 코일로부터의 금속 시트) 으로부터 만들어진다.
후방 교차 부재 (22) 는 계단 가장자리 (발판 요소 (9) 와 라이저 요소 (14) 사이의 가장자리) 의 영역에 배열되고 그 지점에서 강한 하중, 즉 전방 교차 부재 (24) 보다 더 강한 하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전방 교차 부재 (24) 는 후방 교차 부재 (22) 보다 덜 크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동 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 (L1) 는 길이 (L2) 보다 작다 (도 4b 참조). 전방 교차 부재 (24) 는, 중량 최적화 또는 재료 효율화를 위해, 후방 교차 부재 (22) 보다 더 작도록 치수가 정해지거나 구성된다. 그러므로, 재료의 절약 및 최소 중량이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교차 부재 (22, 24) 또는 지지부의 중량최적화 및 응력최적화 치수결정이 용이하고 최선의 가능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중심 종방향 부재 (23) (중간 부재 또는 중심 부재 또는 텐션 버팀대 또는 중심 버팀대) 가 도 5c 에 도시되어 있다. 종방향 부재 (23) 는 평평화된 C 단면의 형태를 가지며, 2 개의 옆 가지는 같은 길이 또는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단면, 즉 교차 부재 (22, 24) 중 한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면 B-B 를 보면, 종방향 부재 (23) 는 대칭 U 형상을 가진다. U 단면의 옆 가지 (23.3 및 23.4) 는 단면의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길이 또는 높이를 가지며 중량에 있어서 최적화된다. 종방향 부재 (23) 의 두 단부 영역에는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스트랩 (strap) (23.1) 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다수의 상이한 스트랩 (23.1) 에 의해 교차 부재 (22, 24) 의 내측에서 종방향 부재 (23) 를 문제없이 적소에 용접하거나, 리벳연결하거나, 적소에 스크류고정시키거나, 접착시키거나, 또는 고정식으로 클린치연결할 수 있다. 이 스트랩 (23.1) 중 일부가 도 5c 에 도면부호와 함께 제공되어 있다.
계단 지지부 (17) 가 함께 조립되고 용접되거나, 함께 리벳연결되거나, 함께 나사연결되거나, 함께 접착되거나, 함께 클린치연결될 때, 종방향 부재 (23) 는 도 5c 에 도시된 상태가 아닌 회전한 상태에서 설치되고, 2 개의 측면 가지 (23.3 및 23.4) 를 연결하는 U 단면의 평평한 영역 (23.2) 이 발판 요소 (9) 로부터 또는 계단 (2) 의 발판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이를 바라본다.
도 6a 내지 도 6d 에서 좌측 계단 치크 (20.2) 의 추가의 상세사항 또는 특징을 볼 수 있다. 계단 치크 (20.2) 는 모든 요소와 "맞춰지고" 계단 지지부 (17) 에서 도시된 형태로 적소에 통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 에 있어서, 체인 핀 축 (21.2) 또는 체인 롤러 축이 계단 구멍 (또는 체인 핀 롤러 구멍이라고도 함) 의 영역에서 적소에 삽입되거나 끼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 브러시 (도면에서는 볼 수 없음) 가 체인 핀 축 (21.2) 을 수용하도록 계단 구멍 (32) 에 압입될 수 있다. 체인 핀 축 (21.2) 또는 체인 롤러 축은 플러그 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축은 구경을 잰 수용 보어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체인 롤러 축 (21.2) 또는 체인 핀 축은 견인체 (entrainer) 의 역할을 하거나 체인 또는 운반 체인 (15) 에 계단 또는 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 참조).
계단 구멍 (32) 은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 또는 강 시트 또는 스테인리스강 시트 또는 아연 시트 또는 구리 시트에 의해 완전히 규정되거나, 금속 시트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또한, 계단 치크 (20.2) 는 드래그 롤러 구멍 (30) 을 구비한다. 여기서도, 슬라이드 베어링 부시가 드래그 롤러 축 (25) (도 6a 참조) 또는 롤러 핀을 받아들이도록 적소에 압입될 수 있다 (도 6d 참조). 드래그 롤러 축 (25) 또는 롤러 핀은 너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적소에 용접되거나, 또는 용접 이음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드래그 롤러 축 (25) 또는 롤러 핀은 플러그 축 또는 플러그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드래그 롤러 축 (25) 또는 롤러 핀은 드래그 롤러 (6.2) 를 위한 축의 역할을 한다.
