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914B1 -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 Google Patents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914B1
KR101492914B1 KR20130061456A KR20130061456A KR101492914B1 KR 101492914 B1 KR101492914 B1 KR 101492914B1 KR 20130061456 A KR20130061456 A KR 20130061456A KR 20130061456 A KR20130061456 A KR 20130061456A KR 101492914 B1 KR101492914 B1 KR 10149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irder
pier
concrete
bridg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728A (ko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2013006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914B1/ko
Priority to PCT/KR2013/005160 priority patent/WO2014193020A1/ko
Publication of KR2014014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거더를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설치된 교각들 사이에 콘크리트 거더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일측 교각 후방의 기설치된 상판에 복수의 대차를 상호 일렬로 연결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대차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 (c) 콘크리트 거더가 도달되어 설치될 전방의 타측 교각 상부에 권양기를 설치 고정하고, 권양기의 견인용 와이어를 최전방 대차에 연결하여 대차를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를 타측 교각 측으로 전진시킨 후 최전방 대차가 일측 교각에 다다르면 최전방 대차를 제거하고 견인용 와이어를 다음 대차에 연결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전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거더를 타측 교각 교좌 위치까지 전진시킨 후 견인용 와이어를 해제하고, 콘크리트 거더를 일측 교각 교좌와 타측 교각 교좌 상부에 안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Pulling-out method of concrete bridge using trolley and winch}
본 발명은 교량의 콘크리트 거더를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콘크리트 거더를 견인 압출하는데 있어 공기 단축과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거더의 전진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거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에 대한 것이다.
교량(bridge)이란 도로, 철도, 계곡, 호수, 해안 등의 위를 건너거나 다른 도로, 철도, 수로, 가옥, 시가지 등의 위를 건너는 경우 이들 위에 가설하는 구조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교량의 콘크리트 거더를 가설 시공하는 공법 중 하나로 압출 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LM)이 있다.
상기 교량 압출 공법은 압출 방식에 따라 푸시 타입(push type), 리프트 앤 푸시 타입(lift and push type) 및 견인 타입(pulling-out type)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중 견인 타입(pulling-out type)과 관련된 것이다.
상기 교량 압출 공법은 콘크리트 거더(20)를 교대(橋臺) 또는 제1교각의 후방에 설치한 주형 제작장에서 1 세그먼트(segment)씩 제작한 다음, 교각 상부에 설치된 견인잭(4)을 이용하여 조금씩 밀어내면서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으로(도 1), 콘크리트 품질 관리가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교량 하부 조건에 무관하게 시공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특허 제10-0093125호(교량상판의 견인압출장치), 특허 제10-0103702호(대차를 이용한 교량 상부공 압출공법) 등에서 관련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 압출 공법은 교량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압출을 위한 장비가 매우 고가로 교량의 전체 연장이 500m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을 뿐 아니라, 지간이 50m 정도를 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콘크리트 거더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콘크리트 거더를 압출할 경우, 유압잭 피치의 한계로 인하여 전진 거리에 한계가 있으며, 유압잭의 전진 및 후진 반복 작업이 수반되어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교량 압출 공법 중 콘크리트 거더를 전방에서 견인하는 견인 압출 공법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거더 또는 추진코(launching nose)를 직접 당기므로 콘크리트 거더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인장력에 취약한 콘크리트 거더 자체를 손상시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렴하고 취득이 용이한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중소 규모 교량의 비용 절감에 효과적인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교량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거더를 견인 압출하는데 있어, 유압잭의 전후진 반복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거더의 전진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견인 압출 공법에서 콘크리트 거더 또는 추진코를 직접 당기지 않아 인장력으로 인한 콘크리트 거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설치된 교각들 사이에 콘크리트 거더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일측 교각 후방의 기설치된 상판에 복수의 대차를 상호 일렬로 연결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대차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 (c) 콘크리트 거더가 도달되어 설치될 전방의 타측 교각 상부에 권양기를 설치 고정하고, 권양기의 견인용 와이어를 최전방 대차에 연결하여 대차를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를 타측 교각 측으로 전진시킨 후 최전방 대차가 일측 교각에 다다르면 최전방 대차를 제거하고 견인용 와이어를 다음 대차에 연결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전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거더를 타측 교각 교좌 위치까지 전진시킨 후 견인용 와이어를 해제하고, 콘크리트 거더를 일측 교각 교좌와 타측 교각 교좌 상부에 안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 교각과 타측 교각의 사이에는 수상에 설치된 자주승강식 바지 상부 또는 육상의 지면 상부에 설치된 가설지지대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거더가 전진하는 동안 콘크리트 거더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압출되는 콘크리트 거더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거더 전진측 단부에는 추진코가 설치되고, 상기 추진코는 상기 (d) 단계에서 콘크리트 거더가 일측 교각 교좌와 타측 교각 교좌 상부에 위치된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에서, 교좌에는 상하 이동하는 유압잭이 구비되어, 일측 교각과 타측 교각 사이에 위치한 콘크리트 거더를 유압잭으로 하향 이동시켜 교좌에 설치된 슈 상부에 안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대차 위에 안치시키거나 대차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 거더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량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거더를 견인 압출 시공하는 데 있어 저렴하고 취득이 용이한 장비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중소 규모 교량의 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다.
