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413B1 -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413B1
KR101493413B1 KR20120069338A KR20120069338A KR101493413B1 KR 101493413 B1 KR101493413 B1 KR 101493413B1 KR 20120069338 A KR20120069338 A KR 20120069338A KR 20120069338 A KR20120069338 A KR 20120069338A KR 101493413 B1 KR101493413 B1 KR 10149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enzyme
cirrhosis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214A (ko
Inventor
유영효
김점용
김선옥
최정효
배수현
성상현
양희정
유귀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십자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십자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십자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2012006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4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85Aspergillus nig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는 간성상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간섬유증이나 간경화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processed ginseng or red ginseng having ginsenoside Rg3 and Rh2 for treating or preventing of liver cirrhosis or liver cirrhosis}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섬유증(liver cirrhosis 또는 hepatic fibrosis)이나 간경화증(또는 간견병증, liver cirrhosis)은 간조직이 손상과 재생을 반복하여 간염이 발생하고, 간염에서 간섬유증으로 다시 간섬유증에서 간경화증으로 진행되면서 발생되는 질환에 속한다. 간섬유증은 간세포의 지속적인 파괴와 반복적인 간손상에 따라 나타나는 섬유화 현상(liver fibrogenesis)으로, ECM(extracellular matrix, 세포외 기질)의 생성은 증가되지만 이에 대한 분해는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고 심해지면 간경화증, 간부전이나 간암으로 진행된다. 간섬유증은 일단 섬유화가 진행되면 정상간으로 복원되기가 어려우며, 간경화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되어 이에 대한 사망률이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 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섬유증이나 간경화증에서의 ECM의 과다생성은 간내 대식세포인 쿠퍼세포(Kupffer cell)가 활성화됨으로써 분비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성장인자(growth factors), 전섬유화 사이토카인(profibrogenic cytokines) 등에 의해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 HSC)의 활성화가 촉진되어 상기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에서 결합조직의 생성이 증가됨으로써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성상세포는 1876년 쿠퍼(Kupffer)에 의해 발견되었고, 이토(Ito)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1971년 웨이크(Wake)에 의해 정립되었다. 간성상세포는 동모양혈관 내피세포와 간세포사이의 딧세강(space of Disse)에 위치한 세포로서 별 모양을 하고 있고, 이토 세포(Ito cell)라고도 하였다. 또한 비타민 A를 함유하고 있는 지방소적(lipid droplet)을 갖고 있어서 비타민 A 저장세포(vitamin A storing cell), 지방 저장세포(fat storing cell) 또는 동양구조유사 간 지질세포(perisinusoidal hepatic lipocyte) 등으로 여러 가지로 명명되었으나 1990년대 말에 공식용어로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 HSC)라 결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쿠퍼세포는 여러 독성물질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를 식작용(phagocytosis)함으로써 활성화되거나 또는 독성물질에 의해 직접 활성화되어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등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며, 이들 사이토카인에 의해 쿠퍼세포 자기자신이 다시 활성화(autocrine)된다. 또한, 쿠퍼세포가 분비한 사이토카인들에 의해 간조직내 동모양혈관 내피세포(sinusoidal endothelial cell) 및 간성상세포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4형 콜라겐나아제(collagenase type IV)와 증가된 콜라겐 생산에 의해 ECM(extracellular matrix)의 정상구성비율이 깨지면서 기저막 ECM(basement membrane-like matrix, 예를 들어 4형 콜라겐)은 분해된다. 이 때, 세포간 ECM(interstitial type matrix, 예를 들어 1형 및 3형 콜라겐)은 서로 꼬여 소섬유상 콜라겐(fibril-forming collagen)을 형성한 후 딧세강(space of Disse)에 축적되며, 분해된 기저막 ECM 및 축적된 세포간 ECM에 의해서 간성상세포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간성상세포는 콜라겐분해효소(Metalloproteinase; MMP)의 활성 억제물질인 마크로글로불린(macroglobulin) 및 TIMP(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등의 생성을 촉진시켜, 과도하게 생성되는 세포간 ECM의 분해도 억제한다. 딧세강에 축적된 세포간 ECM에 의해 혈액과 간세포간의 물질교환이 저해됨으로써, 간세포는 영양물질의 공급 및 독성물질의 배출이 어렵게 되고, 간세포 역시 지속적으로 손상된다. 