드래그 롤러 구멍 (30) 또한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에 의해 완전히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예컨대 도 6d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시트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에워싸인다.
드래그 롤러 구멍 (30) 의 영역에서, 계단 치크 (20.2) 는 마감 판 (27) 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강화되거나, 지지되거나, 또는 덮인다. 이 마감 판 (27) (제 1 마감 판이라고도 함) 은 딥드로잉을 통해 생기는 캐비티, 중공부, 중공 웨브, 또는 계단 (치크) 기둥에서 적소에 용접될 수 있다. 계단 구멍 (32) 의 영역에는 유사한 제 2 마감 판 (34) 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a 참조). 제 2 마감 판 (34) 은 추가의 베어링 수용부로서 구성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계단 치크 (20.2) 의 추가의 상세사항 또는 특징이 도 6c 내지 도 6d 에 도시되어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에는 홈 (29) 또는 통로가 제공된다. 이 홈 (29) 은 딥드로잉 이후에 금속 시트를 커팅 또는 펀칭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멍 (30 및 32) 은 이것이 딥드로잉에 의해 주변 금속 시트 칼라 (31 또는 33) 를 수용하기 전에 미리 펀칭될 수 있다. 이른바 구멍 (30 및 32) 은 딥드로잉 이후 커팅 또는 트리밍 또는 천공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딥드로잉 이후의 처리는 균일한 칼라 두께의 장점을 가진다. 이는 구멍이 균일한 여유, 베어링 여유, 베어링 길이, 베어링 깊이 또는 베어링 폭, 및 균일한 벽 크기 또는 벽 두께뿐만 아니라 정밀한 중심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주변 금속 시트 칼라 (31 및 32) 는 각각의 축 (21.2 및 21.1) 또는 핀 또는 드래그 롤러 축 (25) 에 대한 슬라이드 부시의 안정적인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추가의 형상화된 부분 (28) 및 추가의 비드 (28) 가 존재하는 계단 치크에 충분한 안정성이 부여된다. 금속 시트 경계 (26) 는 또한 얇은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에 매우 높은 또는 매우 실질적인 안정성을 부여한다.
도 7a 에는, 뒤에서 본, 라이저 요소 (14) 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다. 라이저 요소 (14) 는 딥드로잉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중 딥드로잉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된 금속 시트 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늘 그렇듯이, 승강기 계단 (2) 또는 판의 경우에 있어서, 라이저 요소 (14) 의 표면은 뒤에서 바라 본 도 7a 에서 볼 수 있는 뒤에서 본 그루브 및 리브를 구비한다. 그루브 및 리브를 가지는 라이저 요소 (14) 의 전방측은 도 3b 에서 볼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이저 요소 (14) 의 후방측에는 제 1 체결 판 (35) 및 제 2 체결 판 (38) 이 용접 또는 체결되어 있다. 라이저 요소 (14) 의 후방측에 체결 판 (35, 38) 을 장착하기 위해서 수개의 용접 지점 (36) 및/또는 리벳 장소 및/또는 스크류 및/또는 접착 장소 및/또는 클린치 지점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에서 각각의 용접 지점 (36) 또는 체결 지점을 볼 수 있다. 체결판 (35, 38) 또는 보강판 또는 강화판에는 상승된 체결 영역이 제공되는데, 이 상승된 체결 영역은, 장착 동안, 이것이 계단 지지부 (17) 의 대응하는 체결 영역 (19) 위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도 7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이 후방으로부터 홀을 통해 체결판 (35, 38) 에 끼워질 수 있다. 이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은, 체결 판 (35, 38) 을 라이저 요소 (14) 의 후방측에 용접 또는 체결함으로써, 탈락이 방지된다. 이제, 라이저 요소 (14) 가 그 후방측에 의해 계단 지지부 (17) 에 눌리면,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은 계단 지지부 (37) 의 체결 영역 (19) 에 제공된 홀에 수용된다. 그런 경우에,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은, 신속작용 체결 수단 (37.1, 37.2) 또는 다른 클램핑 와셔 또는 그립 링 또는 체결 수단 (41) 이 후방측으로부터 (즉, 계단 지지부 (17) 의 내측으로부터)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에 놓이거나 눌릴 수 있는 정도로 계단 지지부 (17) 의 체결 영역 (19) 의 홀에 관통된다.