둘째, 콘크리트 거더를 전방의 타측 교각에 고정된 권양기로 견인하기 때문에, 유압잭을 이용한 전후진 반복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거더의 전진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다.
셋째, 교량의 견인 압출 공법에서 콘크리트 거더 또는 추진코를 직접 당기지 않고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가 위치된 대차를 견인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거더에 작용하는 인장력으로 인한 콘크리트 거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추진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거더를 일정량 전진시킨 후에는 추진코의 일단이 지지되기 때문에 각 콘크리트 거더가 캔틸레버 보에서 양단지지 보로 전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거더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거더 단면을 최적화한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다섯째, 인접 교각 사이에 가설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거더가 압출 과정에서 가설지지대 상면에 위치되게 되면 콘크리트 거더가 캔틸레버 보에서 양단지지 보로 전환되어 콘크리트 거더에 부모멘트를 최소화하거나 작용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단면의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교량의 압출 공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의 단계별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설치된 상판에 상호 연결된 대차를 배치하고 대차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콘크리트 거더 전진측 단부에 추진코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인접 교각 사이에 자주승강식 바지 및 가설지지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최전방 대차에 권양기의 견인용 와이어를 연결하고 대차를 권양기로 견인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대차를 권양기로 견인하여 타측 교각 상부로 추진코가 위치되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콘크리트 거더를 타측 교각 교좌 위치까지 전진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유압잭으로 콘크리트 거더를 하향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콘크리트 거더가 슈 상부에 안치되어 교량의 설치가 완료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기설치된 상판(30)에 대차(40)를 배치하고 대차(40)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2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콘크리트 거더(20) 전진측 단부에 추진코(6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설치된 교각(10)들 사이에 콘크리트 거더(20)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단계의 실시 이전에 교각(10)의 시공이 완료되어야 한다. 교각(10)의 시공은 지반 여건 및 주위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진행한다.
본 발명은 (a) 일측 교각(10a) 후방의 기설치된 상판(30)에 복수의 대차(40)를 상호 일렬로 연결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대차(40)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20)를 위치시키는 단계; (c) 콘크리트 거더(20)가 도달되어 설치될 전방의 타측 교각(10b) 상부에 권양기(50)를 설치 고정하고, 권양기(50)의 견인용 와이어(51)를 최전방 대차(40a)에 연결하여 대차(40)를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20)를 타측 교각(10b) 측으로 전진시킨 후 최전방 대차(40a)가 일측 교각(10a)에 다다르면 최전방 대차(40a)를 제거하고 견인용 와이어(51)를 다음 대차(40b)에 연결하여 콘크리트 거더(20)를 전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거더(20)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거더(20)를 타측 교각 교좌(11b) 위치까지 전진시킨 후 견인용 와이어(51)를 해제하고, 콘크리트 거더(20)를 일측 교각 교좌(11a)와 타측 교각 교좌(11b) 상부에 안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 교각(10a)과 타측 교각(10b)의 사이에는 수상에 설치된 자주승강식 바지(70) 상부 또는 육상의 지면 상부에 설치된 가설지지대(80)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거더(20)가 전진하는 동안 콘크리트 거더(20)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 일측 교각(10a) 후방의 기설치된 상판(30)에 복수의 대차(40)를 상호 일렬로 연결되도록 배치한 다음, (b) 상기 대차(40)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20)를 위치시키는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 (a) 단계에서 대차(40)는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나, 상기 대차(40)를 복수 열이 되도록 병렬로 배치하고, 각 대차(40)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20)를 위치시켜, 복수 개의 콘크리트 거더(20) 설치 작업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거더(20)는 교량을 구성하는 것으로 교각(10) 상면에 위치되는 콘크리트 거더(20)를 의미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콘크리트 거더(2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20)를 대차(40) 위에 안치시키거나, 대차(40)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 거더(20)로 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크리트 거더(2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미리 제작장에서 제작하여 양중기로 대차(40) 