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62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629B1
KR101493629B1 KR1020137015908A KR20137015908A KR101493629B1 KR 101493629 B1 KR101493629 B1 KR 101493629B1 KR 1020137015908 A KR1020137015908 A KR 1020137015908A KR 20137015908 A KR20137015908 A KR 20137015908A KR 101493629 B1 KR101493629 B1 KR 10149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housing
rod
housings
connector hous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842A (ko
Inventor
히로시 아오키
오사무 오시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부품의 증가나 조립공정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 없이, 커넥터 하우징들 간을 레버식 커넥터와 동등 또는 그 보다 낮은 삽입력으로 결합 및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에도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은 돌기부(14)와 봉 지지구멍(15)을 포함하며,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될 경우에 돌기부(14)는 그 선부가 후단부(20b) 보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측으로 더 돌출하고, 봉 지지구멍(15)은 돌기부(14)의 선단부(14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별도 부재로서의 봉형상부재가 상기 봉 지지구멍 내에 삽입가능하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은 융기부(23)와 경사면(24)을 포함하며, 융기부(23)는 돌기부(14)의 선단부(14a)와 대향하고, 경사면(24)은 선단부가 봉 지지구멍(15)에 삽입된 봉형상부재의 중간부의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봉 지지구멍(15)에 삽입된 봉형상부재를 봉 지지구멍으로부터 경사면(24)으로 가압하여 커넥터 하우징(10, 20)들을 결합 및 접속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들을 낮은 삽입력으로 상호 결합 및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커넥터 하우징들을 낮은 삽입력으로 상호 결합 및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의 종래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한 커넥터(100)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100)는 소위 레버식 커넥터로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 및 레버(130)를 포함하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은 그 전방단부 측에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이 (끼움)결합 되는 후드부(111)를 가지고 있고,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은 후드부(111)에 암수형 (끼움)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레버(130)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에 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130)는 그 길이방향(도 14의 화살표 X1 방향)의 중간부가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된 선회축(pivoting shaft)(121)에 결합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에 선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4에 도시한 화살표 R1은 선회축(121)을 회전 피벗으로 하는 레버(13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30)의 일단부(131)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 측으로 하강하는 경사진 상태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과의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레버(130)의 일단부(131)에는 돌기부가 설치되며, 이 돌기부는 레버(130)의 타단부(132)가 하향 가압되어 선회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 측에 설치된 요부(미도시)와 결합한다. 또한, 레버(130)의 타단부(132)에는 하우징 가압부가 설치되며, 이 하우징 가압부는 타단부를 하향 가압할 때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을 가압 하향 방향으로 하향 가압한다.
상기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을 결합 개시 위치에 위치 결정한 후 레버(130)의 타단부(132)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을 향해 하향 가압할 경우, 일 단부(131)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10)에 결합시킨 레버(130)가 레버 부재로서 기능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120)에 큰 가압력을 작용시키며, 그 결과 낮은 삽입력으로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호 결합 및 접속시킬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2-359028 A호
그러나, 커넥터 하우징들을 결합하고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130)를 가진 커넥터(100)는 레버(130)로 인해 구성부품의 수와 조립공정의 수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레버 부재로서 레버(130)를 사용할 경우, 레버(130)에 입력되는 삽입력(하향 가압력)의 크기는 레버 비(leverage ratio)에 의해 결정된다. 이 삽입력을 작게하기 위해 레버(130)의 길이 치수를 증가시켜 레버 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레버(130)의 길이 치수를 증가시켜 삽입력을 감소시키면, 커넥터의 치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성부품 수의 증가 또는 조립공정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들을 레버식 커넥터와 동등하거나 그 보다 낮은 삽입력으로 상호 결합 및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에도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다음 구성을 통해 달성된다.