도 7b 에는, 아래에서 본, 발판 요소 (9) 또는 발판 표면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다. 발판 요소 (9) 또는 발판 표면은 딥드로잉에 의해 원하는 형상이 된 금속 시트 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늘 그렇듯이, 승강기 계단 (2) 또는 판에 있어서, 발판 요소 (9) 의 표면 또는 발판 표면은 도 7b 에서 볼 수 있는 아래에서 본 그루브 및 리브를 구비한다. 그루브 및 리브를 가지는 발판 요소 (9) 또는 발판 표면의 상부측을 도 3b 에서 볼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발판 요소 (9) 또는 발판 표면의 하부측에는 수개의 체결 판 (39) 이 용접 또는 체결된다. 발판 계단 또는 발판 표면 (9) 의 후방측에 체결판 (39) 또는 보강판 또는 강화판을 용접하거나, 리벳연결하거나, 스크류연결하거나, 접착시키거나, 또는 클린치연결하기 위해서 수개의 용접 지점 (36) 및/또는 리벳 장소 및/또는 스크류 및/또는 접착 장소 및/또는 클린치 지점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용접 지점 (36) 또는 체결 지점 (36) 을 도 7b 에서 볼 수 있다. 체결판 (39) 또는 보강판 또는 강화판에는 상승된 체결 영역이 제공되는데, 이 상승된 체결 영역은, 조립 동안, 이것이 계단 지지부 (17) 의 대응하는 체결 영역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도 7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이 뒤에서 체결판 (39) 의 홀에 끼워질 수 있다. 이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은, 발판 요소 (9) 또는 발판 표면의 하측에 체결판 (39) 을 용접하거나 체결함으로써 탈락이 방지된다. 이제, 발판 요소 또는 발판 표면 (9) 이 그 후방측에 의해 계단 지지부 (17) 에 눌리면, 체결 핀 (37) 또는 플러그 핀이 계단 지지부 (17) 의 체결 영역 (19) 에 제공되는 홀에 수용된다. 그런 경우,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 (37) 은, 신속작용 체결 수단 (37.1, 37.2) 또는 다른 클램핑 와셔 또는 그립 링 또는 체결 수단 (41) 이 하측으로부터 (즉, 계단 지지부 (17) 의 내측으로부터) 체결 핀 (37) 또는 플러그 핀에 배치되거나 눌릴 수 있는 정도로 계단 지지부 (17) 의 체결 영역 (19) 의 홀을 관통한다.
도 8a 내지 도 8d 에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신속작용 체결 수단 (37.1, 37.2) 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 의 그림은 단순화된 그림이다. 치수는 모두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금속 시트 또는 강 시트 또는 스테인리스강 시트 또는 아연 시트 또는 구리 시트가 연결 영역에서 서로 위에 평평하게 놓여 있다.
도 8a 및 도 8b 에는 체결 핀 (37) 또는 플러그 핀으로서의 핀형상 체결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이 체결 핀 (37) 또는 플러그 핀은 연결될 2 개의 부품 (예컨대, 제 1 체결 판 (35) 및 교차 부재 (22)) 의 홀에 끼워진다. 신속작용 체결 수단 (37.1 또는 37.2) (둥글려진 부분 또는 굴곡진 아치형 부분 또는 캡을 갖거나, 또는 커버 또는 후드 또는 캡을 갖지 않음) 이 교차 부재 (22) 의 금속 시트를 통해 돌출하는 핀 또는 체결 핀 또는 플러그 핀에 후방측에서 끼워지거나 눌린다. 라이저 요소 (14) 를 포함하여, 견고하게 용접되거나, 견고하게 리벳연결되거나, 견고하게 스크류연결되거나, 견고하게 접착되거나, 견고하게 클린치연결되는 체결 판 (35) 이 교차 부재 (22) 에 체결된다.
체결 핀 (37) 및 대응하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 (22, 35) 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체결 핀 (37) 또는 플러그 핀의 그루브 없는 생크에 배치되거나 클랭핑될 수 있는 추가의 체결 수단 또는 클램핑 와셔 또는 그립 링 (41) 이 도 8c 및 도 8d 에 도시되어 있다. 도 8c 에는 금속 그립 링 (41) 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d 에는 금속 클램핑 와셔 (41) 가 도시되어 있다.
