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102B1 -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102B1
KR101495102B1 KR1020130136797A KR20130136797A KR101495102B1 KR 101495102 B1 KR101495102 B1 KR 101495102B1 KR 1020130136797 A KR1020130136797 A KR 1020130136797A KR 20130136797 A KR20130136797 A KR 20130136797A KR 101495102 B1 KR101495102 B1 KR 10149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ibute information
medical image
display
displayed
imaging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345A (ko
Inventor
요시오 이이즈카
히데히코 모리나가
아키라 요시노
마이코 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Abstract

표시장치는, 복수의 의료용 화상 각각의 속성정보를 리스트로서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부; 상기 표시된 복수의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하나의 속성정보를 제1속성정보로서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제1속성정보와 관련된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1모형을,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도형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형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속성정보 중 상기 제1속성정보와는 다른 제2속성정보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새롭게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제2속성정보와 관련된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2도형을,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제2도형은 제1도형과 다른 표시형태로 표시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피검사 인체의 촬영 범위를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료용 화상의 리스트 표시장치는, 리스트 표시 항목(촬영 정보, 환자의 속성정보,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을 문자열로서 표시한다. 보통, 리스트의 1줄에, 1회의 검사(촬영)로 얻어진 의료용 화상에 관한 리스트 표시 항목을 표시한다.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8-264167은, 문자열로 표시된 의료용 화상 리스트상에서, 유저가 하나의 의료용 화상을 선택하면, 그 의료용 화상의 촬영 부위와 화상종별을 도시한 도면을 인체 모식도 위에 도시한 기술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선택한 의료용 화상의 촬영 부위와 화상종별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인체 모형의 부위 화상에 의해 촬영 부위를 도시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준비된 부위 화상에 일치하지 않는 촬영 부위를 나타내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상기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환자가 어떠한 자세로 촬영되었는지, 즉 촬영 장치나 중력방향에 대한 환자의 자세를 나타낼 수는 없었다. 또한, 동일 환자에 대하여 다른 검사(다른 모달리티를 사용한 촬영)를 행한 경우나, 복수의 일에 여러 번의 촬영을 행한 경우등, 동일환자의 의료용 화상이 복수 존재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동일 환자의 의료용 화상이 복수 있는 도면에 도시하고, 또한, 이것들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상기 의료용 화상들과 동시에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될 수 있는 정보는 한정되어 있다. 유저는 환자의 정확한 촬영 부위, 환자의 촬영시의 자세, 동일 환자의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 등의, 유용한 속성정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복수의 의료용 화상 각각의 속성정보를 리스트로서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부; 상기 표시된 복수의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하나의 속성정보를 제1속성정보로서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제1속성정보와 관련된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1모형을,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도형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형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속성정보 중 상기 제1속성정보와는 다른 제2속성정보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새롭게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제2속성정보와 관련된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2도형을,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제2도형은 제1도형과 다른 표시형태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피검사 인체의 촬영 범위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도시한 도형을 인체 모식도에 적절한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환자의 정확한 촬영 부위와 환자의 촬영시의 자세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같은 환자ID를 갖는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도시한 도형을 인체 모식도에 적절한 위치에 동시에 또는 순차로 표시함으로써, 동일 환자의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3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도면에 나타낸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장치(1)는, 제어부(10), 모니터(104), 마우스(105) 및 키보드(106)를 가진다. 제어부(10)는, 중앙처리장치(CPU)(100), 주메모리(101), 자기디스크(102) 및 표시 메모리(103)를 가진다. CPU(100)가 주메모리(101)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 함에 의해,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2)와의 통신, 표시장치(1)의 전체 제어 등의 각종 제어가 실행된다.