이러한 일련의 반응이 반복되면서 간조직 중에 결합조직이 축적되면서, 간섬유화 내지 간경화증이 유발된다(J. Clin. Invest., 2005, 115 (2), 209-218 ; Gastroenterology, 2008, 134(6), 1655-1669 ; Arch. Pathol. Lab. Med., 2007, 131(11), 1728-1734 ; Hepatology, 2009, 50 (4), 1294-1306 ; J. Gastroenterol., 2000, 35, (9), 665-672). 종래에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을 억제하는 물질로, 페니실라민, 16,16-디메틸 프로스티글라딘 E2, 비페닐 디메틸 디카르복실산, 콜키친, 글루코코티코이드, 말로틸산(malotilate), 감마-인터페론,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피리딘-2,4-디카르복실릭-디에틸아미드, 피리딘-2,4-디카르복실릭-디(2-메톡시에틸)아미드 등이 개발되었지만, 임상에 적용시 작용이 미약하거나 부작용이 심하여, 현재로서는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는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약 11종이 있으며, 고려인삼(Panax Ginseng)이 대표적으로 약효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수삼, 백삼, 홍삼, 산삼, 장뇌, 미삼, 원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넓은 개념이다. 인삼은 중국 등 한방의학에서 매우 가치가 높은 의약품으로 이용되어 온 천연물 소재로서 수많은 의서에 인삼의 약효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장구한 이용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임상연구를 통한 과학적인 규명은 부족한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의학이 소개된 지금도 인삼의 인기가 떨어지지 않고, 건강기능식품 중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오랜 임상 역사가 인정하는 약효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적으며 안전도가 높은 생약이란 이유일 것이다. 인삼의 주된 기능성 성분은 식물계의 여러 사포닌 중 인삼 사포닌만을 특별하게 구분하여 명명한 "진세노사이드"라 불리우는 인삼 사포닌이다. 인삼 성분 중 사포닌은 항암, 항알레르기, 항염증 외에 중추억제 및 정신안정, 진통, 기억력 개선, 간 상해 보고,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 항당뇨, 항스트레스, 항산화 활성물질 생성촉진, 면역조절, 혈소판 응집억제, 항노화 작용 등의 약리 효능이 있다.
사포닌은 치환기에 결합된 당(glucose, arabinose, rhamnose)의 종류와 수에 따라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로 구분이 되는데, 경구섭취 후 생체 소화 효소에 의해 거의 분해되지 않고(Microbial Ecololgy in Health and Disease, 2000, 12, 85-91), 장내 세균에 의하여 20(S)-O-β-프로토파낙사디올, 20-O-β-D-글루코피라노시드,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로 분해된 뒤 흡수된다(Planta Medica, 1996, 62, 453-457). 그러나 장내 미생물의 구성은 개인차가 크므로 사포닌의 흡수는 개인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현재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인삼의 약리 효능을 나타내는 주성분으로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및 Rc 등의 사포닌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항암작용 또는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 또는 항알레르기 작용에 관한 성분은 인삼의 극소량 함유되어 있는 컴파운드 K(comp K), 진세노사이드 Rh1, Rh2, Rg3의 사포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환기에 글루코스가 한 분자 결합된 진세노사이드 Rh2, 컴파운드 K는 항암, 항알레르기,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당쇄의 결합이 많지 않아 친수성이 낮아서 장내 흡착 및 흡수율이 우수한다. 따라서 인삼의 항암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및 면역증강작용 등을 위한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인삼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극소량 함유되어 있는 컴파운드 K, 진세노사이드 Rh2, Rh1, Rg3 등의 사포닌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등록특허 제992800호에 개시되어 있던 효소 반응을 통해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에 대해서 연구를 하던 중,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이 간경화증 또는 간섬유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편, 인삼 유래 조성물(Life Sci. 2005, 76(15), 1675-1690)이나 진세노사이드 Rg3(Zhongguo Ji Sheng Chong Xue Yu Ji Sheng Chong Bing Za Zhi. 2011, 29(2), 107-110)가 간섬유증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음이 이미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과 같은 효소 반응을 통해 제조한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와는 기술구성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Bataller, R., Brenner, D. A., Liver fibrosis., J. Clin. Invest., 2005, 115 (2), 209-218. Friedman, S. L., Mechanisms of hepatic fibrogenesis., Gastroenterology, 2008, 134(6), 1655-1669. Moreira, R. K., Hepatic stellate cells and liver fibrosis., Arch. Pathol. Lab. Med., 