계단 지지부 (17) 의 부품에는 H380 또는 H400 의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숫자 380 및 400 은 N/mm2 의 항복점을 나타낸다. 이 금속 시트는, 적어도 900 N/mm2 의 텐션에서 항복점이 있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금속 시트는 적어도 1100 N/mm2 의 텐션에서 항복점을 가지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된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는 0.75 밀리미터와 1.9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밀리미터 내지 1.6 밀리미터의 두께가 특히 바람직하다.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가 상기 명세사항에 대응하여 선택된다면, 계단 치크 또는 계단은 표준 EN 115:승강기 및 이동식 보도의 건축 및 설비에 대한 안전 규정뿐만 아니라, AN - 미국 국가 표준 - ASME A 17.1 - 2004:승강기에 대한 안전법의 모든 하중 시험을 충족시킨다.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는 표면 코팅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딥-코팅에 의해 만들어진 표면 코팅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해식 딥-코팅 (EDC) 이 특히 적합하다.
EDC 의 결과로 균일한 층 두께 및 우수한 표면 품질을 가지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의 매우 균일한 코팅이 생긴다. EDC 처리 후,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는 균일하고 연속적인 코팅층을 가진다. 금속 시트의 딥드로잉 후 EDC 처리가 이용된다면, 특히 우수한 결과가 달성된다.
딥드로잉 전에 EDC 처리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아연도금된 금속 시트 또는 스테인리스강 시트 또는 구리 시트를 이용 또는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기뿐만 아니라 이동식 보도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이제 도 10 내지 도 18 에 의해 명확해진다. 이동식 보도를 위한 판의 많은 부품이 승강기를 위한 계단에 상응한다. 이런 부품은 생략부호 (apostrophe) 가 있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진다. 따라서, 계단의 발판 요소는 9 로 표시되기 때문에, 판의 발판 요소는 도면부호 9' 로 표시한다. 계단에 상응하는 한, 부품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도 11 및 도 1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판 (2') 과 계단 (2)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판 (2') 의 경우 2 개의 횡 부재 (22' 및 24') 가 하나의 금속 시트체로부터 딥드로잉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계단에 대해 설명했던 것처럼, 판의 중심에서 둘로 분할되어, 판 지지부 (17') 는 총 2 조각의 금속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나, 판 지지부 (17') 의 각각의 부분은 교차 부재 (22') 의 일부와 교차 부재 (24') 의 일부를 구비한다.
판 (2') 과 함께, 판 지지부 (17') 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판 지지부 (17') 의 2 개의 부분은 동일하게 형상화될 수 있다. 계단과 유사하게 안전 노치 (18') 가 존재한다.
판 지지부와 연결되는 (예컨대, 용접됨) 판 치크 (20.2') 의 구조가 도 16 내지 도 18 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판 치크 (20.2') 는 드래그 롤러 구멍 (30') 및 판 구멍 (32') 을 가지며, 이 양자는 딥드로잉에 의해 만들어진 금속 시트 칼라 (31' 또는 33') 에 의해 각각 둘러싸인다. 드래그 롤러 축의 수용을 위한 개구부 (27'') 를 구비하는 마감 판 (27') (도 16 참조) 이 드래그 롤러 구멍 (30') 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마감 판 (27') 은, 개구부 (27'') 및 드래그 롤러 구멍 (32') 이 동축이 되도록 (도 11 참조), 판 치크 (20.2') 에 체결된다 (예컨대, 용접됨). 따라서, 드래그 롤러 축은 2 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장착된다. 2 개의 체인 핀 축 (21.1' 및 21.2') 이 판 축 (21.3') 에 의해 함께 연결되기 때문에, 판 구멍 (32') 에는 비틀림력이 작용하지 않아 마감 판은 필요하지 않다. 판 축 (21.3') 은 종방향 부재 (23') 에 장착된다. 체인 핀 축 (21.1' 및 21.2') 과의 연결은 섀클 (shackle) (21.1'' 및 21.2'') 에 의한다.