CPU(100)는, 주로 표시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주메모리(101)는, CPU(100)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CPU(100)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시의 작업 영역을 제공한다. 자기디스크(10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주변기기의 디바이스 드라이브, 후술하는 진단 지원 처리 등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을 격납한다. 표시 메모리(103)는, 모니터(104)를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모니터(104)는, 예를 들면 CRT모니터나 액정 모니터 등이며, 표시 메모리(103)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마우스(105) 및 키보드(106)는 유저(의사)에 의한 포인팅 입력 및 문자등의 입력을 각각 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공유 버스(107)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장치(1)는 LAN(Local Area Network)(3)을 통하여,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2)로서 기존의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1)에 외부기억장치, 예를 들면 FDD, HDD, CD드라이브, DVD드라이브, MO드라이브, ZIP드라이브 등을 접속하고, 그것들의 드라이브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기기 구성은, 일반적인 컴퓨터 및 그 주변 장치를 사용해서 실현할 수 있다. 도 5를 사용해서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순서는,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의료용 화상의 종류로서는, 단순 X선 화상, X선 CT 화상, MRI화상, PET화상, SPECT화상, 초음파화상등이 있다. 보통, 의료용 화상은, DICOM규격이라고 불리는 의료용 화상의 통신 및 보관에 관한 국제표준규격에 준거한 파일(DICOM파일)로서 보관된다. DICOM파일의 전반부(헤더부)에는, 촬영 정보, 환자의 속성정보,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등, 여러가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것들의 정보의 일부를 리스트 표시 항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DICOM파일의 생성과 보관을 지시하는 시스템인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방사선 정보시스템(RIS)으로부터, LAN(3)을 통하여, 촬영 정보, 환자의 속성정보,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에는, 리스트 표시 항목이 문자열로서 표시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리스트의 각 행에, 1회의 검사(촬영)로 얻어진 의료용 화상에 관한 리스트 표시 항목을 표시하고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리스트 표시 항목으로서, 판독 스테이터스, 촬영일, 검사ID, 시리즈수, 화상매수, 환자ID, 모달리티(modality), 촬영 부위 및 의뢰과를 표시하고 있다. 판독 스테이터스는, 화상진단의 진척 상황을 나타낸다. 시리즈수는, CT나 MRI의 1회의 촬영으로 취득되는 복수의 슬라이스 화상의 묶음의 수다. 화상매수는, 1회의 검사로 촬영된 전체 시리즈의 화상매수의 합계를 나타낸다. 모달리티는, 촬영 장치의 종류 및 조영제의 사용의 유무를 나타낸다. 다른 항목으로서, 환자의 성명이나, 화상진단 의사의 성명등의 정보를 표시해도 좋다.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220)에는, 인체 모식도인 도형H1과, 의료용 화상I1의 소정의 속성정보A1을 도시한 도형F1과, 환자의 크기나 촬영 범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눈금M1을 표시한다. 도형H1은, 인체를 그래픽적으로 표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도형 대신에 화상이나 기호를 사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형F1은, 의료용 화상I1의 소정의 속성정보A1을 그래픽적으로 표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도형 대신에 화상이나 기호를 사용해도 된다. 눈금M1은 필요에 따라 표시하면 좋다. 의료용 화상I1은,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 위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의료용 화상이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의료용 화상의 소정의 속성정보A1으로서 촬영 부위가 이용된다. 도형F1은, 의료용 화상I1의 촬영 부위를 적절하게 나타내는 위치에,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사각형으로서 표시된다. 도형F1은 도형H1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촬영 부위 대신에, 보다 정확한 촬영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형F1은 그 정확한 촬영 위치에, 정확한 사각형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흉부CT화상의 DICOM파일의 헤더부에는, 쇄골을 기준점(위치0mm)으로 하고 머리로부터 발을 향하는 방향을 +방향으로 하는 좌표축을 따라서의 정확한 촬영 범위가 mm단위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DICOM파일의 헤더부에서 판독해서 상기 속성정보A1로서 사용함으로써, 도형F1을 도형H1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신장을 DICOM파일의 헤더부에서 판독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형F1의 사이즈에 대하여 눈금M1의 사이즈(눈금의 노치(notch) 폭)을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눈금 M1의 사이즈를 고정해 두고, 도형F1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조정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2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렇지만, 의료용 화상 리스트는 도 2에 나타낸 예와 같으므로, 그 표시를 생략하고,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320)만을 표시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의료용 화상I1을 촬영한 모달리티가 침대를 갖는 촬영 장치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인체 모식도인 도형H1은, 촬영 장치의 침대를 도시한 도형D1에 대한, 의료용 화상I1 촬영시의 환자의 자세를 나타낸다. 환자의 자세는, 소정의 방법으로 미리 취득된다. 예를 들면,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2) 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방사선과 정보시스템(RIS)에, 환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들의 장치로부터, LAN(3)을 통하여, 환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는, 환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정보를 직접 입수할 수 없는 경우이여도, 모달리티와 촬영 부위를 알면, 환자가 엎드린 위치나 누운 위치에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모달리티가 CT 또는 PET일 경우에는, 통상, 환자의 자세는 누운 위치다. 예를 들면, 모달리티가 MRI이고 촬영 부위가 유방일 경우에는, 통상, 환자의 자세는 엎드린 위치다. 따라서, 환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정확한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 모달리티나 촬영 부위등의 다른 속성정보로부터, 일반적인 환자의 자세를 판단하면 좋다.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눈금M1을 표시해도 좋다.