2007, 131(11), 1728-1734. Popov, Y., Schuppan, D., Targeting liver fibrosis: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tifibrotic therapies., Hepatology, 2009, 50 (4), 1294-1306. Wu, J., Zern, M. A., Hepatic stellate cells: a target for the treatment of liver fibrosis., J. Gastroenterol., 2000, 35, (9), 665-672. Hasegawa, H. et al., Microbial Ecololgy in Health and Disease, 2000, 12, 85-91. Hasegawa, H. et al., Planta Medica, 1996, 62, 453-457. Park, W.H. et al., A Korean herbal medicine, Panax notoginseng, prevents liver fibrosis and hepatic microvascular dysfunction in rats., Life Sci. 2005, 76(15), 1675-1690. Zeng, J. et al., Effect of ginsenoside Rg3 on hepatic fibrosis in murine schistosomiasis japonica., Zhongguo Ji Sheng Chong Xue Yu Ji Sheng Chong Bing Za Zhi. 2011, 29(2), 107-110.
본 발명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및 2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51413528-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51413528-pat00002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a)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를 인삼 및 밀기울로 구성된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b) : 상기 (a)단계의 균을 배양하는 단계;
(c) : 상기 (b)단계의 배양물을 한외여과막(ultrafilteration)으로 정제하여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
(d) : 상기 (c)단계의 효소액으로부터 효소를 분말화하는 단계;
(e) :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에 상기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
(f) : 상기 (e)단계의 첨가물을 발효하는 단계;
(g) : 상기 (f)단계의 발효물에서 효소를 분리하고 상등액을 수거하는 단계;
(h) : 상기 (g)단계의 상등액을 농축하는 단계;
(i) : 상기 (h)단계의 농축물을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으로 반응하는 단계; 및
(j) : 상기 (i)단계의 반응물을 중화하고 여과, 정제,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접종은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포자 현탁액의 포자수가 배지무게 g당 5×105 포자가 되도록 접종할 수 있으며, 초기 수분함량은 50~80%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상기 (c)단계에서 사용되는 한외여과막은 컷오프(cutoff) 100KDa의 여과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는 베타 글루코시다제와 알파 람노시다제가 3:1에서 8:1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효소액 또는 효소일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는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무게의 1~20%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f)단계의 발효는, 25~60℃에서 6~24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단계에서, 상기 유기산 농도는 상기 (h)단계의 농축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제조된 고형분 10%(w/w) 농축물 용액의 1~50%(w/w)의 농도로 첨가되며, 반응시간은 2~18시간이고, 반응온도는 4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5~95%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한국등록특허 제992800호에 개시되어 있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로서,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제조방법에서, (a)단계에서 사용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는 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CTC698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배지는 인삼분말과 밀기울이 1:1 ~ 1:5 무게비(g/g), 바람직하게는 1:3 비율이 유지할 수 있도록 배지비율을 맞춘 후 아스퍼질러스 나이거를 접종할 수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접종 시 초기 수분함량을 50~80%로 유지하며 바람직하게는 65%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b)단계에서 배양온도는 25~40℃가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3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배양시간은 사포닌 분해 효소의 생산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기간인 3~7일간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b)단계에서 균주의 배양이 끝나면 0.01~0.05M 초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첨가한 후 배지를 여과 또는 필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Watman glass microfiber filter로 여과하고, 포자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0.22㎛ bottle top filter로 다시 한 번 여과할 수 있다.