Claims (37)

  1. 각각 운반 장치 (1) 의 계단을 위한 계단 지지부 (17) 로서,
    - 발판 요소 (9) 를 수용하기 위한 평면 (E3) 을 규정하는 후방 교차 부재 (22) 및 전방 교차 부재 (24),
    - 교차 부재 (22, 24) 에 대해 수직하게 계단 치크 중 하나 (20.1) 는 오른쪽에 배열되고, 계단 치크 중 하나 (20.2) 는 왼쪽에 배열되는 2 개의 외측 계단 치크 (20.1, 20.2) 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교차 부재 (22, 24) 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만들어지고 계단 치크 (20.1, 20.2) 에 용접되거나, 연결되어 하중지탱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은 리벳연결, 스크류연결, 접착식 결합, 또는 클린치 연결인 계단 지지부 (17) 에 있어서,
    교차 부재 (22, 24) 의 그 단부에서의 높이 (H2) 가 교차 부재 (22, 24) 의 그 중심에서의 높이 (H3) 보다 작아 교차 부재 (22, 24) 는 불룩한 형상을 가지고, 교차 부재 (22, 24) 의 그 중심에서의 높이 (H3) 는 교차 부재 (22, 24) 의 그 단부에서의 높이 (H2) 의 적어도 1.5 배이고 최대 2 배이어서 하중하의 교차 부재 (22, 24) 에는 균일한 응력 분포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지지부 (17).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버팀대 또는 중심 부재 또는 중심 버팀대 또는 텐션 버팀대 (23) 가 2 개의 교차 부재 (22, 24) 를 연결하고, 상기 종방향 버팀대 또는 중심 부재 또는 중심 버팀대 또는 텐션 버팀대 (23) 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지지부 (17).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교차 부재 (24) 및 후방 교차 부재 (22) 중 하나 이상은 오른쪽 부재 구간 및 왼쪽 부재 구간을 포함하며, 거울면 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지지부 (17).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 치크 (20.1, 20.2),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와 적어도 하나의 계단 치크 (20.1, 20.2) 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구성되며, 3 차원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지지부 (17).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 치크 (20.1, 20.2),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와 적어도 하나의 계단 치크 (20.1, 20.2) 에는,
    - 홈 (29),
    - 비드 (28) 또는 몰딩, 및
    - 안전 노치 (18)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지지부 (17).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는 0.75 mm 와 1.9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지지부 (17).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계단 지지부 (17) 를 가지는 승강기 계단 (2).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은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계단 (2).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은, 이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이 반대로 삽입가능하거나 끼워질 수 있거나 또는 교환가능하도록, 신속작용 체결 수단 (37.1, 37.2) 또는 클램핑 와셔 또는 그립 링 또는 체결 수단 (41) 에 의해 계단 지지부 (17) 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본래의 하중 지탱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계단 (2).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은 스테인리스강 시트 또는 강 (미세) 시트 또는 (미리) 아연도금된 금속 시트 또는 구리 시트 또는 전해식으로 딥코팅된 금속 시트 또는 용융 아연도금된 금속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계단 (2).
  11. 제 7 항에 있어서,
    체결 레일 (35, 38, 39) 이,
    - 장착된 상태에서 계단 지지부 (17) 를 향하는 발판 요소 (9) 의 후방 표면 및
    - 장착된 상태에서 계단 지지부 (17) 를 향하는 라이저 요소 (14) 의 하측 중 하나 이상에,
    용접되거나 체결되거나 통합되거나 설치되거나 장착되며,
    체결 볼트 또는 플러그 볼트 (37) 를 위한 수용 영역 및 신속작용 체결체 (37.1, 37.2, 41) 를 위한 수용 영역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계단 (2).