상부에 안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거더(20)의 규모가 커서 운반, 양중이 곤란한 경우에는 대차(40)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거더(20)는 다양한 단면 형상이 가능하며, 사각형 또는 제형 단면 등의 콘크리트 박스 거더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b) 단계에서 압출되는 콘크리트 거더(20)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거더(20)의 전진측 단부에 추진코(6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추진코(60)는 콘크리트 거더(20)의 전진측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거더(20)가 일정량 전진한 다음에는 추진코(60)의 단부가 타측 교각(10b) 또는 가설지지대(80) 상면에 지지되어 콘크리트 거더(20)를 캔틸레버 보에서 양단지지 보로 전환되게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거더(20)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와 처짐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거더(20)의 견인 과정에서 구조적 안전성 및 시공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추진코(60)는 가벼운 철골 트러스 골조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인접 교각(10) 사이에 자주승강식 바지(70) 및 가설지지대(8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최전방 대차(40a)에 권양기(50)의 견인용 와이어(51)를 연결하고 대차(40)를 권양기(50)로 견인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대차(40)를 권양기(50)로 견인하여 타측 교각(10b) 상부로 추진코(60)가 위치되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교량이 수상 구간에 설치되는 경우 본 발명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교각(10a)과 타측 교각(10b)의 사이에 자주승강식 바지(70)가 수상에 설치되고, 상기 자주승강식 바지(70) 상부에 가설지지대(80)가 설치되어 콘크리트 거더(20)가 전진하는 동안 콘크리트 거더(20)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주승강식 바지(SEP 바지: self elevated pontoon barge)(70)는 모서리에 지주가 구비된 것으로, 상하 유동이 적어 조류나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부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자주승강식 바지(70)의 지주는 수심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자주승강식 바지(70)는 바람직하게는 인접 교각(10)의 중앙이 되는 부분에 고정한다.
상기 자주승강식 바지(70)와 가설지지대(80)는 콘크리트 거더(20)의 견인 과정에서 콘크리트 거더(20)의 일부분이 가설지지대(80)에 일정 기간 거치되는 동안 활용되는 임시 구조물이다.
교량이 육상 구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설지지대(80)가 육상의 지면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설지지대(80)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20)의 압출 과정에서 콘크리트 거더(20)가 가설지지대(80) 상면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거더(20)가 캔틸레버 보에서 양단지지 보로 전환되어, 콘크리트 거더(20)에 부모멘트를 최소화하거나 작용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유동이 적은 자주승강식 바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위의 변동이나 파랑으로 인한 상하 유동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거더(20)에 추가 모멘트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가설지지대(80) 상면에는 콘크리트 거더(20)의 효과적인 이동을 위하여 롤러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 단계가 완료된 다음에는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c) 콘크리트 거더(20)가 도달되어 설치될 전방의 타측 교각(10b) 상부에 권양기(50)를 설치 고정하고, 권양기(50)의 견인용 와이어(51)를 최전방 대차(40a)에 연결하여 대차(40)를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20)를 타측 교각(10b) 측으로 전진시킨다.
상기 (c) 단계에서 권양기(50)는 콘크리트 거더(20)를 당기기 위한 구성으로, 타측 교각(10b)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은 고가이고 복잡한 압출 장비를 이용하는 대신, 저렴하고 취득이 용이한 권양기(5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거더(20)를 견인 압출 시공한다. 따라서 중소형 교량에 이용하더라도 공기 및 공사비 면에서 효율적이다.
상기 (c) 단계에서는 최전방 대차(40a)가 일측 교각(10a)에 다다르면 최전방 대차(40a)를 제거하고 견인용 와이어(51)를 다음 대차(40b)에 연결하여 콘크리트 거더(20)를 전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거더(20)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대차(40)를 권양기(50)로 견인하여 타측 교각(10b)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20) 또는 추진코(60)가 위치되면, 추진코(60) 전방을 단계적으로 해체하거나 타측 교각(10b)에 인접한 다른 교각 상부로 권양기(50)를 재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은 콘크리트 거더(20)를 타측 교각 교좌(11b) 위치까지 전진시키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유압잭(90)으로 콘크리트 거더(20)를 하향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콘크리트 거더(20)가 슈(12) 상부에 안치되어 교량의 설치가 완료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c) 단계 이후, (d) 상기 콘크리트 거더(20)를 타측 교각 교좌(11b) 위치까지 전진시킨 후 견인용 와이어(51)를 해제하고, 콘크리트 거더(20)를 일측 교각 교좌(11a)와 타측 교각 교좌(11b) 상부에 안치시킨다.