(1)상호 간 결합 및 접속되는 한 쌍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한 쌍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어느 일 커넥터 하우징은 돌기부와 봉 지지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한 쌍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나머지 타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는 그 선단부가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 보다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봉 지지구멍은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별도 부재로서의 봉형상부재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 지지구멍 내에 삽입가능하고;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은 융기부와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될 경우에 상기 융기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 지지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로부터 융기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봉 지지구멍에 삽입된 상기 봉형상부재의 선단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융기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봉형상부재에 작용하고 있는 축방향 하중이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에 가압하는 방향의 하중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기 결합방향에서 위치 결정한 이후, 상기 봉 형상 부재를 상기 봉 지지구멍으로부터 상기 경사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을 결합 및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실질적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돌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상기 구성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융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형상부재의 선단부를 삽입(결합)할 수 있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결합 및 접속 상태에서 상기 요부와 대향하는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의 위치에는 상기 선단부를 상기 요부에 삽입한 상기 봉형상부재의 중간부 외측면이 접촉할 수 있는 분리용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결합 및 접속 상태에서, 상기 요부에 선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분리용 접촉면에 중간부 외측면이 접촉된 상기 봉형상부재의 기단측을 하향 가압할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상기 구성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봉 지지구멍, 상기 경사면 각각이 상기 봉형상부재로서 범용 공구인 드라이버를 사용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상기 구성 (3)에 있어서, 상기 봉 지지구멍, 상기 경사면, 상기 요부, 상기 분리용 접촉면 각각이 상기 봉형상부재로서 범용 공구인 드라이버를 사용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들이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 이후 봉 지지구멍으로부터 경사면으로 봉형상부재를 삽입할 경우, 봉형상부재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경사면에는 봉형상부재에 작용하는 축방향의 하중으로부터 변환된 가압방향의 하중이 부여된다. 또한, 동시에, 반작용으로서, 돌기부에는 그 상승방향의 하중이 작용한다. 이들 경사면 및 돌기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호 결합 및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봉형상부재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설정하여 봉형상부재의 삽입 조작력을 낮출 수 있고, 레버식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 및 접속할 때의 조작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봉형상부재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커넥터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이며, 별도의 공구로서 취급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전에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레버와는 달리, 조립공정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봉 형상부재는 각각의 커넥터 하우징과는 별도의 공구 등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봉형상부재가 조작이 용이한 길이 또는 크기를 가져도 커넥터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 들을 레버식 커넥터와 동등 또는 그 보다 낮은 삽입력으로 결합 및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잇다.
상기 (2)의 구성에 따르면, 돌기부가 타 커넥터 하우징의 실질적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기 때문에, 봉 형상부재를 돌기부의 봉 지지구멍으로부터 경사면에 삽입하는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 및 접속 과정 중에, 봉형상부재로부터 돌기부를 통해서 일 커넥터 하우징에 작용하는 결합방향의 하중은 돌기부의 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일 커넥터 하우징의 실질적 중앙에 작용한다.
그 결과, 일 커넥터 하우징에 경사 또는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을 원활화할 수 있다.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 및 접속이 완료한 상태에서 요부에 선단부를 삽입하는 한편 분리용 접촉면에 중간부 외측면을 접촉한 봉형상부재는 그 기단부 측을 하향 가압할 경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을 해제하는 레버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레버식 커넥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분리시의 조작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상기 (4) 또는 (5)의 구성에 따르면, 봉형상부재로서 범용 공구인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고, 전용의 봉형상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커넥터의 구성부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도(선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호 결합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한 후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돌기부의 봉 지지구멍에 드라이버 축부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다시 드라이버 축부의 선단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상의 경사면 위에 더욱 가압되어 커넥터 하우징들이 상호 결합 및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결합 및 접속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호 결합 및 접속된 상태에서 하우징들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낮은 삽입력 커넥터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0)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하고,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의 선단부에는 대략 직각형 통형상의 후드부(11)가 설치되고 이 후드부(11)에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되며, 피메일 하우징(20)은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에 암수 결합식으로 결합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은 선단부(20a)를 후드부(11) 내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에 결합 및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을 이루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0)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 중 한 커넥터 하우징에 상당하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단자 수용부(12), 돌기부(14), 봉 지지구멍(15), 및 분리용 접촉면(16)을 포함한다.