  12. 삭제
  13. 제 7 항에 따른 복수의 계단 (2) 을 가지는 운반 장치 (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에는 체인 또는 운반 체인의 체인 핀 축 (21.1, 21.2) 의 수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계단 구멍 (32) 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는 체인 핀 축 (21.1, 21.2) 을 포함하고, 체인 핀 축 (21.1, 21.2) 은 체인 핀 플러그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에는 계단 구멍 (32) 의 영역에 주변 금속 시트 칼라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에는 드래그 롤러 축 (25) 및 드래그 롤러 (6.1, 6.2)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래그 롤러 구멍 (30) 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는 드래그 롤러 (6.1, 6.2) 를 가지는 드래그 롤러 축 (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에는 드래그 롤러 구멍 (30) 의 영역에 주변 금속 시트 칼라 (31) 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18.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교차 부재 (22, 24) 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28), 적어도 하나의 통로 또는 홈 (29), 적어도 하나의 안전 노치 (18),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 영역 (19) 또는 체결 장소 또는 고립부 또는 돌출부 또는 상승부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19.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계단 치크 (20.1, 20.2) 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또는 홈 (29),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28) 및 적어도 하나의 통로 또는 홈 (29)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20. 각각 운반 장치 (1) 의 판을 위한 판 지지부로서,
    - 발판 요소 (9) 를 수용하기 위한 평면 (E3) 을 규정하는 후방 교차 부재 (22) 및 전방 교차 부재 (24),
    - 교차 부재 (22, 24) 에 대해 수직하게 판 치크 중 하나는 오른쪽에 배열되고, 판 치크 중 하나는 왼쪽에 배열되는 2 개의 외측 판 치크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교차 부재 (22, 24) 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만들어지고 판 치크에 용접되거나, 연결되어 하중지탱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은 리벳연결, 스크류연결, 접착식 결합, 또는 클린치 연결인 판 지지부에 있어서,
    교차 부재 (22, 24) 의 그 단부에서의 높이 (H2) 가 교차 부재 (22, 24) 의 그 중심에서의 높이 (H3) 보다 작아 교차 부재 (22, 24) 는 불룩한 형상을 가지고, 교차 부재 (22, 24) 의 그 중심에서의 높이 (H3) 는 교차 부재 (22, 24) 의 그 단부에서의 높이 (H2) 의 적어도 1.5 배이고 최대 2 배이어서 하중하의 교차 부재 (22, 24) 에는 균일한 응력 분포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지지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버팀대 또는 중심 부재 또는 중심 버팀대 또는 텐션 버팀대 (23) 가 2 개의 교차 부재 (22, 24) 를 연결하고, 상기 종방향 버팀대 또는 중심 부재 또는 중심 버팀대 또는 텐션 버팀대 (23) 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지지부.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교차 부재 (24) 및 후방 교차 부재 (22) 중 하나 이상은 오른쪽 부재 구간 및 왼쪽 부재 구간을 포함하며, 거울면 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지지부.
  23.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판 치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와 적어도 하나의 판 치크는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구성되며, 3 차원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지지부.
  24.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판 치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부재 (22, 24) 와 적어도 하나의 판 치크에는,
    - 홈 (29),
    - 비드 (28) 또는 몰딩, 및
    - 안전 노치 (18)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지지부.
  25.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는 0.75 mm 와 1.9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지지부.
  26.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따른 판 지지부를 가지는 이동식 보도 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은 딥드로잉된 금속 시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보도 판.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요소 (9) 및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은, 이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이 반대로 삽입가능하거나 끼워질 수 있거나 또는 교환가능하도록, 신속작용 체결 수단 (37.1, 37.2) 또는 클램핑 와셔 또는 그립 링 또는 체결 수단 (41) 에 의해 판 지지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본래의 하중 지탱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보도 판.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요소 (9) 및 라이저 요소 (14) 중 하나 이상은 스테인리스강 시트 또는 강 (미세) 시트 또는 (미리) 아연도금된 금속 시트 또는 구리 시트 또는 전해식으로 딥코팅된 금속 시트 또는 용융 아연도금된 금속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보도 판.
  30. 제 26 항에 있어서,
    - 체결 레일 (35, 38, 39) 이, 장착된 상태에서 판 지지부 (17) 를 향하는 발판 요소 (9) 의 후방 표면에 용접되거나 체결되거나 통합되거나 설치되거나 장착되며, 체결 볼트 또는 플러그 볼트 (37) 를 위한 수용 영역 및 신속작용 체결체 (37.1, 37.2, 41) 를 위한 수용 영역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보도 판.
  31. 제 26 항에 따른 복수의 판을 가지는 운반 장치 (1).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판 치크에는 체인 또는 운반 체인의 체인 핀 축 (21.1, 21.2) 의 수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판 구멍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판 치크는 체인 핀 축 (21.1, 21.2) 을 포함하고, 체인 핀 축 (21.1, 21.2) 은 체인 핀 플러그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33. 제 3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판 치크에는 판 구멍의 영역에 주변 금속 시트 칼라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34.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판 치크에는 드래그 롤러 축 (25) 및 드래그 롤러 (6.1, 6.2)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래그 롤러 구멍 (30) 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판 치크는 드래그 롤러 (6.1, 6.2) 를 가지는 드래그 롤러 축 (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35. 제 3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판 치크에는 드래그 롤러 구멍 (30) 의 영역에 주변 금속 시트 칼라 (31) 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36.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교차 부재 (22, 24) 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28), 적어도 하나의 통로 또는 홈 (29), 적어도 하나의 안전 노치 (18),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 영역 (19) 또는 체결 장소 또는 고립부 또는 돌출부 또는 상승부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37.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판 치크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또는 홈 (29),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드 (28) 및 적어도 하나의 통로 또는 홈 (29)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 (1).