또한 (b)단계에서 균주의 배양액 또는 이의 여과액은 한외여과(ultrafilteration)를 실시하여 배양액 또는 이의 여과액을 정제함으로서 효소액(사포닌 분해 효소의 혼합 효소액, 본 발명의 (c)단계의 효소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된 여과막의 컷오프(cutoff)는 100KDa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효소액을 이용하여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홍삼 농축액 분말 등을 발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효소액을 통상적인 건조 방법,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본 발명의 (d)단계의 효소)한 후, 이를 발효에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e)단계에서,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 첨가 시,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중량의 10~40배의 물 또는 초산나트륨 완충 용액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초산나트륨 완충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0.01~0.1M 초산나트륨 완충 용액(pH 4.5~5.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단계의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은 인삼 또는 홍삼의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로 제조한 추출물을 농축 또는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감압증류법이나 박막증류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탄올은 100% 부탄올 또는 75~85%(v/v) 부탄올 수용액인 수포화 부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 농축액 분말과 홍삼 농축액 분말의 입자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입자크기가 30~150mesh 정도가 되도록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또는 홍삼 농축액 분말의 제조에 사용되는 인삼의 원산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국내산, 미국산, 일본, 히말라야, 베트남 및 중국산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은 파낙스(Panax) 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고려인삼(Pana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a), 전칠삼(삼칠, 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s), 히말라야삼(Panaxa pseudoginseng). 베트남삼(Panax vietnamensi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Panax wangianus) 및 파낙스 비핀라티피두스(Panax bipinratifidus), 파낙스 안구스티폴리움(Panax angustifolium)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삼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은 인삼의 뿌리, 잎 및 줄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고 홍삼은 홍세미 및 홍삼근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f)단계의 발효과정은, 25~60℃, 바람직하게는, 30~35℃에서 6~24시간 동안 발효할 수 있다.
상기 (g)단계에서, 발효물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사포닌 분해 효소를 침전시키고 여과(0.8㎛ 여과지 이용) 또는 원심분리하여 효소(사포닌 분해효소)를 분리하며 상등액만을 모을 수 있다.
상기 (h)단계의 농축은 40~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i)단계에서, 유기산을 첨가하고 40~80℃에서 2~18시간 동안 반응할 수 있다. 상기의 유기산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 등 또는 이들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산은 (h)단계 농축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제조된 고형분 함량 10%(w/w) 농축물 용액의 1~50%(w/w), 바람직하게는 5~25%(w/w)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j)단계에서, 유기산 반응물을 중화할 때, 물 또는 식품 첨가물인 산 중화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기산 반응물의 농축은 40~60℃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에탄올을 첨가한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산 반응물을 일반적인 정제 과정인 레진(resin)을 이용하여 정제한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로 제조하거나, 용매 분획 즉 부탄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농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레진은 음이온 교환 수지인 XAD, HP-2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40~60% 아세트산(acetic acid) 수용액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HP-20 레진에 흡착시켜 정제수로 세척한 뒤, 50~95%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수용액 또는 10~70% 아세톤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감압 농축하여 농축하거나 감압건조, 분무건조,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물 또는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2%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제조 방법 중 어느 한 절차를 생략하고 제조한 조성물의 경우,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2% 미만이 되어 간섬유증이나 간경화증의 치료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5~9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를 포함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는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는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는 간성상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간섬유증이나 간경화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4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및 이의 분획물과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간성상세포의 세포 사멸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 인삼 가공물의 제조>