메일 단자 수용부(12)는 메일 단자 피팅(fitting)(미도시)을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구멍을 정렬 배치한 구성으로서, 복수의 메일 단자 피팅을 수용 및 유지한다. 메일 단자 수용부(12)는 후드부(11)와는 반대측이 되는 후단부측[후드부(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4)는 대략 각기둥형으로서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의 결합방향을 따라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4)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의 메일 단자 수용부(12)의 대략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드부(11)에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선단부(20a)가 삽입되어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과의 결합 개시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경우에, 돌기부(14)의 선단부(14a)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부(20b) 보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측[도 8에는 화살표 Y2 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돌기부(14)의 돌출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지지구멍(15)은 돌기부(14)의 선단부(14a)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과는 별도부재로된 봉형상부재인 드라이버(30)(도 8 참조)의 축부(31)를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상호 결합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 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봉 지지구멍(15)의 구멍 직경은 드라이버(30)의 축부(31)를 저항없이 제거 또는 삽입할 수 있도록 축부(31)의 외경 보다도 다소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용 접촉면(16)은 돌기부(14)의 봉 지지구멍(15)과 대향하는 후드부(1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용 접촉면(16)의 설치 위치는 후술하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요부(25)와 대향하는 위치이다. 이 분리용 접촉면(16)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접속 상태에 있어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요부(25)에 선단부를 삽입한 드라이버(30)의 축부(31)의 중간부 외측면과 접촉 가능한 면이다. 분리용 접촉면(16)은 축부(31)가 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이탈하기 어렵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중에서 타 커넥터 하우징인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은 피메일 단자 수용부(21)와, 돌기 삽입구멍(22)과, 융기부(23)와, 경사면(24)과, 요부(25)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메일 단자 수용부(21)는 피메일 단자 피팅을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구멍(21a)을 정렬 배열한 구성이고, 복수의 메일 단자 피팅을 수용, 유지한다.
돌기 삽입구멍(22)은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의 돌기부(14)를 삽입하는 구멍으로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에 있어서의 돌기부(14)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면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10)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을 결합 개시 위치에 위치 결정할 경우,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의 돌기부(14)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돌기 삽입구멍(22)을 관통하고, 돌기부(14)의 선단부(14a)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부측으로 돌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23)는 돌기 삽입구멍(22)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융기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융기부(2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을 메일 커넥터 하우징(10)과의 결합 개시 위치에 위치 결정한 경우에, 봉 지지구멍(15)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융기부(2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또한 봉 지지구멍(15)에 대향하는 방향(도 8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부로부터 융기되어 있다.
경사면(24)은 봉 지지구멍(15)에 삽입된 드라이버(30)의 축부(31)와 접촉하도록 융기부(23)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24)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으로 가압되는 방향의 하중으로 드라이버(30)의 축부(31)에 작용하고 있는 축방향 하중이 변환하도록 돌기부(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24)은 축부(31)가 그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벗어나기 어려운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부(25)는 드라이버(30)의 축부(31)의 선단부를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간의 결합방향과 교차(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결합) 가능하게 하는 오목한 부분이다. 이 요부(25)는 봉 지지구멍(15)과 마주하지 않는 융기부(23)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분리용 접촉면(16)과 대향한다. 또한, 요부(25)는 경사면(24) 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메일 커넥터 하우징(10)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을 결합 및 접속하는 방법, 및 상호 결합 및 접속된 메일 커넥터 하우징(10)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 및 접속 방법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10)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을 결합 개시 위치에 위치 결정한 후에, 봉 지지구멍(15)으로부터 경사면(24) 상에 드라이버(30)의 축부(31)를 가압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지지구멍(15)을 통과하여 연장된 축부(31)가 융기부(23) 상의 경사면(24) 위에 걸쳐질 경우, 축부(13)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경사면(24)에는 경사면(24)을 가압하는 방향의 하중(F1)이 부여되며, 이 하중(F1)은 드라이버(30)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으로부터 변환된 것이다. 또한, 동시에, 반작용으로서, 돌기부(14)에는 상승방향의 하중(F2)이 작용한다. 이들 경사면(24) 및 돌기부(14)에 작용하는 하중(F1, F2)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상호 간을 결합 및 접속할 수가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31)의 선단부가 경사면(24)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간의 결합 및 접속이 완료된다. 도 11은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간의 결합 및 접속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 따르면,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을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한 후, 봉 지지구멍(15)으로부터 경사면(24) 위로 드라이버(30)의 축부(31)를 가압하여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간을 결합 및 접속한다.
다음에,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을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도 12 및 도 13을 기초로 설명한다.