도형G1은, 중력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환자는 침대 위에 누우므로, 중력방향은 환자로부터 침대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알고 있다. 의료용 화상I1의 속성정보A1로서의 촬영 부위를 도시한 도형F1은, 의료용 화상I1의 촬영 부위를 적절하게 나타내는 위치에,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사각형으로서 표시된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3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마찬가지로, 의료용 화상 리스트의 표시는 생략하고 있고,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420)만을 표시하고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다른 방향에서 촬영가능한 촬영 장치(예를 들면, 플랫 패널식의 X선 촬영 장치)에 의해 동일 환자의 의료용 화상I1 및 I2가 촬영되었을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인체 모식도인 도형H1은, 도형G1으로 도시된 중력방향에 대한, 의료용 화상I1 및 I2의 촬영시의 환자의 자세를 나타낸다. 의료용 화상I1 및 I2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촬영 방향 B1 및 B2에 대응하는 도형D1 및 D2는, 도형H1로 나타낸 환자에 대한 촬영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도록 표시된다. 환자에 대한 촬영 장치의 배치와 중력방향은, 소정의 방법으로 미리 취득해둔다. 예를 들면,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2) 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RIS에, 환자에 대한 촬영 장치의 배치나 중력방향을 나타내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들의 장치로부터, LAN(3)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눈금M1을 표시해도 좋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단계S501에서는, 의료용 화상 리스트의 리스트 표시 조건을 취득한다. 리스트 표시 조건이란, 도 2에 예시한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와 도형정보 표시 에어리어(220)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조건이다.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리스트 표시 조건을 변경 함에 의해,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에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 항목의 종류,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220)에 표시하는 도형F1의 종류, 표시 위치, 표시 사이즈등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S501에 있어서, 미리 자기디스크(102)에 기억해 둔 리스트 표시 조건을 주메모리(101)에 판독해 넣음으로써 리스트 표시 조건의 초기값을 취득한다. 단계S501에서는, 또한, 마우스(105)이나 키보드(106)로부터 유저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리스트 표시 조건을 변경하고, 변경후의 리스트 표시 조건을 주메모리(101)에 기억한다.
단계S502에서는, 상기 리스트 표시 조건에 따라, LAN(3)을 통하여, 의료용 화상 리스트 표시에 필요한 정보(리스트 표시 항목)를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2)로부터 판독한다. 단계S503에서는, 단계S502에서 판독한 정보를 표형식으로 편집하고나서, 표시 메모리(103)에 기록함으로써, 의료용 화상 리스트를 모니터(104)에 표시한다. 단계S504에서는, 마우스(105)나 키보드(106)로부터 입력되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 의료용 화상 리스트중에서 하나의 의료용 화상I1을 선택한다.
단계S505에서는, 의료용 화상I1의 속성정보A1을 취득한다. 속성정보A1이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그 리스트(210)로부터 속성정보A1을 판독하면 좋다. 한편, 속성정보A1이,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에 기재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502에 있어서, 리스트 표시 항목과 동시에 비표시의 속성정보A1도 판독해둔다.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에 비표시의 속성정보A1을 더하여 얻어진 제2(비표시의)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를 미리 주메모리(101)에 작성해둔다. 이에 따라, 주메모리(101)의 제2(비표시의)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로부터 속성정보A1을 판독할 수 있다.