인삼 분말 250g, 밀기울 750g을 넣고 121℃, 1.5기압하에서 고압증기 멸균기로 멸균하여 균주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멸균된 배지에 멸균수를 넣고 혼합한 다음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현탁액(5×105포자/배지무게g)을 접종하고 28℃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0.02M 초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배지를 여과하였다. 여과된 배양액을 한외여과막(100KDa 이상)을 사용하여 여과 및 농축함으로써 효소액 60g을 얻었다. 상기로부터 얻어진 효소액을 동결 건조하여 효소분말 3g을 얻었다. 이 후, ㈜동원고려인삼에서 구입한 인삼 농축액 200g에 0.02M 초산나트륨 완충 용액(pH 4.5~5.0) 6ℓ를 첨가한 후 상기 효소분말 3g을 첨가하여 28℃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효소를 침전시키고 상등액만을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물 200g에 2ℓ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구연산 250g을 첨가하고 5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190g의 인삼 가공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 인삼 가공물을 이용한 인삼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인삼 가공물 190g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음이온 교환수지인 HP-20이 장착된 컬럼에 흡착시키고, 정제수로 세척한 후 95% 에탄올 수용액으로 용출시켰다. 이 후 상기 용출물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90g의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 실시예 3 : 홍삼 가공물의 제조>
인삼 분말 250g, 밀기울 750g을 넣고 121℃, 1.5기압하에서 고압증기 멸균기로 멸균하여 균주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멸균된 배지에 멸균수 2를 넣고 혼합한 다음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현탁액(5×105포자/배지무게g)을 접종하고 28℃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0.02M 초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배지를 여과하였다. 여과된 배양액을 한외여과막(100KDa 이상)을 사용하여 여과 및 농축함으로써 효소액 60g을 얻었다. 이 후, ㈜동원고려인삼에서 구입한 홍삼 농축액 분말 200g에 0.02M 초산나트륨 완충 용액(pH 4.5~5.0) 4ℓ를 첨가한 후 효소액 200g을 첨가하여 28℃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효소를 침전시키고 상등액만을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물 200g에 2ℓ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구연산 250g을 첨가하고 5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195g의 분말 상태의 홍삼 가공물을 얻었다.
< 실시예 4 : 홍삼 가공물을 이용한 홍삼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홍삼 가공물 195g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음이온 교환수지인 HP-20이 장착된 컬럼에 흡착시킨 후 정제수로 세척한 후 95% 에탄올로 용출시켰다. 이 후 상기 용출물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90g의 홍삼 분획물 분말을 획득하였다.
< 실시예 5 : 진세노사이드 Rh2 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인삼 가공물의 분획물 90g을 실리카겔(클로로포름:메탄올=10:1, 7:1, 5:1, 3:1, 4ℓ, 20×5cm)을 이용하여 12개의 분획물로 분획하였다(BST204-1~12). 이 중에서 BST204-6 분획물(8.7g)을 RP C18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물=8.5:1.5; 10×3cm)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h2-rich fraction(2.0g)으로 분획하였고, RP C18 HPLC 시스템(아세톤니트릴:물=55:45; 13min/㎖)을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h2(20(s)-진세노사이드 Rh2, 300㎎)을 분리하였다. 또한, BST204-10 분획물을 RP C18 실리카겔 CC(메탄올-물=7:3; 10×3cm)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3(20(s)-진세노사이드 Rg3, 7500㎎)를 분리하였다(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한국등록특허 제992800호에서 확인되었음).
< 비교예 1 : 가공 전 시료의 준비>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에 사용된 가공전 원료인 인삼농축액 및 홍삼농축액 분말은 (주)동원고려인삼에서 건강기능식품 공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는 '고려인삼농축액', '고려홍삼농축액분말'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사포닌 함량 확인>
사포닌(진세노사이드 Rg3, Rh2) 함량 확인 실험은 HPL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아래와 같다.