이 경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상호 간을 결합 및 접속한 상태에서, 드라이버(30)의 축부(31)의 선단부를 요부(25)에 삽입하는 한편, 축부(31)의 중간부 외측면을 분리용 접촉면(16)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도 12에 화살표 Z2로 표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30)의 기단측을 하향 가압한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30)를 하향 가압하는 것에 의해 분리용 접촉면(16)에는 화살표Y4로 표시한 하향 가압 하중이 작용하는 한편, 융기부(23)에는 화살표Y5로 표시한 상향 상승 하중이 작용하고,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이 분리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 따르면,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을 결합 및 접속한 상태로 요부(25)에 선단부를 삽입하는 한편, 분리용 접촉면(16)에 중간부 외측면을 접촉한 드라이버(30)의 기단측을 하향 가압하여,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 있어서는,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을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한 후, 봉 지지구멍(15)으로부터 경사면(24) 상에 드라이버(30)의 축부(31)를 가압할 경우, 드라이버(30)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이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의 결합방향의 하중으로 변환되어 돌기부(14) 및 융기부(23)에 작용하고,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을 결합 및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30)의 축부(31)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경사면(24)의 경사를 완만하게 설정하고, 드라이버(30)의 삽입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레버식 커넥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상호 간의 결합 및 접속시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30)는 커넥터(1)를 구성하는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각각과는 별도 부재이고, 별도의 공구로서 취급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전에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레버와는 달리 조립공정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드라이버(30)는 각각의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과는 별도의 공구 등으로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30)가 조작이 쉬운 길이 및 크기를 가지고 있어도 커넥터(1)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커넥터(1)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을 레버식 커넥터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낮은 삽입력으로 결합 및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 있어서는, 돌기부(14)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의 대략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30)의 축부(31)를 돌기부(14)의 봉 지지구멍(15)으로부터 경사면(24)에 삽입하는 결합 및 접속 조작 중에, 축부(31)로부터 돌기부(14)를 통해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에 작용하는 결합 방향의 하중은 돌기부(14)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의 실질적 중앙에 작용한다.
그 결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에 경사 또는 비틀림이 발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상호 간의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 있어서는,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간의 결합 및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요부(25)에 선단부를 삽입하는 한편 분리용 접촉면(16)에 중간부 외측면을 접촉한 드라이버(30)는 그 기단측을 하향 가압할 경우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간의 결합을 해제하는 레버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결과, 레버식 커넥터와 같이, 메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0, 20) 간을 분리할 때의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 있어서는, 봉형상부재로서 범용 공구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전용의 봉형상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커넥터(1)의 구성부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1)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에 돌기부(14)를 장착하고,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에 융기부(23)를 장착하였지만, 반대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0)에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을 관통하는 돌기부(14)를 장착하고, 메일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단부측에 융기부(23)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봉형상부재로서 범용 공구의 드라이버(30)를 사용하였지만, 드라이버(30)의 축부(31)에 상당하는 전용의 봉형상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한 돌기부(14)나 융기부(23), 분리용 접촉면(16) 등의 형상, 치수, 배치 부위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2010. 12. 21. 자 일본특허출원(제10-285091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구성부품의 증가나 조립공정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도 커넥터 하우징 상호 간을 레베식 커넥터와 동등 또는 그 보다 낮은 삽입력으로 결합 및 접속할 수 있고,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1. 커넥터
10. 메일 커넥터 하우징(일측 커넥터 하우징)
14. 돌기부
14a. 선단부
15. 봉 지지구멍
16. 분리용 접촉면
20.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타측 커넥터 하우징)
20b. 후단부
22. 돌기 삽입구멍
23. 융기부
24. 경사면
25. 요부
30. 드라이버
31. 축부(봉형상부재)

Claims (5)