단계S506에서는, 속성정보A1에 정확한 사이즈 정보(정확한 촬영 범위 및 환자의 신장)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속성정보A1에 정확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S507과 S508을 실행한다.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509를 실행한다.
단계S507에서는, 속성정보A1에 포함된 정확한 사이즈 정보에 따라, 인체 모식도(도 2의 예에서는 도형H1)의 사이즈와 눈금M1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단계S508에서는, 미리 자기디스크(102)에 기억해 둔 인체 모식도와 눈금M1을 판독하고, 표시 메모리(103)의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에 기록함으로써, 인체 모식도와 눈금M1을 모니터(104)에 표시한다. 도 3에 예시한 표시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S510에 있어서, 도형F1의 종류와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인체 모식도의 종류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 참조하는 속성정보는, 침대에 대한 환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인체 모식도의 종류에는, 누운 위치, 엎드린 위치, 모로 누운 위치 등이 있다.
단계S509에서는, 미리 자기디스크(102)에 기억해 둔 인체 모식도(도 2의 예에서는 도형H1)를 판독하고, 표시 메모리(103)의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에 기록함으로써, 그 인체 모식도를 모니터(104)에 표시한다. 도 3에 예시한 표시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S510에 있어서, 도형F1의 종류와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인체 모식도의 종류를 결정한다.
단계S510에서는, 속성정보A1을 도시한 도형F1의 종류와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도형F1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여러가지 표시 속성(색, 선폭, 패턴등)을 구비한 프레임 선 또는 마스크 도형(투과색을 갖는 사각형등)이 있다. 도 2 및 도 3의 예에서는, 메시(mesh) 패턴을 갖는 마스크 도형이 이용되고 있다. 도형F1의 표시 위치는, 의료용 화상I1의 촬영 부위에 대응한 인체 모식도상의 적절한 위치에 결정한다. 인체 모식도(도형H1)는,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내의 소정의 위치(좌표)에 표시하므로, 도형F1도, 의료용 화상I1의 촬영 부위에 따라 소정의 위치(좌표)에 표시하면 좋다. 상기의 도형F1의 종류와 표시 위치는, 미리 정해져, 자기디스크(102)에 보존되어 있다. 상기 단계S501에 있어서, 그것들은, 리스트 표시 조건의 취득시에 주메모리(101)에 판독된다.
단계S511에서는, 상기 단계S510에서 결정된 도형F1을 인체 모식도 위에 중첩 표시한다. 단계S511에서는, 도형F1 혹은 F1과 닮은 표시 효과(배경색, 프레임 선의 색등)를,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상의 의료용 화상I1의 표시 에어리어(리스트의 1행)에 묘화한다. 이에 따라, 의료용 화상 리스트(210)상의 의료용 화상I1의 표시 에어리어가 분명해짐과 아울러, 유저는 인체 모식도상의 도형F1에 의해, 의료용 화상I1의 속성정보A1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제어순서에 의해, 선택된 의료용 화상I1의 속성정보A1을 도시한 도형F1을 인체 모식도상의 적절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환자ID를 갖는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도시한 도형을 인체 모식도상의 적절한 위치에 동시에 표시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 예는 도 1과 같고, 이미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2와 같은 점이 많으므로, 도 2와 같은 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도 2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의료용 화상 리스트(610)에는, 같은 환자ID를 갖는 의료용 화상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리스트 표시 조건으로서, 특정한 환자ID와 촬영일의 범위(예를 들면, 과거 1년이내)를 지정함으로써, 도 6에 예시한 의료용 화상 리스트(610)를 얻을 수 있다.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620)에는, 인체 모식도인 도형H1과, 같은 환자ID를 갖는 의료용 화상I1∼In의 소정의 속성정보A1∼An을 도시한 도형F1∼Fn을 표시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n=4이다. 도형F1∼Fn은, 의료용 화상I1∼In의 소정의 속성정보A1∼An을 그래픽적으로 표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도형 대신에 화상이나 기호를 사용해도 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의료용 화상의 소정의 속성정보A1∼An으로서 촬영 부위가 이용된다. 도형F1∼F4는, 의료용 화상I1∼I4의 촬영 부위를 적절하게 나타내는 위치에,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사각형으로서 각각 표시된다. 제1실시예에서 서술한 대로, 촬영 부위 대신에 보다 정확한 촬영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정보를 사용하여, 도형F1∼F4을 도형H1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단계S701에서는, 의료용 화상 리스트의 리스트 표시 조건을 취득한다. 유저가 리스트 표시 조건으로서, 특정한 환자ID와 촬영일의 범위(예를 들면, 과거 1년이내)를 지정함으로써, 도 6에 예시한 의료용 화상 리스트(610)를 얻을 수 있다.