이때, 상기 (d) 단계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교좌(11)에는 상하 이동 가능한 유압잭(90)이 구비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일측 교각(10a)과 타측 교각(10b) 사이에 위치한 콘크리트 거더(20)를 유압잭(90)으로 하향 이동시켜, 도 9에서와 같이 교좌(11)에 설치된 슈(12) 상부에 안치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b) 단계에서 콘크리트 거더(20) 전진측 단부에 추진코(60)를 설치한 경우에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d) 단계에서 콘크리트 거더(20)가 일측 교각 교좌(11a)와 타측 교각 교좌(11b) 상부에 위치된 다음 추진코(60)를 제거하도록 한다.
즉, 콘크리트 거더(20)의 견인 과정이 완료되어 콘크리트 거더(20)를 유압잭(90) 상부에 위치시킨 후 유압잭(90)을 상승시켜 미리 콘크리트 거더(20) 하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유압잭(90)이 콘크리트 거더(2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면 추진코(60)를 제거한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 교각(10a)과 타측 교각(10b)의 사이에 자주승강식 바지(70)와 가설지지대(80)를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d) 단계에서 가설부재인 이들 구성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1: 강바닥 4: 견인잭
5: 풀링빔 10: 교각
10a: 일측 교각 10b: 타측 교각
11: 교좌 11a: 일측 교각 교좌
11b: 타측 교각 교좌 12: 슈
20: 콘크리트 거더 30: 상판
40: 대차 40a: 최전방 대차
40b: 다음 대차 50: 권양기
51: 견인용 와이어 60: 추진코
70: 자주승강식 바지 80: 가설지지대
90: 유압잭

Claims (6)

  1.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설치된 교각(10)들 사이에 콘크리트 거더(20)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일측 교각(10a) 후방의 기설치된 상판(30)에 복수의 대차(40)를 상호 일렬로 연결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대차(40) 상부에 콘크리트 거더(20)를 위치시키는 단계;
    (c) 콘크리트 거더(20)가 도달되어 설치될 전방의 타측 교각(10b) 상부에 권양기(50)를 설치 고정하고, 권양기(50)의 견인용 와이어(51)를 최전방 대차(40a)에 연결하여 대차(40)를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20)를 타측 교각(10b) 측으로 전진시킨 후 최전방 대차(40a)가 일측 교각(10a)에 다다르면 최전방 대차(40a)를 제거하고 견인용 와이어(51)를 다음 대차(40b)에 연결하여 콘크리트 거더(20)를 전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거더(20)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거더(20)를 타측 교각 교좌(11b) 위치까지 전진시킨 후 견인용 와이어(51)를 해제하고, 콘크리트 거더(20)를 일측 교각 교좌(11a)와 타측 교각 교좌(11b) 상부에 안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 교각(10a)과 타측 교각(10b)의 사이에는 수상에 설치된 자주승강식 바지(70) 상부 또는 육상의 지면 상부에 설치된 가설지지대(80)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거더(20)가 전진하는 동안 콘크리트 거더(20)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압출되는 콘크리트 거더(20)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거더(20) 전진측 단부에는 추진코(60)가 설치되고,
    상기 추진코(60)는 상기 (d) 단계에서 콘크리트 거더(20)가 일측 교각 교좌(11a)와 타측 교각 교좌(11b) 상부에 위치된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교좌(11)에는 상하 이동하는 유압잭(90)이 구비되어, 일측 교각(10a)과 타측 교각(10b) 사이에 위치한 콘크리트 거더(20)를 유압잭(90)으로 하향 이동시켜 교좌(11)에 설치된 슈(12) 상부에 안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20)를 대차(40) 위에 안치시키거나 대차(40)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 거더(20)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5. 삭제
  6. 삭제
KR20130061456A 2013-05-30 2013-05-30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KR10149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456A KR101492914B1 (ko) 2013-05-30 2013-05-30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PCT/KR2013/005160 WO2014193020A1 (ko) 2013-05-30 2013-06-12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456A KR101492914B1 (ko) 2013-05-30 2013-05-30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728A KR20140140728A (ko) 2014-12-10
KR101492914B1 true KR101492914B1 (ko) 2015-02-12

Family