KR1020107007026A 2007-10-01 2008-09-26 운반 장치의 발판 유닛을 위한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 발판 유닛 및 운반 장치 KR101495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7646.5 2007-10-01
EP07117646 2007-10-01
PCT/EP2008/062970 WO2009047146A1 (de) 2007-10-01 2008-09-26 Stufenunterbau bzw. palettenunterbau für tritteinheiten einer fahreinrichtung, tritteinheiten und fahr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104A KR20100063104A (ko) 2010-06-10
KR101495379B1 true KR101495379B1 (ko) 2015-02-24

Family

ID=3882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026A KR101495379B1 (ko) 2007-10-01 2008-09-26 운반 장치의 발판 유닛을 위한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 발판 유닛 및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322508B2 (ko)
EP (1) EP2200925B1 (ko)
JP (1) JP5643647B2 (ko)
KR (1) KR101495379B1 (ko)
CN (1) CN101808929B (ko)
AU (1) AU2008309744B2 (ko)
BR (1) BRPI0817604B1 (ko)
CA (1) CA2699500C (ko)
ES (1) ES2582201T3 (ko)
HK (1) HK1146030A1 (ko)
MX (1) MX2010003485A (ko)
NZ (1) NZ583853A (ko)
PL (1) PL2200925T3 (ko)
RU (1) RU2499761C2 (ko)
WO (1) WO2009047146A1 (ko)
ZA (1) ZA2010028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3815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用ステ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838025A (zh) * 2011-06-21 2012-12-26 苏州奔一机电有限公司 自动扶梯踏板用支撑装置
ES2411982B1 (es) * 2011-06-24 2014-03-11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Peldaño para escaleras mecánica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102013107869A1 (de) 2013-07-23 2015-01-29 Thyssenkrupp Fahrtreppen Gmbh Fahrtreppe oder Fahrsteig
ES2660480T3 (es) 2014-01-28 2018-03-22 Inventio Ag Plataforma para un pasillo rodante o escalón para una escalera mecánica
EP3181504B1 (de) * 2015-12-17 2022-02-02 GF Casting Solutions Suzhou Co. Ltd. Tritt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ittelements
CN105537952B (zh) * 2016-01-15 2017-04-12 江苏飞亚金属制品有限公司 梯级的加工方法及装置
US10689232B2 (en) 2016-05-25 2020-06-23 Inventio Ag Floor covering of a passenger conveyor
TW201803798A (zh) 2016-06-21 2018-02-01 伊文修股份有限公司 具有用於識別受損的踏板單元之監視及標記機構的人員輸送裝置
KR102395688B1 (ko) * 2016-08-31 2022-05-06 인벤티오 아게 플러그-인 파트들로 구성된 에스컬레이터 스탭
CN106542415B (zh) * 2016-11-25 2018-03-30 福德斯电梯有限公司 一种防滑自动扶梯
DE102017122790A1 (de) * 2017-09-29 2018-12-20 Thyssenkrupp Ag Fahrstufe für eine Beförd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EP3623336B1 (en) * 2018-09-14 2021-10-27 Otis Elevator Company Conveyance element for a people conveyor
EP3686147B1 (en) 2019-01-23 2024-03-20 Otis Elevator Company Conveyance belt for a conveyor
US10988348B1 (en) * 2020-05-26 2021-04-2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steps with strain sensors
DE102021123589A1 (de) 2021-09-13 2023-03-16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Fahrtreppenstufeneinheit für eine Fahrtreppenanordnung sowie entsprechende Fahrtreppen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458B2 (ja) * 1988-03-07 1995-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用踏板体
JPH08245152A (ja) * 1995-03-16 1996-09-24 Toshiba Elevator Prod Kk エスカレータあるいは動く歩道の踏段装置
JP2004292106A (ja) * 2003-03-27 2004-10-21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US20070205080A1 (en) * 2006-03-03 2007-09-06 Kurt Streibig Escalator with novel emergency guide mea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69443A (ko) *
DE69443C (de) FÖRSTE & TROMM in Leipzig, Nürnbergerstr. 22 Bogenzuführungsvorrichtung an Liniirmaschinen