단계S702에서는, 상기 리스트 표시 조건에 따라, LAN(3)을 통하여, 의료용 화상 리스트 표시에 필요한 정보(리스트 표시 항목)를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2)로부터 판독한다. 단계S703에서는, 단계S702에서 판독한 정보를 표형식으로 편집하고나서, 표시 메모리(103)에 기록함으로써, 의료용 화상 리스트를 모니터(104)에 표시한다. 단계S704에서는, 미리 자기디스크(102)에 기억해 둔 인체 모식도(도 6의 예에서는 도형H1)를 판독하고, 표시 메모리(103)의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에 기록함으로써, 인체 모식도를 모니터(104)에 표시한다.
단계S705에서는, 인덱스k에 값 1을 대입한다. 인덱스k는, 의료용 화상 리스트(610)에 표시된 의료용 화상I1∼In중 하나의 의료용 화상Ik(k=1∼n)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의료용 화상Ik의 속성정보를 Ak로 하고, 그 속성정보Ak를 도시한 도형을 Fk로 한다고 가정한다. 단계S706에서는, 의료용 화상Ik의 속성정보Ak를 취득한다.
단계S707에서는, 속성정보Ak를 도시한 도형Fk의 종류와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도형Fk는, 다른 도형Fk'(k'≠k)와는 다른 종류의 표시 속성(색, 선폭, 패턴등)을 구비한 도형이라고 가정한다. 도형Fk의 표시 위치는, 의료용 화상Ik의 촬영 부위에 대응한 인체 모식도상의 적절한 위치에 결정한다. 인체 모식도(도형H1)는, 도형 정보 표시 에어리어내의 소정의 위치(좌표)에 표시하므로, 도형Fk도, 의료용 화상Ik의 촬영 부위에 따라 소정의 위치(좌표)에 표시하면 좋다.
단계S708에서는, 상기 단계S707에서 결정된 도형Fk를 인체 모식도 위에 중첩 표시한다. 단계S708에서는, 도형Fk 혹은 Fk와 닮은 표시 효과(배경색, 프레임 선의 색등)를, 의료용 화상 리스트(610)상의 의료용 화상Ik의 표시 에어리어(리스트의 1행)에 묘화한다. 이에 따라, 의료용 화상 리스트(610)상의 의료용 화상Ik의 표시 에어리어가 분명해짐과 아울러, 유저는 인체 모식도상의 도형Fk에 의해, 의료용 화상Ik의 속성정보Ak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
단계S709에서는, 상기 인덱스k에 값 "1"을 가산한다. 단계S710에서는, 상기 인덱스k의 값이, 의료용 화상 리스트(610)에 표시된 같은 환자ID를 갖는 의료용 화상 수(n)의 값보다 큰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k가 n이하이면, 단계S706의 처리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k가 n보다 크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의 제어순서에 의해, 같은 환자ID를 갖는 복수의 의료용 화상I1∼In의 속성정보A1∼An을 도시한 도형F1∼Fn을 인체 모식도상의 적절한 위치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변형 예]
도 7의 단계S708에 있어서, 도형Fk를 표시할 때에, 이전에 묘화한 도형F(k-1)을 소거하고나서, 도형Fk를 묘화하는 표시 제어를 행함으로써, 도형F1∼Fn을 인체 모식도 위에 순차로 교체하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705로부터 단계S710까지의 처리를, 유저 지시가 있을 때까지 반복 실행 함에 의해, 도형F1∼Fn의 순차적 표시를 여러 번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도시한 도형을 인체 모식도에 적절한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환자의 정확한 촬영 부위와 환자의 촬영시의 자세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같은 환자ID를 갖는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도시한 도형을 인체 모식도에 적절한 위치에 동시에 또는 순차로 표시함으로써, 동일 환자의 복수의 의료용 화상의 속성정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는,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등)는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그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1 : 표시장치 10 : 제어부
100 : 중앙처리장치(CPU) 101 : 주메모리
102 : 자기디스크 103 : 표시 메모리
104 : 모니터 105 : 마우스
106 : 키보드 2: 의료용 화상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복수의 의료용 화상 각각의 속성정보를 리스트로서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부;
    상기 표시된 복수의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하나의 속성정보를 제1속성정보로서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제1속성정보와 관련된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1모형을,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도형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형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속성정보 중 상기 제1속성정보와는 다른 제2속성정보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새롭게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제2속성정보와 관련된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2도형을,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제2도형은 제1도형과 다른 표시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표시부는, 상기 제1도형과 상기 제2도형을 동시 또는 순차 표시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의료용 화상의 촬영일, 촬영부위, 환자 ID, 및 촬영에 사용한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형은 상기 제1도형과는 적어도 색, 선폭, 및 모양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료용 화상과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은 동일 환자의 의료용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헤더에 포함되고,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 제3항, 제5항, 제7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화상은 X선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복수의 의료용 화상 각각의 속성정보를 리스트로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수의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하나의 속성정보를 제1속성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속성정보와 관련된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1모형을,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속성정보 중 상기 제1속성정보와는 다른 제2속성정보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새롭게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제2속성정보와 관련된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2도형을,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제2도형은 제1도형과 다른 표시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방법.