1) 기기 : Alliance e2695 system (Water Co. Ltd., USA),
2) 컬럼: Capcell Pak C18 column (150㎜×4.6㎜ i.d.; 5μm),
3) 유속: 1.00㎖/min
4) UV wavelength: 203㎚
5) 컬럼온도: 40℃
6) 주입량: 20㎕
7) 이동상 : 40% Acetonitrile 와 60% Acetonitrile을 사용하여 40분 동안 농도구배
상기 방법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 및 이의 분획물, 가공 전 원료인 인삼 농축액과 홍삼 농축액 분말의 사포닌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조건
함량 (%[w/w])
Rg3 Rh2
실시예 1 1 1
실시예 2 2 3
실시예 3 5.0 10.0
실시예 4 15.0 30.0
가공전 원료 인삼 농축액 < 0.5 < 0.01
가공전 원료 홍삼 농축액 분말 < 0.5 < 0.01
상기 표 1의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이나 이의 분획물은 가공전 원료인 인삼 농축액이나 홍삼 농축액 분말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 간성상세포의 사멸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과 이의 분획물, 진세노사이드 Rh2의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간성상세포의 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간성상세포인 HSC-T6 세포는 10% FBS(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100IU/㎖의 페니실린(penicillin, Sigma, St. Louis, MO, USA), 100㎍/㎖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Sigma, St. Louis, MO, USA)이 혼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igma, St. Louis, MO,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5%의 CO2, 37℃ 상태의 흡윤 배양기에서 배양 유지되었다.
상기 조성물들의 간성상세포의 사멸 효과는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은 담황색의 기질로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 효소에 의해 암청색의 포마잔(formazan)을 생성하는데, 죽은 세포에서는 MTT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포마잔 생성 후, 550nm의 흡광도에서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이나 진세노사이드 Rh2의 세포 사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48웰 플레이트에 1.5×105세포/웰로 간성상세포(HSC-T6)를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상기 간성상세포에 실시예 1~4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과 이의 분획물(10㎍/㎖), 진세노사이드 Rh2(10㎍/㎖), 진세노사이드 Rg3(10㎍/㎖)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상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양성대조군으로는 (-/-)EGCG(epigallocathechin gallate, 10㎍/㎖)를 이용하였다.
도 1을 확인하면, 실시예 1~4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과 이의 분획물이 진세노사이드 Rg3에 비해 간성상세포의 사멸 효과가 우수하여 상기 조성물들이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기존에는 간성상세포의 사멸 효과가 알려져 있지 않던 진세노사이드 Rh2도 진세노사이드 Rg3와 유사한 간성상세포의 사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3 : 간성상세포의 아폽토시스 반응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처리된 간성상세포의 아폽토시스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유세포 분석 방법(flow cytometry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간성상세포를 6웰(well)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1×106세포/웰의 농도로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24시간 후에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시료의 처리농도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24시간 후에는 세포를 PBS 완충용액으로 세척하여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를 단일 세포로 분리한 후, 70% 에탄올로 4℃에서 18시간 이상 고정(fixation)한 후, FITC-아넥신 V 아폽토시스 확인 키트(FITC-Annexin V apoptosis detection kit, BD Pharmigen, Franklin Lakes, NJ, USA) 및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해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조건 아폽토시스 비율(%)
실시예 1 24.2
실시예 2 27.2
실시예 3 35.4
실시예 4 46.2
가공전 원료 인삼 농축액 1.3
가공전 원료 홍삼 농축액 분말 1.6
Rh2 16.1
Rg3 15.3
표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이나 이의 분획물이 진세노사이드 Rg3나 진세노사이드 Rh2보다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세노사이드 Rh2의 효과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역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이 간섬유증이나 간경화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실험예 4 : 급성독성 시험>
실시예 2 및 4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분획물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각각 100, 300, 500㎎/㎖의 농도가 되도록 하여 생쥐 투여용 시료 용액으로 하였다. 6주령의 건강한 암수 생쥐(ICR계)를 사용하여 시료 투여 전 5시간 절식시킨 후, 암수 각각 5마리씩을 하나의 군으로 하여 시료 투여량이 각각 0.5g/㎏, 1g/㎏ 및 2g/㎏이 되도록 시료용액을 10㎖/㎏씩 경구투여하였다. 한편 대조군에는 동량의 정제수만을 투여하였다. 또한 시험기간 중에는 실험동물이 사료 및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에 대하여 시료용액에 대하여 용액 투여 직후 30분간은 계속적으로, 시험기간 중에는 1일 1회씩 임상 증상을 관찰하였고, 체중은 투여 직전과 투여 후 1, 3, 7 및 14일째에 특정하였다. 체중변화에 대하여 대조군과 시료 투여군과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전체 동물 중 폐사한 동물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아 흰쥐에 대한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분획물의 50% 치사량(LD50)은 2g/㎏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료 투여에 의해 유발된 것이라고 생각되는 증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의 차이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관찰기간 종료 후 부검시에도 육안적으로 장기의 이상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사용예 1 : 약학적 제제예 >
1-1. 정제의 제조
진세노사이드 Rh2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1-2. 주사액제의 제조