DE2051802A1 (de) * 1970-10-22 1972-04-27 Acla Werke Ag Stufenkörper für Fahrtreppenstufen
FR2152615B1 (ko) * 1971-09-07 1976-08-13 Merkur Gmbh Metallwerk
JPS52137883A (en) * 1976-05-12 1977-11-17 Hitachi Ltd Steps for escalator
JPS6165256A (ja) * 1984-09-07 1986-04-03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US4984673A (en) 1988-03-07 1991-01-15 Hitachi, Ltd. Step of passenger conveyor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wavy metal plate
US5358089A (en) * 1994-03-01 1994-10-25 Riedel Hans Dieter Plastic escalator step
DE19606981C2 (de) * 1996-02-24 2001-12-13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ichtbaubändern oder Leichtbaublechen
DE29609299U1 (de) * 1996-05-24 1997-11-06 Kone Oy Trittelement für Rolltreppen und Rollsteige
US5988350A (en) * 1996-05-30 1999-11-23 Invento Ag Escalator step
US5974910A (en) * 1997-11-10 1999-11-02 Skf Usa Inc. Accumulator piston
JP2000015353A (ja) * 1998-06-30 2000-01-18 Kawasaki Steel Corp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溶接接合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A390U (uk) * 1999-03-18 1999-08-30 Олег Володимирович Бондаренко Уhіфіковаhий східець ескалатора
JP2001124489A (ja) * 1999-10-27 2001-05-11 Umeoka Co Ltd アルミニウム製ラヂエータ
JP3833048B2 (ja) * 2000-05-02 2006-10-1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踏段
RU2209174C2 (ru) * 2001-10-08 2003-07-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ЛЭС" Ступень для эскалаторов и пассажирских конвейеров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458B2 (ja) * 1988-03-07 1995-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用踏板体
JPH08245152A (ja) * 1995-03-16 1996-09-24 Toshiba Elevator Prod Kk エスカレータあるいは動く歩道の踏段装置
JP2004292106A (ja) * 2003-03-27 2004-10-21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US20070205080A1 (en) * 2006-03-03 2007-09-06 Kurt Streibig Escalator with novel emergency guide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46030A1 (zh) 2011-05-13
RU2010117203A (ru) 2011-11-10
ZA201002842B (en) 2011-08-31
WO2009047146A1 (de) 2009-04-16
BRPI0817604A2 (pt) 2015-09-22
JP5643647B2 (ja) 2014-12-17
RU2499761C2 (ru) 2013-11-27
JP2010540379A (ja) 2010-12-24
ES2582201T3 (es) 2016-09-09
KR20100063104A (ko) 2010-06-10
EP2200925B1 (de) 2016-04-13
US20100213025A1 (en) 2010-08-26
CA2699500A1 (en) 2009-04-16
EP2200925A1 (de) 2010-06-30
NZ583853A (en) 2012-11-30
MX2010003485A (es) 2010-04-30
PL2200925T3 (pl) 2016-10-31
CN101808929B (zh) 2013-01-30
CN101808929A (zh) 2010-08-18
AU2008309744A1 (en) 2009-04-16
BRPI0817604B1 (pt) 2019-12-03
AU2008309744B2 (en) 2014-05-01
US8322508B2 (en) 2012-12-04
CA2699500C (en)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379B1 (ko) 운반 장치의 발판 유닛을 위한 계단 지지부 또는 판 지지부, 발판 유닛 및 운반 장치
TWI622546B (zh) 自動走道及自動走道的自動走道板
AU2008309740B2 (en) Step for escalator or plate for travelator, and escalator or travelator and method for production
KR20150063472A (ko) 에스컬레이터 또는 자동보도용의 트랙 시스템
US8220612B2 (en) Step for escalator, and escalator with such a step
JPS5848468B2 (ja) マンコンベアの踏段
JP2010189131A (ja) 乗客コンベア
KR101495382B1 (ko) 운반 장치를 위한 계단 또는 판, 및 운반 장치
CA2968182A1 (en) Tank car top platform assembly closure plate
JP4703974B2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ガイドレール支持ユニット
JP5028006B2 (ja) 乗客コンベア
JP3884913B2 (ja) エスカレーター
CZ293554B6 (cs) Pohyblivé schody nebo pohyblivý chodník
US20180001912A1 (en) Tank car top platform closure plate
KR200252674Y1 (ko) 무빙 웰크 스트라이트 체인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