  1. 상호 간 결합 및 접속되는 한 쌍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한 쌍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어느 일 커넥터 하우징은 돌기부와 봉 지지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한 쌍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나머지 타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될 경우에 상기 돌기부는 그 선단부가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 보다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봉 지지구멍은 상기 돌기부의 선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별도 부재로서의 봉형상부재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 지지구멍 내에 삽입가능하고;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은 융기부와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 개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될 경우에 상기 융기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 지지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로부터 융기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봉 지지구멍에 삽입된 상기 봉형상부재의 선단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융기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봉형상부재에 작용하고 있는 축방향 하중이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에 가압하는 방향의 하중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기 결합방향에서 위치 결정한 이후, 상기 봉 형상 부재를 상기 봉 지지구멍으로부터 상기 경사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을 결합 및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실질적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돌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타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마주하지 않는 상기 융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형상부재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결합 및 접속 상태에서 상기 요부와 대향하는 상기 일 커넥터 하우징의 위치에는 상기 선단부를 상기 요부에 삽입한 상기 봉형상부재의 중간부 외측면이 접촉할 수 있는 분리용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의 결합 및 접속 상태에서, 상기 요부에 선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분리용 접촉면에 중간부 외측면이 접촉된 상기 봉형상부재의 기단측을 하향 가압할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 지지구멍, 상기 경사면 각각이 상기 봉형상부재로서 범용 공구인 드라이버를 사용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 지지구멍, 상기 경사면, 상기 요부, 상기 분리용 접촉면 각각이 상기 봉형상부재로서 범용 공구인 드라이버를 사용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15908A 2010-12-21 2011-12-21 커넥터 KR101493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5091 2010-12-21
JP2010285091A JP5631192B2 (ja) 2010-12-21 2010-12-21 コネクタ
PCT/JP2011/079652 WO2012086691A1 (ja) 2010-12-21 2011-12-2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842A KR20130094842A (ko) 2013-08-26
KR101493629B1 true KR101493629B1 (ko) 2015-02-13

Family

ID=4631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908A KR101493629B1 (ko) 2010-12-21 2011-12-21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00003B2 (ko)
JP (1) JP5631192B2 (ko)
KR (1) KR101493629B1 (ko)
CN (1) CN103270653B (ko)
DE (1) DE112011104475T5 (ko)
WO (1) WO2012086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9309B2 (ja) * 2011-03-01 2015-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治具および低挿入力コネクタ
EP3007283B8 (en) * 2014-10-07 2019-02-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mateable with a complementary mating connector
JP7270503B2 (ja) 2019-08-23 2023-05-10 株式会社Lixil 建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394A (ja) * 1996-10-16 1998-05-15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2117932A (ja) 2000-10-11 2002-04-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317867A (ja) 2002-04-26 2003-11-07 Yazaki Corp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7357B2 (ja) * 1990-09-28 1997-07-02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ダブルロック型電気コネクタ
JP2602717Y2 (ja) * 1993-08-24 2000-01-24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ダブルロック型コネクタ
JP3237580B2 (ja) * 1997-08-18 2001-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38669B2 (ja) * 2001-05-31 2007-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6855558B1 (en) * 2003-09-24 2005-02-15 Hitachi Cable, Ltd. Package with locking mechanism
JP5521399B2 (ja) 2009-06-12 2014-06-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報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394A (ja) * 1996-10-16 1998-05-15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2117932A (ja) 2000-10-11 2002-04-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317867A (ja) 2002-04-26 2003-11-07 Yazaki Corp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4009A (ja) 2012-07-12
CN103270653A (zh) 2013-08-28
US20130267107A1 (en) 2013-10-10
KR20130094842A (ko) 2013-08-26
DE112011104475T5 (de) 2013-10-17
JP5631192B2 (ja) 2014-11-26
WO2012086691A1 (ja) 2012-06-28
US8900003B2 (en) 2014-12-02
CN103270653B (zh)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7729B1 (en) Wire-to-board connector
JP4440160B2 (ja) コネクタ
JP4207952B2 (ja) コネクタ
US20050032440A1 (en) Female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assembling such terminal fitting
KR20070068287A (ko) 단자 피팅
JP4493590B2 (ja) コネクタ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EP0668639A1 (en) Bulb socket
JP500582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5069963A (ja) 端子台
JP2018107079A (ja) 端子台
KR101493629B1 (ko) 커넥터
JP2008034217A (ja) 接続装置
JP2011086495A (ja) コネクタ
CN110679041A (zh) 大电流用端子及连接器
JP2006134681A (ja) 雌端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KR101414363B1 (ko) 커넥터
JP4314106B2 (ja) メス端子
JP2020004539A (ja) 端子金具
JP6782735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とハウジングとの係合構造
KR200405284Y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CN211456044U (zh) 一体式插孔部件及采用该插孔部件的插座、断路器
JP2001135398A (ja) コンタクト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JP3460054B2 (ja) 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