진세노사이드 Rh2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 사용예 2 : 식품 제조예 >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실시예 4의 홍삼 가공물의 분획물을 0.2~10 중량%로 조리용 양념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실시예 4의 홍삼 가공물의 분획물을 0.1~5.0 중량%로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3.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실시예 4의 홍삼 가공물의 분획물을 0.1~1.0 중량%로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실시예 4의 홍삼 가공물의 분획물을 0.1~1.0 중량%로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 사용예 3 : 음료 제조예 >
3-1. 야채주스 제조
실시예 4의 홍삼 가공물의 분획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3-2. 과일주스 제조
실시예 4의 홍삼 가공물의 분획물 0.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5)

  1.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a)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를 인삼 및 밀기울로 구성된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b) : 상기 (a)단계의 균을 배양하는 단계;
    (c) : 상기 (b)단계의 배양물을 한외여과막(ultrafilteration)으로 정제하여 베타 글루코시다제와 알파 람노시다제가 3:1에서 8:1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
    (d) : 상기 (c)단계의 효소액으로부터 효소를 분말화하는 단계;
    (e) :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에 상기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
    (f) : 상기 (e)단계의 첨가물을 발효하는 단계;
    (g) : 상기 (f)단계의 발효물에서 효소를 분리하고 상등액을 수거하는 단계;
    (h) : 상기 (g)단계의 상등액을 농축하는 단계;
    (i) : 상기 (h)단계의 농축물을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으로 반응하는 단계; 및
    (j) : 상기 (i)단계의 반응물을 중화하고 여과, 정제,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하기 화학식 1 및 2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68735402-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14068735402-pat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접종은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포자 현탁액의 포자수가 배지무게 g당 5×105 포자가 되도록 접종을 하며 초기 수분함량을 50~8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사용되는 한외여과막은 컷오프(cutoff) 100KDa의 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는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무게의 1~20%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의 발효는, 25~60℃에서 6~24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에서, 상기 유기산은 상기 (h)단계의 농축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제조된 고형분 함량 10%(w/w) 농축물 용액의 1~50%(w/w)의 농도로 첨가되며, 반응시간은 2~18시간이고, 반응온도는 4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은,
    (a)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를 인삼 및 밀기울로 구성된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b) : 상기 (a)단계의 균을 배양하는 단계;
    (c) : 상기 (b)단계의 배양물을 한외여과막(ultrafilteration)으로 정제하여 베타 글루코시다제와 알파 람노시다제가 3:1에서 8:1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
    (d) : 상기 (c)단계의 효소액으로부터 효소를 분말화하는 단계;
    (e) :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에 상기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
    (f) : 상기 (e)단계의 첨가물을 발효하는 단계;
    (g) : 상기 (f)단계의 발효물에서 효소를 분리하고 상등액을 수거하는 단계;
    (h) : 상기 (g)단계의 상등액을 농축하는 단계;
    (i) : 상기 (h)단계의 농축물을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으로 반응하는 단계; 및
    (j) : 상기 (i)단계의 반응물을 중화하고 여과, 정제,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하기 화학식 1 및 2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68735402-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4068735402-pat00006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5~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1.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a)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를 인삼 및 밀기울로 구성된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b) : 상기 (a)단계의 균을 배양하는 단계;
    (c) : 상기 (b)단계의 배양물을 한외여과막(ultrafilteration)으로 정제하여 베타 글루코시다제와 알파 람노시다제가 3:1에서 8:1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
    (d) : 상기 (c)단계의 효소액으로부터 효소를 분말화하는 단계;
    (e) :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에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
    (f) : 상기 (e)단계의 첨가물을 발효하는 단계;
    (g) : 상기 (f)단계의 발효물에서 효소를 분리하고 상등액을 수거하는 단계;
    (h) : 상기 (g)단계의 상등액을 농축하는 단계;
    (i) : 상기 (h)단계의 농축물을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으로 반응하는 단계; 및
    (j) : 상기 (i)단계의 반응물을 중화하고 여과, 정제,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하기 화학식 1 및 2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4068735402-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4068735402-pat00008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은,
    (a)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를 인삼 및 밀기울로 구성된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b) : 상기 (a)단계의 균을 배양하는 단계;
    (c) : 상기 (b)단계의 배양물을 한외여과막(ultrafilteration)으로 정제하여 베타 글루코시다제와 알파 람노시다제가 3:1에서 8:1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
    (d) : 상기 (c)단계의 효소액으로부터 효소를 분말화하는 단계;
    (e) : 인삼 농축액, 인삼 농축액 분말, 홍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에 상기 (c)단계의 효소액 또는 (d)단계의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