  11. 복수의 의료용 화상 각각의 속성정보를 리스트로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수의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하나의 속성정보를 제1속성정보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속성정보와 관련된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1모형을, 상기 제1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속성정보 중 상기 제1속성정보와는 다른 제2속성정보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새롭게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제2속성정보와 관련된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를 나타내는 제2도형을, 상기 제2의료용 화상의 촬상범위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인체 모식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제2도형은 제1도형과 다른 표시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30136797A 2010-08-31 2013-11-12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KR101495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3751 2010-08-31
JP2010193751 2010-08-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923A Division KR101471866B1 (ko) 2010-08-31 2011-08-25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45A KR20140003345A (ko) 2014-01-09
KR101495102B1 true KR101495102B1 (ko) 2015-02-25

Family

ID=448386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923A KR101471866B1 (ko) 2010-08-31 2011-08-25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KR1020130136797A KR101495102B1 (ko) 2010-08-31 2013-11-12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923A KR101471866B1 (ko) 2010-08-31 2011-08-25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7008B2 (ko)
JP (2) JP2012071122A (ko)
KR (2) KR101471866B1 (ko)
CN (1) CN102415896B (ko)
DE (1) DE102011081813B4 (ko)
GB (1) GB24833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2570B2 (ja) * 2011-12-27 2016-08-17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医用画像保管システム
JP6004875B2 (ja) * 2012-10-02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47621A (ja) * 2013-02-04 2014-08-21 Konica Minolta Inc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管理装置
CN105578983B (zh) * 2013-09-24 2021-01-2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计算外科手术介入规划的方法
JP6026982B2 (ja) * 2013-09-30 2016-11-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並びに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490985B2 (ja) * 2014-03-11 2019-03-27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システム
JP6385210B2 (ja) 2014-09-05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診断支援装置およ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746775B2 (ja) * 2017-03-31 2020-08-2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端末装置、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7039179B2 (ja) 2017-04-13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49535B2 (ja) * 2017-04-13 2021-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67861B (zh) * 2018-10-25 2022-06-07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超声成像方法及相关设备
US11871998B2 (en) 2019-12-06 2024-01-16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Gravity based patient image orientation detection
JP7462138B2 (ja) 2020-03-24 2024-04-05 株式会社クライム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 読影システム及び読影システム用の携帯型記憶媒体
JP2023032238A (ja) * 2021-08-26 2023-03-09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969A (ja) * 2003-09-10 2005-03-3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選択支援システム、選択支援方法
JP2005319179A (ja) * 2004-05-11 2005-11-17 Morita Mfg Co Ltd 医療用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907A (ja) * 1992-12-10 1994-06-21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US7965907B2 (en) 2002-11-21 2011-06-21 Canon Kabushiki Kaisha Medical image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4200811B2 (ja) * 2003-05-16 2008-12-2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放射線治療計画装置
CN1754508A (zh) 2004-09-30 2006-04-05 西门子(中国)有限公司 一种计算机断层成像检查流程的用户界面的操作方法