ID=5198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1456A KR101492914B1 (ko) 2013-05-30 2013-05-30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2914B1 (ko)
WO (1) WO2014193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0459B (zh) * 2015-11-20 2017-03-22 中建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钢梁滑移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568862A (zh) * 2016-01-20 2016-05-11 湖南省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架梁装置及架梁方法
CN105544412B (zh) * 2016-02-01 2017-04-19 中铁四局集团钢结构有限公司 三主桁刚性悬索加劲连续钢桁梁带加劲弦的顶推施工方法
IT201700053808A1 (it) * 2017-05-18 2018-11-18 Cimolai S P A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traslare una struttura di notevoli dimensioni e peso, come l'impalcato di un ponte, un viadotto, un cavalcavia, o simili manufatti
CN108442252B (zh) * 2018-03-08 2019-11-12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长距离曲线段主梁顶推方法
CN112030768A (zh) * 2020-09-08 2020-12-04 浙江世润建创科技发展有限公司 贝雷梁悬挂结构及应用其的施工方法
CN113863154B (zh) * 2021-10-27 2023-02-14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跨越河道的大跨径钢箱梁的牵引装配方法
CN113863164B (zh) * 2021-11-06 2023-03-2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下穿水上既有桥梁的大跨径钢箱梁牵引滑移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907A (ko) * 1994-05-17 1995-12-22 김성남 대차(坮車)를 이용한 교량 상부공(上部工) 압출공법
KR100665680B1 (ko) * 2006-03-20 2007-01-09 (주)청석엔지니어링 일괄 압출가설을 통한 교량시공방법
KR100719305B1 (ko) * 2005-01-21 2007-05-18 박순근 교량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827A (ja) * 1996-08-14 1998-03-03 P S Co Ltd セグメントブロックの移動装置
JP3337138B2 (ja) * 1999-12-15 2002-10-21 株式会社大滝油圧 橋梁の架設工法
JP4041716B2 (ja) * 2002-09-27 2008-01-30 株式会社大滝油圧 桁の送り出し架設工法
JP2006028734A (ja) * 2004-07-12 2006-02-02 Kawasaki Heavy Ind Ltd 移動式ベントを用いた橋桁の送り出し架設工法
JP4956634B2 (ja) * 2010-02-23 2012-06-20 株式会社北都鉄工 橋桁上への床版の敷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907A (ko) * 1994-05-17 1995-12-22 김성남 대차(坮車)를 이용한 교량 상부공(上部工) 압출공법
KR100719305B1 (ko) * 2005-01-21 2007-05-18 박순근 교량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시공방법
KR100665680B1 (ko) * 2006-03-20 2007-01-09 (주)청석엔지니어링 일괄 압출가설을 통한 교량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3020A1 (ko) 2014-12-04
KR20140140728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914B1 (ko) 대차 및 권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량 견인 압출 공법
KR100665680B1 (ko) 일괄 압출가설을 통한 교량시공방법
KR100634848B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1193608B1 (ko)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
CN106522112A (zh) 斜拉桥边跨梁段架设系统及其方法
CN102367650A (zh) 一种钢管拱桥的施工方法
CN112267369A (zh) 一种无跨中立柱钢栈桥结构及顶推安装装置和施工方法
CN114673196B (zh) 一种地下水厂隔离层零触地施工工艺
CN113585075A (zh) 一种钢混叠合梁现浇桥面板模架
KR20140009925A (ko) 항만구조물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시공방법
CN109629439B (zh) 一种独塔斜拉桥施工方法
CN207987749U (zh) 骑索式桥面吊机
CN103806374B (zh) 装配式公路钢桥整体轨道架设推送系统及架设推送工艺
CN206538687U (zh) 斜拉桥边跨梁段架设系统
CN112726411A (zh) 一种单孔大悬臂钢桁梁整体拖拉施工方法
CN109457619B (zh) 一种用于混凝土主梁现浇施工的复合型多功能移动支架
CN109778700B (zh) 一种跨越既有道路的现浇槽形梁三点滑移顶推施工方法
KR101580111B1 (ko) 스틸폼을 이용한 잔교식 구조물의 연속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217325062U (zh) 斜拉桥索塔大吨位钢横梁的拼装滑移支架
CN113756209B (zh) 一种大跨径钢梁斜拉顶推施工方法
CN110438906B (zh) 一种上承式箱型拱桥拱肋施工方法
CN212612030U (zh) 打桩架桥施工一体机
CN212426772U (zh) 一种钢板组合梁现浇桥面板悬空支架体系
CN107288039A (zh) 铁路下承式钢混凝土结合桥面钢桁梁施工方法
CN110273385B (zh) 一种跨线孔跨混凝土箱梁拆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