    (f) : 상기 (e)단계의 첨가물을 발효하는 단계;
    (g) : 상기 (f)단계의 발효물에서 효소를 분리하고 상등액을 수거하는 단계;
    (h) : 상기 (g)단계의 상등액을 농축하는 단계;
    (i) : 상기 (h)단계의 농축물을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으로 반응하는 단계; 및
    (j) : 상기 (i)단계의 반응물을 중화하고 여과, 정제,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하기 화학식 1 및 2의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4068735402-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14068735402-pat000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의 레진 흡착물의 용출 분획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총 함유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의 5~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5. 삭제
KR20120069338A 2012-06-27 2012-06-27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9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338A KR101493413B1 (ko) 2012-06-27 2012-06-27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338A KR101493413B1 (ko) 2012-06-27 2012-06-27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14A KR20140006214A (ko) 2014-01-16
KR101493413B1 true KR101493413B1 (ko) 2015-02-16

Family

ID=5014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9338A KR101493413B1 (ko) 2012-06-27 2012-06-27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076A (ko) * 2020-12-29 2022-07-06 재단법인 금산인삼약초산업진흥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농축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0078B1 (en) * 2013-08-30 2021-02-24 Green Cross Wellbein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related fatigue, containing processed ginseng powder or processed ginseng extract having increased ginsenoside constituent
KR101656043B1 (ko) * 2014-08-12 2016-09-09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발효 홍삼의 제조방법
KR102049694B1 (ko) * 2018-05-23 2019-11-28 김용수 인삼 사포닌의 수용화 방법
KR101966117B1 (ko) * 2018-05-25 2019-04-05 (주)녹십자웰빙 가공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017282B1 (ko) * 2019-01-28 2019-09-02 (주)녹십자웰빙 가공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분화 촉진용 조성물
CN110684673B (zh) * 2019-11-05 2022-02-15 南京师范大学 L-苹果酸高产菌株及其应用
KR102239804B1 (ko) * 2020-08-03 2021-04-27 제너럴바이오(주) 발효인삼을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55(6), 2005.06., pp.531-540 *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55(6), 2005.06., pp.531-54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076A (ko) * 2020-12-29 2022-07-06 재단법인 금산인삼약초산업진흥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농축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7682B1 (ko) 2020-12-29 2023-11-02 재단법인 금산인삼약초산업진흥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농축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14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413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195B1 (ko) 발효 뽕잎, 발효 뽕잎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1579219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7174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6134B1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7755A (ko)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039145B1 (ko) 부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순환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26870B1 (ko)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31438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748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시알엔비-에이3을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74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시알엔비-22를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6155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5 또는 진세노사이드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66633B1 (ko)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을 갖는 초고압 양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183916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915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429147B1 (ko) 콜라비론의 제조방법
KR20120008366A (ko) 오미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장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23635B1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2673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3700A (ko) 오배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6467B1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6018B1 (ko)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갖는 증숙인삼열매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90017394A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섬유화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56509B1 (ko)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