EP1872721A4 (en) 2005-04-07 2010-04-28 Nemoto Kyorindo Co Ltd IMAGE DISPLAY DEVICE
US7603155B2 (en) 2005-05-24 2009-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of acquiring images with a medical imaging device
JP2007087271A (ja) * 2005-09-26 2007-04-05 Fujifilm Corp 読影レポート作成装置
DE102005062582B4 (de) 2005-12-27 2017-08-03 Siemens Healthcare Gmbh Abbilduingssystem und Verfahren zur Anfertigung von Röntgen- und optischen Bildern
EP1825811B1 (en) 2006-02-27 2015-08-2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isplay apparatus and x-ray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JP2007233841A (ja) 2006-03-02 2007-09-13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診断システム
WO2007099735A1 (ja) 2006-03-02 2007-09-07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医用画像システム
JP4959996B2 (ja) * 2006-03-23 2012-06-27 株式会社東芝 読影レポート表示装置
JP2008039956A (ja) * 2006-08-03 2008-02-21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5159150B2 (ja) 2007-04-19 2013-03-06 株式会社東芝 画像リスト表示装置、画像リスト表示方法、及び画像リスト表示プログラム
JP2010005032A (ja) * 2008-06-25 2010-01-14 Hitachi Medical Corp X線撮影装置
JP5315524B2 (ja) * 2008-08-05 2013-10-16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10057684A (ja) 2008-09-03 2010-03-18 Fujifilm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並びに医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274180B2 (ja) * 2008-09-25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0082027A (ja) * 2008-09-30 2010-04-15 Fujifilm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記録媒体、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EP2353147B1 (en) * 2008-11-28 2021-05-19 Fujifilm Medical System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on of spine labeling
JP2010193751A (ja) 2009-02-24 2010-09-09 Iseki & Co Ltd 多条刈り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969A (ja) * 2003-09-10 2005-03-3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選択支援システム、選択支援方法
JP2005319179A (ja) * 2004-05-11 2005-11-17 Morita Mfg Co Ltd 医療用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81813A1 (de) 2012-03-01
GB201114681D0 (en) 2011-10-12
KR20120021211A (ko) 2012-03-08
JP6058181B2 (ja) 2017-01-11
GB2483350A (en) 2012-03-07
CN102415896B (zh) 2014-08-20
JP2016093546A (ja) 2016-05-26
US9117008B2 (en) 2015-08-25
KR20140003345A (ko) 2014-01-09
CN102415896A (zh) 2012-04-18
DE102011081813B4 (de) 2019-11-07
KR101471866B1 (ko) 2014-12-11
JP2012071122A (ja) 2012-04-12
US20120050330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02B1 (ko) 표시장치 및 표시 방법
US10127662B1 (en)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automated generation of matching 2D series of medical images and efficient annotation of matching 2D medical images
US1022295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thumbnail images
US8189888B2 (en) Medical report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7639879B2 (en)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system and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WO2011122402A1 (ja) 検査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US20100274776A1 (en) Data search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data search system
US9940715B2 (en) Diagnosis support apparatus, method for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7260061A (ja) 医用画像情報処理装置、医用画像保管システムおよび医用画像確認作業支援プログラム
JP5675177B2 (ja) 医用画像観察装置
JP2007260064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6445435A (zh) 医用图像显示装置、系统和方法
US10324582B2 (en) Medical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181482A (ja) 医用画像データ保管装置及び保管方法
JP6422347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41136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19259B2 (ja) 医用レポート作成支援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74285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48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0658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with deep learning models
JP6362930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
JP6242599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
JP2016075977A (ja) 読影研修用教材の作成方法
JP2015167637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